제주올레

제주올레 1차 8일(월정리 20구간중간-조천북촌19구간중간) 2.3.

산경표 2016. 8. 15. 21:32

제주올레 1차 8일(월정리 20구간중간-조천북촌19구간중간).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  21.4km (7시간 11분).

구좌읍 월정리해변(20구간중간)-당처물동굴-동부하수처리장-두럭산-김녕성세기해변-도대불-
김녕용두동 19구간종점-남흘동-풍력발전단지-1132번 신도로 북촌교차로-북촌항등대-너븐승이 4.3기념관
 

 

 일시 : 2016. 2.3(수).

 


◈ 날씨 ; 하늘은 맑으나 바람이 불고 쌀쌀하다.

 

 

◈ 지도.

 

 

 

제주올레 1차 8일(월정리 20구간중간-조천북촌19구간중간).지도1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제주올레 1차 8일(월정리 20구간중간-조천북촌19구간중간).지도2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제주올레 1차 8일(월정리 20구간중간-조천북촌19구간중간).지도3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제주올레 1차 8일(월정리 20구간중간-조천북촌19구간중간).지도4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제주올레 1차 8일(월정리 20구간중간-조천북촌19구간중간).지도5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 트랙.

 

올레20-19s(웗정리-너븐승이4.3).gpx

 

 

 

◈ 일정정리.

 

08 : 30. 성산항입구 쏠레민박을 출발하여 701번 버스타고

09 : 17. 만장굴입구에서 하차하여 만장굴을 들려보고 갈려고 택시타고 만장굴에 갔더니 휴일이란다.

            다시 되돌아 나와 월정리 해변으로 감.

09 ; 28. 월정리 해변에서 농협 하나로마트 골목으로 가고

09 ; 52. 당처물동굴.용천동굴안내판.올래길은 길따라 가나 당처물동굴이 궁금해 좌측밭으로

10 ; 00. 돌담위로 곡예를하며 건너간 당처물동굴 입구 철문.안내판

          당처물동굴은  평지 억새밭인데 비공개로 주민들말이 지하로 내려가는입구가 철문으로 막혀 있단다.

         올레길로 건너거가는 길이없어 한동안 도로따라 좌측으로 삥 돌아간다.

10 ; 30. 진빌레정 정자. 월정밭담길 안내판. 흑룡만리밭담 2길이다. 

10 ; 43/56. 바닷가 동부하수처리장앞 정자.해상풍력발전 조성 기술이전 기념비.무주연대옛터.월정어촌계식당.

11 ; 0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앞 투물러스(용암언덕).

11 ; 13. 환해장성(環海長城).고려때 관군이 삼별초군의 입도를 막기위해 쌓기시작.

           길 건너엔 김녕 풍력발전시스텀 인증단지 안내판과 풍차.

11 ; 24. 두럭산안내판.바닷물속에 잠겨있는 바위로 한라산,청산, 영주산,삼방산과 함께하는 제주 5대산이란다.

11 : 29. 김녕읍이 건너다 보이는 조형물있는 쉼터.

11 : 40/12 : 00. 해안 억새밭언덕에서 입산봉,궤살메,김녕읍을 보며 점심.

12 ; 06. 성세기 태역길.태역은 잔디를 일컫는 제주말.

12 : 11. 김녕성세기해변.바람이 많이 불고 파도가 심한데 모터 써핑(?)을 하는 친구가 있다.

12 : 25. 세기알해변.

12 ; 32. 도대불(김녕 옛등대). 정자.

12 ; 39. 청굴물.바닷가 용천수.문화가 있는 마을

12 : 57. 용두동 김녕 서포구. 올레 19구간끝,20구간시작점. 바람구조물 풍루작품.

13 ; 13.  남흘동 버스정류장.백련사앞.도로건너 마을길따라 가고

13 ; 17. 230녕생 팽나무 2그루 쉼터.

13 ; 26. 동일주도로를 건너 분재원집 옆길로 가고

13 ; 34. 올레길을 궤살메(116.5m)를 거치지 않고 우측으로 비켜간다.

13 ; 58. 고씨가족묘를 지난다.

14 ; 04/08. 무심코 큰길따라 가다보니 올레길을 지나쳐 다시 돌아와 元씨묘에서 우측으로 간다.

14 : 29. 2차선도로를 건너고. 현위치 김녕마을입구.동북리 마을운동장까지 1.6km 20분.

14 : 34. 다시 2차선도로.대형 지하수물탱크.묘산봉관광지 300m 도로표지판.

14 ; 45. 좌측에 12번풍차.

14 ; 51. 동북.북촌 풍력단지 안내판. 설비용량 2MV * 15기.높이 87m. 날개길이 42.2m.

15 ; 06. 벌러진동산.

.15 ; 08/14. 동복리 마을운동장. 쉼터. 좌측으로 간다.스템프 찍는곳.

15 ; 27. 동복 새생명교회.

15 ; 37. 1132번 4차선 신도로.좌측으로 도로따라 간다.

15 : 47. 북촌동교차로.우측 횡단보도건너 북촌으로.
15 ; 59. 북촌리 팽나무 보호수

16 ; 03 북촌항.

16 : 10. 북촌항등대.다려도와 서우봉이 건너다 보인다.

16 ; 14. 북촌등명대(도대불).

16 ; 32. 너븐숭이 4.3 기념관.4.3 희생자 443명.

16 : 40/45. 북촌리 해동버스정류장에서 701번버스타고 성산항 숙소로.

17 : 50. 성산항 숙소도착.

 

 2. 4일 .
06 ; 40. 성산항에서 710번 버스 타고 제주터미널로 감(3300원)
08 : 00. 제주터미널에 도착하여  택시로 공항으로 감(5000원. 터미널앞에서 탔는데 콜비를 받았다)
10 ; 00. 제추출발.김포공항으로(이스타나항공(19800원 * 2)

11 : 10. 김포공항도착

 

 

 

 

 

◈ 후기.

 

 

 성산항입구 쏠레민박을 출발하여 701번 버스타고 출근.

 

 

 

성산항입구 버스 정류장 근처에서 본 올레 1구간 식산봉과 뒤로 용눈이 ,다랑쉬오름.

 

 

 

성산항입구 버스 정류장 근처에서 본 식산봉(우)과 대수산봉(좌).

 

 

성산항입구 버스 정류장 근처에서 본 지미봉과 성산항.

 

 

성산항입구 버스 정류장 근처에서 본 성산일출봉.

 

 

 

09 : 17. 만장굴입구(월정리 다음 정류장)에서 하차하여 만장굴을 들려보고 갈려고 택시타고 만장굴에 갔더니 휴일이란다.

            다시 되돌아 나와 월정리 해변으로 감.

2차때 올레 전구간을 끝내고 거믄오름- 만장굴들려 여기로 나와 버스타고 제주로 갔던곳이다.

 

 

 

 

09 ; 28. 어제 일정을 끝냈던 월정리 해변에서 농협 하나로마트 골목으로 가고

 

 

 

 

09 ; 52. 당처물동굴.용천동굴안내판.
올래길은 길따라 가나 당처물동굴이 궁금해 좌측밭으로

 

당처물동굴은 1995년 마을주민이 밭농사를 위해 암석을 절취중에 발견된동굴로 발견된 지명을 따서

 당처물동굴로 이름 붙여졌다. 발견당시 동굴의 길이는 110m 였으나 2009년 조사결과 140m 더 연장되고 있음이 밝혀졌다.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 보호되고 있다 .

 

 

 

 

 

용천동굴은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된동굴로 전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용암동굴로 알려져있다.

동굴의 길이는 총 3.4km이며 하류에 바다와 이어진 800m길이의 호수가 있다.
호수내부에는 오래전에 사용된 고급토기들과 나무들이 있고 눈이 퇴화된 장님물고기도 살고있다.
여러분이 서있는 이곳 발아래에 동굴호수의 입구가 있습니다.

 

 

 


 

10 ; 00. 돌담위로 곡예를하며 건너간 당처물동굴 입구 철문.안내판(좌측길에)

돌담안 억새밭이 당처물동굴이 있는곳이다.

 

 

 

당처물동굴은  평지 억새밭인데 비공개로 주민들말이 지하로 내려가는입구가 철문으로 막혀 있단다.

 

 

 

 

당처물동굴.<퍼온 그림이다>

 

 

당처물동굴.<퍼온 그림이다>

 

 

 

 

 

 

 

 

당처물동굴앞 당근밭.

 

 

 

  올레길로 건너거가는 길이없어 한동안 도로따라 좌측으로 삥 돌아간다.

좌측 건물이 하수처리장.마늘밭 돌담길이 월정밭담길

 

 

 

 

10 ; 30. 진빌레정 정자.

 월정밭담길 안내판. 흑룡만리밭담 2길이다.

 

 

 

10 ; 30. 진빌레정 정자. 월정밭담길 안내판.

 

 

 

 월정밭담길 .

김녕과 월정의 밭담길은 제주밭담이라는 이름으로 세계중요농업유산으로 등재된 제주섬의 밭담보전지역중에서
핵심권역에 해당하는 곳으로 "세계중요농업유산"은 몇 세기에 걸쳐 발달하고 형성되어온 농업과 관련된
문화,경관, 생물다양성 등을 다음 세대에 계승할 목적으로 세계문화유산이나 세계자연유산과 같이
보전핟고 계승할 만한 가치가 있는 농업유산을 지정해 관리하는 유일한 제도다.

 

 

 


10 ; 43/56. 바닷가 동부하수처리장앞 정자에서 북쪽 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쪽 1
해상풍력발전 조성 기술이전 기념비.무주연대옛터.월정어촌계식당.

 

 

 

10 ; 43/56. 바닷가 동부하수처리장앞 정자에서 남쪽 월정리쪽. 2

 

 

 

10 ; 43/56. 바닷가 동부하수처리장앞 정자에서 바닷쪽 3

 

 

 

10 ; 43/56. 바닷가 동부하수처리장앞 정자에서 하수처리장과 월정어촌계식당.4

 

 

 

10 ; 43/56. 바닷가 동부하수처리장앞 정자.
무주연대(無注烟臺)는 무주개(無注浦)는 별방진 관내에 속한 연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11 ; 0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앞 투물러스(용암언덕).

 

이곳 해안과 같이 검고 평평한 용암지대를 제주도 말로 빌레라 부릅니다.
빌레는 토마도
쥬스처럼 잘 흘러가는 용암이 얇고 넓게 퍼져 흐르면서 만들어 집니다.
이런 용암은 땅위를 흘러 가다가 온도가 낮아져 앞부분이 먼저 굳어지면 뒤에서 계속 따라 오던 용암이
흘러가지 못하고 부플어 올라 언덕처럼 솟아오른지형을 만들게 됩니다.

그리고 용암의 표면은 4각형에서 6각형으로 갈라져 있는데,이것은 뜨거운 용암이 식으면서 부피가 줄어들면서
생긴  구조입니다.부풀어 오른모양에 육각형으로 갈라진 모양이 마치 거북이 등모양을 닮았다고 해서
이런 지형을 거북등절리라고 부릅니다.

 

 

 

 

 

11 ; 13. 환해장성(環海長城).고려때 관군이 삼별초군의 입도를 막기위해 쌓기시작.

           길 건너엔 김녕 풍력발전시스텀 인증단지 안내판과 풍차.

 

환해장성은 말 그대로 해안을 둘러쌓은 성담입니다.

제주해안을 길게 둘러친정성이라해서 "제주의 만리장성"이라 하기도 하는데
1270년 고려 관군이 삼별초의 입도를 막기위해 쌓기 시작했고
같은해 제주로 들어와 고려관군을 물리친 삼별초 역시 고려관군과 몽골군을 막기위해 환해장성은 계속 보수,신축을했고
이곳 환해장성은 조선시대 왜구와 이양선의 침입을 막기위해 쌓았다.

 

 

 

11 ; 24. 두럭산안내판.
바닷물속에 잠겨있는 바위로 한라산,청산, 영주산,삼방산과 함께하는 제주 5대산이란다.

 

두럭산은 밀물땐 바닷물속에 잠겨있고 썰물때도 잠깐 나타나는 커다람바위라 보기가 쉽지않다.
이 바위산은 1년에 딱 한번 음력 3월 보름날에 물위로 완전히 떠 오른다고 합니다.
한라산이 운이 트여 장군이 태어날때 그 장군이 탈 용마가 나올 산이라는 전설이 있단다.

 

 

 

11 : 29. 김녕읍이 건너다 보이는 조형물있는 쉼터에서 본 입산봉(좌측 붉은봉),궤살메(우).

 

 

 

조형물 사이로 본 궤살매와 김녕.

 

 

 

11 : 40/12 : 00. 해안 억새밭언덕에서 입산봉,궤살메,김녕읍을 보며 점심.

 

 

 

12 ; 06. 성세기 태역길.태역은 잔디를 일컫는 제주말.

 

 

 

김녕성세기해변에서 뒤돌아 보고

 

 

 

12 : 11. 김녕성세기해변.

 

 

 

12 : 11. 김녕성세기해변.

 

 

12 : 11. 김녕성세기해변.

 

 

12 : 11. 김녕성세기해변.

 

 

 

12 : 11. 김녕성세기해변.

 

 

세기알포구.

 

 

 

 

세기알포구.

 

 

세기알포구.

 

 

 

 

 

12 ; 32. 도대불(道台火.김녕 옛등대). 정자.

도대불은 옛날 등대로 등불은 해질무렵 바다로 나가는 어부들이 켰다가  아침에 들어오는 어부들이 껏다.
연료로는 생선기름이나 솔칵(송진옹이)를 썼는데 나중엔 석유를 썼다.
도대불은 바닷가마을 포구마다 하나씩 있었고 모양은 월뿔,원통,사다리꼴등 다양했다.

1915년경세워졌고 1964년다시 지었다.

 

 

 

 조간대.

조간대는 밀물때에는 바닷물에 잠기도 썰물때에는 드러나는 해안선사이의 부분을 말한다.

 

 

 

 

 

12 ; 39. 청굴물.
바닷가 용천수.문화가 있는 봉지동  마을

 

 

 

문화가 있는 봉지동 마을

 

 

문화가 있는 봉지동 마을

 

 

문화가 있는 봉지동 마을

 

 

 

12 : 57. 용두동 김녕 서포구. 올레 19구간끝,20구간시작점.
바람구조물 풍루작품.

 

 

 

12 : 57. 용두동 김녕 서포구. 올레 19구간끝,20구간시작점에서.

 

 


 

 

 

13 ; 13.  남흘동 버스정류장.제주,서귀포가는 노선버스가 다닌다.
백련사앞.도로건너 마을길따라 가고.

 

 

 

 

13 ; 17. 230녕생 팽나무 2그루 쉼터.

 

 

 

13 ; 34. 올레길을 궤살메(116.5m)를 거치지 않고 우측으로 비켜간다.

 

 

 

14 : 29. 2차선도로를 건너고. 현위치 김녕마을입구.동북리 마을운동장까지 1.6km 20분.
우측에 보이는 저 건물은 지하수 저장탱크로 제주도는 관개시설이 잘돼있어  저런 탱크를 자주 볼 수있다.

 

 

 

 

14 ; 51. 동북.북촌 풍력단지 안내판. 설비용량 2MV * 15기.높이 87m. 날개길이 42.2m.

 

 

 

15 ; 06. 벌러진동산.바로앞은 동북리 마을 운동장쉼터다.

두 마을로 갈라지는곳,혹은 넓은 바위가 번개에 맞아 벌어진곳이라 하여 벌러진동산이라 부른단다.

 

 

 

15 : 47. 북촌동교차로.우측 횡단보도건너 북촌으로.

 

 

북촌항.

 

 

 

북촌항 등대 뒤로 다려도가 보인다 .

 

 

 

다려도.

 

 

 

 

 

16 ; 14. 북촌등명대(도대불).

 

 

 

 

 

 

서우봉.

 

 

 

16 ; 32. 너븐숭이 4.3 기념관과 뒤로 서우산.
4.3 희생자 443명.
2차 올레 끝날때 들아가서 둘러봤다.

 

 

 

 

 

 

 

16 : 40/45. 북촌리 해동버스정류장에서 701번버스타고 성산항 숙소로 퇴근.

 

 

 

어제와 비슷한 시간에 성산항입구 버스정류장도착하여 본 식산봉 일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