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남길

삼남길 3 의왕 왕곡리- 지지대고개-서호-수원 평고교)

산경표 2016. 10. 14. 19:31

삼남길 3 (의왕 왕곡리-사근행궁터- 지지대고개-서호-수원 평고교)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  20.3km  (6시간 ).

                                            
의왕 왕곡리-충혼탑-사근행궁터-의왕시청앞-골사그내 버스정류장-한남정맥 -지지대고개(4길 서호천길시작)

해우재-이목2교-서호 공원입구(5길 중복길 시작)-서호끝 항미정-평고교-수원 신병원버스정류장.

 

 일시 : 2016. 10. 9(일). 아내와 둘이서.정조대왕 능행차가 있던날.


◈ 날씨 ;  맑음

 

◈ 지도.

삼남길 3 (왕곡리 갈림길-사근행궁터- 지지대고개-서호-평고교) 지도1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삼남길 3 (왕곡리 갈림길-사근행궁터- 지지대고개-서호-평고교) 지도2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삼남길 3 (왕곡리 갈림길-사근행궁터- 지지대고개-서호-평고교) 지도3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 트랙.

삼남길3(의왕사근행궁터-수원평고교).gpx

 

 

◈ 일정정리.

08 ; 03. 천안에서 청량리 가는 전철을 타고

09 : 30. 의왕역에서 2번 출구로 나가 길을 건너지 않고 52-1번 버스를 타야 할 것을 길을 건너가서 타서
            몇 정거장 간 종점에서 다시 나오는 차로 갈아 타고 나와 왕곡초교앞으로 감

09 ; 53. 왕곡초교앞 하차. 오던 방향으로 직진해 간다.여기오는 버스는 3100.52-1. 8. 87.5-2. 60-1. 8-2번이 있다.

09 ; 55.   고속도로 밑을 지난다.교각엔 큰 나무그림에 왕림마을이라 써 있다.GPS가 여시서부터 돌아간다.

10 ; 00. 왕곡리 삼남길 갈림점. 지난번엔 직진해 골사그내로 갔으니 이번엔 우측 사근행궁터로 간다.보리밥칼국수집 앞이다.
              사근행궁터 1.11km. 골사그내 1.33km.양쪽길 안내판

10 : 08. 왕곡초교 버스정류장을 지나 우측 인스빌 아파트앞길로 간다.

10 ; 13. 현충탑. 계요병원앞에서 좌로 꺽은 도로 우측 위에 있다.

10 ; 22. 사근행궁터.전 고천동주민쎈터입구에 있다.주민쎈터는 7.11 이전했다는 현수막이 걸려있다.
           스탬프함 표시 글씨가 안쪽으로 있어 스탬프함이 있는지 모르기 쉽다.좌측 골목으로 나간다.

                사근참행궁(肆覲站行宮)은 정조가 그의 아버지 장헌세자의 묘를 양주 배봉산에서 현륭원에 이장하면서
               현륭원 행차의 편의를 위해 서울에서 수원에 이르는 요소와 경유지마다 세운 행궁중 하나로
              1770년(정조 14)에서 1975년에 걸쳐 과천행궁(果川行宮),사근행궁(肆覲行宮), 시흥행궁(始興行宮),
              안양행궁(安養行宮), 안산행궁(安山行宮),화성행궁(華城行宮) 등 모두 6개의 행궁이 설치되었다.
              그 중 사근행궁은 1770년 세워진곳으로 정조의 원행시 수시로 주정소(晝停所)로사용되었다.
              행궁이란, 국왕이 지방에 거둥할 때 임시로 머물던 별궁을 말한다.

10 ; 30. 1번국도 육교를 건너 도로따라 좌측으로 간다.

10 ; 39. 의왕시청앞 사거리에서 좌측으로 간다. 시청 뒷산은 오봉산(209.8m)이다.

10 ; 44. 의왕시 중앙도서관앞.

10 ; 51. 4차선도로를  신호받고 건너 산무교동 낙지집앞으로 간다.골사그내 1.52km. 들고지길이정표.

11 ; 05. 언덕을 넘어 309번 의왕-고색간 고속화도로밑을 지난다.한무리의 자전거 부대가 올라온다.

11 ; 15, 1번국도 육교 아래의 골사그내 버스정류장.왕곡리 갈림길에서 통미를 거쳐온 삼남길을 만나 우측 마을길로 간다.

             지지대비 2.01km,의왕시청 2.27km.지지대고개는 도로따라 곧장 올라가지만 삼남길은 우측으로 돌아간다.

11 ; 19. 우측에 자비정사을 지난다.

11 ; 26. 비닐하우스단지끝에서  단지를 좌측에 끼고  한남정맥을 정면에 보며 좌측으로 간다.

11 : 29. Y 갈림길에서 좌측으로 간다. 우측 오름길이 아니다.<주의>

11 ; 30. 수렛길 갈림길에서 우측길로 올라가면

11 ; 33. 박정희대통령 식목일 기념조림지 표석과 안내판.1974.76.77에 밤나무,잣나무를 조림했다.

11 ; 36. 한남정맥 마루금에 올라 수원둘레길과 같이 좌측으로 간다. 곧장 넘어가면 배나무골을 지나 해우재로 이어진다.

            3길 모락산길 안내판.지지대비 0.87km. 골사그내  740m, 배나무골 760m.

11 : 44/12 :01. 전망좋은 쉼터에서 모락산, 관악산,삼성산을 조망하며 점심을 먹다.

                    배낭을 멘 3명이 오길래 쉬어가라고하니 미리 보아둔 벌집을 채취하러 왔다며 위에 있는 묘지로 간다.

12 ; 16.지지대비(경기도 유형문화재 24호).정조가 현릉원에 참배를 마치고 돌아가는길에 이곳을 떠나기가 아쉬워
           왕의 행차가 느릿느릿 하였다하여  느릴지자 두자를 붙여 遲遲臺라 부르게 되었단다.

          옆에 있는 큰 당산나무밑에선 무속인듯한분이 천도굿을 하고 있다. 1번국도 건너 우측 아랬쪽엔 프랑스군 참전비가 있다.

12 ; 24/14 ; 06.지지대쉼터.매점과 간이 식사 가능.3길이 끝나고  4길 서호천길 시작.스탬프 찍는곳. 수원팔색길. 경기도 관광안내판.

             2016 정조대왕 능행차가 시흥을 출발해 오고 있다고 하니  마눌이 보고 가자고 해서 기다려 보고 우측 산길로 간다.

14 : 15. 화선봉밑 안부. 우측 290m의 171.2m봉이 화선봉이다. 해우재 0.42km

14 ; 22. 양봉하는곳을 지나 내려간 영동고속도로 지하통로. 바로앞 이정표 방향이 틀려 뽑아서 바로 세우는데
            밭 주인인듯한 분이 배수로를 고치며 뽑혀있는 것을 그냥 세워놓은 것이란다.

14 ; 26. 윌테크놀로지,(주)네이팜앞 2차로.해우재를 다녀오기로 하고  우측으로 간다.해우재100m.

14 : 32/47. 해우재.화장실 데마공원과 해우재 문화쎈터. 화장실 문화운동에 앞장섰던 고 심재덕 전 수원지장 자택 터를
       유족들이 수원시에 기증해서 만들었다.얼마전에 손주들과 다녀간곳이라  대충 둘러 보고 되돌아 나왔다.

14 ; 55. 이목사거리. 직진하는 이목지하차도옆 지하도를 따라 건너간다.

15 : 01. 이목동,장안STX칸 버스정류장을 지나 이목2교에서 우측으로 서호천 둑방 산책길을 간다.
          여기서부터 서호까지와 서호를 지나 황구지천을 만난 배양교 아래까지 10여km를 서호천을 따라간다.

15 ; 09. 배다리를 지나 율목교앞. 둑방길에서 좌측 서호천변으로 내려가 서호천변 산책길을 따라 간다.

15 : 30. 노루교(서호천7교)를 지난  대월교(서호천 11교)앞,좌측에 동남 보건대학교와 현대 벽실마을.

15 ; 33/45. 천변 벤취에서 쉬어간다. 좌측엔 대평고등학교.

15 : 51. 한마루 사거리인 청솔교를  지나며 좌측에 대형 영화교회와 한마루아파트가 보인다.

15 : 54. 꽃뫼버들교와 연이어 경부선 철로밑을 지난다.

16 ; 02. 여기산이 앞에 보이고 좌측 징검다리를 건너간다. 화산교앞이다. 화산교 좌측으로 가면 화서역이다.

16 ; 07. 천변길에서 제방둑 위로 올라서면 수원성 교회다 입구엔 오직예수 표지석. 규모가 대단히 크다.
            수원성교회 뒷편은 서호꽃뫼공원이고 공원끝이 화서역이다.

16 : 13. 새싹교앞.서호 북단이다. 4길 서호천길이 끝나고 5길 중복들길 시작점이다.4길,5길 안내판.수원 팔색길 안내판.
              서호를 우측에 끼고 반원을 그리며  건너편 항미정으로 간다.좌측은 서호공원.우측 새싹교 뒷산은 여기산.

16 ; 26. 서호제방둑길따라 우측으로 간다.서호저수지 정화시설과 여기산 백로서식지 안내판.좌측밑은 농진청 시험답.

16 ; 33. 축만제(祝萬堤)표석.축만제는 서호의 본명으로 정조대왕이 수원화성을 조성하면서 둔전을 만들고
           둔전에 물을 공급하기위해 만든  저수지중 하나로 서쪽에 있다하여 서호라 부른다.

16 ; 36. 수문 건너편의 항미정(杭眉亭).1831년건립.소동파의 詩句 " 서호는 항주(杭州)의 미목(眉目)같다"에서 따왔다.

16 : 43. 42번국도인 서둔교앞에서 제방둑길에서 좌측 천변으로 내려가 서호천변을 따라 간다.

16 ; 51.서울대 농대로 들어가는 농대교를 지나고

17 ; 03. 벌말교. 근처에 SK그룹의 모태기업인 선경직물 수원공장이 있었다는 안내판.

17 ; 10. 평고교.서호천변길이 끝나고 둑방으로 올라간다.좌측 가까이에 수원역이 있고
         우측 자동차매매단지 버스정류장에서 수원역가는 버스가 있어 오늘은 여기서 접고  우측으로 도로따라 갔다.

17 ; 13. 서수원 자동차매매단지. 버스정류장이 안보여 큰길까지 갔는데 나중에 보니 정류장엔 형광표지판만 있어 몰랐다.

17 ; 24. 43번도로 신병원,대원.거산아파트 버스정류장에서 400번 버스 타고 차로 10분거리의 수원역으로 갔다.

17 : 50. 수원역에 천안행 급행 전철을 타다.

18 : 50. 천안도착.

 

◈ 후기.

 

09 ; 53. 왕곡초교앞 하차.
오던 방향으로 직진해 간다.여기오는 버스는 3100.52-1. 8. 87.5-2. 60-1. 8-2번이 있다.

 

 

10 ; 00. 왕곡리 삼남길 갈림점.
지난번엔 직진해 골사그내로 갔으니 이번엔 우측 사근행궁터로 간다.보리밥칼국수집 앞이다.
              사근행궁터 1.11km. 골사그내 1.33km.양쪽길 안내판

 

 

10 ; 13. 현충탑.
계요병원앞에서 좌로 꺽은 도로 우측 위에 있다.

 

 

사근참행궁(肆覲站行宮)은 정조가 그의 아버지 장헌세자의 묘를 양주 배봉산에서 현륭원에 이장하면서
               현륭원 행차의 편의를 위해 서울에서 수원에 이르는 요소와 경유지마다 세운 행궁중 하나로
              1770년(정조 14)에서 1975년에 걸쳐 과천행궁(果川行宮),사근행궁(肆覲行宮), 시흥행궁(始興行宮),
              안양행궁(安養行宮), 안산행궁(安山行宮),화성행궁(華城行宮) 등 모두 6개의 행궁이 설치되었다.
              그 중 사근행궁은 1770년 세워진곳으로 정조의 원행시 수시로 주정소(晝停所)로사용되었다.
              행궁이란, 국왕이 지방에 거둥할 때 임시로 머물던 별궁을 말한다.

 

 

 

10 ; 22. 사근행궁터.
전 고천동주민쎈터입구에 있다.주민쎈터는 7.11 이전했다는 현수막이 걸려있다.
           스탬프함 표시 글씨가 안쪽으로 있어 스탬프함이 있는지 모르기 쉽다.좌측 골목으로 나간다.

 

 

10 ; 30. 1번국도 육교를 건너 도로따라 좌측으로 간다

 

 

10 ; 39. 의왕시청앞 사거리에서 좌측으로 간다.
시청 뒷산은 오봉산(209.8m)이다.

 

 

10 ; 44. 의왕시 중앙도서관앞.

 

 

10 ; 51. 4차선도로를  신호받고 건너 산무교동 낙지집앞으로 간다.

골사그내 1.52km. 들고지길이정표.

 

 

1번국도 에서 본 백운산.
우측 능선은 한남정맥,좌측 능선은 관악지맥이다.

 

 

 

11 ; 15, 1번국도 육교 아래의 골사그내 버스정류장.
왕곡리 갈림길에서 통미를 거쳐온 삼남길을 만나 우측 마을길로 간다.
지지대비 2.01km,의왕시청 2.27km.지지대고개는 도로따라 곧장 올라가지만 삼남길은 우측으로 돌아간다.

 

11 ; 19. 우측에 자비정사을 지난다.

 

11 ; 26. 비닐하우스단지끝에서  단지를 좌측에 끼고  한남정맥을 정면에 보며 좌측으로 간다.

 

 

11 : 29. Y 갈림길에서 좌측으로 간다.
우측 오름길이 아니다.<주의>

 

 

11 ; 33. 박정희대통령 식목일 기념조림지 표석과 안내판.
1974.76.77에 밤나무,잣나무를 조림했다.

 

 

11 ; 36. 한남정맥 마루금에 올라 수원둘레길과 같이 좌측으로 간다. 곧장 넘어가면 배나무골을 지나 해우재로 이어진다.

            3길 모락산길 안내판.지지대비 0.87km. 골사그내  740m, 배나무골 760m.

 

11 : 44/12 :01. 전망좋은 쉼터에서 모락산, 관악산,삼성산을 조망하며 점심을 먹다.
 배낭을 멘 3명이 오길래 쉬어가라고하니 미리 보아둔 벌집을 채취하러 왔다며 위에 있는 묘지로 간다.

 

 

 

지지대비로 내려가며 본 백운산으로 이어가는 한남정맥.

 

 

12 ; 16.지지대비(경기도 유형문화재 24호).정조가 현릉원에 참배를 마치고 돌아가는길에 이곳을 떠나기가 아쉬워
           왕의 행차가 느릿느릿 하였다하여  느릴지자 두자를 붙여 遲遲臺라 부르게 되었단다.

          옆에 있는 큰 당산나무밑에선 무속인듯한분이 천도굿을 하고 있다.

 

 

1번국도 건너 우측 아랬쪽엔 프랑스군 참전비가 있다.

내가 한남정맥을 할땐 저쪽능선이 상수도 보호구역으로 출입이 안돼
수원시청에 정식으로 서류를 보내 출입허가를 받고 산본에 살고있던 이상무화백과 우리부부가 저길 내려오는데
멀리서 빤히 지켜보고있던 감시원이 한껀 했다싶어 부리나케 달려와
허가 서류를 보여줬더니 실망하는 눈치로 돌아서는것이 눈에 선하다.

냉면을 사준  이화백 생각이 나 혹시나 옛 번호를 쓰고있나 전화를 해보니 전화번호가 바뀄단다.

 

 

12 ; 24/14 ; 06.지지대쉼터.
매점과 간이 식사 가능.3길이 끝나고  4길 서호천길 시작.스탬프 찍는곳. 수원팔색길. 경기도 관광안내판.

             2016 정조대왕 능행차가 시흥을 출발해 오고 있다고 하니  마눌이 보고 가자고 해서 기다려 보고 우측 산길로 간다.

골짜가 밭 갓길로 올라 저 위에서 좌측으로 오른다.

 

 

14 : 15. 화선봉밑 안부.
우측 290m의 171.2m봉이 화선봉이다. 해우재 0.42km

 

 

14 ; 26. 윌테크놀로지,(주)네이팜앞 2차로.
저앞에 보이는 해우재를 다녀오기로 하고  우측으로 간다.해우재100m.

 

 

해우재 입구에서 우측 해우재.

 

해우재 입구에서 좌측 해우재문화쎈터.

 

 

14 : 32/47. 해우재.
화장실 데마공원과 해우재 문화쎈터. 화장실 문화운동에 앞장섰던 고 심재덕 전 수원지장 자택 터를

       유족들이 수원시에 기증해서 만들었다.얼마전에 손주들과 다녀간곳이라  대충 둘러 보고 되돌아 나왔다.

 

 

백제시대 남자용 소변기 호자.

 

백제시대 여성용 요강.

 

 

조선시대 임금이나 왕비의 휴대용 변기.

 

좌측 해우재문화쎈터.

 

 

해우재 본건물과 미스터 토일렛 심재덕흉상.

 

해우재는 근심을 더는 집이라는 뜻의 사찰 화장실인 해우소(解憂所)에서 비롯된 것,.

 

14 ; 55. 이목사거리.
직진하는 이목지하차도옆 지하도를 따라 건너간다.

 

 

15 : 01. 이목동,장안STX칸 버스정류장을 지나 이목2교에서 우측으로 서호천 둑방 산책길을 간다.
          여기서부터 서호까지와 서호를 지나 황구지천을 만난 배양교 아래까지 10여km를 서호천을 따라간다.

 

 

15 ; 09. 배다리를 지나 율목교앞.
둑방길에서 좌측 서호천변으로 내려가 서호천변 산책길을 따라 간다.

 

 

15 : 30. 노루교(서호천7교)를 지난  대월교(서호천 11교)앞,
좌측에 동남 보건대학교와 현대 벽실마을.

 

 

15 : 51. 한마루 사거리인 청솔교를  지나며 좌측에 대형 영화교회와 한마루아파트가 보인다.

 

 

15 : 54. 꽃뫼버들교와 연이어 경부선 철로밑을 지난다.

 

 

16 ; 02. 여기산이 앞에 보이고 좌측 징검다리를 건너간다. 
화산교앞이다. 화산교 좌측으로 가면 화서역이다.

 

 

16 ; 07. 천변길에서 제방둑 위로 올라서면 수원성 교회다 입구엔 오직예수 표지석. 규모가 대단히 크다.
            수원성교회 뒷편은 서호꽃뫼공원이고 공원끝이 화서역이다.

 

 

16 : 13. 새싹교앞.서호 북단이다.
4길 서호천길이 끝나고 5길 중복들길 시작점이다.4길,5길 안내판.수원 팔색길 안내판.

              서호를 우측에 끼고 반원을 그리며  건너편 항미정으로 간다.좌측은 서호공원.우측 새싹교 뒷산은 여기산.

 

 

 

좌측은 서호공원.

 

 

서호를 우측에 끼고 반원을 그리며  건너편 항미정으로 간다.

 

 

서호안의 인공섬.

 

 

16 ; 26. 서호제방둑길따라 우측으로 간다.
서호저수지 정화시설과 여기산 백로서식지 안내판.좌측밑은 농진청 시험답.

 

 

16 ; 33. 축만제(祝萬堤)표석.

축만제는 서호의 본명으로 정조대왕이 수원화성을 조성하면서 둔전을 만들고
           둔전에 물을 공급하기위해 만든  저수지중 하나로 서쪽에 있다하여 서호라 부른다.

 

 

축만제(祝萬堤)표석에서 뒤 돌아 본 제방둑과 서호.

 

 

축만제(祝萬堤)표석에서 본 여기산과 새싹교.

 

 

수문 건너편의 항미정(杭眉亭).

 

 

항미정(杭眉亭).1831년건립.
소동파의 詩句 " 서호는 항주(杭州)의 미목(眉目)같다"에서 따왔다.

 

 

16 : 43. 42번국도인 서둔교앞에서 제방둑길에서 좌측 천변으로 내려가 서호천변을 따라 간다.

 

 

17 ; 03. 벌말교.

근처에 SK그룹의 모태기업인 선경직물 수원공장이 있었다는 안내판.

 

 

17 ; 10. 평고교.
서호천변길이 끝나고 둑방으로 올라간다.좌측 가까이에 수원역이 있고

         우측 자동차매매단지 버스정류장에서 수원역가는 버스가 있어 오늘은 여기서 접고  우측으로 도로따라 갔다.

 

 

저앞이 서수원 자동차매매단지.
버스정류장이 안보여 큰길까지 갔는데 나중에 보니 정류장엔 형광표지판만 있어 몰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