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올레 2차 3일( 동일1리 11M -모슬봉-신평.무릉곶자왈-녹남봉-신도1리 12M.) 2.19.
제주올레 2차 3일( 동일1리 11M -모슬봉-신평.무릉곶자왈-녹남봉-신도1리 12M.) 2.19.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 21.11 3km( 8시간 01분)
동일1리 버스정류장-대정여고-모슬봉(募瑟峰.180.6m)-정난주 마리아묘-신평.무릉곶자왈-
정개왓광장-효자 정려비-무릉생태학교-신도생태연못-녹남봉(農南峰.100.4m)-신도1리
◈ 일시 : 2016. 2.19(금).
◈ 날씨 ; 잔뜩 흐림.
◈ 지도.
제주올레 2차 3일( 동일1리 11M -모슬봉-신평.무릉곶자왈-녹남봉-신도1리 12M.) 2.19.지도1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제주올레 2차 3일( 동일1리 11M -모슬봉-신평.무릉곶자왈-녹남봉-신도1리 12M.) 2.19.지도2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제주올레 2차 3일( 동일1리 11M -모슬봉-신평.무릉곶자왈-녹남봉-신도1리 12M.) 2.19.지도3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제주올레 2차 3일( 동일1리 11M -모슬봉-신평.무릉곶자왈-녹남봉-신도1리 12M.) 2.19.지도4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제주올레 2차 3일( 동일1리 11M -모슬봉-신평.무릉곶자왈-녹남봉-신도1리 12M.) 2.19.지도5
제주올레 2차 3일( 동일1리 11M -모슬봉-신평.무릉곶자왈-녹남봉-신도1리 12M.) 2.19.지도6
◈ 트랙.
◈ 일정정리.
07 : 00. 신도1리에서 서귀포가는 702번 버스타고
07 ; 12. 동일1리 버스정류장. 길 건너는 동일1리 복지회관. 도로따라 직진해 올라간다.
07 ; 24. 올레 11코스 마루금.도로를 건너 골목길로 들어가 모슬봉을 보며 마늘밭을 지난다.
07 : 30. 대정 청소년 수련관앞.
07 : 39. 1132번도로를 건너 대정여고 뒤 도로를 따라 간다.
07 : 58. 한턱 올라서서 세멘길에서 곧장 올려채면 모슬봉정상일텐데 우측으로 꺽어 묘지 뒤 산허리길로 간다.
08 : 09. 우측에서 올라오는 모슬봉정상으로 가는 포장도로를 만나 좌측 위로 오른다.
08 ; 13. 모슬봉정상은 군부대가 있어 정상가는 도로를 벗어나 계속 모슬봉 허리를 돌아간다.
08 ; 32 공동묘지위 스탬프함.산방산과 단산이 연무속에 흐릇하게 보인다.모슬봉정상밑은 온통 공동묘지다.
08 ; 45. 모슬봉 정상을 철조망 넘어로 보고 우측으로 꺽어 내림길이 시작된다.
08 ; 52. 공동묘지 시설물과 이용에 관한 공고문. 세멘트 묘지길을따라 계속 내려간다.묘지 표시가 각양각색이다.
09 : 12. 2차선 포장도로.도로따라 좌측으로 간다.
09 ; 19. 올레 간세가 있고 올레길은 좌측으로 길게 돌아 앞에 보이는 정난주묘로 가니 생략하고 바로 정난주묘로 갔다.
09 ; 26. 도로에서 대정성지(정난주묘)200m 표지판보고 좌측길로 들어간다.
09 ; 28/51. 천주교 대정성지 (고 정난주 마리아묘). 천주교 순례길과 추사유배길 안내판.
정난주는 정약현의 딸로 황사영의 처로 1801년 신유박해때 황사영백서가 발각돼 남편은 처형되고
두 살난 아들 황경환은 추자도에, 정난주는 제주목 관노로 정배돼 37년을 살다 65세인 1838에 죽었다.
아들 황경한의 묘는 올레 18-1구간인 추자도 하도에 있다.
10 ; 28, 신평리. 1136번도를 건너간다. 편의점. 식당, 할망가게등이 있고 좌측 도로를 따라가면 정려비가 있는
사거리에서 신평.무릉곶자왈으로 삥 돌아온 올레길을 다시 만난다. 여기서 부터는 2010년에 왔던곳이다.
10 ; 38. 신평. 무릉곶자왈입구. ㅏ 갈림길에서 우측으로 간다. 간세와 신평-무릉곶자왈 안내문. QR코드.119구급함.
10 ; 57. 곶자왈숲을 가다 우측이 터져 나가보니 넓은 개활지인데 영어교육도시 부지란다.다시 컴컴한숲길을 가며 백서향 향이 좋다.
11 : 19. 정개왓광장. 올레길은 우측 능선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원을 그리며 오메가 형태로 돌아 나가나 직진해 건너갔다.
11 : 21. 점심. 정개왓광장을 건너가며 억새밭에서 점심.이어 옛날엔 복숭아가 많았다는곳을 지난다.
11 ; 42. 삥 ~ 돌아온 올레길을 다시만나 좌로 꺽어 수렛길을 간다.무릉곶자왈 아름다운숲길아다.
11 ; 58. 우측으로 14-1구간인 인향동 마을이 보이고 인향동 우회길 안내표시판.2010년엔 여기서 인향동으로 나갔다.
12 ; 13. 1136번도로 1120번도로가 교차하는 사거리.4.3희생자 이도종목사추모비. 좌측엔 문달민,문달복의 정려비
12 : 44/47. 생태문화체험골을 둘러본다.11구간끝.스탬프 찍는곳.
13 ; 20. 제주어교실.좌기동 경로당등 마을길을 이리저리 돌아 2차선도로에서 우측으로 쪽 뻗은 세멘길을 따라 간다.
13 ; 30. 태양광발전소시설을 지나고.
13 ; 38. 평지교회.계속 끝없는 마늘밭 들판을 지난다.
14 ; 11. 신도저수지.정자도 있다. 들어오고 나가는 물구멍은 있는데 물은 없다.제주도는 화산지대라 물이 고이지 않는다.
14 : 25. 1차선 포장도로를 만나 녹남봉을 보며 도로따라 간다.
14 ; 34. 도로에서 녹남봉을 향하여 우측으로 들며 "신도1리 방문을 환영합니다" 안내판.
14 ; 50. 녹남봉(農南峰. 100.4m). 정자와 운동기구들. 삼각점.원형분화구. 녹나무가 많아 녹남봉이라하고 일분군 진지 동굴이 있다.
15 : 10. 신도1리 폐교된 초등학교터에 산경도예.
15 ; 12. 1132번도로. 좌측에 신도1리 버스 정류장.제주,서귀포를 오가는 버스편이 20 여분 간격으로 있다.
길건너에 도원마을 신도1리 마을표석. 신도교회앞 마을길을 따라 내려가며 "인연 " 게스트하우스.
15 ; 20. 신도1리 고인옥 할망 숙소 도착.
◈ 후기. 07 ; 24. 올레 11코스 마루금.
도로를 건너 골목길로 들어가 모슬봉을 보며 마늘밭을 지난다. 07 : 30. 대정 청소년 수련관앞. 가운데길로 올라가 숲뒤에서 우측으로 건너가 우측 산등성이로 넘어간다. 07 : 39. 1132번도로를 건너 대정여고 뒤 도로를 따라 간다. 07 : 58. 한턱 올라서서 세멘길에서 곧장 올려채면 모슬봉정상일텐데 우측으로 꺽어 묘지 뒤 산허리길로 간다. 08 : 09. 우측에서 올라오는 모슬봉정상으로 가는 포장도로를 만나 좌측 위로 오른다. 08 ; 13. 모슬봉정상은 군부대가 있어 정상가는 도로를 벗어나 계속 모슬봉 허리를 돌아간다. 산방산(뒤높고 흐릿한산)과 단산.
공동묘지위와 정상부.
08 ; 32 공동묘지위 스탬프함.산방산과 단산이 연무속에 흐릇하게 보인다.모슬봉정상밑은 온통 공동묘지다. 08 ; 45. 모슬봉 정상을 철조망 넘어로 보고 우측으로 꺽어 내림길이 시작된다. 공동묘지 시설물과 갈 방향.
08 ; 52. 공동묘지 시설물과 이용에 관한 공고문. 세멘트 묘지길을따라 계속 내려간다.
도로를 건너 골목길로 들어가 모슬봉을 보며 마늘밭을 지난다.
대정 청소년 수련관과 뒤로 모슬봉.
경사가 급하다.
올려다 본 모슬봉 정상쪽.
묘지 표시가 각양각색이다.
09 : 12. 2차선 포장도로에서 뒤 돌아본 모슬봉.
09 ; 19. 올레 간세가 있고 올레길은 좌측으로 길게 돌아 앞에 보이는 정난주묘로 가니 생략하고 바로 정난주묘로 갔다.
곧장 도로따라 가 저앞 언덕 좌측이 정난주묘다.
빤히 쳐다보고있는 저소들이 귀엽다.
09 ; 26. 도로에서 대정성지(정난주묘)200m 표지판보고 좌측길로 들어간다.
09 ; 28/51. 천주교 대정성지 (고 정난주 마리아묘). 천주교 순례길과 추사유배길 안내판.
정난주는 정약현의 딸로 황사영의 처로 1801년 신유박해때 황사영백서가 발각돼 남편은 처형되고
천주교 순례길과 추사유배길
고 정난주 마리아묘에서 본 모슬봉.
10 ; 28, 신평리. 1136번도를 건너간다. 편의점. 식당, 할망가게등이 있고 좌측 도로를 따라가면 정려비가 있는
10 ; 38. 신평. 무릉곶자왈입구. ㅏ 갈림길에서 우측으로 간다. 간세와 신평-무릉곶자왈 안내문. QR코드.119구급함.
10 ; 57. 곶자왈숲을 가다 우측이 터져 나가보니 넓은 개활지인데 영어교육도시 부지란다.다시 컴컴한숲길을 가며 백서향 향이 좋다.
백서향 . 향이 짙고 참 좋은데 무단 채취하면 7년이하 2000만원이하의 벌금이다. 14-1구간에 가면 백서향에 특히 많이 있다.
11 : 19. 정개왓광장. 올레길은 우측 능선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원을 그리며 오메가 형태로 돌아 나가나 직진해 건너갔다.
우측 능선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원을 그리며 오메가 형태로 돌아 나가나 직진해 건너갔다.
11 ; 42. 삥 ~ 돌아온 올레길을 다시만나 좌로 꺽어 수렛길을 간다.무릉곶자왈 아름다운숲길아다.
11 ; 58. 우측으로 14-1구간인 인향동 마을이 보이고 인향동 우회길 안내표시판.2010년엔 여기서 인향동으로 나갔다.
12 ; 13. 1136번도로 1120번도로가 교차하는 사거리. 4.3희생자 이도종목사추모비가 있고 그 좌측엔 문달민,문달복의 정려비가 있다.
문달민,문달복의 정려비.
문달민,문달복의 정려.
뒤 돌아 본 1136번도로 1120번도로가 교차하는 사거리.
생태문화체험골에서의 버스시간표와 11구간끝 12구간 시작점.
12 : 44/47. 생태문화체험골을 둘러본다.11구간끝.스탬프 찍는곳.
좌기동 마을.
13 ; 20. 제주어교실.좌기동 경로당등 마을길을 이리저리 돌아 2차선도로에서 우측으로 쪽 뻗은 세멘길을 따라 간다.
마늘밭 들판. 저앞에 녹남봉이 보인다.
13 ; 30. 태양광발전소시설을 지나고.
13 ; 38. 평지교회.
14 ; 11. 신도저수지.
14 : 25. 1차선 포장도로를 만나 녹남봉을 보며 도로따라 간다.
14 ; 34. 도로에서 녹남봉을 향하여 우측으로 들며 "신도1리 방문을 환영합니다" 안내판.
14 ; 34. 도로에서 녹남봉을 향하여 우측으로 들며
14 ; 50. 녹남봉(農南峰. 100.4m).
14 ; 50. 녹남봉(農南峰. 100.4m)에서 모슬봉과 삼각점.
도로따라 좌측으로 간다.
오다가 만난 이 젊은이는 올레길을 따라 좌로 돌아 갔는데 꽤먼듯 점심때 정개왓광장에 가서야 다시 만났다.
두 살난 아들 황경환은 추자도에, 정난주는 제주목 관노로 정배돼 37년을 살다 65세인 1838에 죽었다.
아들 황경한의 묘는 올레 18-1구간인 추자도 하도에 있다.
180년전에 죽은 사람인데 故자를 앞에 붙인뜻은 무었인지 모르겠다.
보통은 000의 묘이지 故 000의묘 라고는 못 봤는데...
사거리에서 신평.무릉곶자왈으로 삥 돌아온 올레길을 다시 만난다. 여기서 부터는 2010년에 왔던곳이다.
계속 끝없는 마늘밭 들판을 지난다.
정자도 있다. 들어오고 나가는 물구멍은 있는데 물은 없다.제주도는 화산지대라 물이 고이지 않는다.
정자와 운동기구들. 삼각점.원형분화구. 녹나무가 많아 녹남봉이라하고 일분군 진지 동굴이 있다.
신도1리 폐교와 뒤로 수월봉과 뒤로 수월봉(좌),당산봉(우).
15 : 10. 신도1리 폐교된 초등학교터에 산경도예.
15 ; 12. 1132번도로. 좌측에 신도1리 버스 정류장.제주,서귀포를 오가는 버스편이 20 여분 간격으로 있다.
길건너에 도원마을 신도1리 마을표석. 신도교회앞 마을길을 따라 내려가며 "인연 " 게스트하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