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남길 9 (공주 계룡-노성 명재고택-논산 은진 관촉사 )
삼남길 9 (공주 계룡-노성 명재고택-논산 은진 관촉사 )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 33.78km (8시간 18분).
공주 계룡면사무소앞 영규대사비-영규대사묘-금대리 경천중-지경리-죽곡교-노성 궐리사-
명재고택-노성향교-노성중-노성천제방길-초포리-풋개다리-부적면사무소-호남선철로-
1번국도 백제교-기민중-반야산(96.2m)-관촉사은진미륵-건양대 후문.
◈ 일시 : 2016. 11. 24(목). 혼자서
◈ 날씨 ; 어제부터 추워져 영하6도로 쌀쌀하나 하늘은 맑다 2.4/-6.2.
◈ 지도.
삼남길 9 (공주 계룡-노성 명재고택-논산 은진 관촉사 )
클릭하면 화대됩니다.
삼남길 9 (공주 계룡-노성 명재고택-논산 은진 관촉사 ) 지도 9-1
클릭하면 화대됩니다.
삼남길 9 (공주 계룡-노성 명재고택-논산 은진 관촉사 ) 지도 9-2
클릭하면 화대됩니다.
삼남길 9 (공주 계룡-노성 명재고택-논산 은진 관촉사 ) 지도 9-3
클릭하면 화대됩니다.
삼남길 9 (공주 계룡-노성 명재고택-논산 은진 관촉사 ) 지도 9-4
클릭하면 화대됩니다.
삼남길 9 (공주 계룡-노성 명재고택-논산 은진 관촉사 ) 지도 9-5
클릭하면 화대됩니다.
◈ 트랙.
◈ 일정정리.
07 : 10. 천안에서 논산가는 버스를 타고
08 : 28/30. 공주 계룡면사무소앞 하차.승병장 영규대사 정려비.길건너 농협뒤로 추수가 끝난 논을 건너갔다.
08 : 34. 23번국도 아래 삼남길을 만나 23번국도와 나란히 간다.
08 ; 40. 계룡교 앞 2차선도로.계룡양조장.삼남길은 23번국도를 건너 다시 23번국도와 나란히 기지만
영규대사묘를 갈려고 우측 삼거리로 나가 좌측으로 23번국도 구도로를 따라 간다.
08 : 44. 2차선도로에서 우측 버들미을길로 들어간다.영규대사묘,충헌공윤전사우 표지판.계룡뜰 자전거마을 표지판.
08 : 50. 정자와 마을회관을 지나 주차장.홍살문과 영규대사영정각뒤로 올라간다
08 ; 55. 영규대사묘.윗쪽엔 조선후기 유학자 윤원거(1601 ~1672)의 묘와 묘비.계룡산이 정면에 보인다.
윤원거는 명재고택(구 윤증선생 고택)윤증의 아버지 윤선거의 사촌형이다.
09 ; 10. 다시 돌아온 삼남길.계룡교에서 200m 거리다.대사묘 다녀오는데 30분 걸렸다. 비포장길이 10여분 이어진다.
09 ; 20. 경천저수지에서 내려온 하대천이 월암천과 만나며 우측 굴다리를 나온 세멘길을 만난다.
09 ; 26. 노성천 표지판이 있는 다리를 건너 계룡산을 보며 표고버섯공장을 지나 쭉뻗은 금대들 세멘길을 간다.
09 ; 36. 포장도로를 만나 우로 가며 노성산,감바위산을 보며 간다.
09 ; 48. 금대2구 마을회관과 경로당과 버스정류장. 도로 확포장공사장이 계속된다.
10 ; 09. 경천중학교와 경천교회,경천중학교 버스정류장을 지난다.
10 ; 12. 2차선도로를 떠나 우측 매화이용실 앞길로 간다.
10 : 17. 용두천을 건너는 용두교를 건너가며 좌측으로 계룡산이 가깝게 보인다.
10 : 21. 용머리 마을끝에 보호수와 정자.170년(1982년)된 팽나무와 느티나무 2 본이다.
10 ; 44. 갈림길(무동산남쪽)..트랙은 곧장가서 691지방도를 건너 학당리 술골마을을 지나 주곡교로 이어가는데
삼남길표지기는 우측 노성산을 정면으로 보며 가는 세멘농로옆 전봇대에 연이어 두 개가 매여 있다.
망설이다 노성천둑방길로 길이 바뀌었나보다 생각하고 우측으로 갔는데 중간엔 표지기가 안보인다.
10 : 51.노성천 둑길.계룡산에서 향적산으로 가는 금남정맥과 노성지맥 노성산을 짚어보고 세멘길따라 좌측으로 간다.
11 ; 08. 노성천을 건너는 상월교.691도로를 건너 계속 둑방길을 간다.우측 다리 건너는 상월면소재지.
11 : 11. 노성천의 지류인 주천을 건너는 학당교를 건너간다.잠시후 비포장길이다.
11 : 30. 주곡교. 노성천표지판.술골마을로 돌아온 트랙을 만나 주곡교를 건너간다.
11 : 35. 차돌모랭이 삼거리앞.도로따라 좌측으로 가서 23국도 지하차도로 지나가는게 빠르긴하나
삼남길은 삼거리 못미처에서 좌측 세멘길로 가서 23번국도 굴다리를 건너 다시 우측 645도로에 붙는다
금남정맥이 널티부터 계룡산, 향적산능선이 한눈에 조망된다.
11 ; 43. 농협주유소앞에서 645번도로를 떠나 우측 보은사, 명리철학원 입간판이 있는길로 간다.
11 ; 52. 노성궐리사 주차장.궐리사 70m,명재고택 190m이정표. 앞의 궐리사를 다녀와서 좌측 명재고택으로 갈 것이다.
11 ; 54. 노성궐리사.궐리는 중국 산동성 곡부에 있는 공자가 태어나서 자란 권리촌에서 유래한 명칭으로
공자의 영정을 봉안한 영당을 말한다.궐리사는 제천,강릉.진주등에도 있었으나 현재는 오산과 노성에만 남아있다.
12 ; 05. 명재고택."윤증선생 고택"이 이름을 바꿨다.조선중기의 전형적인 호서지방의 양반가옥이다.명재고택 사색의길.
12 : 10. 명재고택옆의 노성향교.기념물118호.공자.증자.맹자.안자.자사등5현과 송나라 정이.주희2현과 우리나라 18현위패를 모셨다.
12 ; 14. 윤중선생의 어머니인 열녀 공주이씨 졍려.병자호란때 강화도로 피난을 갔는데 강화도가 함락되자 자결했다.
남편인 윤선거는 성을 빠져나가 살았는데 이를 후회하여 평생 출사하지 않고 학문 연구에 바쳐 성리학의 대가가 됐다
12 : 20/59. 노성중학교입구 645도로. 교촌리 표지석.우측 100m쯤에 있는 항아리보쌈집에서 점심먹고 다시 와서
노성중학교 정문으로 올라가 보나 휀스로 막혀있어 다시 내려와 도로에서 수로옆 논둑길을 따라간다.
13 ; 14. 23번국도 지하통로를 통과하여 향적산을 보며 세멘농로로 비닐 하우스들을 지난다.
13 ; 18. 비닐하우스 단지에서 우측으로 꺽어 쭉 뻗은 1.7km되는 노성들 농로를 지나간다.
13 ; 36. 노성천 표지판과 관리시설건물. 비포장 노성천 둑길을 간다. 중간엔 잡초로 덮힌곳도 있다.
13 ; 52. 지하수시설물이 있고 우측애서 온 길을 만나며 둑길은 좋아지며 억새밭길이 좋다.
14 ; 07. 2차선도로. 노성면에서 광석면으로 넘어가 2차선 도로를 1분쯤 가다 우측 초포마을길로 접어든다.
14 ; 15. 초포마을회관과 초포정 정자.
14 ; 20. 향월1리 버스정류장을 지나 오른 노성천 제방둑. 노성천 표지판. 아직 개통 하지 않은 신 풋개다리를 건너간다.
다리위에서 계룡산, 향적산, 대둔산과 광석 비닐하우스단지 뒤로 관촉사 뒷 산인 반야산이 보인다.
14 ; 28. 노성천둑길과 작별하고 60m 내려와 콘테이너 박스가 있는곳에서 좌측 하우스단지쪽 직선 세멘길로 간다.
방심하면 대형수로를 따라 직진하기 쉽다.
14 ; 37. 호남선철도 건널목(유인). 마침 기차가 지나간다. 철도를 건너지 않고 우측으로 꺽어 철로변 농로를 따라간다
노성산과 계룡산,향적산이 한눈에 들어온다.
14 ; 45. 좌로 꺽어 호남선철도 덕평2건널목(유인)을 건너간다.벼건조장과 반야산이 앞에 보인다.
14 ; 51. 2차선도로. 우측으로 꺽으면 부적면 벼건조장. 언덕을 넘어가면 덕평3리 회관과 정자를 지난다.
15 ; 03. 덕평교(지도는 용구교)를 건너 부적보건지소. 직진한다. 부석면사무소(우측 안쪽에)와 농협(좌)이 있다.
15 ; 07. 종자관리소를 지나 마구평 5구 마을회관앞. 2차선도로에서 좌측 마을회관앞 1차선길로 간다.<직진주의>.
15 ; 19. 4번국도 교각밑을 지난다. 율림과선교. 우측 하천 건너는 호남선 철로.
15 : 24. 아호1리 (애오랏)표지석.이어 1번국도 아래를 통과하여 우측 계백교로 오른다.
냇물안에 언덕이 있어 물이 호수처럼 잔잔하다하여 아호(阿湖.언덕아. 호수호)라 하였고 동쪽 벌판에 있다하여 애오랏.
15 ; 30. 1번국도 계백교를 건너 좌측 1차선 포장도로인 논산천 둑길로 접어든다. 2분후 둑길 우측의 마을길로 내려선다.
15 ; 51. 지산2통 경로당을 지나 643지방도. 지산2동입구 표지석.길을 건너 좌측으로 도로따라 간다.
15 ; 54. "들풀"입간판이 있는 643도로에서 우측 지산1통 마을회관 앞길로 간다.카메라 바테리를 갈았는데도 껌뻑인다.
16 : 03. 마을을 지나 언덕위 기민중 후문. 퇴교하는 학생들이 나온다.
16 ; 06. 소공원앞에서 좌측으로 반야산을 보며 임도를 따라 오른다.
16 ; 11. 반야농장문. 차량진입금지 팻말이 붙었고 반야산 오름길이 된다.
16 ; 18/20. 반야산(般若山.96.2m). 잘 지은 반야정 2층정자. 노성산, 계룡산, 향적산과 드넓은 논산의 비닐하우스단지가 조망.
16 ; 22. 안향(安珦.)의 상(像).안향(1243 ~ 1306)은 우리나라에 최초로 성리학을 도입한 고려의 名臣이요 학자다.
호는 회헌(晦軒.그믐회 추녀헌). 초명은 유(裕)였으나 뒤에 향(珦.옥이름향)으로 고쳤다.
회헌이라는 호는 만년에 송나라의 주자(朱子)를 추모하여 그의 호인 회암(晦庵)을 모방한 것이다.
16 ; 29. 좌측에 관촉사 가는 계단길.삼남길은 직진해 내려간다.
16 : 36. 관촉사 .고려 목종9년(1006)완공.석조미륵보살입상(은진미륵) 보물 218호.석등(보물 232호).과
배례석(유형문화재 53호)석문(문화재자료 79호).석탑,사적비.윤장대등이 있다.
16 : 44. 다시 관촉사갈림길로 돌아왔다. 왕복 15분 걸렸다.
16 : 51/55. 건양대후문 버스정류장.오늘은 여기까지.관촉사쪽에서 오는 논산역가는 시내버스를 탔다
17 ; 22. 논산역 도착.
17 ; 37. 예매한 서울행 기차를 탔다. 호남선은 예매를 안하면 표가 없기 쉽다.
19 ; 01. 천안역도착.
◈ 후기.
08 : 28/30. 공주 계룡면사무소앞 승병장 영규대사 정려비.
23번국도 아래 삼남길에서 뒤 돌아 본 계룡면사무소(농협앞 붉은건물)와 계룡농협(좌측 하얀건물).
08 : 34. 23번국도 아래 삼남길을 만나 23번국도와 나란히 간다.
08 ; 40. 계룡교 앞 2차선도로.계룡양조장.삼남길은 23번국도를 건너 다시 23번국도와 나란히 기지만
영규대사묘를 갈려고 우측 삼거리로 나가 좌측으로 23번국도 구도로를 따라 간다.
08 : 44. 2차선도로에서 우측 버들미을길로 들어간다.
영규대사묘,충헌공윤전사우 표지판.계룡뜰 자전거마을 표지판.
2차선도로에서 본 영규대사묘 위치.
08 : 50. 정자와 마을회관을 지나 주차장.
홍살문과 영규대사영정각뒤로 올라간다
영정각문은 잠겨있어 창호지 문틈으로 들여다 본 영규대사영정.
08 ; 55. 영규대사묘.
바로뒤에 조선후기 유학자 윤원거(1601 ~1672)의 묘와 묘비가 있다.
영규대사묘에서 본 널티고개 동쪽의 팔재산(364.3m)과 그 좌측 뒤로 성화산(386.5m).
조선후기 유학자 윤원거(1601 ~1672)의 묘와 묘비.계룡산이 정면에 보인다.
윤원거는 명재고택(구 윤증선생 고택)윤증의 아버지 윤선거의 10살 위 사촌형이다.
홍살문과 영규대사영정각에서 본 건너갈 23국도 지하통로와 경천저수지뒤로 계룡산.
09 ; 10. 다시 돌아온 삼남길.
계룡교에서 200m 거리다.대사묘 다녀오는데 30분 걸렸다. 비포장길이 10여분 이어진다.
경천저수지에서 내려온 하대천(우)이 월암천(좌)과 만난다.1
경천저수지에서 내려온 하대천(우)이 월암천(좌)과 만난다.2
계룡산
09 ; 26. 노성천 표지판이 있는 다리를 건너 계룡산을 보며 표고버섯공장(앞 건물들)을 지나 쭉뻗은 금대들 세멘길을 간다.
09 ; 36. 포장도로를 만나 뒤 돌아 본 모습.
우로 가며 노성산,감바위산을 보며 간다.
09 ; 48. 금대2구 마을회관과 경로당과 버스정류장.
도로 확포장공사장이 계속된다.
10 ; 09. 경천중학교와 경천교회,경천중학교 버스정류장을 지난다.
10 ; 12. 2차선도로를 떠나 우측 매화이용실 앞길로 간다.
10 : 17. 용두천을 건너는 용두교를 건너가며 좌측으로 계룡산이 가깝게 보인다.
10 : 21. 용머리 마을끝에 보호수와 정자.
같은 나무인줄 알았더니 170년(1982년)된 팽나무와 느티나무 2 본이다.
오늘은 종일 계룡산 품안이다.
10 ; 44. 갈림길(무동산남쪽).트랙은 곧장가서 691지방도를 건너 학당리 술골마을을 지나 주곡교로 이어가는데
삼남길표지기는 우측 노성산을 정면으로 보며 가는 세멘농로옆 전봇대에 연이어 두 개가 매여 있다.
망설이다 노성천둑방길로 길이 바뀌었나보다 생각하고 우측으로 갔는데 중간엔 표지기가 안보인다.
학당리 술골마을쪽으로 가는길.
10 : 51.노성천 둑길에서 뒤 돌아 봄.좌측산이 무동산(113.1m)
계룡산에서 향적산으로 가는 금남정맥과 노성지맥 노성산을 짚어보고 세멘길따라 좌측으로 간다.
계룡산과 지나온 경천중학교쪽(좌).우츠산이 무동산
노성천 건너 노성지맥의 노성산과 상월면사무소 소재지.
상월교 직진에 계룡산-향적산 금남정맥(기맥)능선.
11 : 11. 노성천의 지류인 주천을 건너는 학당교에서 좌측으로 본 계룡산-향적산과 주천/노성천 합수점
학당교를 를 건너간다.잠시후 비포장길이다.
11 ; 08. 노성천을 건너는 상월교.691도로를 건너 계속 둑방길을 간다.우측 다리 건너는 상월면소재지.
비포장 억새길이다.
계룡산.
노성천과 노성산.
11 : 30. 주곡교.
노성천표지판.술골마을로 돌아온 트랙을 만나 주곡교를 건너간다.
주곡교에서 본 계룡-계룡산.
11 : 35. 차돌모랭이 삼거리앞.도로따라 좌측으로 가서 23국도 지하차도로 지나가는게 빠르긴하나
삼남길은 삼거리 못미처에서 좌측 세멘길로 가서 23번국도 굴다리를 건너 다시 우측 645도로에 붙는다
금남정맥이 널티부터 계룡산, 향적산능선이 한눈에 조망된다.
계룡산-향적산능선.
11 ; 43. 농협주유소앞에서 645번도로를 떠나 우측 보은사, 명리철학원 입간판이 있는길로 간다.
좌측길 언덕위에 동종업종에 종사하던 친구가 있어 노성지맥을 할땐 같이 점심을 먹었는데
작년에 저세상으로 갔다.
11 ; 52. 노성궐리사 주차장.궐리사 70m,명재고택 190m이정표. 앞의 궐리사를 다녀와서 좌측 명재고택으로 갈 것이다.
11 ; 54. 노성궐리사.궐리는 중국 산동성 곡부에 있는 공자가 태어나서 자란 권리촌에서 유래한 명칭으로
공자의 영정을 봉안한 영당을 말한다.궐리사는 제천,강릉.진주등에도 있었으나 현재는 오산과 노성에만 남아있다.
좌측에 공자와 4제자상(안자.증자. 자사. 맹자)이 있다.
공자와 4제자상(안자.증자. 자사. 맹자)과 궐리탑.
궐리탑
명재고택 전경.
초가집 뒤는 노성향교."윤증선생 고택"이 이름을 바꿨다.
명재고택 사랑채에 걸린글귀들.
사랑채 뒤 안채는 출입금지.
명재고택 사랑채에 걸린글귀들.
맨 왼쪽 당호는 이은시사(離隱時舍). "세속을 떠나 은거하는집"
왼쪽 누마루 출입문위엔 도원인가(桃源人家). "무릉도원"
우측 마루위엔 허한고와(虛閑高臥) .하늘을 가리고 한가히 눞다.
尹拯(1629년 ~ 1714년)은 조선의 학자. 서인 소론의 영수다. 자(字)는 자인(子仁), 호는 명재(明齋)·유봉(酉峰),
시호는 문성(文成)이며, 윤선거의 아들이자 성혼의 외증손이 된다.
명재고택 연못앞에서 본 명재고택과 노성향교(좌).
명재고택 사색의길.
노성향교
명재고택옆의 노성향교.기념물118호.공자.증자.맹자.안자.자사등5현과 송나라 정이.주희2현과 우리나라 18현위패를 모셨다.
명재고택
노성향교 명륜당.명륜당(공부하는곳)뒤 건물은 대성전(공자를 모신곳).
12 ; 14. 윤중선생의 어머니인 열녀 공주이씨 졍려.병자호란때 강화도로 피난을 갔는데 강화도가 함락되자 자결했다.
남편인 윤선거는 성을 빠져나가 살았는데 이를 후회하여 평생 출사하지 않고 학문 연구에 바쳐 성리학의 대가가 됐다
12 ; 14. 윤중선생의 어머니인 열녀 공주이씨 졍려(우)와 뒤로 노성향교(좌). 명재고택(가운데 나무뒤).
12 : 20/59. 노성중학교입구 645도로. 교촌리 표지석.
우측 100m쯤에 있는 항아리보쌈집에서 점심먹고 다시 와서
노성중학교 정문으로 올라가 보나 휀스로 막혀있어 다시 내려와 도로에서 수로옆 논둑길을 따라간다.
항아리보쌈집. 앞집은 중국집.
시골인데 손님이 많고 음식도 정갈하니 괜찮다.보쌈정식 8000원.
12 : 20/59. 노성중학교입구 645도로. 교촌리 표지석.
우측 100m쯤에 있는 항아리보쌈집에서 점심먹고 다시 와서
노성중학교 정문으로 올라가 보나 휀스로 막혀있어 다시 내려와 도로에서 수로옆 논둑길을 따라간다.
뒤 돌아 본 노성중학교
13 ; 14. 23번국도 지하통로를 통과하여 향적산을 보며 세멘농로로 비닐 하우스들을 지난다.
13 ; 18. 비닐하우스 단지에서 우측으로 꺽어 쭉 뻗은 1.7km되는 노성들 농로를 지나간다.
13 ; 36. 노성천 표지판과 관리시설건물. 비포장 노성천 둑길을 간다.
중간엔 잡초로 덮힌곳도 있다.
13 ; 36. 노성천 표지판과 관리시설건물. 비포장 노성천 둑길을 간다.
13 ; 52. 지하수시설물이 있고 우측애서 온 길을 만나며 둑길은 좋아지며 억새밭길이 좋다.
억새밭길을 가며 뒤 돌아 본 노성산과 계룡산.
14 ; 07. 2차선도로.
노성면에서 광석면으로 넘어가 2차선 도로를 1분쯤 가다 우측 초포마을길로 접어든다.
2차선 도로를 1분쯤 가다 우측 초포마을길로 접어든다.
깃발이 걸린 초포마을회관이 보인다.
14 ; 15. 초포마을회관과 초포정 정자.
14 ; 20. 향월1리 버스정류장을 지나 오른 노성천 제방둑. 노성천 표지판. 아직 개통 하지 않은 신 풋개다리를 건너간다.
다리위에서 계룡산, 향적산, 대둔산과 광석 비닐하우스단지 뒤로 관촉사 뒷 산인 반야산이 보인다.
우측은 구 폿개다리.
노성천둑길과 작별하고 60m 내려와 콘테이너 박스가 있는곳에서 좌측 하우스단지쪽 직선 세멘길로 간다.
방심하면 대형수로를 따라 직진하기 쉽다.
14 ; 37. 호남선철도 건널목(유인). 마침 기차가 지나간다.
철도를 건너지 않고 우측으로 꺽어 철로변 농로를 따라간다
노성산과 계룡산,향적산이 한눈에 들어온다.
14 ; 45. 좌로 꺽어 호남선철도 덕평2건널목(유인)을 건너간다.
계룡산,향적산.
벼건조장과 반야산이 앞에 보인다.
14 ; 51. 2차선도로. 우측으로 꺽으면 부적면 벼건조장.
언덕을 넘어가면 덕평3리 회관과 정자를 지난다.
15 ; 03. 덕평교(지도는 용구교)를 건너 부적보건지소.
직진한다. 부석면사무소(우측 안쪽에)와 농협(좌)이 있다.
15 ; 07. 종자관리소를 지나 마구평 5구 마을회관앞.
2차선도로에서 좌측 마을회관앞 1차선길로 간다.<직진주의>.
15 ; 19. 4번국도 교각밑을 지난다. 율림과선교. 우측 하천 건너는 호남선 철로.
15 : 24. 아호1리 (애오랏)표지석.이어 1번국도 아래를 통과하여 우측 계백교로 오른다.
냇물안에 언덕이 있어 물이 호수처럼 잔잔하다하여 아호(阿湖.언덕아. 호수호)라 하였고 동쪽 벌판에 있다하여 애오랏이란다.
논산천을 건너는 1번국도 계백교에서 반야산
15 ; 30. 1번국도 계백교를 건너 좌측 1차선 포장도로인 논산천 둑길로 접어든다. 2분후 둑길 우측의 마을길로 내려선다
15 ; 51. 지산2통 경로당을 지나 643지방도. 지산2동입구 표지석에서 뒤 돌아 본 지산2동.
길을 건너 좌측으로 도로따라 간다.
15 ; 54. "들풀"입간판이 있는 643도로에서 우측 지산1통 마을회관 앞길로 간다.카메라 바테리를 갈았는데도 껌뻑인다.
16 : 03. 마을을 지나 언덕위 기민중 후문. 퇴교하는 학생들이 나온다.
16 ; 06. 소공원앞에서 좌측으로 반야산을 보며 임도를 따라 오른다.
16 ; 11. 반야농장문. 차량진입금지 팻말이 붙었고 반야산 오름길이 된다.
16 ; 18/20. 반야산(般若山.96.2m). 잘 지은 반야정 2층정자.
16 ; 18/20. 반야산(般若山.96.2m). 잘 지은 반야정 2층정자.
노성산, 계룡산, 향적산과 드넓은 논산의 비닐하우스단지가 조망된다.
반야정 2층정자에서 대둔산.
16 ; 22. 안향(安珦.)의 상(像).안향(1243 ~ 1306)은 우리나라에 최초로 성리학을 도입한 고려의 名臣이요 학자다.
호는 회헌(晦軒.그믐회 추녀헌). 초명은 유(裕)였으나 뒤에 향(珦.옥이름향)으로 고쳤다.
회헌이라는 호는 만년에 송나라의 주자(朱子)를 추모하여 그의 호인 회암(晦庵)을 모방한 것이다.
16 ; 29. 좌측에 관촉사 가는 계단길.삼남길은 직진해 내려간다.
16 : 36. 관촉사 .968년에 시작해 38년만인 고려 목종9년(1006)완공.
석조미륵보살입상(은진미륵) 보물 218호.석등(보물 232호).과
배례석(유형문화재 53호)석문(문화재자료 79호).석탑,사적비.윤장대등이 있다.
관촉사 대광명전.
관촉사 (灌燭寺)의 유래
38년간에 걸친 불사가 완성되고 1006년(목종)에 드디어 높이 18.1m 둘레 11m 귀의 길이만 해도 3.3m에 이르는 동양 최대의 불상이 968년 모셔졌습니다.
그때 미륵부처님의 미간의 백호 수정(水晶)에서 찬란한 빛이 발하여, 중국 宋나라에 까지 이어졌으며,
그곳의 지안(智安)이라는 고승이 빛을 따라 찾아와 배례한 뒤 "마치 촛불을 보는 것 같이 미륵이 빛난다"라고 하면서 사찰 이름을 관촉사(灌燭寺)라고 하였다고 합니다.
관촉사 미륵전, 명부전, 산신각,윤장대.
관촉사 윤장대.
윤장대란 불교경전을 넣은 책장에 축을 달아 돌릴 수 있게 만든 것으로
윤장대를 한 번 돌리면 경전을 읽은것과 같은 공덕이 있단다.
발원문을 작성해 윤장대안에 넣고 돌리도록 만든 성물이다.
관촉사 석문.문화재 자료 79호.
관촉사 은진미륵. 석등. 배례석.석탑.
배례석과 석등.
배례석은 부처님께 예를 올리던 곳에 놓은 직사각형의 받침돌로 미륵보살과 같은 시대에 만들어 진듯.
보물 218호인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은진미륵)
높이 18m로 고려 목종 9년(1006)에 완공됐다.
보물 232호인 석등.
명부전(좌). 은진미륵, 미륵전(우).
16 : 44. 다시 관촉사갈림길로 돌아왔다. 왕복 15분 걸렸다.
16 : 51/55. 건양대후문 버스정류장.오늘은 여기까지.관촉사쪽에서 오는 논산역가는 시내버스를 탔다
17 ; 22. 논산역 도착.
17 ; 37. 예매한 서울행 기차를 탔다. 호남선은 예매를 안하면 표가 없기 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