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남길 20 (강진터미널- 백년사-도암향촌 -가우도)
삼남길 20 (강진터미널- 백년사-도암항촌 -가우도)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 21.95km + 8.5km (6시간 9분 + 2시간 19분).
강진 버스터미널-사의재- 영랑생가-강진의료원앞 2번국도-18번국도-기룡마을-백년사- 다산초당-만덕호-
표창마을-도암 항촌마을 -<부흥,용산,용암,망호마을-망호출렁다리-가우도- 저두출렁다리-상저버스정류장>
◈ 일시 : 2017. 3. 21(화). 2박3일중 첫날.
◈ 날씨 ; 바람이 많이 부나 춥지는 않음.
◈ 지도.
삼남길 20 (강진터미널- 백년사-도암항촌 -가우도) .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삼남길 20 (강진터미널- 백년사-도암항촌 -가우도)지도1 .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삼남길 20 (강진터미널- 백년사-도암항촌 -가우도)지도2 .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삼남길 20 (강진터미널- 백년사-도암항촌 -가우도)지도3 .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 트랙.
◈ 일정정리.
06 : 13. 천안아산역에서 SRT로 광주송정역으로 감(20600원).
07 ; 25/42. 광주송정역에 도착하여 길건에서 02번 좌석버스타고 광천동 터미널로 감.
08 ; 10/25.광천동 터미널에서 강진가는 버스탐(9800원.80분소요). 04.50. 6.35. 6.50. 7.10. 8.25. 9 ; 30. 10.00.
09 ; 35/37. 강진터미널도착.떡방아간 찾아가 떡 사넣고 .
09 ; 54/59사의재(四宜齋).정약용이 강진 유배생활 18년중 초기 4년을 살며 강진읍 6제자를 가르치던곳으로
사의재란 생각. 용모.언어.행동 네가지를 올바로 하는이가 거처하는 집이란 뜻이다.
정약용은 이곳에서 4년 머문후 고성사 보은산방에서 1년,이학래의 집에서 2년을 머물고 다산초당으로 옮겨 11년을 살았다.
10 ; 08/15. 충혼탑에서 떡으로 간식.
10 ; 19. 금서당(琴書堂)옛터. 강진 신교육의 발상지이자 영랑 김윤식이 강진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했고 김영렬 화백이작품활동을 한 곳.
10 : 24/29. 영랑생가와 시문학파기념관.영랑김윤식이 45년살았던 생가이며 모란이 피기까지는등 서정시를 지은곳.
10 ; 31. 큰길따라 내려오다 탑골샘 우측 현구길 골목으로 간다.
10 ; 41. 후레쉬빌 아파트를 좌측에 끼고 돌아 강진여중정문앞에서 좌측으로 간다.
10 ; 51. 강진의료원앞 의료원 삼거리에서 2번국도밑을 지나 좌로 꺽어 강진천을 우측에 끼고 가는데 중간에 길없는 밭을 지난다.
11 ; 04. 학명교.산림조합 장례식장앞이고 학명교 건너 신학산엔 청자모형을한 조림지가 보인다.
2차선도로따라 다리를 건너 도원마을표지석에서 좌측으로 2번국도 지하통로를 통과하여 우측 마을길로 간다.
11 ; 13. 도원화관앞에서 우측으로 만덕산을 보며 세멘길을 가며 뒤로 강진읍과 좌측으로 용두봉,금사봉이 보인다.
11 ; 35. 초동마을회관.좌측으로 사지지맥,우측으로 임천저수지둑 뒤로 땅끝기맥 서기산쪽이 보인다.
11 ; 44. 기룡교.기룡마을 표지석과 버스정류장.우측엔 남녘교회.기룡마을회관을 지나서 우측 대나무숲 세멘길로 언덕을 넘어
용동마을을 지나며 강진읍과 강진만 건너 사자지맥을 돌아 보고 논두렁을 건너 언덕을 넘어 부수문마을을 지난다.
12 ; 11. 춘곡마을표지석. 앞에 넘어갈 만덕산능선이 보이고 좌측엔 묘들이 일렬로 있고 좌측 멀리 부용산쪽이 보인다.
扶蘇八景시비와 공덕비,春谷亭. 춘곡회관을 지난다.
12 ; 18. 삼남길 함께하길 6코스 ←기룡마을 백련사 →표지판에서 세멘길따라 우측 산길로 오르다
3분후 직진길 버리고 좌측 산길로 들어 5분후 편백숲을 오른다.
12 ; 36. 고개위.만덕산에서 덕남항,철새도래지로 가는 능선안부다.쉴 만한 장소가 없어 지나쳐 내려가 대숲을 나가서 우측으로 오른다.
12 ; 50/13 :15. 백년사 주차장과 만덕산 백연사 일주문.강진 백년사 동백나무숲(천연기념물 151호).백년사 주변 관광지 안내판.
동백숲길따라 올라가 해탈문을 지나고 다산초당가는길 입구에서 우측 백년사를 디녀온다.백년사에서 다산초당 가는길 안내판이 있다,
백년사는 고려 1232년 원묘국사 요세가 이곳에 보현도량을 개설하고 백년결사를 일으킨곳이고 보물 1396호인 백년사사적비가 있다.
13 ; 22/28. 고개위.우측 깃대봉(1.3km. 뒤 백년사 0.4km.앞 다산초당 0.6km. 좌측 해월루를 다녀온다.
13 ; 42. 다산초당.천일각,동암, 서암.연지석가산.약천, 정석,다조를 둘러본다.
정약용이 정조(1752-1800)가 세상을 떠난후 1801년 신유박해.황사영백서 사건으로 몰려 형(정약종),형수(문화유씨) ,
매형(이승훈),조카(정철상,정정혜)을 잃고 강진으로 귀양와서 외가에서 마련해준 거처가 다산초당이다.
다산초당은 초당 18제자를 교육하고 목민심서. 경세유표,흠흠신서등 600여권의 저술을 남긴곳이다.
13 ; 55. 매점이 있는 삼거리에서 우측 다산수련원(0.4km)쪽으로 언덕을 넘어간다.직진해 내려가면 다산기념관이다 0.6km .뒤 다산초당0.4km .
14 ; 01/09. 다산수련원건물뒤 소공원 벤취에서 떡으로 점심.
14 ; 15. 수련원 주차장의 24.2m수준점. 도로따라 내려가 보동마을회관을 지나 정자가 3개나 있는 다산공원에서 좌측으로 간다.
14 ; 22. 2차선도로에서 우측 세멘길 농로로 건너가서 소나무가 심겨진 좌측 하천제방길을 따라가다 우측 다리를 건너 만덕호제방길을간다.
14 ; 43. 만덕호 제방끝.2층 수문건물과 물탱크.율포삼거리 0.5km.만덕호쉼터공원 0.9km.세멘길을 따라 간다.
14 ; 53. 율포마을 진등 표지석 있는 2차선도로. 2차선도로를 건너 세멘길따라 축사를 지나 언덕을 넘어간다.
15 ; 09. 고송정정자와 버스정류장이 있는 표장마을회관.버스는 하루에 몇 번 들어 온단다.
마을회관을 지나며 좌로 세멘길따라 쭈욱 내려가다 우로 산모랭을 돌아간다.
15 ; 44. 항촌마을 표지석과 2층 고영정정자.정약용 남도 유배길 안내판. 덕룡산과 석문산이 가깝게 보인다.
항촌교를 건너가면 바로 도암면소재지로 도암터미널이다. 내일 도암에서 다시 이곳으로 올 것이다.
15 ; 50. 항촌2교.삼남길은 여기서 819번 도로를 건너 간다.삼남길과 작별하고 가우도를 가기위해 망호 월곳지까지 약 4.4km를 도로따라 간다.
부흥, 용산버스정류장을 지나고 동부교회,언덕위의 신기보건진료소를 지나고 망호마을을 지난다.
언제부터인지 오른쪽 발뒷꿈치가 아픈 것이 걸음걸이가 불편하다.혹시 족근저막염인가 뭔가가 오는가? 하고 걱정을 해본다.
16 ; 45. 가우도를 건너가는 망호출렁다리앞. 주차장. 이동식화장실.716m 긴출렁다리가 시작된다. 정약용의 남도 유배길 안내판
다리를 건너가며 보는 바다와 산, 섬 조망이 좋다.바람이 많이 불어 건너가는걸 걱정했는데 밑이나 옆이 막혀있어 공포감은 덜 느낀다.
17 ; 10. 출렁다리 건너 가우도.마을에서 운영하는 마을식당과 황가오리빵집.가우도 안내판과 이정표.
좌우로 한바퀴 도는길과 마을뒤언덕에서 우측으로 청자타워가 있는 정상가는길이 있다.
17 ; 37. 섬을 왼쪽으로 돌아오른 가우도섬 정상의 청자타워.짚트랙. 전망대 10000원. 칲트랙 요금 25000원중 5000원은 상품권.
17 ; 46. 저두출렁다리 438m를 건너간다.
18 ; 05. 상저버스정류장.중저마을표지석.바로 마량쪽에서 오는 버스가 온다.
18 ; 25. 강진터미널도착(2250원). 저녁먹을 식당을 찾아 두 곳을 들려보나 혼자라고 툇짜. 국밥집에서 억지로 한술뜨고
지난번엔 터미널앞의 보금모텔에서 잤는데 오늘은 그옆집 모란모텔에서 잤다(두 곳 다 현금 30000원)
두 집 다 방은 따뜻하고 현금이래야 5000원 깍아준다.
.
07 ; 25/42. 광주송정역에 도착하여 길건에서 02번 좌석버스타고 광천동 터미널로 감.
08 ; 10/25.광천동 터미널에서 강진가는 버스탐(9800원.80분소요). 04.50. 6.35. 6.50. 7.10. 8.25. 9 ; 30. 10.00.
09 ; 35/37. 강진터미널도착.떡방아간 찾아가 떡 사넣고 .
우측 건물이 언덕위의 동문마을회관.
감성강진의 하룻길 이정표가 나오고 사의재 150m,←금서당. ←충혼탑.
저 아래가 사의재(四宜齋).
09 ; 54/59. 사의재(四宜齋).정약용이 강진 유배생활 18년중 초기 4년을 살며 강진읍 6제자를 가르치던곳으로
사의재란 생각. 용모.언어.행동 네가지를 올바로 하는이가 거처하는 집이란 뜻이다.
정약용은 이곳에서 4년 머문후 고성사 보은산방에서 1년,제자인 이학래의 집에서 2년을 머물고 다산초당으로 옮겨 11년을 살았다.
좌측 동문주막에선 지금도 차와 식사와 막걸리를 팔고있다.
다산실학의 4대 성지.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사의재기(四宜齋記).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10 ; 08/15. 충혼탑에서 떡으로 간식.
우측으로 보은산등산오가 있고 보은산 안내판이 있다.
10 ; 08/15. 충혼탑에서 본 진행방향의 아파트와 만덕산.
10 ; 19. 금서당(琴書堂)옛터.
강진 신교육의 발상지이자 영랑 김윤식이 강진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했고 김영렬 화백이작품활동을 한 곳이다.
10 : 24/29. 영랑생가.
영랑 김윤식이 45년살았던 생가이며 "모란이 피기까지는"등 많은 서정시를 지은곳이다.
시문학파기념관.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10 : 24/29. 영랑생가.
10 : 24/29. 영랑생가.
10 : 24/29. 영랑생가와 시문학파기념관.
저위가 금서당과 충혼탑.
10 ; 31. 큰길따라 내려오다 탑골샘 우측 현구길 골목으로 간다.
삼남길 구간 안내판은 철거를 했는지 생가근처에도, 여기도 없고 땅끝까지 갈동안 안보인다.
김현구는 누구인가?
10 ; 41. 후레쉬빌 아파트를 좌측에 끼고 돌아 강진여중정문앞에서 좌측으로 가며 강진의료원 건물과 신학산,만덕산(좌)이 보인다.
10 ; 51. 강진의료원앞 의료원 삼거리에서 2번국도밑을 지나 좌로 꺽어
강진천을 우측에 끼고 가는데 중간에 길없는 밭을 지난다.
11 ; 04. 학명교.
산림조합 장례식장앞이고 학명교 건너 신학산엔 청자모형을한 조림지가 보인다.
2차선도로따라 다리를 건너 도원마을표지석에서 좌측으로 2번국도 지하통로를 통과하여 우측 마을길로 간다.
11 ; 13. 도원화관앞에서 우측으로 만덕산을 보며 세멘길을 가며 뒤로 강진읍과 좌측으로 용두봉,금사봉이 보인다.
초동마을에 들어서며 뒤 돌아 본 강진읍과 좌측 전봇대 뒤로 정약용이 사의재를 나와 1년간 묵었던 고성사 보은산방이 하얗게 보인다.
11 ; 35. 초동마을회관에서 우측 임천저수지둑과 서기산.
좌측으로 사지지맥,우측으로 임천저수지둑 뒤로 땅끝기맥 서기산쪽이 보인다.
11 ; 44. 기룡교.기룡마을 표지석과 버스정류장.우측엔 남녘교회.기룡마을회관을 지나서 우측 대나무숲 세멘길로 언덕을 넘어
용동마을을 지나며 강진읍과 강진만 건너 사자지맥을 돌아 보고 논두렁을 건너 언덕을 넘어 부수문마을을 지난다.
용동마을을 지나며 뒤 돌아 본 강진읍과 신학산(좌).고성사(우 검은 지붕뒤).
봄이 돼서 남녘엔 밭일을 하느라 바빠졌다.
논두렁을 건너 언덕을 오르며 뒤 돌아 본 모습.
언덕을 넘어 부수문마을을 지난다.
12 ; 11. 춘곡마을표지석.
앞에 넘어갈 만덕산능선이 보이고 좌측엔 묘들이 일렬로 있고 좌측 멀리 부용산쪽이 보인다.
扶蘇八景시비와 공덕비,春谷亭. 춘곡회관을 지난다.
좌측엔 묘들이 일렬로 있고 좌측 멀리 부용산쪽이 보인다.
扶蘇八景시비와 공덕비,春谷亭. 춘곡회관을 지난다.
춘곡회관에서 본 넘어갈 만덕산지능선.
좌측 깃대있는 세멘길따라 올라간다.
12 ; 18. 삼남길 함께하길 6코스 ←기룡마을 백련사 →표지판에서 본 춘곡마을회관.
세멘길따라 우측 산길로 오르다
3분후 직진길 버리고 좌측 산길로 들어 5분후 편백숲을 오른다.
뒤 돌아 본 춘곡마을회관과 강진만.
편백숲에 걸린 팻말과 고개위.
12 ; 36. 고개위.만덕산에서 덕남항,철새도래지로 가는 능선안부다.쉴 만한 장소가 없어 지나쳐 내려가 대숲을 나가서 우측으로 오른다.
12 ; 50/13 :15. 백년사 주차장과 만덕산 백연사 일주문.강진 백년사 동백나무숲(천연기념물 151호).백년사 주변 관광지 안내판.
동백숲길따라 올라가 해탈문을 지나고 다산초당가는길 입구에서 우측 백년사를 디녀온다.백년사에서 다산초당 가는길 안내판이 있다,
백년사는 고려 1232년 원묘국사 요세가 이곳에 보현도량을 개설하고 백년결사를 일으킨곳이고 보물 1396호인 백년사사적비가 있다.
백년사 주변 관광지 안내판.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강진 백년사 동백나무숲(천연기념물 151호).
다산초당가는길 입구.
백년사 대웅전앞에서 본 강진만.
전남 유형문화재 136호인 백년사 대웅전과 목조여래삼존상.
백년사 대웅전앞에서 본 범종각 뒤로 해월루쪽.
백년사엔 천리향 꽃이 만발했다.
보물 1396호인 백년사 사적비.
다산초당가는길.
다산초당가는길의 차밭을 지나며 본 강진만.
13 ; 22/28. 고개위.
우측 깃대봉(1.3km. 뒤 백년사 0.4km.앞 다산초당 0.6km. 좌측 해월루를 다녀온다.
해월루에 올라서 본 칠량면과 뒤로 천관산.
맨우측섬은 죽도.
해월루에 올라서 땡겨 본 가우도와 좌,우 출렁다리.청자타워가 보인다.
천일각.
천일각이라는 이름은 "하늘끝 한 모퉁이"라는뜻의 천애일각(天涯一閣)을 줄인것으로
다산의 유배시절엔 없던건물인데, 정조대왕과 흑산도에 유배중인 정약전 형님이 그리울때면
이언덕에 서서강진만을 바라보며 스산한 마음을 달랫을 것이라는 생각으로 1975년강진군에서 세웠다.
천일각에서 본 강진만.
동암,
동암.
보정산방(寶丁山房)은 추사의 친필을 모각한 것이고
다산동암(茶山東庵)은 다산의 글자를 집자한 것이란다.
다산초당과 연지석가산.
13 ; 42. 다산초당.천일각,동암, 서암.연지석가산.약천, 정석,다조를 둘러본다.
정약용이 정조(1752-1800)가 세상을 떠난후 1801년 신유박해.황사영백서 사건으로 몰려 형(정약종),형수(문화유씨) ,
매형(이승훈),조카(정철상,정정혜)을 잃고 강진으로 귀양와서 외가에서 마련해준 거처가 다산초당이다.
다산초당은 초당 18제자를 교육하고 목민심서. 경세유표,흠흠신서등 600여권의 저술을 남긴곳이다.
다산초당 현판과 정약용 초상화.
서암.
다산초당 앞마당에 있는 다조와 뒤에 있는 약천.
다산의 제자 윤종진의 묘.
문인석이 아주 예쁘다.
윤종진 묘앞의 뿌리의길.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13 ; 55. 매점이 있는 삼거리에서 우측 다산수련원(0.4km)쪽으로 언덕을 넘어간다.
직진해 내려가면 다산기념관이다 0.6km .뒤 다산초당0.4km
14 ; 01/09. 다산수련원건물뒤 소공원 벤취에서 떡으로 점심.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현위치앞 건물은 전엔 전시관이었는데 지금은 교육장으로 쓰고 있는지 지웠다.
14 ; 15. 수련원 주차장의 24.2m수준점에서 본 수련원과 뒤로 만덕산.
도로따라 내려가 보동마을회관을 지나 정자가 3개나 있는 다산공원에서 좌측으로 간다.
14 ; 22. 2차선도로에서 우측 세멘길 농로로 들어서며 본 정자가 3개나 있는 다산공원과 수련원.
14 ; 22. 2차선도로에서 우측 세멘길 농로로 건너가서 소나무가 심겨진 곳에서 뒤 돌아 본 만덕산과 수련원(좌).
좌측 하천제방길을 따라가다 우측 다리를 건너 만덕호제방길을간다.
만덕호.
14 ; 43. 만덕호 제방끝.
2층 수문건물과 물탱크.율포삼거리 0.5km.만덕호쉼터공원 0.9km.세멘길을 따라 간다.
14 ; 53. 율포마을 진등 표지석 있는 2차선도로.
2차선도로를 건너 세멘길따라 축사를 지나 언덕을 넘어간다.
2차선도로를 건너 세멘길따라 축사를 지나 언덕을 넘어간다.
15 ; 09. 고송정정자와 버스정류장이 있는 표장마을회관.버스는 하루에 몇 번 들어 온단다.
마을회관을 지나며 좌로 세멘길따라 쭈욱 내려가다 우로 산모랭을 돌아간다.
항촌 사장나무 이정표 뒤로 덕룡산.
고개를 넘어가면 항촌마을이다.
15 ; 44. 항촌마을 표지석과 2층 고영정정자.정약용 남도 유배길 안내판. 덕룡산과 석문산이 가깝게 보인다.
항촌교를 건너가면 바로 도암면소재지로 도암터미널이다. 내일 도암에서 다시 이곳으로 올 것이다.
15 ; 44. 항촌마을 표지석과 2층 고영정정자에서 본 석문산.
15 ; 44. 항촌마을 표지석과 2층 고영정정자에서 본 도암과 덕룡산.
15 ; 50. 향촌2교.
삼남길은 여기서 819번 도로를 건너 간다.삼남길과 작별하고 가우도를 가기위해 망호 월곳지까지 약 4.4km를 도로따라 간다.
부흥, 용산버스정류장을 지나고 동부교회,언덕위의 신기보건진료소를 지나고 망호마을을 지난다.
언제부터인지 오른쪽 발뒷꿈치가 아픈 것이 걸음걸이가 불편하다.혹시 족근저막염인가 뭔가가 오는가? 하고 걱정을 해본다.
부지런히 20여분을 걸었는데 아직 가우도출렁다리까지는 2.5km더가야 한단다.
뒤돌아 보면 덕룡산이 꽤멀리 보인다.
16 ; 45. 가우도를 건너가는 망호출렁다리앞. 주차장. 이동식화장실.716m 긴출렁다리가 시작된다.
정약용의 남도 유배길 안내판이 있고 청자타워가 보인다.
.
다리를 건너가며 보는 바다와 산, 섬 조망이 좋다.바람이 많이 불어 건너가는걸 걱정했는데 밑이나 옆이 막혀있어 공포감은 덜 느낀다.
망호출렁다리에서 만덕산.
망호출렁다리에서 여계산.
망호출렁다리에서 강진쪽.
망호출렁다리에서 가우도마을과 죽도.
망호출렁다리 중간에 본 망호선착장.
망호출렁다리 중간에 본 덕룡산과 주작산(좌).
망호출렁다리 중간에 본 가우도.
망호출렁다리 중간에 본 망호선착장.
망호출렁다리 중간에 본 여계산.
가우도.
17 ; 10. 출렁다리 건너 가우도.
마을에서 운영하는 마을식당과 황가오리빵집.가우도 안내판과 이정표.
좌우로 한바퀴 도는길과 마을뒤언덕에서 우측으로 청자타워가 있는 정상가는길이 있다.
가우도는 강진읍 보은산이 소의 머리에 해당되고,섬의 생김새가 소(牛)의 멍에에 해당된다하여
"가우도(駕 멍에가 牛島)"라고 부르게 되었단다.
강진만 8개 섬가운데 유일한 유인도로 14가구에 31명이 살고있으며 면적은 97000평.
우측으로 돌면 저두출렁다리 0.8km.좌측으로 돌면 저두출렁자리 1.8km.청자타워 0.8km.
가우도(駕 멍에가 牛島)에서 본 망호출렁다리.
정약용쉼터.
정약용이 유배지에 온지 5년후인 1805년 겨울 장남 학연이 아바지를 찾아왔는데
그때의 정약용의 마음을 헤아려 보는 조형물이다.
북단데크에서
북단데크에서 만덕산(좌), 가운데뒤로 강진읍과 보은산.
저두출렁다리와 저두마을과 뒤로 천태산줄기.
17 ; 37. 섬을 왼쪽으로 돌아오른 가우도섬 정상의 청자타워.짚트랙 타는곳.
전망대 10000원. 칲트랙 요금은 25000원인데 5000원은 강진 상품권으로 되돌려 준단다.
오늘은 바람이 많이 불어 휴업 .
저두출렁다리
17 ; 46. 저두출렁다리 438m를 건너간다.
저두출렁다리.
저두마을.
17 ; 55. 저두출렁다리 438m를 건너가서 본 강진만과 만덕산-덕룡산-주작산.
저두마을.
18 ; 05. 상저버스정류장.중저마을표지석.바로 마량쪽에서 오는 버스가 온다.
18 ; 25. 강진터미널도착(2250원). 저녁먹을 식당을 찾아 두 곳을 들려보나 혼자라고 툇짜. 국밥집에서 억지로 한술뜨고
지난번엔 터미널앞의 보금모텔에서 잤는데 오늘은 그옆집 모란모텔에서 잤다(두 곳 다 현금 30000원)
두 집 다 방은 따뜻하고 현금이래야 5000원 깍아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