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청호 오백리길 5 (이백리-환산(고리산)-항곡리-부소담악-이백리) 7-1.7.8구간.
대청호 오백리길 5 (이백리-환산(고리산)-항곡리-부소담악-이백리) 7-1.7.8구간.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 22.9km (8시간 ).
군북면사무소앞(이백리)버스정류장 - 환산입구(이백리 황골말)-359.9m(보은320 삼각점. 환산성1보루)-산불초소-
412.5m(옥녀봉?.환산성 2보루)-523.6m(3보루.봉수대.옥녀봉?)-555.5m(전망대.4보루)-환신(環山.578.9m.고리봉. 헬기장)-
576.6m(동봉)-6보루-항곡리하산안부-항곡리-공곡재-이평리-보현사입구(갈벌버스정류장)-추소리서낭당-부소담악-
추소리절골(8구간시작)-환평리-생약자원관리쎈터-이지당갈림길-군북면사무소앞(이백리)버스정류장 .
◈ 일시 : 2017. 4. 13(목).
◈ 날씨 ; 날은 덥고 벚꽃이 만개하고 배꽃도 피다 .
◈ 지도.
대청호 오백리길 5 (이백리-환산(고리산)-항곡리-부소담악-이백리) 7-1.7.8코스.
대전역앞의 안내판엔 7-1구간이 없고 대청호 오백리길 홈페이지엔 7-1구간이 있다.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대청호 오백리길 5 (이백리-환산(고리산)-항곡리-부소담악-이백리) 7-1.7.8코스. 지도1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대청호 오백리길 5 (이백리-환산(고리산)-항곡리-부소담악-이백리) 7-1.7.8코스. 지도2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 트랙.
◈ 일정정리.
07 : 00. 천안에서 부산가는 무궁화호 타고 대전역으로(3100원)
07 ; 52/8: 12.대전역 왼쪽 역전시장에서 떡 한팩 사넣고 큰길 건너 3번째 정거장에서 옥천가는 607번 버스를 타다.
607번은 15분 간격으로 자주 있다.
08 ; 41.옥천군 군북면사무소앞 하차. 정류장 표시는 이백리이고 안내방송은 군북면사무소다.
바로 앞쪽에 횡단보도가 있으나 도로따라 뒷쪽으로 가서 경부선철로 굴다리앞 이백삼거리에서 건너가는게 낫다.
2차선도로따라 경부선철로와 고속도로 지하차도를 건너 우측으로 올라서면 바로 환산등산로 입구다.
08 : 48/51. 환산 등산로 입구.환산등산로 안내판.금빛 환산 안내판.현위치 황골말(이백리) 정상 4.85km 이정표.
계단을 올라 숲길로 들어 벌목지 좌측으로 된비얄을 지그재그로 올라간다.
09 : 15. 땀을 흘리고 올라온 안부.이백성(온길 황골말(이백리) 900m. 좌측 정상 3.95km.우선 우측 399.9m으로.
09 : 16/19. 첫봉인 359.9m. 보은 320 삼각점.환산성 제1보루 표지석.식장산과 대전시,갈 봉화대쪽이 조망.
이백리산성이라고도 하며 신라와 백제가 치열한 전투를 벌인 관산성으로 환산(고리산)엔 모두 6개의 보루가 있다.
09 ; 20/23. 안부 건너 좌측의 산불초소.작은 돌탑들과 벤취. 조망이 좋아 서대산과 옥천읍과 오후에 갈 추소리쪽을 둘러 보고 좌측으로 간다.
09 ; 37. 2보루 갈림길. 좋은길은 우측 사면으로 건너가고 2보루 가는길은 직진해 올라가 봉 직전에 좌측 사면으로 건너간다.
이정표 기둥에 옥녀봉(정상 3.15km. 황골말(이백리 1km).옥녀를 만나러 직진해 오른다.
09 : 45.412.5m. 지형도에 환산성지로 그려진곳으로 큰 소나무숲에 환산성 2보루 표지석과 벤취.앞쪽은 검은바위 뒤쪽은 하얀 차돌바위.
옥녀봉이라 쓴 코팅지.직진해 내려가면 증약으로 이어진다. 523.6m 봉수대,555.5m를 보며 되돌아 내려간다.
10 ; 14. 523.6m봉.환산성 3보루 표지석.고리산 봉수대 안내판.정상 2.05km. 황골말(이백리)2.8km.이정표는 이봉을 옥녀봉이라했다.
10 : 25/39. 약 530m되는 바위봉.백골산성.꾀꼬리봉과 뒤로 지나온 2.3.4구간이 보이고 비로소 환산정상이 보인다.
내려가며 나무사이로 추소리 대청호반이 내려다 보인다.
10 ; 43. 약 550m봉.우측으로 추소리 안양골 1.5km이정표. 좌측으로 내려간다.
10 ; 46. 555.5m.환산성 4보루 표지석.우측이 시원하게 터져 대청호 풍광이 아름답다.
장령지맥 이슬봉, 다음구간의 백토산줄기.막지리 뒤의 511.8m봉.공곡재 건너 용호리 뒤산 416.3m을 어림해 본다.
환산과 동봉이 저만치 보며 내려간 안부엔 좌측 감노마을 1.6km. 뒤 황골말. 앞 정상 1.14km 이정표가 있다.
11 : 00. 뾰족봉(560m). 하얀 벤취2.삼각봉 표지가 걸려있다. 오르기전에 좌측 사면으로 비야리 마을회관 1.59km 이정표와 밧줄이 있고,
내려가며 물속에 잠길 듯 이어가는 부소담악 바윗길이 구슬처럼 내려다 보인다.
11 ; 21/24. 환산(環山. 고리산.578.9m). 환산성 제5보루 표지석과 삼각점(2등 1983). 넓은 헬기장.조망을 보러 우측 동봉을 다녀온다.
좌 비야리2.5km.항곡리 2.9km.이평리 갈마당 5코스 임도 2.9km. 우 이평리 갈마당5코스 2.7km.뒤 황골말(이백리 )4.85km. 봉수대2.8km.
11 ; 33. 576.6m(동봉).오늘구간중 최고의 전망대다.환산과 그 우측 뒤로 1-7구간이 조망되어 고해산.국사봉,꽃봉,회남대교를 짚어보고
우측으론 부소담악이 그림같고 뒤로 이슬봉,우측끝으로 장령산과 서대산이 멀리 보인다. 되돌아 간다.
11 ; 47. 다시 돌아온 환산.동봉을 왕복하는데 20여분 걸리는데 다소 경사가 졌다.좌 비야리2.5km.항곡리 2.9km쪽으로 간다.
11 : 52. 묘가 있는 봉에서 동봉과 공곡재로 가는 능선을 내려다 보고 60~70m내려가면 .
11 ; 53. 비야리 갈림길. 환산성 6보루 표지석과 좌측 비야리 2.3km, 우측 항곡리 2.7km 이평리 갈마당 5코스 2.7km에서 우측으로 내려간다.
12 : 02. 좌측으로 항곡리가는 능선길이 희미하게 보인다.표지기는 없다. 망설이다 지나쳐 간다.
12 ; 07. 소나무봉넘어 좌측 항곡리가는 지능선. 항곡리길이 안보이고 경사가 졌다.진달래가 만발했다.소나무숲길을 간다.
12 ; 14. 항곡리 하산길.물이 고여있는 습지를 지나왔다.항곡마을 1.6km.정상 1.3km. 공곡재1.1km 이정표가 2개. 좌측 산허리를 돌아 간다.
12 ; 24. 작은 지계곡을 건너는곳에 기도터(?).시원한물이 펑펑 쏟아진다. 우측 바로 아래가 마을인데 길은 직진해 능선을 넘어간다.
12 ; 37. 항곡리마을 버스정류장.넓은 주차장에 화장실. 농산물 판매장.앞산은 나무없는 바위군에 데크길에 쭈욱 이어졌는데 안내판이 없다.
지난 3회차때 여기서부터 시작해 꽃봉으로 간 곳이다.항곡리 유래비와 장승을 지나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간다.
12 ; 40. 항곡리 항골 삼거리.직 7구간 수생식물학습원 4.3km. 우 부소담악 6.5km. 자전거길 부소담악길 이정표.우측으로 간다.
여기서부터 공곡재까지 2.8km를 1차선도로를 따라 간다.지루하고 끝엔 은근히 오름길이라 다소 기운도 빠진다.
13 ; 15. 도로가 갈지자로 꺽어 오르며 뒤로 수생식물학습원과 꽃봉,고해산이 보인다.
13 : 19/21. 공곡재의 공곡정정자. 옥천 부소담악 자전거길 안내판.수생식물학습원이 내려다 보인다.
정자에서 신벗고 쉬어 갈려고 작정하고 올라왔는데 승용차 타고온 4명이 선점해서 자리깔고 판을 벌리고 있다.
절개지를 돌아가면 장승과 돌탑이 있고 우측 아래쪽에 환산에서 내려온 대청호 둘레길이 있다.
13 : 26. 대청호를 보며 쭈욱 내려간 이평리 버스종점.좌측 마을엔 복사꽃이 붉게 피었다.버스가 여기까지 오나 모르겠다.
13 : 38. 이평리(梨坪里) 버스정류장. 환산정상에서 내려온 깊은 계곡 끝이다. 집이 몇 채 있고 우측에 대청호 호수빌리지팬션.
앞산모랭이를 대청호를 좌측에 끼고 좌측으로 삥돌아 나간다.
14 ; 02. 270.5m봉 동쪽 고개위.대청호를 좌측에 계속 끼고 왔다. 고개에서 좌측 대청호로 뻗은 지능선엔 녹슨 차단기가 있다.
14 ; 08. 보현사앞.보현사 표지석과 갈벌 버스정류장.항곡리 갈림길인 6보루가 정면에 올려다 보인다.
벚꽃이 만발한 추소리 부소담악 풍광을 보며 간다.
14 ; 15/27. 쪽배가 띄워진 나루테에서 대청호물에 발씻고 쉬어간다. 대청호물은 대전권만 못해서 부유물이 좀 떠있다.
15 : 33. 추소리 버스정류장앞 우측 산길 초입에 환산등산로 안내도.몇발짝 가면
15 ; 34/36. 좌측으로 부소담악 입구. 부소담악 안내도와 이정표(온길 7구간 항곡리 6.5km. 좌측 부소담악 0.8km) 현위치 추소리 서낭당.
길 우측은 세계불교 세심종 총본산인 황룡사가 있고 좌측 장승들이 도열한 길로 내려간다.
14 ; 40. 추소하수처리장.- 3억을 들였다는 데크길을 건너 장승공원으로 간다.
14 ; 46/50. 추소정(湫 沼亭)정자. 신을 벗고 올라가라니 먼길가는 길손에겐 무용지물.전망데크에서 환산과 부소담악 조망.
14 ; 50. 구 정자를 지나고. - 바윗길.
14 ; 58. 부소담악(赴召潭岳). 물이차는 곳이다. 더가서 묘지가 있는 끝까지 갈 수도 있겠지만 험해서 돌아섰다.
추소리는 추동과 부소무니, 절골 등 3개의 자연마을로 구성된 호반마을이다.
이중 부소무늬란 마을이름은 환산 밑에 '연화부소'형 명당이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고
부소담악(赴召潭岳)은 '부소무니 앞 물 위에 떠 있는 산'이라는 뜻으로 부소무늬앞 호반에 암봉들이 700m가량 병풍처럼
펼쳐져 있는곳으로 우암 송시열이 소금강아라 예찬했으며 국토해양부와 한국하천협회가 뽑은
'아름다운 하천 100선' 중에서도 '가장 아름다운 6대 하천'에 오를 만큼 절경이다.바람이 심하게 분다.
15 :07. 추소정으로 되돌아가 장승공원에서 이번엔 직진해 능선길따라 앞봉을 넘어간다.
15 ; 17. 추소리 절골. 느티나무밑에 돌탑과 정자. 추소리 마을표지석. 7구간이 끝나고 8구간 시작점인데
이정표는 추소리 절골(7구간 부소담악 0.8km.7구간 이백리 4km)로 이백리쪽이 여전히 7구간으로 써있고 어떤 표지기나 안내판이 없어
도로따라 갔는데 느티나무에서 2차선도로 아래 돌장승이 있는 동학정 →길로 들어 추소리마을을 지나 2차선도로 올라가는 모양인데
마을로 들어가는길이 물에 잠기면 못간단다.벚꽃이 만개한 도로를 따라가며 부소담악 전체와 추소리를 내려다 보는 경치가 더 나을듯싶다.
15 : 29. 추소리입구 삼거리. 쉼터와 추소리마을 향혼비. 길 우측은 "좋은 기도동산" .추소리 버스정류장.
15 ; 37. 3보루 봉수대에서 내려온 지능선 날맹이. 달빛산책로. ←대청호오백리길 →.도로가 우측으로 휘어 환산을보며 환평리로 내려간다.
15 : 45. 환평경로당앞.좀전 환평리(경로당)버스정류장 못미쳐에서 좌측 골목으로 가야하는데 공사중이라 지나서 다음 골목으로 내려갔다.
15 ; 48. 레스토랑 manor를 지나 내려가선 우측으로 들판을 건너 건너편 능선을 넘어간다.
15 ; 59. 건너편 능선위.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국가생약자원관리쎈터. 다시 들판을 건너 2차선도로로 올라선다.
16 ; 13. 2차선도로. 아침에 올랐던 삼각점이 있는 359.9m 1보루에서 내려온 지능선이다. 좌측 186.3m으로가는 지능선엔 집이 있다.
좌측 길 아래로 이지당으로 가는 비포장길을 내려다 보며 2차선 도로를 따라 간다.
16 : 18. 환평리 갈림길. 온길 8구간 부소담악 4km. 좌측 아랫길 이지당 1km. 달빛마을 안내판.이지당 가는길엔 임도 차단기가 있다.
오백리길은 좌측 이지당으로 이어지지만 오늘 일정은 여기서 마치고 곧장 2차로를 따라 간다.
16 ; 25. 벚꽃길따라 산굽이를 돌아 내려가다 묘지위에서 노고성지로 해서 식장산으로 가는 산줄기와 옥천 장령산쪽을 조망하고
.
16 ; 31. 아침에 산행 시작한 환산등산로 입구에서 옷 갈아 입고.다시 굴다리를 지나 도로따라 좌측 이백 버스벙류장으로 간다.
16 : 40. 이백리(군북면사무소) 버스정류장도착.
16 ; 45. 대전행 607번버스타고(시계외요금1400). 사람이 많아 판암역에서 내려 지하철 타고
17 : 20. 대전역 대합실 도착.17 : 32분차는 역시 입석밖에 없고 예매한 6시 39분까지는 시간이 많아 18시 11분 새마을호로 바꾸고.
18 : 11. 새마을호로 대전역출발(4700원).
18 ; 58. 천안도착.
오늘 가는 7-1구간은 대전마케팅공사의 대청호오백리길 홈페이지에는 있으나,
대전역앞 대청호 500리길 안내판엔 없는 구간인데
백제와 신라가 흥망의 분수령이 된 삼국시대 최대의 전투인 관산성전투가 있던
환산(고리산)을 종주하는길이라 큰 의미가 있고
환산 자체만으로도 언젠가 한번은 꼭 가봐야겠다 마음 먹었던 산이다.
7-1구간은 이백리에서 시작해 환산을 종주해 공곡재까지이나
7구간을 이어갈려면 항곡리부터 이어가야하는데 환산을 넘어 공곡재 가기전에 황곡리로 빠지는길은
정보가 없어 다소 불안하긴 하지만 대충 두어군데 하산로를 예측해 지도에 그렸다.
오늘구간중 최대 볼거리는 추소리의 부소담악이라 환산능선에서 계속 유의깊게 살펴보다
오백리길에선 조금 비켜있지만 환산 최고의 전망대인 동봉에 가서 그 멋진 모습을 잡았고
실제 부소담악은 아슬아슬한 암릉을 타면서 보는 풍광보다는 멀리서보는 점점이 이어지는 풍경이 더 아름답다.
.
.
07 : 00. 천안에서 부산가는 무궁화호 타고 대전역으로(3100원)
07 ; 52/8: 12.대전역 왼쪽 역전시장에서 떡 한팩 사넣고 큰길 건너 3번째 정거장에서 옥천가는 607번 버스를 타다.
607번은 15분 간격으로 자주 있다.
08 ; 41.옥천군 군북면사무소앞 하차. 정류장 표시는 이백리이고 안내방송은 군북면사무소다.
바로 앞쪽에 횡단보도가 있으나 도로따라 뒷쪽으로 가서 경부선철로 굴다리앞 이백삼거리에서 건너가는게 낫다.
2차선도로따라 경부선철로와 고속도로 지하차도를 건너 우측으로 올라서면 바로 환산등산로 입구다.
08 : 48/51. 환산 등산로 입구.환산등산로 안내판.금빛 환산 안내판.현위치 황골말(이백리) 정상 4.85km 이정표.
계단을 올라 숲길로 들어 벌목지 좌측으로 된비얄을 지그재그로 올라간다.
09 : 15. 땀을 흘리고 올라온 안부.이백성(온길 황골말(이백리) 900m. 좌측 정상 3.95km.우선 우측 399.9m으로.
09 : 16/19. 첫봉인 359.9m. 보은 320 삼각점.환산성 제1보루 표지석.식장산과 대전시,갈 봉화대쪽이 조망.
이백리산성이라고도 하며 신라와 백제가 치열한 전투를 벌인 관산성으로 환산(고리산)엔 모두 6개의 보루가 있다.
09 : 16/19. 첫봉인 359.9m. 보은 320 삼각점.환산성 제1보루 표지석에서 본 식장산
09 : 16/19. 첫봉인 359.9m. 보은 320 삼각점.환산성 제1보루 표지석에서 본 군북면 이백리와 대전가는길.
09 : 16/19. 첫봉인 359.9m. 보은 320 삼각점.환산성 제1보루 표지석에서 본 고리산 봉수대(523.6m.우)
09 ; 20/23. 안부 건너 좌측의 산불초소.
작은 돌탑들과 벤취. 조망이 좋아 서대산과 옥천읍과 오후에 갈 추소리쪽을 둘러 보고 좌측으로 간다.
산불초소 주인장이 만든듯.재미있는 작품들이 많다.
충남의 최고봉인 서대산(904m.맨우측)과 장령산, 천태산(좌측 맨뒤).우측 앞봉은 용봉.
오후에 갈 환평리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국가생약자원관리쎈터(가운데 둥근봉 우측의 하얀건물)
9 ; 37. 2보루 갈림길.
좋은길은 우측 사면으로 건너가고 2보루 가는길은 직진해 올라가 봉 직전에 좌측 사면으로 건너간다.
이정표 기둥에 옥녀봉(정상 3.15km. 황골말(이백리 1km).옥녀를 만나러 직진해 오른다.
09 : 45.412.5m.
지형도에 환산성지로 그려진곳으로 큰 소나무숲에 환산성 2보루 표지석과 벤취.앞쪽은 검은바위 뒤쪽은 하얀 차돌바위.
옥녀봉이라 쓴 코팅지.직진해 내려가면 증약으로 이어진다. 523.6m 봉수대,555.5m를 보며 되돌아 내려간다.
10 ; 14. 523.6m봉.
환산성 3보루 표지석.고리산 봉수대 안내판.정상 2.05km. 황골말(이백리)2.8km.이정표는 이봉을 옥녀봉이라했다.
10 : 25/39. 약 530m되는 바위봉.
백골산성.꾀꼬리봉과 뒤로 지나온 2.3.4구간이 보이고 비로소 환산정상이 보인다.
내려가며 나무사이로 추소리 대청호반이 내려다 보인다.
백골산성과 뒤로 지나온 2.3.4구간
비로소 환산정상(가운데 둥근봉)이 보인다.우측은 동봉.
10 ; 43. 약 550m봉.
우측으로 추소리 안양골 1.5km이정표. 좌측으로 내려간다.
10 ; 46. 555.5m.환산성 4보루 표지석.우측이 시원하게 터져 대청호 풍광이 아름답다.
장령지맥 이슬봉, 다음구간의 백토산줄기.막지리 뒤의 511.8m봉.공곡재 건너 용호리 뒤산 416.3m을 어림해 본다.
환산과 동봉이 저만치 보며 내려간 안부엔 좌측 감노마을 1.6km. 뒤 황골말. 앞 정상 1.14km 이정표가 있다.
환산과 동봉
.공곡재 건너 용호리 뒤산 416.3m(좌)과 막지리 뒤의 511.8m봉(우)
막지리 뒤의 511.8m봉(중)과 장령지맥끝(우측위). 우측 아래는 추소리 부소담악(赴召潭岳)입구.
부소담악(赴召潭岳. 앞 소나무뒤 섬같은곳)과 장령지맥 이슬봉(뒷줄 좌)-며느리재(우).
11 : 00. 뾰족봉(560m).
하얀 벤취2.삼각봉 표지가 걸려있다. 오르기전에 좌측 사면으로 비야리 마을회관 1.59km 이정표와 밧줄이 있고,
내려가며 물속에 잠길 듯 이어가는 부소담악 바윗길이 구슬처럼 내려다 보인다.
물속에 잠길 듯 이어가는 부소담악 바윗길이 구슬처럼 내려다 보인다.
11 ; 21/24. 환산(環山. 고리산.578.9m).
환산성 제5보루 표지석과 삼각점(2등 1983). 넓은 헬기장.조망을 보러 우측 동봉을 다녀온다.
좌 비야리2.5km.항곡리 2.9km.이평리 갈마당 5코스 임도 2.9km. 우 이평리 갈마당5코스 2.7km.뒤 황골말(이백리 )4.85km. 봉수대2.8km.
관산성(管山城)은 충청북도 옥천군 군서면에 있었던 삼국시대의 성으로, 고리산성(古利山城) 또는 환산성(環山城)으로도 불린다.
백제 성왕(聖王, 재위 523~554)은 538년에 수도를 웅진(熊津)에서 사비(泗沘)로 옮기고, 안팎의 제도를 정비하면서 왕권강화에 힘써 중흥을 이루었다. 내부의 안정을 꾀하고 힘을 기른 성왕은 신라 진흥왕(眞興王, 재위 540~576)과 함께 한강 유역을 되찾기 위해 고구려를 공격했다. 그때 고구려는 정치적으로 혼란한 상황이었으므로 쉽게 고구려군을 격파하여, 백제는 한강 하류지역 6군을, 신라는 한강 상류지역 10군을 점령했다.
그러나 진흥왕은 553년 군사를 돌려 백제가 차지한 한강 하류지역을 빼앗고, 그곳에 신주(新州)를 설치했다. 신라에 배신당한 백제는 554년 대군을 동원하여 백제 왕자 여창(餘昌)이 이끄는 군사가 먼저 관산성을 공격하고 성왕은 뒤를 따랐다. 당시 관산성은 신라와 한강 하류지역을 연결하는 군사적 요충지였다.
처음에는 대가야군과 연합한 백제가 우세했으나, 신라의 신주 군주(軍主) 김무력(金武力)의 비장(裨將)인 고간(高干) 도도(刀都)가 성왕을 급습하여 죽이자, 싸움은 신라의 승리로 끝났다. 이 싸움에서 백제는 좌평 4명과 병졸 2만 9,600명을 잃는 대패를 당했다. 이로써 120년 동안 계속된 나제동맹은 깨어지고, 백제는 멸망 때까지 신라와 적대관계에 있게 되었다.
관산성 전투를 통해 신라는 한강 유역에 대한 안정적인 지배권을 확보했고, 가야의 나머지 세력을 병합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또한 신라는 한강 유역의 인적⋅물적 자원을 활용하고, 중국을 통해 직접 선진 문물을 받아들이게 되어 비약적인 발전이 가능하게 되었다.
관산성의 위치는 백제 성왕 사절지(百濟 聖王 死節地)로 전해지고 있는 옥천군 군서면 월전리 9-3번지 부근과 이곳에서 맞은편 서북방으로 약 800m 떨어져 있는 환산성(環山城) 부근으로 추정하고 있다.
환산(環山. 고리산.578.9m)에서 동봉으로 내려서며 본 환산-공곡재능선.
11 ; 33. 576.6m(동봉).
오늘구간중 최고의 전망대다.환산과 그 우측 뒤로 1-7구간이 조망되어 고해산.국사봉,꽃봉,회남대교를 짚어보고
우측으론 부소담악이 그림같고 뒤로 이슬봉,우측끝으로 장령산과 서대산이 멀리 보인다. 되돌아 간다.
11 ; 33. 576.6m(동봉)에서 본 환산(좌).우측봉밑에서 공곡재는 우측으로 내려간다.
11 ; 33. 576.6m(동봉)에서 본 공곡재가는능선과 뒤로 꾀꼬리봉. 우측 푸른숲이 고해산-탑산이고 그뒤 태청호끝이 대청댐쪽이다.
11 ; 33. 576.6m(동봉)에서 본 꽃봉(우측 허연곳위)과 국사봉(가운데 윗봉)과 뒤로 샘봉산(맨뒤).
땡겨 본 꽃봉,국사봉,샘봉산(맨우측 일렬로).가운데 고해산-탑봉숲능선과 뒤로 17구간 반도. 맨 좌측 위가 노고산성-성치산.
11 ; 33. 576.6m(동봉)에서 본 장령지맥 끝과 이슬봉(우측 실한 줄기).
부소담악(赴召潭岳).뒤에 뾰족봉은 마성산(409.3m), 그좌측 안부가 장령지맥의 며느리재.
부소담악(赴召潭岳)과 마성산,옥천읍(우).
11 ; 47. 다시 돌아온 환산.
동봉을 왕복하는데 20여분 걸리는데 다소 경사가 졌다.좌 비야리2.5km.항곡리 2.9km쪽으로 간다.
11 : 52. 묘가 있는 봉에서 동봉과 공곡재로 가는 능선을 내려다 보고 60~70m내려가면 .
11 ; 53. 비야리 갈림길.
환산성 6보루 표지석과 좌측 비야리 2.3km, 우측 항곡리 2.7km 이평리 갈마당 5코스 2.7km에서 우측으로 내려간다.
12 : 02. 좌측으로 항곡리가는 능선길이 희미하게 보인다.표지기는 없다. 망설이다 지나쳐 간다.
12 ; 07. 소나무봉넘어 좌측 항곡리가는 지능선. 항곡리길이 안보이고 경사가 졌다.진달래가 만발했다.소나무숲길을 간다.
12 ; 14. 항곡리 하산길.
물이 고여있는 습지를 지나왔다.항곡마을 1.6km.정상 1.3km. 공곡재1.1km 이정표가 2개. 좌측 산허리를 돌아 간다.
12 ; 24. 작은 지계곡을 건너는곳에 기도터(?).
시원한물이 펑펑 쏟아진다. 우측 바로 아래가 마을인데 길은 직진해 능선을 넘어간다.
12 ; 37. 항곡리마을 버스정류장.
넓은 주차장에 화장실. 농산물 판매장.앞산은 나무없는 바위군에 데크길에 쭈욱 이어졌는데 안내판이 없다.
지난 3회차때 여기서부터 시작해 꽃봉으로 간 곳이다.항곡리 유래비와 장승을 지나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간다.
12 ; 37. 항곡리마을 버스정류장에서 본 환산.
12 ; 40. 항곡리 항골
삼거리.직 7구간 수생식물학습원 4.3km. 우 부소담악 6.5km. 자전거길 부소담악길 이정표.우측으로 간다.
여기서부터 공곡재까지 2.8km를 1차선도로를 따라 간다.지루하고 끝엔 은근히 오름길이라 다소 기운도 빠진다.
집뒤가 기도터이고 좌측 전기줄위가 황골갈림길.우측에 보이는 지능선에선 내려오는 길이 없다.
대형 하우스는 뭐하는곳인지?
공곡재가는길에 뒤 돌아 본 꾀꼬리봉.
13 ; 15. 도로가 갈지자로 꺽어 오르며 뒤로 수생식물학습원과 꽃봉.
13 : 19/21. 공곡재의 공곡정정자. 옥천 부소담악 자전거길 안내판.수생식물학습원이 내려다 보인다.
정자에서 신벗고 쉬어 갈려고 작정하고 올라왔는데 승용차 타고온 4명이 선점해서 자리깔고 판을 벌리고 있다.
절개지를 돌아가면 장승과 돌탑이 있고 우측 아래쪽에 환산에서 내려온 대청호 둘레길이 있다.
13 : 26. 대청호를 보며 쭈욱 내려간 이평리 버스종점에서 본 공곡재.
좌측 마을엔 복사꽃이 붉게 피었다.버스가 여기까지 오나 모르겠다.
3 : 38. 이평리(梨坪里) 버스정류장. 환산정상에서 내려온 깊은 계곡 끝이다. 집이 몇 채 있고 우측에 대청호 호수빌리지팬션.
앞산모랭이를 대청호를 좌측에 끼고 좌측으로 삥돌아 나간다.
언덕에서 뒤 돌아 본 모습.
14 ; 02. 270.5m봉 동쪽 고개위.대청호를 좌측에 계속 끼고 왔다. 고개에서 좌측 대청호로 뻗은 지능선엔 녹슨 차단기가 있다.
부소담악(赴召潭岳)에서 나올때 넘어온 둔덕봉(가운데)
4 ; 08. 보현사앞.
보현사 표지석과 갈벌 버스정류장.항곡리 갈림길인 6보루가 정면에 올려다 보인다.
벚꽃이 만발한 추소리 부소담악 풍광을 보며 간다.
14 ; 15/27. 쪽배가 띄워진 나루테에서 대청호물에 발씻고 쉬어간다. 대청호물은 대전권만 못해서 부유물이 좀 떠있다.
15 : 33. 추소리 버스정류장앞 우측 산길 초입에 환산등산로 안내도.몇발짝 가면
15 ; 34/36. 좌측으로 부소담악 입구.
부소담악 안내도와 이정표(온길 7구간 항곡리 6.5km. 좌측 부소담악 0.8km) 현위치 추소리 서낭당.
길 우측은 세계불교 세심종 황룡사가 있고 좌측 장승들이 도열한 길로 내려간다.
세계불교 세심종 총 본산인 황룡사.
14 ; 40. 3억을 들였다는 데크길을 건너 장승공원으로 간다.
14 ; 46/50. 추소정(湫 沼亭)정자.
신을 벗고 올라가라니 먼길가는 길손에겐 무용지물.전망데크에서 환산과 부소담악 조망.
14 ; 46/50. 추소정(湫 沼亭)정자에서 환산.
14 ; 46/50. 추소정(湫 沼亭)정자에서 추소리.
14 ; 46/50. 추소정(湫 沼亭)정자에서 부소담악(赴召潭岳). 뒷산과 겹쳐보인다.
14 ; 50. 구 정자를 지나면 바윗길.
바위길에서 우측 추소리.
14 ; 58. 부소담악(赴召潭岳). 물이차는 곳이다. 더가서 묘지가 있는 끝까지 갈 수도 있겠지만 험해서 돌아섰다.
추소리는 추동과 부소무니, 절골 등 3개의 자연마을로 구성된 호반마을이다.
이중 부소무늬란 마을이름은 환산 밑에 '연화부소'형 명당이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고
부소담악(赴召潭岳)은 '부소무니 앞 물 위에 떠 있는 산'이라는 뜻으로 부소무늬앞 호반에 암봉들이 700m가량 병풍처럼
펼쳐져 있는곳으로 우암 송시열이 소금강아라 예찬했으며 국토해양부와 한국하천협회가 뽑은
'아름다운 하천 100선' 중에서도 '가장 아름다운 6대 하천'에 오를 만큼 절경이다.바람이 심하게 분다.
되돌아 나오며 본 추소정(우)과 환산.좌측 끝이 8구간 시작점
15 :07. 추소정으로 되돌아가 부소담악을 뒤돌아 보고 장승공원에서 이번엔 직진해 능선길따라 앞봉을 넘어간다.
앞봉을 넘어가며 본 추소리절골의 느티나무밑의 돌탑과 정자.
앞봉을 넘어가며 본 지나온 보현사쪽
앞봉을 넘어가며 본 추소리 서낭당의 부소담악(赴召潭岳)입구와 세계불교 세심종 총본산인 황룡사와 환산정상으로 올라가는 능선(우)
15 ; 17. 추소리 절골. 느티나무밑에 돌탑과 정자. 추소리 마을표지석. 7구간이 끝나고 8구간 시작점인데
이정표는 추소리 절골(7구간 부소담악 0.8km.7구간 이백리 4km)로 이백리쪽이 여전히 7구간으로 써있고 어떤 표지기나 안내판이 없어
도로따라 갔는데 느티나무에서 2차선도로 아래 돌장승이 있는 동학정 →길로 들어 추소리마을을 지나 2차선도로 올라가는 모양인데
마을로 들어가는길이 물에 잠기면 못간단다.벚꽃이 만개한 도로를 따라가며 부소담악 전체와 추소리를 내려다 보는 경치가 더 나을듯싶다.
부소담악(赴召潭岳).
15 : 29. 추소리입구 삼거리. 쉼터와 추소리마을 향혼비. 길 우측은 "좋은 기도동산" .추소리 버스정류장.
옥천가는 버스는 하루에 4번있다.
추소리마을과 부소담악(赴召潭岳).
15 ; 37. 3보루 봉수대에서 내려온 지능선 날맹이. 달빛산책로. ←대청호오백리길 →.도로가 우측으로 휘어 환산을보며 환평리로 내려간다.
여기서 좌측 골목으로 내려가야하는데
15 : 45. 환평경로당앞.
좀전 환평리(경로당)버스정류장 못미쳐에서 좌측 골목으로 가야하는데 공사중이라 지나서 다음 골목으로 내려갔다
15 ; 48. 레스토랑 manor를 지나 내려가선 우측으로 들판을 건너 건너편 능선을 넘어간다.
15 ; 59. 건너편 능선위.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국가생약자원관리쎈터. 다시 들판을 건너 2차선도로로 올라선다.
뒤 돌아 본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국가생약자원관리쎈터(우측끝 하얀집).
16 ; 13. 2차선도로. 아침에 올랐던 삼각점이 있는 359.9m 1보루에서 내려온 지능선이다. 좌측 186.3m으로가는 지능선엔 집이 있다.
좌측 길 아래로 이지당으로 가는 비포장길을 내려다 보며 2차선 도로를 따라 간다.
16 : 18. 환평리 갈림길. 온길 8구간 부소담악 4km. 좌측 아랫길 이지당 1km. 달빛마을 안내판.이지당 가는길엔 임도 차단기가 있다.
오백리길은 좌측 이지당으로 이어지지만 오늘 일정은 여기서 마치고 곧장 2차로를 따라 간다.
16 ; 25. 벚꽃길따라 산굽이를 돌아 내려가다 묘지위에서 노고성지로 해서 식장산으로 가는 산줄기와 옥천 장령산쪽을 조망하고
이백리(군북면사무소)
16 ; 31. 아침에 산행 시작한 환산등산로 입구에서 옷 갈아 입고.다시 굴다리를 지나 도로따라 좌측 이백 버스벙류장으로 간다.
16 : 40. 이백리(군북면사무소) 버스정류장도착.
16 ; 45. 대전행 607번버스타고(시계외요금1400). 사람이 많아 판암역에서 내려 지하철 타고
17 : 20. 대전역 대합실 도착.17 : 32분차는 역시 입석밖에 없고 예매한 6시 39분까지는 시간이 많아 18시 11분 새마을호로 바꾸고.
18 : 11. 새마을호로 대전역출발(4700원).
18 ; 58. 천안도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