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청호오백리길

대청호 오백리길 8 (안남면사무소-둔지봉 한반도전망대-막지봉-답양3교) 13.14코스.

산경표 2017. 5. 3. 14:01

 


대청호 오백리길 8 (안남면사무소-둔지봉 한반도전망대-막지봉-답양3교) 13.14코스.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  23.6km  (8시간 55분 ).

                                            
안남면 농협앞 버스종점-면사무소앞 사거리(12구간끝)-피실-둔주봉(382.7m)-한반도전망대- 575도로 인포리-
 신촌교삼거리(13구간끝)-탑산이-막지봉능선안부-
용문산(493m)-전망대(약 460m)-막지봉(520m)-장고개-답양3교

 

 

◈  일시 : 2017. 5. 1(월).


◈ 날씨 ;  가뭄이 심하고 무지덥다.

 

◈ 지도.

 

대청호 오백리길 8 (안남면사무소-둔지봉 한반도전망대-막지봉-답양3교) 13.14코스.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대청호 오백리길 8 (안남면사무소-둔지봉 한반도전망대-막지봉-답양3교) 13.14코스 지도1.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대청호 오백리길 8 (안남면사무소-둔지봉 한반도전망대-막지봉-답양3교) 13.14코스 지도2.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대청호 오백리길 8 (안남면사무소-둔지봉 한반도전망대-막지봉-답양3교) 13.14코스개념도.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현지 이정표에선 14-1. 14-2코스가 바꿔졌다.

 

◈ 트랙.

대청8(안남면-둔지봉-막지봉-답양3교).gpx

다음지도에서 보기

 

◈ 일정정리.

 

07 : 00. 천안에서 부산가는 무궁화호를  타고 옥천역으로(3900원). 8시 5분 도착.

09 : 00. 역앞 터미널에서 안남행 버스타고.기사분 전방 안보교육장에서 본 학생들의 반공의식이 한심하단다.

09 ; 40. 뺑뺑 돌아가 안남면 종점도착.곧장 도로따라 우체국,배바우장터,면사무소,보건소,소공원앞을 지난다.

09 ; 44. 사거리. 좌측은 소공원,연주교,도로건너 안남초교앞 2차선도로를 따라 간다.12구간끝나고 13구간 시작점이다.
            이정표 12구간 안남면사무소. 좌 12구간 가덕교 7.1km,우 한반도전망대 1.8km.앞 독락정 1.2km.뒤 13구간 인포리.

09 ; 56. 시원한 느티나무 그늘에 쉼터가 있는  독락정 경로당.

10 ; 03/8. 옥천 독락정(獨樂亭).비슷한 모양의 영모사(永慕祠)가 앞에 2개 있고 세 번째 건물이 독락정이다..
           선비들이 모여 답론을 하던 장소로 후대엔 서당으로 썻다. 1630 절충장군 중추부사를 지낸 초계 주몽득이 지었다.
           금강을 휘돌아가는 한반도지형이 멋있는데 앞에 커다란 농어촌공사건물이 거슬린다 .

10 : 35. 산모랭이를 돌아간 고성 등주봉 등산로입구(정상 1.9km.동락정2.2km.금정골 1km 이정표.바로전엔 벌꿀을 파는 집.
             잠시후 묵은 철문을 지나면 다시 이정표가 있고 우측에  등주봉가는 등산로가 있는데 길이 풀속에 묻혔다.
 
10 ; 50. 임도길이 끝나고 소로길이 되고 작은 도랑과 ←대청호 오백리길 →있는 작은 언턱을 넘어가 풀밭을 건너가면.

10 ; 59. 금정골 둔주봉등산로 입구. 둔주봉은 우측 능선위로 올라가고 피실은 직진해 대청호 물을 내려다 보며 토끼길로 간다.
          피실 1.4km.동락정 3.2km.등주봉정상 1.3km.오백리길은 여기서 둔주봉으로 오르나 피실을 들려갔다.

11 ; 12. 풀밭 조망처.피실마을의 집과 오대리능선,뒤로 탑산쪽에서 피실로 온 능선조망.다시 토끼길로 간다.

 11 : 22. 피실 삼거리. 금정골 1.2km. 둔주봉정상0.9km.
            피실이 건너다 보이고 우측으로 둔주산 오름능선길이 되고 좌측 밑 계곡에 임도가 골짜기를 따라 올라가고  있다.
          

11 ; 39. 한턱 올라서면 피실마을과 오대리능선과 그뒤로 장령지맥 이슬봉- 참나무골산능선과 탑산능선이 보기좋다.

12 ; 04/10. 다시 한오름 올라선 둔주봉(등주봉.382.7m). 묘와 등주봉(登舟峰)표지석 .마포에서 왔다는 친목회팀이 먼저와 있다.
          피실과 오대능선, 장령지맥 이슬봉과 환산능선. 금적지맥의 금적산과 국사봉을 짚어보고 좌측으로 내려간다.

12 ; 11. 바로아래 안부. 우측으로는 고성 하산길.

12 ; 23/47. 한반도전망대. 정자와 데크. 산불초소.떡으로 점심을 먹으며 한반도지형과 탑산.금적산, 국사봉,막지봉을 짚어본다.
            둔주봉정상 0.8km.등산로 입구 0.8km.둔주봉 정자 안내판.

12 ; 58. 점촌고개 세멘길. 리끼다 솔밭길따라 내려왔다.좌 피실나루터 1.5km. 우 안남면사무소 1km. 뒤 한반도전망대 0.8km.
       좌측으로 도로따라 3분쯤 내려가 치실로 내려가는 도로 삼거리에서 우측 점촌마을로 올라간다.좌측은 피실.

13 : 07. 점촌마을 끝.우측 수렛길로 가지 말고 좌측 ←대청호 오백리길 → 있는 산으로 오르는데 점점 족적이 흐릿해진다.

13 : 17.평평한 잡목숲.←대청호 오백리길 → 있는데 길은 없다.우측으로 올랐는데 좌측으로 오르느게 낫겠다.

13 ; 33. 305.4m봉 좌측 면경계능선위다. 좌측 표지판쪽에서 온 길이 나오고 우측으로 꺽어 내려가다 짐사후 다시 우측으로 내려간다.

13 ; 42. 오대리임도. 철탑에서 좌측으로 내려왔다.장령지맥 이슬봉과 환산, 막지봉. 안나중교와 대청호가 보인다. 
       마성산앞 오대리로 가는 능선으로 지난구간, 저지난구간에서 보던 섬이 아닌 섬인 오대리로 가는 임도다.
       

13 : 57. 도로따라 돌고돌아 내려가면 오지 빌리지가 나오고

14 : 02. 더 내려가서 고개를 넘어가며 넘어온 산길과 인포교 건너 이슬봉-참나무골산을 돌아 보고 계속 세멘길을 간다.

14 ; 10.   인포마을 575번도로.인포정정자와 인포마을비. 길건너엔 더함교회. 좌측 아래에 안내중교와 인포교 
             현위치 13. 화인. 우측 13구간 걸포리 1.2km. 좌 인포리 대청호반 0.7km..우측으로 575도로따라 간다.

14 ; 15. 575도로에서 좌측 세멘길로 산을 넘어간다. 화인삼거리. 좌 장계대교 2.5km.우 한반도전망대4.5km  앞 걸포리 0.8km.

14 ; 26. 고개위..표고 173m 나온다.둔주봉과 넘어온 305.4m 능선을 보고 세멘길따라 내려간다.

14 ; 34. 걸포마을. 옥천육씨 문중의 2층 큰 건물이 있다.

14 : 38. 37국도 걸포버스정류장 . 도로따라 우측으로 간다. 안내 현리 1km.  장령지맥 장계쪽 신촌교쪽이 보이고 


14 : 47. 현리 삼거리 신촌교. 13구간끝. 앞 안내면사무소쪽  안내습지공원 0.2km.뒷쪽 한반도 전망대 6.7km.
            좌측 신촌교 건너서는 14구간 장고개 6.4km.안내면사무소 뒤로 금적산-덕대산이 보인다.

 14 ; 50. 신촌교를 건너자마자 바로 좌측으로 내려가  우측 세멘길을 따라 간다.우  안내 옹기가마 0.5km.

14 ; 55. 새터마을입구의  느티나무밑 정자.우측길과 좌측길은  잠시후 현리교앞에서 만나 좌측 골짜기 안으로 들어간다.

15 : 13. 탑산이 세멘길 삼거리.우 장고개 4.6km. 뒤 안내습지공원 1.8km.오백리길은 우측 임도를 따라 올라가  
              앞산인 용문산-막지봏능선을 뒤로 돌아가나, 좌측 임도를 따라 들어가 바로 능선안부로 붙었다.

15 : 19. 공사중인 전원주택앞.집 좌측으로 도랑을 건너가 벌목지 우측으로 올라서 중간쯤에서 우측 계곡쪽으로  내려서
           정선김공묘 뒤로 오르다 우측 계곡을 건너 된비얄을 오르고 다시 좌측으로 건너갔다  우측 능선으로 붙어 오르는데
          경사도 심하고 길도 시원찮다. 표고 169m에서  고개위 451m까지 표고차 280m을 단번에 올리려니 힘이 든다.
 

15 ; 56/08.  고개위(451m).   ←대청호 오백리길 → 표지판은 내가 올라온 길로 올라와 고개를 넘어 임도로 가란다.
            잠시 쉬고  용문산- 막지봉능선을 탈려고  좌측으로 갔다.여기서부터 장고개까지는 4.3km는 대청호길이 아니다.
            이능선은 금적지맥 노성산(515.5m)에서 575도로에 내려서기 직전 503.6m 삼각점봉에서 내려온 능선이다.

16 : 19/22. 용문산(493m) .산불초소와 탑산이산성 표지석.길은 좋고 금적지맥의 금적산과 국사봉 뒤로 속리산군이 아른거린다.
          작진해 4분쯤 내려가다 직진능선길을 버리고 우측으로 뚝 떨여져 내려간다.

16 : 32/40. 둔덕봉을 넘어 우측으로 꺽어지는지점에서 앞쪽으로 몇 발짝 나가면 기막힌 전망대가 있다.
         맨좌측 금적산부터 국사봉, 팔음산군,오전에 오른 둔주봉과 지나주의 탑산능선. 발아래는 장계관광단지.이슬봉능선이 그림같다.
          이 기막힌 풍광을 보러 여길 왔다. 우측으로 꺽어 내려간다.색깔고운 철쭉꽃이 이제야 만발했다.

17 ; 14. 478.2m. 경사가 심한 미끄러운 낙엽길을 힘들게 올라간다.오름길에서 여간해선 쉬지를 않는데 중간에 한번 숨돌리고 올라왔다.
       작년 년말 송년산행으로 다녀가신 아름다운강산 정병훈, 하문자님 표지기가 반긴다. 우측으로 꺽어 막지봉을 보며 내려간다.

17 : 23. 바위구간인데 좌측 우회길이 있지만 올라가면 조망이 좀 트일까해서 직등해 올라보나 조망없다.

17 ; 30. 폐 산불초소. 지형도의  511.8m인데 막지봉 푯찰이 걸려있는 바로 앞봉이 더 높아 보인다.

17 : 31. 안부.좌측으로 뚜렷한 막지리 하산길이 보인다.

17 ; 32. 막지봉(약 520m).사단법인 옥천장룡산악화에서 건  막지봉(莫只峰. 516.9m)푯찰.우측이 아닌 좌측으로 내려간다.

17 : 40. 산불감시카메라.대청호가 살짝 보이나 시원찮다

17 ; 44. 갈림길.직진길이 좀더 낫고 좌측길은 뚝 떨어져 내려가는데 길이 시원찮다.
          지도를 보니 직진길은 임도로 내려가서 다시 좌측으로 와야 장고개이고
           좌측길은 면경계따라 바로 장고개로 가는길이기에 좌측을 따랐는데 내려가서 보니 직진길로 오는게 나은걸 그랬다.

18 ; 01. 묘를 지나 묘지길따라 임도에 내려섰다.임도따라 산중턱으로 돌아온 오백리길을 만난것이다.
             우측으로 올라가 보니 좀전 갈림길에서 내려온 능선에 표지기가 보이고
           몇발짝 더 올라가  답양3교앞으로 가는 능선을 확인하고 뒤 돌아 서 다시  임도따라 내려갔다.

18 ; 09/16. 장고개.2차선도로가 좌측 고개를 넘어 막지리로 가고 있다.우측 14구간 은운리종점 2.1km.내려온쪽 안내습지공원 6.4km.
            좌 14-2 막지리 2.5km.막지리쪽은 14-1이고 용호쪽이 14-2인데 이정표는 1,2구간이 바꿔졌다.
           고개넘어쪽엔 사각쉼터가 있고 대청호 건너로 지난번에 내려갔던 9구간시작점인 진걸선착장과 환산이 보인다.

18 ; 18. 바로 아래의 용호리 갈림길 삼거리.은운리 2km.좌측 14-1 용호리 4km.뒤 안내습지공원 6.5km.
          용호리 용강사 5km.이정표 용호리 4km 파주염씨사당.세거비표지석.임도개설비.←룡천사 900m.2차선도로따라 내려간다.

18 : 34/19 ; 02. 502번도로 답양3교. 좌 보은 은운리,우 옥천안내 도로 표지판 .답양리(양지골)버스정류장.용천사. 용강 대명사
           다리밑에서 대충씻고 7시 버스가 들어와 은운리쪽에서 회차해 2분후에 다시 나온다.

19 : 41. 안내면소재지 들려 옥천도착. 손님은 4명. 옥천역에서 서울행 기차는 18 : 43분이후엔 21: 32분에나 있다..

19 : 47. 607번 버스타고 대전으로 나온다. 대전시내구간이 막힐지도 몰라 20 ; 11 판암역에서 내려 지하철로 갈아타고

20 : 31. 대전역 대합실 도착하여 음료수 하나 마시고.

20 : 45. 예매한 ITX타고 .

21 ; 31. 천안역도착.

 

옥천역앞에 있는 향수 100리 자전거길 안내판.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옥천터미널 버스 시간표.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09 ; 40. 뺑뺑 돌아가 안남면 종점도착.
곧장 도로따라 우체국,배바우장터,면사무소,보건소,소공원앞을 지난다.

 

 

09 ; 44. 사거리.
좌측은 소공원,연주교,도로건너 안남초교앞 2차선도로를 따라 간다.12구간끝나고 13구간 시작점이다.
            이정표 12구간 안남면사무소. 좌 12구간 가덕교 7.1km,우 한반도전망대 1.8km.앞 독락정 1.2km.뒤 13구간 인포리.

 

 

09 ; 44. 사거리에서 뒤 돌아 본 소공원.


 

09 ; 56. 시원한 느티나무 그늘에 쉼터가 있는  독락정 경로당(우).

 

10 ; 03/8. 옥천 독락정(獨樂亭).
비슷한 모양의 영모사(永慕祠)등 사당이 앞에 2개 있고 세 번째 건물이 독락정이다..

 

10 ; 03/8. 옥천 독락정(獨樂亭).
           선비들이 모여 답론을 하던 장소로 후대엔 서당으로 썻다. 1630 절충장군 중추부사를 지낸 초계 주몽득이 지었다.
           금강을 휘돌아가는 한반도지형이 멋있는데 앞에 커다란 농어촌공사건물이 거슬린다 .

 

 

10 ; 03/8. 옥천 독락정(獨樂亭).

 

10 ; 03/8. 옥천 독락정(獨樂亭)에서 본 한반도지형.
앞건물은 수자원공사.
가운데 제일 높은봉이 탑산,좌측 산자락끝이 경율당.

우측 호반갓을 삥돌아간다.

 

옥천 독락정(獨樂亭)과 둔주봉(382.7m).

 

한반도지형의 남쪽 해안이 되겠다.
군데 군데 강태공들이 세월을 낚고 있다.

 

 

 차가 다닐수있는 비포장길이 산모랭이를 돌아서 까지 이어진다.

 

 

뒤돌아 본 독락정(獨樂亭)과 수자원공사.

 

연주리(독락정) 1km,등산로입구 1km지점에서 앞뒤 모습.

벌꿀을 파는 집.

 

10 : 35. 산모랭이를 돌아간 고성 등주봉 등산로입구(정상 1.9km.동락정2.2km.금정골 1km 이정표.바로전엔 벌꿀을 파는 집.
             잠시후 묵은 철문을 지나면 다시 이정표가 있고 우측에  등주봉가는 등산로가 있는데 길이 풀속에 묻혔다.

 

 

잠시후 묵은 철문을 지나면 다시 이정표가 있고 우측에  등주봉가는 등산로가 있는데 길이 풀속에 묻혔다.

 

 

 10 ; 50. 임도길이 끝나고 소로길이 되고 작은 도랑과 ←대청호 오백리길 →있는 작은 언턱을 넘어가 풀밭을 건너가면.

 

 

10 ; 59. 금정골 둔주봉등산로 입구.
둔주봉은 우측 능선위로 올라가고 피실은 직진해 대청호 물을 내려다 보며 토끼길로 간다.
          피실 1.4km.동락정 3.2km.등주봉정상 1.3km.오백리길은 여기서 둔주봉으로 오르나 피실을 들려갔다.

 

 

피실가는길은 직진해 대청호 물을 내려다 보며 토끼길로 간다.

 

11 ; 12. 풀밭 조망처에서 뒤 돌아 본 대청호와  탑산.

 

피실마을의 집과 오대리로 가는 능선.

 

 11 : 21. 피실 삼거리에서 뒤 돌아 본 탑산과 지나온 천변길(좌).

 11 : 22. 피실 삼거리. 금정골 1.2km. 둔주봉정상0.9km.
            피실이 건너다 보이고 우측으로 둔주산 오름능선길이 되고 좌측 밑 계곡에 임도가 골짜기를 따라 올라가고  있다.
          

 

11 ; 39. 한턱 올라서면 피실마을과 오대리능선과 그뒤로 장령지맥 이슬봉- 참나무골산능선과 탑산능선이 보기좋다.

탑산-피실능선.

 

피실.
오대리능선.
장령지맥 이슬봉(좌)-찬나무골산(우).

 

오대리로 가는 능선의 366m삼각점봉(좌)-376.5m(우)의 임도로 우측끝 넘어쪽에서
오후에 만날 임도다.


 

12 ; 04/10. 다시 한오름 올라선 둔주봉(등주봉.382.7m).
묘와 등주봉(登舟峰)표지석 .마포에서 왔다는 친목회팀이 먼저와 있다.
          피실과 오대능선, 장령지맥 이슬봉과 환산능선. 금적지맥의 금적산과 국사봉을 짚어보고 좌측으로 내려간다.

 

둔주봉(등주봉.382.7m)에서 본 피실과 장령지맥 이슬봉-참나무골산.


 

둔주봉(등주봉.382.7m)에서 본 금적지맥의 금적산(651.9m.우)-덕대산(575.1m. 가운데)과 가재봉(488m.좌).


 

12 ; 23/47. 한반도전망대.
정자와 데크. 산불초소.떡으로 점심을 먹으며 한반도지형과 탑산.금적산, 국사봉,막지봉을 짚어본다.
            둔주봉정상 0.8km.등산로 입구 0.8km.둔주봉 정자 안내판.

 

 

 

한반도지형과 탑산.

 

한반도지형과 탑산.둔주봉.

 

 탑산 좌측 넘어가 지난구간의 윗청동

 

돌려 본 한반도지형.우측이 경율당

 

 한반도전망대에서 본 금적지맥의 국사봉(475.1m)과 뒤로 백화산(933m)-주행봉(871m)군.

 

 

한반도전망대에서 본 금적지맥의 금적산9652m.우)-덕대산(575m.좌)

 

 

한반도전망대에서 한컷.

 



전국에는 한반도 모양을 한 지형이 여러곳 있는데  그중 몇 곳의 사진을 모아본다.



영월 한반도면 신암마을에 있는 한반도 지형으로 전국에 있는 여러개의 한반도 지형중
대표적인 한반도지형으로 면이름도 한반도면으로 개명한곳이다.
백덕지맥 마지막 끝지점으로 건너편 전망대에서 찍은 사진이다.



전망대에서 졸업사진.


좌측부터 정영옥님.김권봉님.홍완섭님.최덕조님.현주환님.강형태님.정택호님.이선우님.하문자님.정병훈님.
김형식님.오세춘님.고래님.최평칠님.나.이성모님은 사진찍고 김복희님과 김갑둘님은 혼빠진다고 안찍고 홍기표님은 사진찍고 계셔서 빠졌다.

오를로서 백덕지맥을 모두 마치고 이어서다음 26일부터는 역시 2,4주로 칠봉지맥을 이어갑니다.
영등포 경방필앞에서 6시30분 양재역 에서 7시에 출발하니 착오 없으시기 바랍니다.
.



 정선 상장바위산에서 본 한반도지형으로 금대지맥 마지막 구간에 있다.

 

15 : 08/14.상정바위산 암벽위에서 본  한반도지형.

 

 

 

땡겨 본  한반도지형.



위와같은장소인데 인터넷에서 퍼온 사진이다.



 

 충북 영동의 월유봉에서 본 한반도지형이다.

 

 

 나주시 영산강 느러지의 한반도지형이다.

 

 


강원도 양구군의 인공으로 만든 한반도섬
성골지맥을 하고 나오며 보인다.

 


안동 길안면에 있는 천지갑산 1봉에서 본 한반도지형


 

12 ; 58. 점촌고개 세멘길.
리끼다 솔밭길따라 내려왔다.좌 피실나루터 1.5km. 우 안남면사무소 1km. 뒤 한반도전망대 0.8km.
       좌측으로 도로따라 3분쯤 내려가 치실로 내려가는 도로 삼거리에서 우측 점촌마을로 올라간다.좌측은 피실.

 

 

점촌마을에서 뒤 돌아 본 둔주봉(우끝).

13 : 07. 점촌마을 끝.우측 수렛길로 가지 말고 좌측 ←대청호 오백리길 → 있는 산으로 오르는데 점점 족적이 흐릿해진다.

 

 

13 : 17.평평한 잡목숲.←대청호 오백리길 → 있는데 길은 없다.
우측으로 올랐는데 좌측으로 오르느게 낫겠다.

 

 

13 ; 33. 305.4m봉 좌측 면경계능선위다.
좌측 표지판쪽에서 온 길이 나오고 우측으로 꺽어 내려가다 짐사후 다시 우측으로 내려간다

 

 

13 ; 42. 오대리임도.
철탑에서 좌측으로 내려왔다.장령지맥 이슬봉과 환산, 막지봉. 안나중교와 대청호가 보인다. 
       마성산앞 오대리로 가는 능선으로 지난구간, 저지난구간에서 보던 섬이 아닌 섬인 오대리로 가는 임도다.


 

 오대리임도를 따라 내려오며 본 장령지맥의 이슬봉(좌)-참나무골산(중)-지맥끝 장계(우끝).
우측뒤로 보이는 능선은 7-1구간인 환산능선.
우측 산밑에 안내중교와 그 좌측 대청호에 인포교가 보인다.

 

 

 오대리임도를 따라 내려오며 본 장령지맥 긑자락과 뒤로 환산.
좌측에 인포교와 안내중교.우측 끝에 하얀고개로 넘어갈것이다.

 

 

 오대리임도판앞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내려간다.

 

 

13 : 57. 도로따라 돌고돌아 내려가면 오지 빌리지가 나오고

14 : 02. 더 내려가서 고개를 넘어가며 넘어온 산길과 인포교 건너 이슬봉-참나무골산을 돌아 보고 계속 세멘길을 간다.


 

14 ; 10.   인포마을 575번도로.
인포정정자와 인포마을비. 길건너엔 더함교회. 좌측 아래에 안내중교와 인포교 
             현위치 13. 화인. 우측 13구간 걸포리 1.2km. 좌 인포리 대청호반 0.7km..우측으로 575도로따라 간다.

 

 인포마을비.
역(驛)이 있었단다.

 

 

14 ; 15. 575도로에서 좌측 세멘길로 산을 넘어간다.
화인삼거리. 좌 장계대교 2.5km.우 한반도전망대4.5km  앞 걸포리 0.8km.

 

 

14 ; 26. 고개위..표고 173m 나온다.
둔주봉(우측뒤로 살짝)과 넘어온 305.4m (가운데뒷봉)능선을 보고 세멘길따라 내려간다.

 

 

14 ; 26. 고개위에서 본 앞쪽모습.
금적지맥에서 막지봉으로 가는 능선일것이다.

 

걸포마을. 옥천육씨 문중의 2층 큰 건물이 있다.

 

 

14 : 38. 37국도 걸포버스정류장앞 제방에 올라서 본 장령지맥 이슬봉(우)-참나무골산(좌) .
도로따라 우측으로 간다. 안내 현리 1km.  장령지맥 장계쪽 신촌교쪽이 보이고 .

 

 

14 : 47. 현리 삼거리 신촌교에서 본 안내면소재지뒤로 금적산(우)-덕대산(중)-가재봉(좌) .
 13구간끝. 앞 안내면사무소쪽  안내습지공원 0.2km.뒷쪽 한반도 전망대 6.7km.
            좌측 신촌교 건너서는 14구간 장고개 6.4km.

 

우측 안내습지공원과 안내면소재지인 현리 .

 

 

 14 ; 50. 신촌교를 건너자마자 바로 좌측으로 내려가  우측 세멘길을 따라 간다.우  안내 옹기가마 0.5km.

 

모내기가 시작됐고 감자밭은 제법 어울렷다.

 

 

14 ; 55. 새터마을입구의  느티나무밑 정자.
우측길과 좌측길은  잠시후 현리교앞에서 만나 좌측 골짜기 안으로 들어간다.

 

현리교앞에서 만나 좌측 골짜기 안으로 들어간다

 

15 : 13. 탑산이 세멘길 삼거리.표고 169m를 가르킨다.

우 장고개 4.6km. 뒤 안내습지공원 1.8km.오백리길은 우측 임도를 따라 올라가  
              앞산인 용문산-막지봏능선을 뒤로 돌아가나, 좌측 임도를 따라 들어가 바로 능선안부로 붙었다.

 

15 : 19. 공사중인 전원주택앞.집 좌측으로 도랑을 건너가 벌목지 우측으로 올라서 중간쯤에서 우측 계곡쪽으로  내려서
           정선김공묘 뒤로 오르다 우측 계곡을 건너 된비얄을 오르고 다시 좌측으로 건너갔다  우측 능선으로 붙어 오르는데
          경사도 심하고 길도 시원찮다. 표고 169m에서  고개위 451m까지 표고차 280m을 단번에 올리려니 힘이 든다.
 

 

 

15 ; 56/08.  고개위(451m). 
  ←대청호 오백리길 → 표지판은 내가 올라온 길로 올라와 고개를 넘어 임도로 가란다.
            잠시 쉬고  용문산- 막지봉능선을 탈려고  좌측으로 갔다.여기서부터 장고개까지는 4.3km는 대청호길이 아니다.
            이능선은 금적지맥 노성산(515.5m)에서 575도로에 내려서기 직전 503.6m 삼각점봉에서 내려온 능선이다.

 

 

16 : 19/22. 용문산(493m) .
산불초소와 탑산이산성 표지석.길은 좋고 금적지맥의 금적산과 국사봉 뒤로 속리산군이 아른거린다.
          작진해 4분쯤 내려가다 직진능선길을 버리고 우측으로 뚝 떨여져 내려간다.

 

 

16 : 19/22. 용문산(493m)에서 본 금적산(좌)-하마산(중)-국사봉(맨우측인데 안보임)능선.
가운데 나무뒤가 듬치재(정방재)이고 그 뒷산은 삼승산(575m.좌)-관모산(582m.우) .


 

16 : 32/40. 둔덕봉을 넘어 우측으로 꺽어지는지점에서 앞쪽으로 몇 발짝 나가면 기막힌 전망대가 있다.
         맨좌측 금적산부터 국사봉, 팔음산군,오전에 오른 둔주봉과 지나주의 탑산능선. 발아래는 장계관광단지.이슬봉능선이 그림같다.
          이 기막힌 풍광을 보러 여길 왔다. 우측으로 꺽어 내려간다.색깔고운 철쭉꽃이 이제야 만발했다.

 

장령지맥의 끝인 장계관광단지.

 

 

기막힌 전망대에서 다시 한번 돌아보고.

 

 

조금가면 전망대에서 안보였던 장령지맥이 보이고

 

조금가면 전망대에서 안보였던 장령지맥이 보이고 철쭉꽃이 이제야 만발햇다.

 

17 ; 14. 478.2m. 경사가 심한 미끄러운 낙엽길을 힘들게 올라간다.오름길에서 여간해선 쉬지를 않는데 중간에 한번 숨돌리고 올라왔다.
       작년 년말 송년산행으로 다녀가신 아름다운강산 정병훈, 하문자님 표지기가 반긴다. 우측으로 꺽어 막지봉을 보며 내려간다.

 

17 : 23. 바위구간인데 좌측 우회길이 있지만 올라가면 조망이 좀 트일까해서 직등해 올라보나 조망없다.

 

17 ; 30. 폐 산불초소. 지형도의  511.8m인데 막지봉 푯찰이 걸려있는 바로 앞봉이 더 높아 보인다.

17 : 31. 안부.좌측으로 뚜렷한 막지리 하산길이 보인다.

 

17 ; 32. 막지봉(약 520m).
사단법인 옥천장룡산악화에서 건  막지봉(莫只峰. 516.9m)푯찰.우측이 아닌 좌측으로 내려간다.

 

 

17 : 40. 산불감시카메라.대청호가 살짝 보이나 시원찮다

 

17 ; 44. 갈림길.직진길이 좀더 낫고 좌측길은 뚝 떨어져 내려가는데 길이 시원찮다.
          지도를 보니 직진길은 임도로 내려가서 다시 좌측으로 와야 장고개이고
           좌측길은 면경계따라 바로 장고개로 가는길이기에 좌측을 따랐는데 내려가서 보니 직진길로 오는게 나은걸 그랬다.

 

묘에서 본 용호리가는 능선.

 

18 ; 01.  묘를 지나 묘지길따라 임도에 내려섰다.
임도따라 산중턱으로 돌아온 오백리길을 만난것이다.
             우측으로 올라가 보니 좀전 갈림길에서 내려온 능선에 표지기가 보이고
           몇발짝 더 올라가  답양3교앞으로 가는 능선을 확인하고 뒤 돌아 서 다시  임도따라 내려갔다.

 

임도에 내려서 좌측 인삼밭위에서 본 장고개(인삼밭아래)와 장고개에서 용호리로 가는 능선모습.

 

 

18 ; 09/16. 장고개.
2차선도로가 좌측 고개를 넘어 막지리로 가고 있다.우측 14구간 은운리종점 2.1km.내려온쪽 안내습지공원 6.4km.
            좌 14-2 막지리 2.5km.막지리쪽은 14-1이고 용호쪽이 14-2인데 이정표는 1,2구간이 바꿔졌다.
           고개넘어쪽엔 사각쉼터가 있고 대청호 건너로 지난번에 내려갔던 9구간시작점인 진걸선착장과 환산이 보인다.

 

대청호 건너로 지난번에 내려갔던 9구간시작점인 진걸선착장과 환산이 보인다.

 

진걸선착장(맨우측)-백토산통신탑(우측1/3 나무가지아래)-마성산(맨 좌측봉)
뒤로 흐릿한 산은 서대산(좌).식장산(우).

 

 

18 ; 18. 바로 아래의 용호리 갈림길 삼거리.
은운리 2km.좌측 14-1 용호리 4km.뒤 안내습지공원 6.5km.
          용호리 용강사 5km.이정표 용호리 4km 파주염씨사당.세거비표지석.임도개설비.←룡천사 900m.2차선도로따라 내려간다.

 

뒤돌아 본 장고개와 막지봉.

 

18 : 34/19 ; 02. 502번도로 답양3교.
좌 보은 은운리,우 옥천안내 도로 표지판 .답양리(양지골)버스정류장.용천사. 용강 대명사
           다리밑에서 대충씻고 7시 버스가 들어와 은운리쪽에서 회차해 2분후에 다시 나온다.

 

18 : 34/19 ; 02. 502번도로 답양3교.
좌 보은 은운리,우 옥천안내 도로 표지판 .답양리(양지골)버스정류장.용천사. 용강 대명사
           다리밑에서 대충씻고 7시 버스가 들어와 은운리쪽에서 회차해 2분후에 다시 나온다.

19 : 41. 안내면소재지 들려 옥천도착. 손님은 4명. 옥천역에서 서울행 기차는 18 : 43분이후엔 21: 32분에나 있다..

19 : 47. 607번 버스타고 대전으로 나온다. 대전시내구간이 막힐지도 몰라 20 ; 11 판암역에서 내려 지하철로 갈아타고

20 : 31. 대전역 대합실 도착하여 음료수 하나 마시고.

20 : 45. 예매한 ITX타고 .

21 ; 31. 천안역도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