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포문화숲길 8. 20. 19-1코스 (면천읍성-아미산-양지말).
내포문화숲길 8. 20. 19-1코스 (면천읍성-아미산-양지말).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 18km (6시간 46분.쉬엄쉬엄 ).
20코스 백제부흥군길 : 면천읍성-면천향교-구절산사거리-몽산(299.3m)-아미산(349m)-봉암산(81.4m)
19-1코스 : 봉암산(81.4m)-송정마을-용연동-용천교 양지말
◈ 일시 : 2018. 2. 10(토).
◈ 날씨 ; 천안 5.6도/-6.4도로 잠시 날이 풀려 푹하다.
◈ 지도.
내포문화숲길 20코스 안내도.
내포문화숲길 19, 19-1코스 안내도.
내포문화숲길 8. 20. 19-1코스 (면천읍성-아미산-양지말).지도1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내포문화숲길 8. 20. 19-1코스 (면천읍성-아미산-양지말).지도2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내포문화숲길 8. 20. 19-1코스 (면천읍성-아미산-양지말).지도3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 트랙.
내포8. 20. 19-1코스(면천읍성-아미산-양지말).gpx
◈ 일정정리.
06 ; 40. 천안터미널에서 합덕,당진가는 버스를 타고 합덕으로 감(5700원).
07 : 55/08: 00. 합덕터미널에 도착하여 45번 시내버스 타고 면천으로 감(1350원).
합덕에서 면천가는 45번 버스는 06 ; 40. 07.05(42-1). 07: 30. 08: 00.08.30. 09.30...
08 ; 20/23. 면천읍성앞 면천정류소 하차.면천에서 구룡리(17코스 승전곡방향)-신성대(19코스)-당진가는 버스는
07.00. 07.50.08.20(지금 타고온 차는 공휴일운휴). 08.50. 09.50. 이후는 매시 50분에 있다.
면천읍성은 합덕제에서 시작한 16코스 종점인 동시에 대덕산입구에서 온 20코스종점이며
승전곡으로 가는 17코스 시작점이다.20코스를 역으로 간다.17코스 안내판. 인증대. 면천향교 0.73km.
면천읍성은 충남 기념물 91호로 면천군지 표지석.당진 면천읍성 안내판.당진의병전투지-면천성안내판. .
08 ; 26. 언덕길로 올라간 면천관아 정문 누각인 풍락루. 옆엔 옛초등학교와 천연기념물 551호인 1100된 은행나무 2그루.
08 ; 29. 면천공립보통학교의 3.10학생독립운동기념비와 고려 공민왕때 지었다는 면천 군자정.
08 ; 39. 골정지.쉼터와 골정지 한가운데엔 연암 박지원이 지었다는 건곤일초정(乾坤一草亭)정자.
08 : 44. 면천향교앞.도지정기념물 141호로 향교는 관립교육기관.
09 ; 00. 전원주택을 지나 오른 면경계능선.집2채.계속세멘길을 따라 서서히 오른다.
09 : 17. 구절산사거리.석문지맥을 만난다. 우측은 구절산, 좌측은 몽산.좌측 세멘길을 따라 오른다.
16코스 시작점인 합덕가 16.1km. 20코스 시작점인 대덕산입구 9.8km.면천읍성 2.2km.
09 ; 22. 공동묘지를 지난 임도길과 능선길 갈림점. 두길은 아미산아래에서 다시 만난다.
날이 더워 덧옷 하나 벗어 가방에 넣고 좌측 능선길로 올랐다.
09 ; 33/48. 몽산(夢山.299.4m).여영님의 석문지맥 몽산 299m푯찰과 아미산 안내도.벤취에서 커피 한 잔.
09 ; 50/52. 내려선 안부.쉼터와 운동기구.성곽에 대한 얘기와 면천지방 관광지 안내판.우측으로 내려간다.아미산 1.5km.
10 ; 11. 송학정 정자. 좌측에서 온 임도를 만나고 바로앞에서 좌측으로 승전목가는 임도 삼거리가 나온다.
10 : 23. 쉼터가 있는 둔덕을 넘어간 아미산 아래 임도삼거리.몽산아래 공동묘지에서 헤어진 임도를 만난다.
능선길과 임도길이 다시 갈린다.능선길로 간다.내포문화숲길안내도.몽산성 마룻길 안내도.아미산 안내도
10 ; 41/58. 긴 계단을 올라간 아미산(峨嵋山.350.9m).아미정 정자. 당진25. 1985재설 삼각점.조망 안내판.산불감시 카메라.
인천에서 왔다는 5명이 산신제를 지내고 있다. 아랫동네 노인 5명과 같이 떡 얻어먹고 푹 쉬어간다.
11 ; 10. 안부건너 작은 배미산(아미산 제2봉).넓은공터.아미산이 머리만 살짝 보인다.
11 ; 27. 좌측으로 돌아온 임도. 쉼터와 아미산,내포문화숲길 안내도.임도따라 우측으로 간다.앞봉 넘어는 정토사.
11 : 34. 우측에 음료대와 야외교실.계속 임도따라 산 허리를 돌아간다.
11 ; 40. 임도버리고 좌측 능선으로 내려간다. 바로 아래에 내포숲길쉼터정자.아미산2봉에서 내려오는 능선이다.
11 ; 46. 음고개 세멘길.뒤로 아미산과 2봉이 보인다.소나무숲길이 이어진다.
11 ; 50/02. 양녕대군 후손묘지와 양녕대군 해설판.중간 이정표가 양녕대군이라 무슨 연관이 있나 궁금했다. 묘끝에서 쉬어간다.
12 : 09/13. 죽동리소나무길 갈림점. 좌측으로 가다 돌아왔는데 좌우길 어느길로 가든 고속도로앞에서 다시 만난다.
내포문화숲길 홈피의 트랙은 직진했는데 최근에 좌측 죽동리 소나무길을 새로 낸듯 싶다.
12 : 18. 서해안고속도로옆.새로만든 이정표. 좀전 좌측으로 갔던길이 이리로 나온다.
아미산 3km. 갈신리. 죽동리와 아미산 3.85km. 대덕산입구 3.7km로 두 이정표 거리가 다르다.
12 : 21. 서해안고속도로 지하통로 통과
12 ; 34. 좌측에서 올라온 면 경계능선. 우측으로 꺽어 소나무숲길을 간다. 좌측에 정자와 운동기구.눈티고개0.98km
12 : 44. 145.4m봉.공동묘지가 시작되고 앞에 통신탑2개가 보인다.아미산과 다불산으로 건너가는 구름다리도 보인다.
12 ; 48. 공동묘지끝에 내포문화숲길 종합안내판과 그뒤에 이동통신탑과 삼각점.
눈티고개 0.28km.죽동리 소나무1.64km 통신탑 뒷쪽은 대하산업의 채석장 절개지다.
12 ; 53. 눈티고개 서낭당 안내판.소나무숲길은 대로로 좋다.
12 ; 56. 눈티(치)고개.우측은 채석장진입로. 길 건너 위엔 대덕공원 대형표지석
12 : 59/13.11. 대덕공원에서 떡과 커피로 간식.지나온 채석장뒤의 통신탑이 보인다.
13 ; 20. 서서히 올라간 팔각정쉼터.여기가 대덕산인지 봉암산(81.4m)이 대덕산인지
이정표와 내포숲길안내도엔 대덕산이 있는데 어디도 대덕산 표시는 없다.계속 소나무숲길이 이어진다.
13 ; 30. 세멘길 삼거리 고개에 내려섰다. 상송마을뒤다. 세멘길은 잠시후 비포장길로 된다.
13 ; 38. 삼거리다. 직진은 대덕산입구 (수변공원) 0.6km.좌측 양지말 3.86km로 간다. 형제바위 0.55km
20코스는 직진해 600m 내려가서 끝나지만 생략하고 19-1코스를 이어갈려고 좌측으로 간다.
13 : 40. 쉼터와 내포숲길종합안내도가 있는 삼거리.좌측은 앞의 봉암산을 넘어와 좌측 양지말(3.84km)로 가는
19-1코스다. 직진해 앞봉(81.4m. 봉암산)에 올랐다가 다시 내려와 19-1코스를 갈 것이다.
13 : 46/57. 81.4m(안내도의 대덕산?. 봉암산)정자.송정도시숲안내도엔 이봉을 봉암산전망대라 했다. 당진시가 내려다 보인다.
600m쯤 내려가면 19-1코스 시작점이고 바로 아래에 형제바위가 있다는데 주민말이 볼것없다고 해서
잠시 쉬었다 되돌아 내려간다. 100m만 내려가면 형제바위인데 갔다 올걸 그랬다.
14 ; 03. 다시 내려온 삼거리에서 우측 송정마을로 내려간다.형제바위 0.32km.양지말 3.84km. 눈티고개 2.02km
14 : 10. 송정마을에서 좌측으로 작은 다리를 건너 세멘농로를 간다.양지말 3.30km.대덕산0.54km.
14 ; 15, 2차선도로를 건너 용현2통 세멘길로 올라간다.양지말 2.98km. 대덕산 0.86km.
14 : 23. 한우농장을 지난 고개위.눈치고개에서 내려온 능선이다.양지말 2.46km.
새로 말끔히 포장한 포장길을 따라 운동기구와 쉼터를 지나간다.
14 : 39. (주)석영에스텍앞을 지난다.
14 ; 43. 2차선도로를 만나 우측으로 따라간다.양지말 1.3km. 잠시후안녕히 가십시요. 용현2통 표지석.
14 : 53. 용현1통마을회관앞.
14 : 59. 용현천을 건너는 용현교.우측에 용현 버스정류장.양지말 0.24km.대덕산 3.6km.우측으로 도로따라 간다.
15 ; 01. 희네슈퍼를 지나며 좌측으로 간다.
15 ; 05. 역천을 건너는 용천교. 19-1코스 종점이며 안국사지에서 영랑사로 가는 19코스를 만난다.
. 양지 말(역말)안내판. 19코스 안내판. 영랑사 6.36km, 대덕산 3.84km, 역천(안국사) 4.24km.
역천을 건너 다시 용연 버스 정류장으로 돌아간다.
15 : 09. 용현 버스정류장. 짐챙길 여유도 없이 바로 당진가는 버스가 도착한다.
15 : 25. 당진버스터미널도착.
15 ; 55. 당진에서 천안행버스탐(7200원).
17 : 35. 기지시, 신평,합덕, 신례원, 아산 경유 천안도착.
06 ; 40. 천안터미널에서 합덕,당진가는 버스를 타고 합덕으로 감(5700원).
07 : 55/08: 00. 합덕터미널에 도착하여 45번 시내버스 타고 면천으로 감(1350원).
합덕에서 면천가는 45번 버스는 06 ; 40. 07.05(42-1). 07: 30. 08: 00.08.30. 09.30...
08 ; 20/23. 면천읍성앞 면천정류소 하차.면천에서 구룡리(17코스 승전곡방향)-신성대(19코스)-당진가는 버스는
07.00. 07.50.08.20(지금 타고온 차는 공휴일운휴). 08.50. 09.50. 이후는 매시 50분에 있다.
면천읍성은 합덕제에서 시작한 16코스 종점인 동시에 대덕산입구에서 온 20코스종점이며
승전곡으로 가는 17코스 시작점이다.20코스를 역으로 간다.17코스 안내판. 인증대. 면천향교 0.73km.
면천읍성은 충남 기념물 91호로 면천군지 표지석.당진 면천읍성 안내판.당진의병전투지-면천성안내판. .
면천 버스 정류소에서 본 면천읍성.
면천 버스 정류소에서 시내버스시간표.
구룡리(17코스 승전곡방향)-신성대(19코스)-당진가는 버스는
07.00. 07.50.08.20(지금 타고온 차는 공휴일운휴). 08.50. 09.50. 이후는 매시 50분에 있다.
면천읍성은 합덕제에서 시작한 16코스 종점인 동시에 대덕산입구에서 온 20코스종점이며
승전곡으로 가는 17코스 시작점이다.20코스를 역으로 간다.17코스 안내판. 인증대. 면천향교 0.73km.
당진면천읍성 (唐津沔川邑城)
1993년 12월 31일 충청남도기념물 제91호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 초기에 쌓은 전형적인 평지 읍성(邑城)으로,
기록에 따르면 성의 둘레는 3,235자(약 986m), 높이는 15자(약 4.5m)이고 적대(敵臺:망루)가 7곳, 문이 3곳, 옹성(甕城)이 1곳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지금은 서쪽 성벽 일부의 성돌만이 남아 있으며, 성돌에 기미년(己未年)이라 새겨져 있는 것과 1439년(세종 21)에 이 성을 쌓았다는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으로 미루어, 성돌에 새겨진 기미년은 이 성을 쌓은 연대임을 알 수 있다.
현재 면천면사무소·보건지소·노인정·면천초등학교 등을 둘러싸고 있다. 조선시대 관방(關防) 시설 연구의 귀중한 자료이다.
08 ; 26. 언덕길로 올라간 면천관아 정문 누각인 풍락루. 옆엔 옛초등학교와 천연기념물 551호인 1100된 은행나무 2그루.
면천관아 정문 누각이었던 풍락루.
풍락루 옆의 옛초등학교와 탑뒤로 천연기념물 551호인 1100된 은행나무 2그루.
이 은행나무는 1910년대 한일 합방 후 면천초등학교를 건립할 때 터를 닦기 위해 흙으로 매워져 높이가 2.3m는 묻혔고
일제시대 때만 해도 백로가 많이 날아와 앉아 장관을 이루었다고 한다. 일제강점기에도 조선총독부 지정 보호수였다고 한다.
08 ; 29. 면천공립보통학교의 3.10학생독립운동기념비와 고려 공민왕때 지었다는 면천 군자정(君子亭).
연못을 건너서 정자로 가는 돌다리는 고려 때 조성한 것으로 길이 7.4m, 폭 65cm이며 4개의 자연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정자 옆에는 이태백이 썼다는 『낭관호』라는 글씨가 새겨진 비석이 있다.
면천 군자정(君子亭)과 정자앞에 있는 낭관호.
정자 옆에는 이태백이 썼다는 『낭관호』라는 글씨가 새겨진 비석이 있다.
연못을 건너서 정자로 가는 돌다리는 고려 때 조성한 것으로 길이 7.4m, 폭 65cm이며 4개의 자연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08 ; 39. 골정지.쉼터와 골정지 한가운데엔 연암 박지원이 지었다는 건곤일초정(乾坤一草亭)정자.
조선정조 24년(1800년) 경신년에 면천군수 연암 박지원(朴趾源1737∼1805)이 세웠다.
골정지 한가운데에 돌을 쌓아 작은 섬을 만들고
그곳에 육각형의 초정을 세워 건곤일초정이라는 현판을 걸었는데
현판이름은 두보의 시에서 따온 말이다.
이곳은 향교와 가깝고 주역의 태괘형상으로 되어있어 향교 유생들이 자주 머물러 시를 읊고
학문을 익히기도 하였으며 은자의 정취가 있었던 곳이다.
건곤일초정으로 건너는 다리는 당시 널조각으로 된 부교로 되어 있었으나
현재 유지 관리상 돌다리로 하였다. 오늘에 이르러 건곤일초정을 복원하게 된 것은 보람이며
이를 계기로 우리 문화유산을 더욱 아끼고 보존하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연꽃으로 가득한 골정지(骨井池)라 불리는 약 9,900m²의 연못에 예전처럼 인공섬을 만들고
그 위에 약 33m² 크기의 초정(草亭)을 지은 후 돌다리를 놓았다
08 : 44. 면천향교앞.도지정기념물 141호로 향교는 관립교육기관.
지난번에 들려서 오늘은 그냥 지나쳤다.
면천향교는 다른 지역의 향교들과 달리 최초 창건 위치를 이동하지 않은 몇개 안되는 향교로서,
조선초기의 향교입지 형태를 규명하는데 귀한 자료가 될 것이다.
현재의 위치는 신증동국여지승람의 군에서 동쪽으로 2리 떨어져 있다는 기록과도 일치하고 있다.
면천향교의 건립시기는 다른 향교들처럼 1413년(태종 13년)에 창건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창건이후의 면천향교 변화를 알 수 있는 최초의 기록은 1716년(숙종 42년) 학교등록의 기사로
여기에 면천향교의 대성전 서벽과 신문을 수리한 사실이 적혀있다.
그러나 이 이후 몇차례에 걸친 중수와 보수가 있었을 것이지만, 기록으로 전해지는 것이 없다.
1980년대 이후의 향교 보수로는 1983년 대성전 보수, 1985년 명륜당 보수, 1986년 동서재 보수가 이루어졌다.
면천향교는 전면에 넓은 들을 두고 약한 구릉지를 배경으로 전학후묘식 배치를 하고 있다.
외삼문을 들어서면 중심축에서 약간 서로 치우쳐 명륜당이 배치되고, 명륜당 북측 좌우에 동재와 서재가 배치된다.
정확하지는 않지만 명륜당과 동서 양재가 마당을 두고 u자형으로 배치된 형상이다.
마당 북편에 한단 높은 대지를 조성하여 대성전과 동서 양무를 배치하였다. 즉, 묘당공간이 된다.
묘당공간 중심부에는 종방향으로 긴 중정을 두고 있는데 동서 양무의 간격이 대성전과 내삼문 사이보다 좁기 때문에
이러한 정형화 되지 못한 중정이 만들어지게 되었다. 이것은 향교의 대지조건이 종방향으로 길게 만들어진 계획조건 때문이기도 하다.
묘당공간을 둘러싸는 담은 대개 외삼문 측벽에서 횡으로 이어져 외곽담과 연결되는데 여기서는 외삼문에서 동서 양무 벽에 닿게 담을 두었다.
면천향교.
면천향교 전경.지난번16코스에서 찍은 사진이다.
09 ; 00. 전원주택을 지나 오른 면경계능선.집2채.계속세멘길을 따라 서서히 오른다.
09 : 17. 구절산사거리.석문지맥을 만난다. 우측은 구절산, 좌측은 몽산.좌측 세멘길을 따라 오른다.
16코스 시작점인 합덕가 16.1km. 20코스 시작점인 대덕산입구 9.8km.면천읍성 2.2km.
09 ; 22. 공동묘지를 지난 임도길과 능선길 갈림점. 두길은 아미산아래에서 다시 만난다.
날이 더워 덧옷 하나 벗어 가방에 넣고 좌측 능선길로 올랐다.
공동묘지끝에서 뒤 돌아 본 구절산(뒷봉).
09 ; 33/48. 몽산(夢山.299.4m).여영님의 석문지맥 몽산 299m푯찰과 아미산 안내도.벤취에서 커피 한 잔.
09 ; 50/52. 내려선 안부.쉼터와 운동기구.성곽에 대한 얘기와 면천지방 관광지 안내판.우측으로 내려간다.아미산 1.5km.
성(城)공부좀 해 보자.
송학정 정자로 내려가며 본 좌측 多佛山.321.3m.
10 ; 11. 송학정 정자. 좌측에서 온 임도를 만나고 바로앞에서 좌측으로 승전목가는 임도 삼거리가 나온다.
10 : 23. 쉼터가 있는 둔덕을 넘어간 아미산 아래 임도삼거리.몽산아래 공동묘지에서 헤어진 임도를 만난다.
능선길과 임도길이 다시 갈린다.능선길로 간다.내포문화숲길안내도.몽산성 마룻길 안내도.아미산 안내도
10 ; 41/58. 긴 계단을 올라간 아미산(峨嵋山.350.9m).아미정 정자. 당진25. 1985재설 삼각점.조망 안내판.산불감시 카메라.
인천에서 왔다는 5명이 산신제를 지내고 있다. 아랫동네 노인 5명과 같이 떡 얻어먹고 푹 쉬어간다.
아미산(峨嵋山.350.9m)에서 본 다불산(앞)과 이배산(뒤).
아미산(峨嵋山.350.9m)에서 본 몽산(夢山.299.4m. 좌) 과 234.2m(우).
아미산(峨嵋山.350.9m)에서 본 몽산(夢山.299.4m. 우) 과 구절산(좌).
아미산(峨嵋山.350.9m)에서 본 작은배미산(아미산 2봉.앞).
11 ; 10. 안부건너 작은 배미산(아미산 제2봉).넓은공터.아미산이 머리만 살짝 보인다.
작은 배미산(아미산 제2봉)앞봉.
11 ; 27. 좌측으로 돌아온 임도. 쉼터와 아미산,내포문화숲길 안내도.임도따라 우측으로 간다.앞봉 넘어는 정토사.
11 : 34. 우측에 음료대와 야외교실.계속 임도따라 산 허리를 돌아간다.
11 ; 40. 임도버리고 좌측 능선으로 내려간다. 바로 아래에 내포숲길쉼터정자.아미산2봉에서 내려오는 능선이다.
11 ; 46. 음고개 세멘길.뒤로 아미산과 2봉이 보인다.소나무숲길이 이어진다.
11 ; 46. 음고개에서 뒤 돌아 본 아미산과 2봉.
11 ; 46. 음고개.
11 ; 50/02. 양녕대군 후손묘지와 양녕대군 해설판.중간 이정표가 양녕대군이라 무슨 연관이 있나 궁금했다. 묘끝에서 쉬어간다.
12 : 09/13. 죽동리소나무길 갈림점. 좌측으로 가다 돌아왔는데 좌우길 어느길로 가든 고속도로앞에서 다시 만난다.
내포문화숲길 홈피의 트랙은 직진했는데 최근에 좌측 죽동리 소나무길을 새로 낸듯 싶다.
12 : 18. 서해안고속도로옆.새로만든 이정표. 좀전 좌측으로 갔던길이 이리로 나온다.
아미산 3km. 갈신리. 죽동리와 아미산 3.85km. 대덕산입구 3.7km로 두 이정표 거리가 다르다.
12 : 21. 서해안고속도로 지하통로 통과
12 ; 34. 좌측에서 올라온 면 경계능선. 우측으로 꺽어 소나무숲길을 간다. 좌측에 정자와 운동기구.눈티고개0.98km
12 : 44. 145.4m봉.공동묘지가 시작되고 앞에 통신탑2개가 보인다.아미산과 다불산으로 건너가는 구름다리도 보인다.
145.4m봉과 뒤로 아미산.
다불산으로 건너가는 구름다리도 보인다.
12 ; 48. 공동묘지끝에 내포문화숲길 종합안내판과 그뒤에 이동통신탑과 삼각점.
눈티고개 0.28km.죽동리 소나무1.64km 통신탑 뒷쪽은 대하산업의 채석장 절개지다.
대하산업의 채석장 절개지 넘어로 대덕공원(좌)과 당진시.
12 ; 53. 눈티고개 서낭당 안내판.소나무숲길은 대로로 좋다.
12 ; 56. 눈티(치)고개.우측은 채석장진입로. 길 건너 위엔 대덕공원 대형표지석
12 : 59/13.11. 대덕공원에서 떡과 커피로 간식.지나온 채석장뒤의 통신탑이 보인다.
13 ; 20. 서서히 올라간 팔각정쉼터.여기가 대덕산인지 봉암산(81.4m)이 대덕산인지
이정표와 내포숲길안내도엔 대덕산이 있는데 어디도 대덕산 표시는 없다.계속 소나무숲길이 이어진다.
13 ; 30. 세멘길 삼거리 고개에 내려섰다. 상송마을뒤다. 세멘길은 잠시후 비포장길로 된다.
13 ; 38. 삼거리다. 직진은 대덕산입구 (수변공원) 0.6km.좌측 양지말 3.86km로 간다. 형제바위 0.55km
20코스는 직진해 600m 내려가서 끝나지만 생략하고 19-1코스를 이어갈려고 좌측으로 간다.
13 : 40. 쉼터와 내포숲길종합안내도가 있는 삼거리.좌측은 앞의 봉암산을 넘어와 좌측 양지말(3.84km)로 가는
19-1코스다. 직진해 앞봉(81.4m. 봉암산)에 올랐다가 다시 내려와 19-1코스를 갈 것이다.
13 : 46/57. 81.4m(안내도의 대덕산?. 봉암산)정자.송정도시숲안내도엔 이봉을 봉암산전망대라 했다. 당진시가 내려다 보인다.
600m쯤 내려가면 19-1코스 시작점이고 바로 아래에 형제바위가 있다는데 주민말이 볼것없다고 해서
잠시 쉬었다 되돌아 내려간다. 100m만 내려가면 형제바위인데 갔다 올걸 그랬다.
14 ; 03. 다시 내려온 삼거리에서 우측 송정마을로 내려간다.형제바위 0.32km.양지말 3.84km. 눈티고개 2.02km
송정마을을 지나 저앞 고개를 넘어갈 것이다.
14 : 10. 송정마을에서 좌측으로 작은 다리를 건너 세멘농로를 간다.양지말 3.30km.대덕산0.54km.
14 ; 15, 2차선도로를 건너 용현2통 세멘길로 올라간다.양지말 2.98km. 대덕산 0.86km.
뒤돌아 본 81.4m(안내도의 대덕산?. 봉암산).
14 : 23. 한우농장을 지난 고개위.눈치고개에서 내려온 능선이다.양지말 2.46km.
새로 말끔히 포장한 포장길을 따라 운동기구와 쉼터를 지나간다.
노란 원안의 서로 다른 이정표 2개는 도로포장공사를 하면서 저기에다 세워둔 모양이다.
14 : 39. (주)석영에스텍앞을 지난다.
14 ; 43. 2차선도로를 만나 우측으로 따라간다.양지말 1.3km. 잠시후안녕히 가십시요. 용현2통 표지석.
14 : 53. 용현1통마을회관앞.
14 : 59. 용현천을 건너는 용현교.우측에 용현 버스정류장.양지말 0.24km.대덕산 3.6km.우측으로 도로따라 간다.
15 ; 01. 희네슈퍼를 지나며 좌측으로 간다.
15 ; 05. 역천을 건너는 용천교. 19-1코스 종점이며 안국사지에서 영랑사로 가는 19코스를 만난다.
. 양지 말(역말)안내판. 19코스 안내판. 영랑사 6.36km, 대덕산 3.84km, 역천(안국사) 4.24km.
역천을 건너 다시 용연 버스 정류장으로 돌아간다.
역천을 건너는 용천교에서 좌측 안국사지쪽 (남) 역천.
역천을 건너는 용천교에서 우측 영랑사쪽 (북) 역천.
역천을 건너는 용천교에서 뒤돌아 본 지나온 용현리쪽.
15 : 09. 용현 버스정류장. 짐챙길 여유도 없이 바로 당진가는 버스가 도착한다.
15 : 25. 당진버스터미널도착.
15 ; 55. 당진에서 천안행버스탐(7200원).
17 : 35. 기지시, 신평,합덕, 신례원, 아산 경유 천안도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