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포문화숲길

내포문화숲길 19. 12,13코스 (동산리- 봉수산-예산대교)完.

산경표 2018. 9. 20. 20:25

내포문화숲길 19. 12,13코스  (동산리- 봉수산-예산대교)完.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  26.78km . 9시간 15분(점심.휴식 포함 ).


   


◈  일시 : 2018.  8. 29(수).



◈ 날씨 ;   태풍이 지나갈때는 비가 안왔는데 요 몇일 비가왔고 오늘도 오후엔 비가 온다는 예보인데
                  오후엔 비는 안왔고 흐렸다.해가나면 햇볕은 따가우나  산행하기엔 지장없음.


 


◈ 지도.

 

 

◈ 트랙.

 

내포19. 12.13코스(동산리 ㅡ봉수산 ㅡ예산대교).gpx

다음지도로 보기

◈ 일정정리.

06 ; 47. 천안역에서 무궁화호(\1800) -예산역(07 : 30)도착.

07 : 55. 363번 원평,신흥리가는 시내버스탐(시간표가 몇 달전보다 조금 늦어졌다)
             이 버스는 응봉을 거치지 않고 복산(국사봉)밑에 있는 원평을거쳐 평촌 삼거리로 간다.

08 : 31. 동산리 임존성, 대련사입구.버스기사와 얘기하다  동산리 정류장을 지나쳐 동산교에서 내려 돌아왔다.

08 ; 32. 동산리 마을회관과 정자. 이어 지난번 하산지점을 지나 세멘길따라 쭈욱 올라간다.

08 : 46. 대형 축사앞을 지나는데 환기통으로 나오는 분료냄새가  지독하다.

08 : 59/06. 대련사(大蓮寺).극락전과 삼층석탑.600년된 느티나무 2.의자왕때 의각스님과 도침이 창건했다며
             바로 위에 있는 임존성안의 연못과 우물이 있어 대련사로 불리게 됐단다.

09 : 31. 임존성 남문.우측길은 휴양림 1.7km. 좌측 봉수산정상 1.4km, 뒤 대련사 0.6km.좌측 성곽길을 따라 간다.
          바로 밑에 간벌목들이 널려있어 이것들을 타고 넝어 오르느라고 힘좀뺐다. 이제부터는 조망이 시원하다.

09 : 45. 內上山(383.9m)가는 능선넘어 안부.임존성 백제복국운동 기념비.대흥 임존성안내판.묘순이바위 전설 해설판.
           임존성은 660년 백제가 멸망한 직후 복신, 도침, 흑치상지등 3만명의 복국군이  당나라에 최후 항전하던성이다.

10 ; 08. 봉수산정상 갈림길. 봉수지맥 마루금이다 .정상 200m, 휴양림 2km , 임존성 1.08km.
            오서산과 초롱산, 용봉산과 내포신도시.가야산과 덕산. 예당저수지와 대흥면이 시원하게 조망된다.
            내포길은 우측으로 꺽어 성길을 가지만 봉수산 정상이 코앞이니 다녀온다.

10 : 16/26. 봉수산(鳳首山)정상. 정상표석과 483m삼각점(예산 26. 1985재설).
                평상에서 예당저수지를 보며 봉수지맥산행때를 회상하고 잠시 쉬고 되돌아 간다.  

10 : 32. 다시 갈림길. 예당저수지와 대흥면, 휴양림을 내려다 보고 성곽길따라 간다.

10 : 48/53. 정자와 낡은 산불초소. 임존성과 작별하고 좌측 아래로 내려간다.

11 ; 17. 봉수산 휴양림관리사무소.도로따라 내려간다.

11 : 22. 수목원입구.수목원이 좌측 건너편에 살짝 보인다.

11 : 24. 등산차량전용주차장. 바로 아래에서 큰길을 버리고  왼쪽으로 난 길로 가서 다시 우측 아래로  내려간다.

11 : 35. 배맨나무(수령 1018년. 1982년지정).도랑건너에 있고 이정표는 다리를 건너가지 않아 배맨나무인줄 모르고 지나쳤다.
             전설로는 서기 660년 나당연합군의 장군 소정방이 봉수산 임존성에 주둔하고 백제 부흥군을 치기 위해
             대흥에 들어왔을 때 타고 온 배를 묶어 두었던 나무라고 한다.

11 : 43/50. 대흥면사무소앞 대흥동헌.
             임성아문앞에  이성만 형제효제비.218년(1982년)생 느티나무보호수. 의좋은 형제 조각상.
               임성아문안으로 들어가면 대흥동헌이 있고 뒤에 대원군척회비와 영조의 11녀인 화령옹주태실.드라마촬영지

11 : 54/12 : 11. 지란지교. 쉼. 점심 먹을곳을 찾아 우측 큰길까지 가보나 마땅찮아 음료수와 얼음과자만 사먹고
                          다시 돌아와 떡으로 점심.

12 ; 12. 지란지교에서 조금 올라가 갈림길에서 우측으로 마을 언덕을 넘어간다.

12 :17. 교촌 1,2리 삼거리에서 좌측 1리 향교쪽으로 간다.

12 ; 23. 교촌1리마을회관과 충남기념물 160호인  대흥향교 은행나무.600년된 은행나무 중앙에 느티나무가 자라고 있다.

12 ; 24. 대흥향교.앞엔 318년(1982년)생 느티나무 보호수.향교문은 잠겨있다.
           향교를 우측에 끼고 골짜기 안으로  계속 올라간다.갈가엔 코스모스가 피었다.

12 ; 38.  간이상수도 있는 임도 삼거리에서 우측길로 산허리를 돌아간다.느린 꼬부랑길 이정표.평촌초교 4.68km.대흥향교0.515km.

12 : 54. 고개넘어 쉼터. 바람이 없고 먼지가 쌓여 통과.

13 ; 07. 616지방도로. 좌측위는 봉수지맥 비티고개다.우측으로 도로따라 내려간다.
            평촌초교 3.24km. 경주최씨 묘소 입구 1km 표지석.대흥면.응봉면경계를 지난다.

13 : 20. 건지화리입구.지방도에서 좌측 건지화리 가는길로 내려섰더니 굴다리가 있어 돌아간다.
             건지화리입구를 건너 2~30m가서 내려서야겠다.내려가 굴다리앞에서 우측으로 간다.

13 : 28. 좌측에 태양발전판이 있는곳.선답자 트랙은 태양열판앞으로 가서 우측 언덕을 넘어가는데
          표지기는 없고 이정표(대흥향교 3.255km, 평초초교 1.94km) 방향이 직진이라 망설이다 직진해간다.

13 : 39. 큰 사과밭 직전에 좌측 언덕으로 넘어가는 길이 있고 이정표(대흥향교 3.42km, 평촌초교 1.775km)가 있다.
           폐창고같은 건물이 있는 언덕을 넘어 우측으로 내려간다.

13 ; 45. 619번 지방도.월척오리집식당.좌측으로 도로따라 간다.

13 ; 48. 편의점 까페.신리버스정류장앞에서 지방도 버리고 좌측 마을길로 들어간다.

13 ; 52. 좌측 태양열판쪽에서 언덕을 넘어온  구길을 만나  우측 언덕을 넘어간다.내포길을 새로 돌려 낸 모양이다.

13 ; 54. 사태고개.작은사태마을에서 큰 사태마을로 넘어가는 고개로
         좌측 예산추모공원에서 내려온능선인데 고개위는 논이고 예당저수지와 뒤로 금북정맥 줄기가 보인다.

13 : 58. 619지방도로를 다시 만나 좌측으로 도로따라 간다. 여기도 신리버스정류장.

14 : 01/07. 평촌삼거리.우측은 예당국민관광단지.마트에서 커피와 음료수 사마시고 직진해간다.

14 ; 11. 평촌초교앞.대흥향교 5.06km, 평초초교 0.135km. 평촌버스정류장,

14 : 15.  158년 느티나무 보호수(1982년). 좌측은 평초초교후문인 모양인데 공사를 하는지 가림막을 쳤다.

14 : 22. 쉼터와 백제부흥군길의 의미 설명판. 잠시 숨돌리고 지방도에서 우측 세멘길로 간다.

14 : 35/37. 산길오른길 초입 좌측에 있는남산재.안동권씨  재실이다.평촌초교 0.985km, 팔봉암 0.685km.
                 좌우가 벗나무인 세멘길을 따라 팔봉암으로 길게 올라간다.

14 ; 55. 팔봉암.봉수지맥 팔봉산정상 약 500m전 마루금 밑이다.법당은 인법당이다.세멘길따라 내려간다.

15 ; 12. 바깥뒷절 후사리마을회관앞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올라간다. 우측으로 내려가면 예당저수지.

15 : 20. 서서히 쭈욱 올라간 후사리 안뒷절마을.쉴 만한 그늘이 없다.

15 : 36. 고갯마루의 쉼터.음봉면과 오가면 경계다.자갈 임도로 넘어간다.신장리 0.784km.

15 ; 51. 고공수로앞 전주崔公望回의 효자비.카메라 렌즈가 안들어가고 작동이 안된다.결국 며칠후 다시 구입했다.

16 ; 02. 당진-영덕 고속도로 지하통로 통과. 좌측으로 마름말 마을,앞쪽으로 伏山(109.2m. 국사봉)을 보며 간다.

16 ; 13. 수문앞 2차선도로. 좌측으로 도로떠라 간다.우측에 음봉면 경계판과 그뒤로 무한천을 건너는 고속도로.

16 ; 15. 2차선도로 삼거리에서 우측 국사봉등산로입구→ 세멘길로 수로다리를 건너간다.국사봉은 지형도상 복산을 말한다.

16: 17. 좌측으로 국사봉 오르는 길이 희미하다.국사봉을 보며 세멘길을 따라 간다.

16 ; 20. 국사봉등산로 입구.국사봉유래 해설판.신장리 1.4km, 무한산성 3.96km.

16 ; 26/29. 쉼터정자에서 무한천과 넘어온 산을보며 잠시 쉬어간다.

16 ; 37. 무한천제방.우측으로 꺽어  예산시내를 보며 무한천제방 위로 난 세멘길을 간다.국사봉 0.645km, 무한산성 3.315km.

17 : 00. 장항선 철로밑을 지난다.

17 ; 20. 예산대교.무한천 표지판. 대교밑을 지나면 14코스 백제부흥군길 안내판.예산대교밑은 평상들이 쭈욱있는 주민들  쉼터.
            19회에 걸친 내포문화숲길 26코스를 전부 마친다.
            예산역 근처에 있는 대학친구에게  전화를 걸고 예산대교 아래로 무한천 징검다리를 건너간다.  

17 : 44. 예산친구를 만나 오가에 있는 장어집에 가서 저넉먹고

19 : 35. 예산역(\1800)-천안역(21 ; 15도착)
          

 

06 ; 47. 천안역에서 무궁화호(\1800) -예산역(07 : 30)도착.

07 : 55. 363번 원평,신흥리가는 시내버스탐(시간표가 몇 달전보다 조금 늦어졌다)
             이 버스는 응봉을 거치지 않고 복산(국사봉)밑에 있는 원평을거쳐 평촌 삼거리로 간다.

 

 

08 : 31. 동산리 임존선, 대련사입구.운전사와 얘기하다  동산리 정류장을 지나쳐 동산교에서 내렸다.

동산리 마을회관과 뒤로 내상산(좌)-임존성(우).

 

 

08 ; 32. 동산리 마을회관과 정자.- 지난번 하산지점을 지나 세멘길따라 쭈욱 올라간다.

뒤 돌아 본 동산리와 동산교(우). 맨뒤는 금북정맥 국사봉쪽.

 

08 : 46. 대형 축사앞을 지나는데 환기통을 나오는 분료냄새가  지독하다.

 

08 : 59/06. 대련사(大蓮寺).극락전과 삼층석탑.600년된 느티나무2.의자왕때 의각스님과 도침이 창건했다며
            바로 위에 있는 임존성안의 연못과 우물이 있어 대련사로 불리게 됐단다.

극락전과 삼층석탑.

.600년된 느티나무들.

 

 대련사(大蓮寺)에서 본 동산리 동산교와 뒤로 금북정맥능선.

 

 대련사(大蓮寺) 좌측 요사채뒤로 올라간다.

 

09 : 31. 임존성 남문.우측은 휴양림 1.7km. 좌측 봉수산정상 1.4km, 뒤 대련사 0.6km.좌측 성곽길을 따라 간다.
          바로 밑에 간벌목들이 널려있어 이것들을 타고 넝어오르느라고 힘좀뺐다. 이제부터는 조망이 시원하다.

 

 

內上山(383.9m)으로가는 능선에서 본 임존성. 성길을 따라 간다.

 

 

內上山(383.9m)으로가는 능선에서 본 봉수지맥 초롱산과 뒤로 오서산.

 

 

09 : 45. 內上山(383.9m)가는 능선넘어 안부.임존성백제복국운동 기념비.대흥 임존성안내판.묘순이바위 전설 해설판.
           임존성은 660년 백제가 멸망한 직후 복신, 도침, 흑치상지등 3만명의 복국군이  당나라와 싸우던곳이다.

 

 

묘순이바위

 

 건너편 능선 오름길에서 뒤돌아 보고.

 

건너편 능선에서 뒤 돌아 본 내상산(內上山.383.9m)과 뒤로 아스라히 금북정맥. 

 

10 ; 08. 봉수산정상 갈림길. 봉수지맥 마루금이다 .정상 200m, 휴양림 2km , 임존성 1.08km.
            로서산과 초롱산, 용봉산과 내포신도시.가야산과 덕산. 예당저수지와 대흥면이 시원하게 조망된다.

 봉수산정상 갈림길.

 

 

봉수산정상 갈림길에서 봉수산정상.1

 

봉수산정상 갈림길에서 오서산과 초롱산(좌 아래 뾰족봉). 2

 

봉수산정상 갈림길에서 지기산(좌)- 백월산(우).3.

 

10 : 16/26. 봉수산(鳳首山)정상. 정상표석과 483m삼각점(예산 26. 1985재설).
                평상에서 예당저수지를 보며 잠시 쉬고 되돌아 간다.  

 봉수산(鳳首山)정상에서 오서산과 초롱산.

 

 봉수산(鳳首山)정상에서 예당저수지와 광덕산(좌)봉수산(앞)- 금북정맥.

 

10 : 32. 다시 갈림길. 예당저수지와 대흥면, 휴양림을 내려다 보고 성곽길따라 간다.

다시 갈림길로 돌아와서 본 예산읍내와 그 우측으로 관모산-용굴봉-안락산-도고산능선.
 예산읍내뒤로 보이는 산은 영인산.

 

다시 갈림길로 돌아와서 본 대흥면과 예당저수지.

 

정자와 산불초소가 보이고.

 

10 : 48. 정자와 낡은 산불초소. 임존성과 작별하고 좌측 아래로 내려간다.

 정자에서 뒤 돌아 본 봉수산정상(가운데봉).

 

 정자에서 본 봉수산에서 팔봉산(우)로 가는 봉수지맥.
우측아래 붉은 지붕이  봉수산휴양림.

 

정자에서 본  팔봉산(좌)과 복산( 가운데 징검더리 첫봉.국사봉). 두번째 징검다리봉은 무한산성.
팔봉산 좌측뒤 멀리는 추사고택이 있는 용산.

 

정자에서 본 광덕산-무성산으로 가는 무성지맥과 (뒤)
봉수산-국사봉으로 가는 금북정맥(중).

 

정자에서 본 동산리와 동산교,

 

 

11 ; 17. 봉수산 휴양림관리사무소.도로따라 내려간다.

휴양림으로 내려서고.

 

휴양림관리사무소.

 

 

 

11 : 22. 수목원입구.

 

11 : 24. 등산차량전용주차장-바로 아래에서 큰길을 버리고  왼쪽으로 난 길을 따라간다.

봉수산 휴양림과 봉수산.

 

 

11 : 35. 배맨나무(수령 1018년. 1982년지정).도랑건너에 있고 이정표는 다리를 건너가지 않아 배맨나무인줄 모르고 지나쳤다.
             전설로는 서기 660년 나당연합군의 장군 소정방이 봉수산 임존성에 주둔하고 백제 부흥군을 치기 위해
             대흥에 들어왔을 때 타고 온 배를 묶어 두었던 나무라고 한다.

배맨나무앞 다슬기 체험장.

 

 

뒤 돌아 본 봉수산.
가운데가 정상이고 좌측 높은봉이 갈림길, 맨좌측봉이 정자.골짜기 가운데가 휴양림.앞 큰나무가 배맨나무.

 

11 : 43/50. 대흥면사무소앞 대흥동헌.
             임성아문앞에  이성만 형제효제비.218년(1982년)생 느티나무보호수. 의좋은 형제상.
               임성아문안으로 들어가면 대흥동헌이 있고 뒤에 대원군척회비와 영조의 11녀인 화령옹주태실.드라마촬영지


좌측 차앞이 임성아문, 차 좌측이 형제효제비와 보호수 느티나무.우측 검은차앞이 의좋은 형제상.그 뒤가 대흥면사무소.
12코스가 끝나고 13코스가 시작된다.

 

임성아문 우측의 달팽이 미술관과 화장실.

 

이성만 형제효제비

 

218년(1982년)생 느티나무보호수.

 

 

아문이라는 말은 "관아의 문" 즉 동헌을 드나들었던 대문이란 것인데 대흥동헌아문을 임성아문이라고 써있는것은
대흥이 백제때는 임존성(任存城), 금주라도고 했는데 신라때에 임성군(任城郡)으로 고쳤고 고려초에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대흥동헌은 조선 초인 태종 7년(1407)에 창건되었고, 1914년에 대흥면사무소로 개조하여 사용되다가 1979년 해체복원 정비되었다.

대흥동헌은 기본 구조가 잘 남아 있고, 예산지역에 현존하고 있는 유일한 관아건물이며
1405년에 건립된 대흥향교와 함께 대흥지역의 역사를 증명하는 건축물로서 역사적·건축학적 보존가치가 있다.

 

 대흥동헌.

 

대흥동헌 뒤에 있는  대원군척회비와 영조의 11녀인 화령옹주태실.

 

 

대원군척회비.

 

 

영조의 11녀인 화령옹주태실.

 

대흥동헌뒷태.쪽문을 나가면

 

 

의좋은 형제상

대흥면사무소.

 

11 : 54/12 : 11. 지란지교. 쉼터와 점심 먹을곳을 찾아 우측 큰길까지 가보나 마땅찮아 음료수와 얼음과자만 사먹고

 

12 ; 12. 지린지교에서 조금 올라가 갈림길에서 우측으로 마을 언덕을 넘어간다.

 

12 :17. 교촌 1,2리 삼거리에서 좌측 1리 향교쪽으로 간다.

 

12 ; 23. 교촌1리마을회관과 충남기념물 160호인  대흥향교 은행나무.600년된 은행나무 중앙에 느티나무가 자라고 있다

 

12 ; 24. 대흥향교.앞엔 318년(1982년)생 느티나무 보호수.향교문은 잠겨있다.
           향교를 우측에 끼고 골짜기 안으로  계속 올라간다.갈가엔 코스모스가 피었다.

 

 

12 ; 38.  간이상수도 있는 임도 삼거리에서 우측길로 산허리를 돌아간다.느린 꼬부랑길이정표.평초초교 4.68km.대흥향교0.515km.

고개로 올라가며 뒤 돌아 본 봉수산. 부지런한 후손이 벌초를 하러왔다 

 

하늘을 보니 가을이 오나보다.

 

12 : 54. 고개넘어 쉼터.더워서 통과.

 

13 ; 07. 616지방도로. 좌측위는 봉수지맥 비티고개다.우측으로 도로따라 내려간다.
            평촌초교 3.24km. 경주최씨 묘소 입구 1km 표지석.

 

13 : 20. 건지화리입구.지방도에서 좌측 건지화리 가는길로 내려섰더니 굴다리가 있어 돌아간다.
             건지화리입구를 건너 2~30m가서 내려서야겠다.내려가 굴다리앞에서 우측으로 간다.

 건지화리마을.

내려가 굴다리앞에서 우측으로 간다.

 

13 : 28. 좌측에 태양발전판이 있는곳.선답자 트랙은 태양열판앞으로 가서 우측 언덕을 넘어가는데
          표지기는 없고 이정표(대흥향교 3.255km, 평초초교 1.94km) 방향이 직진이라 망설이다 직진해간다.

 

13 : 39. 큰 사과밭 직전에 좌측 언덕으로 넘어가는 길이 있고 이정표(대흥향교 3.42km, 평촌초교 1.775km)가 있다.
           폐창고같은 건물이 있는 언덕을 넘어 우측으로 내려간다.

 

13 ; 45. 619번 지방도.월척오리집식당.좌측으로 도로따라 간다.

월척오리집식당 우측길로 나왔다.

 

13 ; 48. 편의점 까페.신리버스정류장앞에서 지방도 버리고 좌측 마을길로 들어간다.

 편의점 까페는 문이 닫혀있다.

좌측 마을길로 들어간다.

 

13 ; 52. 좌측 태양열판쪽에서 언덕을 넘어온  구길을 만나  우측 언덕을 넘어간다.길을 새로 돌려낸 모양이다.

 

13 ; 54. 사태고개.작은사태마을에서 큰 사태마을로 넘어가는 고개로
         좌측 예산추모공원에서 내려온능선인데 고개위는 논이고 예당저수지와 뒤로 금북정맥 줄기가 보인다.

 

13 : 58. 619지방도로를 다시 만나 좌측으로 도로따라 간다. 여기도 신리버스정류장.

14 : 01/07. 평촌삼거리.우측은 예당국민관광단지.마트에서 커피와 음료수 사마시고 직진해간다.

 

14 ; 11. 평촌초교앞.대흥향교 5.06km, 평초초교 0.135km. 평촌버스정류장,

 

14 : 15.  158년 느티나무 보호수(1982년). 좌측은 평초초교후문인 모양인데 공사를 하는지 가림막을 쳤다.

 

14 : 22. 쉼터와 백제부흥군길의 의미 설명판. 잠시 숨돌리고 지방도에서 우측 세멘길로 간다.

 

 

14 : 35/37. 산길오른길 초입 좌측에 있는남산재.안동권씨  재실.평촌초교 0.985km, 팔봉암 0.685km.
                 좌우가 벗나무인 세멘길따라 팔봉암으로 길게 올라간다.

 

14 ; 55. 팔봉암.봉수지맥 팔봉산정상 약 500m전 마루금 밑이다.법당은 인법당이다.세멘길따라 내려간다.

뒤 돌아 본 팔봉암뒤 봉수지맥산줄기.

 

15 ; 12. 바깥뒷절 후사리마을회관앞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올라간다. 우측으로 내려가면 예당저수지.

 

15 : 20. 서서히 쭈욱 올라간 후사리 안뒷절.쉴 만한 그늘이 없다.

고갯마루로 오르며 뒤 돌아 보고

 

15 : 36. 고갯마루의 쉼터.음봉면과 오가면 경계다.자갈임도로 넘어간다.신장리 0.784km.

 

15 ; 51. 고공수로앞 전주崔公望回의 효자비.카메라 렌즈가 안들어가고 작동이 안된다.결국 며칠후 다시 구입했다.
            여기서 부터는 핸드폰으로 찍은  사진이다.

효자비에서 본 당진 -영덕고속도로 뒤로  예산시내.

 

16 ; 02. 당진-영덕 고속도로 지하통로 통과. 좌측으로 마름말 마을,앞쪽엔 伏山(109.2m. 국사봉)을 보며 간다.

 

16 ; 13. 수문앞 2차선도로. 좌측으로 도로떠라 간다.우측에 음봉면 경계판과 뒤로 마한천을 건너는 고속도로.

 

16 ; 15. 2차선도로 삼거리에서 우측 국사봉등산로입구 세멘길로 수로다리를 건너간다.국사봉은 지형도상 복산을 말한다.

 

16 ; 20. 국사봉등산로 입구.국사봉유래해설판.신장리 1.4km, 무한산성 3.96km.

 

16 ; 26/29. 쉼터정자에서 무한천과 넘어온 산을보며 잠시 쉬어간다.

쉼터정자에서 무한천과  예당저수지 수문.

 

 

16 ; 37. 무한천제방.우측으로 꺽어  예산시내를 보며 무한천제방위로 난 세멘길을 간다.국사봉 0.645km, 무한산성 3.315km.

뒤돌아 본 국사봉(복산)과 봉수산.

 

17 : 00. 장항선철로밑을 지난다.

 

 

17 ; 20. 예산대교.무한천표지판. 대교밑을 지나면 14코스 백제부흥군길 안내판.예산대교밑은 평상들이 쭈욱있는 주민들  쉼터.
            19회에 걸친 내포문화숲길 26코스를 전부 마친다.
            예산역 근처에 있는 대학친구에게  전화를 걸고 예산대교 아래로 무한천 징검다리를 건너간다.  

무한산성과 천변공원.

 

 

< 내포문화숲길 1~26코스를 전부 마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