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시의 섬 우도,연화도(우도항-반하도-연화항-연화봉-동두항-연화항)
통영시의 섬 우도,연화도(우도항-반하도-연화항-연화봉-동두항-연화항)
◈ 일시 : 2022. 04. 19 (화). 남해안 6차 첫날.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 11.9 km. 6시간 59분.(2.1km(5분)는 차량 이동)
◈ 동행 : 아내.
◈ 지도.
◈ 트랙.
◈ 일정 정리.
지난 04. 04~6일 남해안 길 5차에 욕지도에서 병이 나서 일정을 다 채우지 못하고 귀가하여
병원에서 코로나 확진 판정을 받고 그날부터( 4. 06)~12일까지 자가 격리를 하고
며칠을 더 쉰 후 04 18(월)부터 남해안 길 6차를 내려가서 우도 ㅡ연화도를 돌고 남해안 길을 이어간다.
1일. 4.18일(월).
12 : 30. 천안터미널(\5400x2)-대전 복합터미널 13 ; 40 도착
14 ; 00. 대전복합터미널 (\20100x2)-통영 시외버스터미널 16 : 25 도착.
16 : 29. 통영 시외버스터미널에서 시내버스 타고(\1450x2) 문화마당에서 내려
전에 들렸던 장어집은 휴일이라 어부의 식탁 집에서 모둠 생선구이로(\20000) 저녁을 먹고
친구의 집 할인마트에서 장보고(\7000) 전에 며칠을 묵어간
통영 조선호텔에서 숙박(할인쿠폰 받아 \35000)
2일. 4.19일(화).
06 : 30. 통영항에서 우도, 연화도 욕지도 가는 대일 해운 아일랜드호(우도 경로할인 왕복 \8700x2x2. 욕지도는\10100).
갈 때 연화도 먼저 들리고 욕지도 갔다 나오면서 우도, 연화도를 들려 통영으로 나온다.
07 : 25. 연화도. 연화항과 천황산. 반하도와 우도와 우도의 구멍섬을 보며 욕지도로 간다.
07 ; 47/08 ; 00. 욕지도 욕지항. 통영에서 33.3km. 1시간 17분 소요. 되돌아 나간다.
방금 전에 산양읍 삼덕에서 오는 배가 먼저 들어간다.
08 ; 21/22. 우도항. 통영항에서 41.5km에 1시간 50분. 욕지도에서 8.2km에 21분 걸렸다. 욕지도가 건너다 보인다.
08 : 26. 우측으로 용강정길, 반하도, 연화도로 가는 보도교 가는 길. 큰 마을 가는 길로 올라가 좌측으로 간다.
08 : 38. 고개 넘어 큰 마을. 우측은 용강정길. 좌측 해수욕장 가는 길로 간다.
08 : 44. 고개 위. 물탱크가 있다. 고개를 넘어가며 구멍섬과 목섬. 해수욕장이 보인다.
08 : 47. 갈림길. 직진해 내려가 해변에서 구멍섬과 목섬을 보고 여기서 우측으로 가야겠지만
구멍섬과 목섬은 바라만 보고 다시 올 것이라 여기서 우측으로 갔다.
08 : 49. 구멍섬 조망처. 구멍섬 뒤로 쑥섬을 바라본다.
08 ; 57. 벤치에서 잠시 숨 돌리고.
08 ; 58. 좌측으론 미륵도, 우측으론 연화봉의 부처님과 방금 지나온 큰골 마을을 내려다본다.
09 : 00. 72m 봉으로 가는 당산길(용강정길) 버리고 좌측 산 허리 산길로
09 : 11. 바닷가 암반을 내려다 보고 통나무 계단을 올라 울타리 친 밭을 좌측으로 돌아 오른다.
09 ; 15. 안부 쉼터. 72.2m 봉을 넘어온 당산길을 만난다. 우측은 구멍섬, 큰 마을에서 바로 온 길이다.
09 ; 29. 목책 따라 86.5m 봉 허리를 돌아 간 전망대. 벤치 2. 연화봉 정상과 연화도 끝의 120.6m 봉과
미륵도의 미륵산, 연대도, 비진도와 한산도를 바라보고 계단 따라 내려간다.
09 ; 41. 반하도로 이어지는 보도 연도교. 길이 79m. 욕지도와 연화도, 초도를 바라본다.
09 ; 43. 보도교를 건너 반하도에서 우도 선착장과 연대도, 비진도 한산도를 바라보고 데크길을 따라 반하도를 지난다
09 : 48. 반하도에서 연화도로 이어지는 보도 연도교. 국내 최장의 보도교로 230m.
욕지도. 노대도. 쑥섬과 그 뒤로 두미도를 바라본다.
09 : 56. 다리 건너 연화도. 나랫등 카페와 식당. 연화항을 보며 급경사 데크길을 내려간다.
10 : 03. 연화도 선착장. 환상의 섬 연화도 표지석. 중화에서 여객선이 들어와 한 무리의 관광객들이 내린다.
10 ; 07. 연화마을 버스정류장. 요금은 1000원. 택시같이 전화하면 온단다. 010 5436 7085.
10 ; 10/33. 연화도 여객. 유람선 터미널. 중화에서 하루 두 번. 통영에서 하루 3번. 욕지도에서 하루 3번 다닌다.
정자에서 간식 들며 쉬어간다.
10 ; 36. 연화봉 등산로 입구. 정자. 연화도 등산 안내도. 연화봉 1.3km 계단 따라 산으로 올라간다.
10 : 43. 우도. 반하도. 연화항. 욕지도. 쑥섬을 돌아본다.
11 : 06. 초도와 소초도, 욕지도 천황산과 갈도를 바라본다.
11 ; 10. 안부. 안부. 쉼터. 좌측으로 연대도. 비진도. 미륵산과 한산도와 거제도의 산들을 보고 급 계단을 올라간다.
11 : 37. 연화봉 정상. 아미타 대불. 연화봉 정상석. 215.1m 욕지 24 삼각점. 운상정 정자.
용머리해안을 보며 내려간다.
11 : 59. 사명대사 토굴. 연화도인 토굴.
12 : 09. 보덕암 입구 삼거리. 도로 따라 우측으로 내려가 보덕사를 보고 다시 삼거리로 올라온다.
12 : 20. 보덕암. 6층 건물 위에 보덕암 보타전. 용머리 해안을 건너다 보고.
12 : 28. 보덕암 동쪽 아래의 해수관음상. 다시 삼거리로 올라간다
12 : 41. 다시 돌아온 보덕암 입구 삼거리. 좌측 아래로 반하도의 다리를 보고 능선길 따라간다.
12 : 43. 오층 석탑. 삼거리엔 석가여래 진신사리탑 20m라 했는데 여기엔 아무런 안내판이 없다.
12 : 56. 시멘트 도로에 내려서 도로 따라 내려간다.
13 : 03. 보덕암과 연화봉 정상의 아미타불과 좌측 뒤로 욕지도를 뒤돌아 보고.
13 : 04. 시멘트 도로 버리고 우측 전망대 가는 길로
13 : 09. 첫 봉의 전망대는 망가져서 별 볼일 없고 건너편 120.7m 봉의 전망대가 높게 올려다 보인다.
13 ; 14. 안부. 120.7m 봉은 쳐다만 보고 바로 옆 시멘트길로 내려서 도로 따라간다. 출렁다리 0.3km.
13 : 22. 출렁다리 앞. 대바위 0.5km. 우측 계단을 올라가면 120.7m 봉에서 내려온 길을 만나고 좌측에 출렁다리.
13 : 25. 출렁다리. 2011.12.30 완공. 연장 44m. 폭 1.5m. 좌측에 동두마을. 뒤로 120.7m 봉과 욕지도를 보며
건너가서 급한 계단을 올라간다. 망바위는 어느 바위인지?
13 : 47/14 : 13. 전망대 데크. 욕지도 천황산과 초도. 소초도. 갈도. 국도. 보덕암과 연화봉을 보며 점심.
데크는 관리를 안 해 얼마 안 가서 폐쇄될 듯. 되돌아 나간다. 바로 앞의 용머리는 모양이 안 나온다.
14 ; 14. 갈림길에서 우측 동두마을길로.
14 ; 20. 동두마을해변. 해변 중앙에서 좌측 계단으로 올라가서 밭길 따라 동두마을로
14 ; 24/42. 동두항 동두 버스정류소. 관광객 4명이 버스를 호출했다며 기다리고 있다.
연화사 까지는 약 2km인데 왔던 길을 되돌아가는데 날도 더워 버스를 타고 가야겠다.
곧 온다는 버스가 20여분을 기다려도 안 와서 다시 전화를 해보나 언제 온다는 얘기도 없이 끊는다.
3시 배가 들어와야 올듯싶어 걸어가기로 하고 출렁다리 밑을 지나니 버스가 들어온다.
14 : 49. 출렁다리 밑에서 봉고 버스 타고 (\1000x2) 연화사 하차.
14 : 54/15 ; 12. 연화사. 낙가산 연화사다. 대웅전 앞에는 부산시 무형문화재 19호 선화 보유자이신 성각스님의
" 바다 너머 피안 " 작품이 전시되고 있다. 도로 따라 내려간다.
15 : 18. 원량초교 연화 분교장. 총 학생수가 4명이라는 전광판이 흐르고 있다.
15 : 24. 연화항. 통영 나 가는 배는 5시에 드러난 시간이 많다. 쉼터에서 푹 쉬며 기다린다.
17 ; 05. 대일 해운의 아일랜드호를 타고 (\8700x2. 통영에서 들어올 때 예매를 했다)
17 : 22. 내, 외부지도 사이를 지나고
17 : 25. 연대도 오곡도 앞을 지나고
17 : 28. 학림도. 미륵도 보고
17 ; 32. 비진도 앞을 지나고
17 ; 34. 거제도 망산을 보고
17 ; 45. 한산대첩비와 문어포항 바라보고.
17 : 47. 거제도 산방산이 보이고.
17 ; 50. 거제대교도 보이고.
17 : 51. 등대 낚시공원과 남산이 가까이 보인다.
17 ; 53. 충무마리나 리조트와 미륵산을 다시보고.
18 ; 00. 통영항 도착.
18 ; 07. 통영 조선호텔에서 짐 찾고
18 : 14. 서호시장 정류소에서 시내버스 타고 (\1450x2)-통영 시외버스. 18. 45 도착
19 : 13. 통영 시외버스터미널-\2400x2-고성터미널. 19.35 도착.
20 ; 09. 마트에서 장보고(\8470) 홍서 주꾸미집에서 저녁(\12000x2) 먹고
예약한 고성 우등 모텔(\37000)에서 숙박.
1일. 4.18일(월).
12 : 30. 천안터미널(\5400x2)-대전 복합터미널 13 ; 40 도착
14 ; 00. 대전복합터미널 (\20100x2)-통영 시외버스터미널 16 : 25 도착.
16 : 29. 통영 시외버스터미널에서 시내버스 타고(\1450x2) 문화마당에서 내려
전에 들렸던 장어집은 휴일이라 어부의 식탁 집에서 모둠 생선구이로(\20000) 저녁을 먹고
친구의 집 할인마트에서 장보고(\7000) 전에 며칠을 묵어간
통영 조선호텔에서 숙박(할인쿠폰 받아 \35000)
통영 조선호텔.
여러번 이집에서 묵었는데 값도 저렴하고 시설도 좋고 사장님 내외분도 친절하시고 간단한 조식도 주는데
우리는 늘 새벽 일찍나와서 조식은 못 먹었지만 달걀은 항상 있어 아침엔 늘 달걀을 삶아 먹었다.
2일. 4.19일(화).
06 : 00. 조선호텔에 짐을 맏기고 나와.
06 : 03. 통영항 여객선 터미널.
06 : 30. 통영항에서 우도, 연화도 욕지도 가는 대일 해운 아일랜드호(우도 경로할인 왕복 \8700x2x2. 욕지도는\10100).
갈 때 연화도 먼저 들리고 욕지도 갔다 나오면서 우도, 연화도를 들려 통영으로 나온다.
우도, 연화도 욕지도 가는 대일 해운 아일랜드호(우도. 연화도는 요금이 같다. 경로할인 왕복 \8700x4. 욕지도는\10100).
통영항 여객선 터미널을 뒤로 하고
통영마리나 리조트와 통영국제음악당.
한산도 한산대첩비.
미륵산(뒤)과 마파산(우), 동래산(앞)과 뒤로 이운항.
선실 내부 모습.
07 : 25. 연화도. 연화항과 천황산. 반하도와 우도와 우도의 구멍섬을 보며 욕지도로 간다.
연화도 연화항. 연화도는 통영에서 욕지도로 갈때도 들리고 나올때도 들린다.
반하도와 좌우 보도교.
우도항. 우도는 욕지도 갈때는 안들리고 욕지도에 들렸다 통영으로 나올때 들린다, 다음 연화도 들려 통영으로 간다.
우도의 구멍섬
반하도와 연화도를 뒤돌아 보고
뒤돌아 본 구멍섬(좌)-우도-반하도-연화도(우).
욕지도. 우측 뒤로 천황산 정상이 보인다.
쑥섬(좌)과 적도, 볼귀(우).
07 ; 47/08 ; 00. 욕지도 욕지항. 통영에서 33.3km. 1시간 17분 소요. 되돌아 나간다.
방금 전에 산양읍 삼덕에서 오는 배가 먼저 들어간다.
욕지도 욕지항. 섬을 한 바퀴 도는 노란색 순환버스가 대기중이다.
삼덕으로 가는 배가 먼저 들어왔다 먼저 떠난다.
여객선 좌측 뒤 3층집이 지난번에 묵었던 금진민박집.
욕지도 천황산(393.5m) 정상 모습.
두미도 천황산(470.5m좌측 뒤)과 상노대도(좌)-비상도-납도.(우)
08 ; 21/22. 우도항. 통영항에서 41.5km에 1시간 50분. 욕지도에서 8.2km에 21분 걸렸다. 욕지도가 건너다 보인다.
우도 도착.
우도항. 작은마을초입에서 좌측으로 언덕을 넘어간다.
우도항에서 본 반하도(좌)와 연화항(가운데), 연화봉(연화항 우측 뒷봉).
우도항에서 본 욕지도(우)와 초도, 소초도(좌).
08 : 26. 우측으로 용강정길, 반하도, 연화도로 가는 보도교 가는 길. 큰 마을 가는 길로 올라가 좌측으로 간다.
우측 보도교방향은 반하도로 직접 가는 길이다.
작은마을에서 큰 마을로 넘어가는 언덕에서 연화도를 뒤돌아 보고
큰마을로 들어.
08 : 38. 고개 넘어 큰 마을. 우측은 용강정길. 좌측 해수욕장 가는 길로 간다.
여기서 우측으로 가면 72.2m봉 넘어 쉼터가 있는 안부다.
이런 큰 동백나무도 있고
08 : 44. 고개 위. 물탱크가 있다. 고개를 넘어가며 구멍섬과 목섬. 해수욕장이 보인다.
고개위.
구멍섬(좌), 목섬(우).
08 : 47. 갈림길. 직진해 내려가 해변에서 구멍섬과 목섬을 보고 여기서 우측으로 가야겠지만
구멍섬과 목섬은 바라만 보고 다시 올 것이라 여기서 우측으로 갔다.
08 : 49. 구멍섬 조망처. 구멍섬 뒤로 쑥섬을 바라본다.
해수욕장과 구멍섬. 좌측 뒤는 두미도 천황산(470.5m). 앞은 쑥섬.
연대도(좌)-오곡도(중)-비진도(중뒤) .
08 ; 57. 벤치에서 잠시 숨 돌리고.
08 ; 58. 좌측으론 미륵도, 우측으론 연화봉의 부처님과 방금 지나온 큰골 마을을 내려다본다.
연화봉정상(좌측 위), 큰마을(앞).
09 : 00. 72m 봉으로 가는 당산길(용강정길) 버리고 좌측 산 허리 산길로
09 : 11. 바닷가 암반을 내려다 보고 통나무 계단을 올라 울타리 친 밭을 좌측으로 돌아 오른다.
09 ; 15. 안부 쉼터. 72.2m 봉을 넘어온 당산길을 만난다. 우측은 구멍섬, 큰 마을에서 바로 온 길이다.
안부 쉼터. 우측은 72.2m 봉. 좌측은 86.5m봉. 반하도.
사진 우측으로 밭을 돌아왔다.
목책 따라 86.5m 봉 허리를 돌아간다.
09 ; 29. 목책 따라 86.5m 봉 허리를 돌아 간 전망대. 벤치 2. 연화봉 정상과 연화도 끝의 120.6m 봉과
미륵도의 미륵산, 연대도, 비진도와 한산도를 바라보고 계단 따라 내려간다.
전망대에서 본 연화도 끝자락의 동두항 뒷산(120.6m).
전망대에서 본 미륵도 미륵산(좌)-연대도-내외부지도.
전망대에서 본 연화도 끝자락의 동두항 뒷산(120.6m좌)-연화봉(우)
긴 계단을 내려가면
09 ; 41. 반하도로 이어지는 보도 연도교. 길이 79m. 욕지도와 연화도, 초도를 바라본다.
반하도로 이어지는 보도 연도교. 길이 79m. 우측뒤는 연화항.
우측에 욕지도와 초도, 소초도.
욕지도.
좌측 초도- 욕지도 망대봉- 천황산-약과봉.
09 ; 43. 보도교를 건너 반하도에서 우도 선착장과 연대도, 비진도 한산도를 바라보고 데크길을 따라 반하도를 지난다
통영쪽 연대도,비진도
반하도에서 뒤돌아 본 우도와 우도항(좌).
반하도를 데크길따라 우측으로 돌아간다.
09 : 48. 반하도에서 연화도로 이어지는 보도 연도교. 국내 최장의 보도교로 230m.
욕지도. 노대도. 쑥섬과 그 뒤로 두미도를 바라본다.
반하도에서 연화도로 이어지는 보도 연도교. 국내 최장의 보도교로 230m.
보도 연도교.
보도 연도교에서 우측 욕지도(좌)-상,하노대도 -두미도(우).
보도 연도교에서 좌측 선유도, 비진도-한산도
09 : 56. 다리 건너 연화도. 나랫등 카페와 식당. 연화항을 보며 급경사 데크길을 내려간다.
나랫등 카페와 식당.
나랫등 카페에서 반하도를 뒤돌아 보고
연화항과 뒤로 연화봉.
10 : 03. 연화도 선착장. 환상의 섬 연화도 표지석. 중화에서 여객선이 들어와 한 무리의 관광객들이 내린다.
10 ; 07. 연화마을 버스정류장. 요금은 1000원. 택시같이 전화하면 온단다. 010 5436 7085.
버스뒤로 오르면 연화사. 내려올땐 이리로 내려올것이다.
연화항.
연화사에서 2022. 3. 18부터 5.8ㅣ일 석가탄신일까지 부산시 무형문화재이신 성각스님의 전시회가 열리고 있다.
2022 제 1회 통영국제트리엔날레
정자에서 간식 들며 쉬어간다.
10 ; 36. 연화봉 등산로 입구. 정자. 연화도 등산 안내도. 연화봉 1.3km 계단 따라 산으로 올라간다.
10 : 43. 우도. 반하도. 연화항. 욕지도. 쑥섬을 돌아본다.
연화봉으로 오르며 뒤 돌아 본 우도(좌)-반하도-연화도(우)
당겨본 반하도 양쪽의 다리.
우도항(가운데). 좌측 산 넘어에 구멍섬과 목섬.
11 : 06. 초도와 소초도, 욕지도 천황산과 갈도를 바라본다.
상,하 노대도와 뒤로 두미도 천황산.앞섬은 적도,불귀. 그뒤 좀 큰섬은 쑥도. 그 우측 작은섬은 봉도.
소초도(좌)-초도-욕지도 천황산(우). 가운데 멀리 흐릿한 길쭉한 섬은 갈도(葛島).
11 ; 10. 안부. 안부. 쉼터. 좌측으로 연대도. 비진도. 미륵산과 한산도와 거제도의 산들을 보고 급 계단을 올라간다.
연대도(좌). 비진도. 미륵산(중)과 한산도와 거제도의 산들(우).
11 : 37. 연화봉 정상. 아미타 대불. 연화봉 정상석. 215.1m 욕지 24 삼각점. 운상정 정자.
용머리해안을 보며 내려간다.
연화봉 정상의 아미타 대불.
연화봉 정상석. 215.1m 욕지 24 삼각점. 운상정 정자와 조망도.
연화봉 정상에서 소초도, 초도와 뒤로 갈도.
연화봉 정상에서 연대도(좌)-내.외 부지도-비진도. 미륵산-한산도-거제도 망산(우).
연화봉 정상에서 용머리해안과 뒤로 매물도.
연화봉 정상의 운상정정자와 아미타대불.
용머리해안을 보며 내려간다.
11 : 59. 사명대사 토굴. 연화도인 토굴.
사명대사 토굴(우). 연화도인 토굴(좌).
사명대사 토굴.
사명대사 .
연화도인 토굴.
연화도인 .
연화항에 있는 연화도인과 사명대사 안내도다.
12 : 09. 보덕암 입구 삼거리. 도로 따라 우측으로 내려가 보덕사를 보고 다시 삼거리로 올라온다.
보덕암 입구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본 연화사쪽과 반하도 보도 연도교.
12 : 20. 보덕암. 6층 건물 위에 보덕암 보타전. 용머리 해안을 건너다 보고 다시 올라와 우측 해수관음상을 다녀온다.
종무소(우)와 보덕암(좌)
종무소앞에서 본 용머리해안과 해수관음상.
보덕안 보타전앞에서 본 용머리해안. 사진 맨 좌측끝에 오층석탑. 가운데 민둥봉에 부서진 전망대.
가운데 뾰족봉 (120.7m봉) 넘어에 출렁다리가 있고 우측에서 4번째봉에 마지막 전망데크.
12 : 20. 보덕암. 6층 건물 위에 보덕암 보타전. 용머리 해안을 건너다 보고.
보타전
보타전과 멀리 용머리해안.
12 : 28. 보덕암 동쪽 아래의 해수관음상. 다시 삼거리로 올라간다
해수관음상.
12 : 41. 다시 돌아온 보덕암 입구 삼거리. 좌측 아래로 반하도의 다리를 보고 능선길 따라간다.
다시 돌아온 보덕암 입구 삼거리. 능선따라 올라서면
12 : 43. 오층 석탑. 삼거리엔 석가여래 진신사리탑 20m라 했는데 여기엔 아무런 안내판이 없다.
12 : 56. 시멘트 도로에 내려서 도로 따라 내려간다.
13 : 03. 보덕암과 연화봉 정상의 아미타불과 좌측 뒤로 욕지도를 뒤돌아 보고.
좌측 해안절벽위에 보덕암. 우측 연화봉에 아미타불도 보이고
13 : 04. 시멘트 도로 버리고 우측 전망대 가는 길로
여기서 우측으로
13 : 09. 첫 봉의 전망대는 망가져서 별 볼일 없고 건너편 120.7m 봉의 전망대가 높게 올려다 보인다.
첫 봉의 전망대는 망가져서 별 볼일 없고
건너편 120.7m 봉의 전망대가 높게 올려다 보인다.
13 ; 14. 안부. 120.7m 봉은 쳐다만 보고 바로 옆 시멘트길로 내려서 도로 따라간다. 출렁다리 0.3km.
여기서 도로따라 가서
3 : 22. 출렁다리 앞. 대바위 0.5km. 우측 계단을 올라가면 120.7m 봉에서 내려온 길을 만나고 좌측에 출렁다리.
여기서 우측으로 오르면
13 : 25. 출렁다리. 2011.12.30 완공. 연장 44m. 폭 1.5m. 좌측에 동두마을. 뒤로 120.7m 봉과 욕지도를 보며
건너가서 급한 계단을 올라간다. 망바위는 어느 바위인지?
출렁다리에서 동두항과 120.6m봉.
망바위는 어느 바위인지?
출렁다리를 건너가서 급한 계단을 올라간다.
뒤 돌아 본 출렁다리와 120.7m봉.
저 아래서 낚시하는 강태봉. 뒤로 욕지도와 초도.
올라간다.
망바위는?
겨우 올라섰다.
동두항과 120.6m봉.
동두항앞 양식장과 한산도.
전망대와 그 우측 뒤로 국도가 보인다.
13 : 47/14 : 13. 전망대 데크. 욕지도 천황산과 초도. 소초도. 갈도. 국도. 보덕암과 연화봉을 보며 점심.
데크는 관리를 안 해 얼마 안 가서 폐쇄될 듯. 되돌아 나간다. 바로 앞의 용머리는 모양이 안 나온다.
전망대에서 보덕암과 연화봉을 당겨본다.
전망대 데크는 관리를 안 해 난간 기둥도 뽑히고 바닥도 다됐다. 얼마 안 가서 폐쇄될 듯
욕지도 와 초도, 갈도를 보고
연화봉과 120.7m봉.
연화봉과 보덕암을 다시보고.
용머리해안의 4개섬은 여기서는 이어진듯보여 섬모양이 안나온다. 뒤는 국도.
14 ; 14. 갈림길에서 우측 동두마을 길로. 좌측은 출렁다리에서 온길.
동두해변 내려가는길.
14 ; 20. 동두마을해변. 해변 중앙에서 좌측 계단으로 올라가서 밭길 따라 동두마을로
좌측에 보이는 계단으로 옹벽을 올라간다
동두마을해변.
14 ; 24/42. 동두항 동두 버스정류소. 관광객 4명이 버스를 호출했다며 기다리고 있다.
연화사 까지는 약 2km인데 왔던 길을 되돌아가는데 날도 더워 버스를 타고 가야겠다.
곧 온다는 버스가 20여분을 기다려도 안 와서 다시 전화를 해보나 언제 온다는 얘기도 없이 끊는다.
3시 배가 들어와야 올듯싶어 걸어가기로 하고 출렁다리 밑을 지나니 버스가 들어온다.
동두항에서 본 출렁다리.
동두정류소. 버스는 전화걸면 온다는데 연화항-연화사-동두항을 오가는길이 버스길이다.
동두항.
14 : 49. 출렁다리 밑에서 봉고 버스 타고 (\1000x2) 연화사 하차.
출렁다리밑. 저바위가 망바위인가보다.
14 : 54/15 ; 12. 연화사. 낙가산 연화사다. 대웅전 앞에는 부산시 무형문화재 19호 선화 보유자이신 성각스님의
" 바다 너머 피안 " 작품이 전시되고 있다. 도로 따라 내려간다.
낙가산 연화사 천왕문.
대웅전앞. 작품 하나씩 눌러서 큰 그림으로 보세요.
부산시 무형문화재 19호 선화 보유자이신 성각스님의
" 바다 너머 피안 " 작품들이 전시되고 있다.
바다너머피안.
기우귀가(畸牛歸家).
도피안(到彼岸). 차안(此岸)에서 피안(彼岸)으로 가는 길.
山心.
연화사 대웅전.
대웅전에서 본 연화사.
달마의 직지인심. 건성성불.
15 : 15. 불이문
불이문 기둥에 있는 고산 혜원 대선사님의 열반송.
불이문 기둥에 있는 고산 혜원 대선사님의 오도송.
15 : 18. 원량초교 연화 분교장. 총 학생수가 4명이라는 전광판이 흐르고 있다.
원량초교 연화 분교장.
15 : 24. 연화항. 통영 나 가는 배는 5시에 드러난 시간이 많다. 쉼터에서 푹 쉬며 기다린다.
연화항에서 본 욕지도와 두미도, 상,하노대도. 쑥도.
17 ; 05. 대일 해운의 아일랜드호를 타고 (\8700x2. 통영에서 들어올 때 예매를 했다)통영항으로
뒤돌아 본 연화도와 반하도,
우도와 구멍섬,목섬과 욕지도.
우도 뒤로 욕지도.
17 : 22. 내, 외부지도 사이를 지나고
17 : 25. 연대도 오곡도 앞을 지나고
오곡도.
17 : 28. 학림도. 미륵도 보고
학림도와 미륵도(뒤).
17 ; 32. 비진도 앞을 지나고
비진도(좌), 선유도(우)
17 ; 34. 거제도 망산을 보고
한산도(좌)-거제도 망산(좌측 뒤)- 추봉도- 용초도,
17 ; 45. 한산대첩비와 문어포항 바라보고.
한산도 한산대첩비(좌)와 문어포항(우).
17 : 47. 거제도 산방산이 보이고.
거제도 산방산(우측 뒤 암봉).
17 ; 50. 거제대교도 보이고.
거제대교(가운데 해간도 들어가는 빨간 다리 뒤. 그 좌측에 전망타워가 보인다).
우측 뒤로 높은봉은 게제 가조도의 옥녀봉(331.9m).
17 : 51. 등대 낚시공원과 남산이 가까이 보인다.
좌측 등대 낚시공원과 그 좌측 뒤 조그만 복바위와 남산(213.4m).
17 ; 53. 충무마리나 리조트와 미륵산을 다시보고.
충무마리나 리조트(좌)와 미륵산(우).
18 ; 00. 통영항 도착.
18 ; 07. 통영 조선호텔에서 짐 찾고
18 : 14. 서호시장 정류소에서 시내버스 타고 (\1450x2)-통영 시외버스. 18. 45 도착
19 : 13. 통영 시외버스터미널-\2400x2-고성터미널. 19.35 도착.
20 ; 09. 마트에서 장보고(\8470) 홍스 주꾸미집에서 저녁(\12000x2) 먹고
예약한 고성 우등 모텔(\37000)에서 숙박.
고성 우등 모텔(\37000).
쭈꾸미세트(\12000x2)를 먹었는데 잘못 들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