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안길

남해안 길 17. (고성읍 수남 삼거리-포교-삼산면사무소-삼봉리 상촌).

산경표 2022. 4. 26. 15:59

남해안 길 17. (고성읍 수남 삼거리-포교-삼산면사무소-삼봉리 상촌). 

 

 

◈ 일시 : 2022. 04. 20 (수). 남해안  6차  둘째 날.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 19.4 km. 8시간 27분.

 

◈ 동행 : 아내.

 

◈ 지도.

 

 

 

 

 

◈ 트랙.

 

남해안17 (고성수남삼거리 ㅡ삼산상촌)2022-04-20 064627.gpx
0.10MB

 

카카오 맵으로 트랙 보기.

 

 

 

◈ 일정 정리.

 

06 : 45. 고성읍 우등모텔을 나와 택시로 고성 코아루 더파크 아파트 앞 도착(\4300).

         바로앞의 수남 삼거리(다음 지도는 수남 삼거리. 현지 표지판은 남포항 삼거리)에서
          우측 삼천포항, 삼산면 방향으로 간다. 우측은 수남유수지생태공원.

06 : 55. 대독교로 대독천을 건너간다. 지형도는 대곡교. 1010번 지방도를 따라간다.

07 : 01.  오른쪽 대독 산업단지. 고성군생활폐기물 처리장 가는 길.

07 : 04. 지방도로 버리고 좌측 1차로로 간다. 望思齋진입로 표지석.

07 ; 14. 망사재. 임진란 창의 공신 박애상과 그의 부인 어 씨를 모신 재실과 비.

07 : 20. 소로 버리고 우측으로 조금 가서 좌측 지능선 위로.

07 : 23. 지능 선위. 우측에 가족묘. 산길을 따라가는데 점점 길이 희미해지고.

07 ; 39. 길이 없는 갈망개 농갓집으로 내려서 마을길 따라 우측 지방도로로 올라가며 벽방산이 뒤로 보인다.

07 ; 53. 1010번 지방도로. 망사재 입구에서부터 여기까지는 지방도로를 따라오는 게 낫겠다. 도로 따라간다.

07 : 59. 고개. 목넘개마을입구 표지석.

08 ; 06. 좌측으로 멀리 가오치항과 봉화산, 그리고 앞쪽에 읍도와 비사도가 보인다. 

08 ; 14. 판곡(마리개) 정류소. 앞 왕새우 양식장 너머로 통영 지맥 시루봉-도덕산을 본다.

08 ; 25/30. 문화유씨 입향조 선산 표지석이 있는 공원 쉼터에서 잠시 쉬어간다.
               좌측 건너편에 가오치항쪽이 보이고 앞쪽엔  병산 동산 표지석.

08 : 38. 병산리 입구. 병산리 표지석. 우측으론 성지산에서 갈모봉산으로 가는 산들을 보고
           좌측으로는 읍도 뒤로 가오치항과 뒤로 봉화산에서 장막산으로 가는 산들을 보며 병산교를 건너간다.

08 ; 58/09 : 09. 장지 삼거리. 장지마을 표지석. 장지 정류소. 공명선거 표지석. 처음으로 앞쪽에서 버스가 온다.
          지방도는 직진해 영선고개로 올라가고 우리는 좌측으로 내려가 덕상계마을지나 영선고개로 간다.

09 : 17. 장지마을.

09 : 27. 77 국도. 장지 정류소. 병산 ←장지 → 군령포. 우측으로 가면

09 : 33. 전망대 주차장.덕상계마을과 바다 건너로 벽방산-도덕산과 비사도 읍도를 뒤돌아 본다.

09 : 41. 영선고개(장지 삼거리). 1010번 지방도 만나는 삼거리. 장지마을 표지석. 장지 정류소.
         좌측 봉화산 쪽으로 임도 따라간다.

09 : 48. 봉화산 등산로 입구. 봉화산 등산 안내도. 봉화산 0.5km. 우측 임도 따라가며
         잠시 후에 지나갈 사리골과 안산 밑의 태양광 발전시설과  안산 뒤로 수타산쪽 와룡 지맥이 보인다.

10 ; 03. 사리골. 위에서 볼 때 비닐하우스 같던 시설물은 키위 농장이고 축사 뒤로 연신 고개를 뒤돌아 본다.

10 ; 08. 안산 고개. 시멘트길 소로.

10 ; 41. 고목나무와 운동기구가 있는 쉼터.

10 : 44. 두모마을. 좌측으로  2차로를 따라간다.

10 : 49. 두모 경로당. 담 밑에 수선화 꽃이 잔뜩 피었다.

10 ; 58. 두모 정류소. 이어 두모교를 건너며 좌측엔 포구.

11 ; 11. 대덕산 밑을 지나가며 좌측 바다 건너로 가오치항 서쪽의 유자도, 유촌마을과 동촌마을 앞 건대도가 보인다.

11 : 19. 밭 골 포구와 유자도, 건대도를 내려다 보고.

11 : 25. 덕산 고개. 지형도의 포교다. 덕산마을 표지석. 좌측은 밭 골 포구, 우측은 덕산 포구. 앞쪽은 숭월산과 포교항.

11 : 33/36. 덕산포구. 누은 섬과 윗대호섬 뒤로 사량도를 바라본다.

11 : 45. 산모퉁이를 돌아가며 좌측으로 누은섬과 사량도, 남해를 본다.

11 : 57/12 : 02. 보타암 입구를 지나 매 땀 정류소. 잠시 쉬고 언덕을 넘어간다.

12 : 17. 덧재. 괴암 섬, 누은섬 뒤로 사량도와 우측으론 좌이산과 수타산, 무이산을 보며 도로 따라간다.

12 : 22. 인간문화재 고성농요 김명석 기념관.

12 : 34. 덧개(덕개) 포구. 덧개정류소. 배암목 뒤로 KBS송신탑과 문수암이 있는 무이산과 그 좌측의 수타산이 보인다.

12 : 42/47. 보리 섬 앞의 정자에서 보리 섬 가는 다리와 배암목을 보며 잠깐 쉬어간다.

12 : 48. 보리 섬을 들어가는 대보교 다리.

12 ; 54. 대포 정류소와 정자. 대포마을 표지석. 룡대미 어촌체험 마을 안내판. 대포마을 안내판.

13 ; 09. 보리 섬 끝 뒤로 솔섬과 해명마을과  삼산면 소재지인 용호마을을 바라본다.

13 ; 18. 우측으로 포교, 두모 가는 삼거리. 좌측으로 조금 가면 삼산면사무소,

13 : 25/59. 삼산면사무소 옆 삼산정에서 백반으로(\8000*2) 점심.
        재료가 떨어지면 일찍 문을 닫는다는데 막차로 겨우 먹었다.
           삼산면 용호마을이다. 면사무소. 농협. 파출소. 용호마을 안내판과 표지석. 77번 도로를 따라간다.

14 ; 23. 미동마을 안내판과 미동 정류소. 고성으로 나가는 버스가 지나간다.

14 : 47. 미동정류소. 우측 밑에 삼밭골 마을. 고개 오름길이 된다.

15 : 02/08. 고개. 우측 갈모봉 1.3km. 쉼터와 64.2m 수준점. 우측 갈모 봉산(368.3m)ㅡ 신왕산(196m) 가는 고개다.

15 : 13. 상촌 정류장. 다음 정류장은 중촌 정류장. 조금 더 내려가면 삼봉사.
        원래 계획은 4.3km쯤 더 가서 중촌교 전에 있는 횟집을 겸한 민박집에서 민박을 하기로 하고
          지난 5차 때 예약을 했었는데(\50000) 병이 나서 못 가고 어제 전화를 했더니 방이 없단다.
         그 옆집에 전화를 하니 10만 원을 달래서 포기하고 이쯤에서 끝내고 고성으로 나갈 요량으로 
         카카오 택시를 부르나 대답이 없어 고성군청 홈피를 찾아보나 교통정보는 없다. 
          군청교통과에 전화를 해서 시내버스 편을 알아보나 시내버스는 지금 시간엔  없다며 새마을 버스
        전화번호를 일러주는데 전화를 받지를 않는다. 고성 택시를 부르려니 집사람이 시간이  아직 많으니
        삼산면으로 가보자고 해서 뒤돌아 1km쯤 간 미동에서 6.1 지방선거에 나온 가족을 만나 동승해서
        삼산면사무소 앞에 내려(16 : 35)  버스 편을 알아보니
          역시 1시간은 더 기다려야 하는데 마침 택시가  와서 택시 타고(\14000)
        17 : 08. 어제 묵었던 고성읍의 우등 모텔에(점심때 야놀자에서 \32000 예약) 도착.

 

06 : 45. 고성읍 우등모텔을 나와 택시로 고성 코아루 더파크 아파트 앞 도착(\4300).

         바로앞의 수남 삼거리(다음 지도는 수남 삼거리. 현지 표지판은 남포항 삼거리)에서
          우측 삼천포항, 삼산면 방향으로 간다.
우측은 수남유수지생태공원.

성 코아루 더파크 아파트

수남 삼거리(다음 지도는 수남 삼거리. 현지 표지판은 남포항 삼거리).

 

우측은 수남유수지생태공원.

 

남포항.

 

우측 건강100세공원.

 

06 : 55. 대독교로 대독천을 건너간다. 지형도는 대곡교. 1010번 지방도를 따라간다.

 

07 : 01.  오른쪽 대독 산업단지. 고성군생활폐기물 처리장 가는 길.

 

07 : 04. 지방도로 버리고 좌측 1차로로 간다. 望思齋진입로 표지석.

 

07 ; 14. 망사재. 임진란 창의 공신 박애상과 그의 부인 어 씨를 모신 재실과 비.

 

07 : 20. 소로 버리고 우측으로 조금 가서 좌측 지능선 위로.

언덕 직전에 우측으로 가서 앞에 보이는 좌측 안부로 가는데 언덕에 올라서 가도 길은 좋다.

 

07 : 23. 지능 선위. 우측에 가족묘. 산길을 따라가는데 점점 길이 희미해지고.

 

07 ; 39. 길이 없는 갈망개 농갓집으로 내려서 마을길 따라 우측 지방도로로 올라가며 벽방산이 뒤로 보인다.

빨간집쪽으로 가서 좌측 산중턱의 전봇대있는 지방도로로 올라간다.

 

07 ; 53. 1010번 지방도로. 망사재 입구에서부터 여기까지는 지방도로를 따라오는 게 낫겠다. 도로 따라간다.

좌측 빨간 창고있는 집뒤로 내려왔다. 뒤로 보이는 뾰족봉은 벽방산.

 

07 : 59. 고개. 목넘개마을입구 표지석.

 

08 ; 06. 좌측으로 멀리 가오치항과 봉화산, 그리고 앞쪽에 읍도와 비사도가 보인다. 

봉화산(325.5m. 좌)-연도,읍도-가오치항-비사도-봉화산(254.7m. 우)

 

08 ; 14. 판곡(마리개) 정류소. 앞 왕새우 양식장 너머로 통영 지맥 시루봉-도덕산을 본다.

판곡(마리개) 정류소에서 본 통영 지맥 시루봉-도덕산.

 

08 ; 25/30. 문화유씨 입향조 선산 표지석이 있는 공원 쉼터에서 잠시 쉬어간다.
               좌측 건너편에 가오치항쪽이 보이고 앞쪽엔  병산 동산 표지석.

 

가오치항(좌)-비사도-군령포뒷산(우).

 

08 : 38. 병산리 입구. 병산리 표지석. 우측으론 성지산에서 갈모봉산으로 가는 산들을 보고
           좌측으로는 읍도 뒤로 가오치항과 뒤로 봉화산에서 장막산으로 가는 산들을 보며 병산교를 건너간다.

우측 골짜기 안쪽이 병산리. 앞에 보이는 산은 성지산(272.4m).

 

병산리는 과거(1926~1990)엔 삼산면사무소와 병산우체국이 있던 삼산면소재지였단다.

 

성지산(좌)-갈모봉산(우.367m).  성지산 넘어쪽에 삼산면사무소가 있고 갈모봉산 좌측이 와룡지맥.

 

벽방산(좌)-천개산-도덕산(우).

 

도산면(좌)-장막산-매봉산-봉화산(우).

 

08 ; 58/09 : 09. 장지 삼거리. 장지마을 표지석. 장지 정류소. 공명선거 표지석. 처음으로 앞쪽에서 버스가 온다.
          지방도는 직진해 영선고개로 올라가고 우리는 좌측으로 내려가 덕상계마을지나 영선고개로 간다.

장지마을 표지석. 장지 정류소. 정류소 뒤에 공명선거표지석.

 

 

09 : 17. 장지마을.

마을뒤 저 위가 영선고개. 사진 좌측위 산중턱길이 군령포 가는길인 77번국도.

 

09 : 27. 77 국도. 장지 정류소. 병산 ←장지 → 군령포. 우측으로 가면

여기서 좌측은 군령포. 우측으로 가면 영선고개.

 

09 : 33. 전망대 주차장.덕상계마을과 바다 건너로 벽방산-도덕산과 비사도 읍도를 뒤돌아 본다.

장지마을 우측 군령포 가는길. 뒤는 장막산-매봉산. 

 

장지마을 과 뒤로 벽방산(좌)-도덕산.

 

09 : 41. 영선고개(장지 삼거리). 1010번 지방도 만나는 삼거리. 장지마을 표지석. 장지 정류소.
         좌측 봉화산 쪽으로 임도 따라간다.

올라온길(좌)과 갈길(집앞).

 

09 : 48. 봉화산 등산로 입구. 봉화산 등산 안내도. 봉화산 0.5km. 우측 임도 따라가며
         잠시 후에 지나갈 사리골과 안산 밑의 태양광 발전시설과  안산 뒤로 수타산쪽 와룡 지맥이 보인다.

안산 밑의 태양광 발전시설과  안산 뒤로 수타산쪽 와룡 지맥이 보인다.

 

10 ; 03. 사리골. 위에서 볼 때 비닐하우스 같던 시설물은 키위 농장이고 축사 뒤로 연신 고개를 뒤돌아 본다.

 

10 ; 08. 안산 고개. 시멘트길 소로.

 

10 ; 41. 고목나무와 운동기구가 있는 쉼터.

 

 

10 : 44. 두모마을. 좌측으로  2차로를 따라간다.

10 : 49. 두모 경로당. 담 밑에 수선화 꽃이 잔뜩 피었다.

 

10 ; 58. 두모 정류소. 이어 두모교를 건너며 좌측엔 포구.

 

11 ; 11. 대덕산 밑을 지나가며 좌측 바다 건너로 가오치항 서쪽의 유자도, 유촌마을과 동촌마을 앞 건대도가 보인다.

봉화산(좌)과 매봉산. 좌측 봉화산 밑을 돌아가면 가오치항. 우측 소나무가지끝에 통영경찰수련원앞의 건대도 보인다.

 

11 : 19. 밭 골 포구와 유자도, 건대도를 내려다 보고.

밭골포구. 앞산은 숭월산(86.1m).

봉화산-매봉산과 좌측엔 유자도 우측엔 건대도가 보인다.좌측끝 너머가 가오치항.

 

11 : 25. 덕산 고개. 지형도의 포교다. 덕산마을 표지석. 좌측은 밭 골 포구, 우측은 덕산 포구. 앞쪽은 숭월산과 포교항

덕산정류소.

덕산포구뒤로 좌이산이 보인다.

 

11 : 33/36. 덕산포구. 누은 섬과 윗대호섬 뒤로 사량도를 바라본다.

누은 섬(우)과 윗대호섬(가운데뒤) 뒤로 사량도

포교항.

 

11 : 45. 산모퉁이를 돌아가며 좌측으로 누은섬과 사량도, 남해를 본다.

당겨본 사량도 윗섬과 아랫섬을 잇는 사량대교

누은섬 뒤로 사량도 상도와 우측뒤로 남해의 금산.

 

11 : 57/12 : 02. 보타암 입구를 지나 매 땀 정류소. 잠시 쉬고 언덕을 넘어간다.

 

 

12 : 17. 덧재. 괴암 섬, 누은섬 뒤로 사량도와 우측으론 좌이산과 수타산, 무이산을 보며 도로 따라간다.

좌이산과 수타산, 무이산

괴암 섬(우), 누은섬 뒤로 사량도.

 

12 : 22. 인간문화재 고성농요 김명석 기념관.

괴암 섬(좌)과 뒤로 사량도.

좌이산과 자란도(紫蘭島).

 

12 : 34. 덧개(덕개) 포구. 덧개정류소. 배암목 뒤로 KBS송신탑과 문수암이 있는 무이산과 그 좌측의 수타산이 보인다.

 

배암목 뒤로 KBS송신탑과 문수암이 있는 무이산과 그 좌측의 수타산이 보인다.

 

12 : 42/47. 보리 섬 앞의 정자에서 보리 섬 가는 다리와 배암목을 보며 잠깐 쉬어간다.

12 : 48. 보리 섬을 들어가는 대보교 다리.

보리 섬을 들어가는 대보교 다리.

 

 

 

보리 섬을 들어가는 대보교 다리.

 

12 ; 54. 대포 정류소와 정자. 대포마을 표지석. 룡대미 어촌체험 마을 안내판. 대포마을 안내판.

 

 

13 ; 09. 보리 섬 끝 뒤로 솔섬과 해명마을과  삼산면 소재지인 용호마을을 바라본다.

보리 섬 끝 뒤로 솔섬과 해명마을. 

 

삼산면 소재지인 용호마을. 우측산은 08 ; 38 병산리 입구에서 보았던 성지산.

우측 골짜기 안쪽이 미동, 좌측 신왕산 너머가 오늘 일정을 끝낸 상촌정류소. 

 

13 ; 18. 우측으로 포교, 두모 가는 삼거리. 좌측으로 조금 가면 삼산면사무소,

 

13 : 25/59. 삼산면사무소 옆 삼산정에서 백반으로(\8000*2) 점심.
        재료가 떨어지면 일찍 문을 닫는다는데 막차로 겨우 먹었다.
           삼산면 용호마을이다. 면사무소. 농협. 파출소. 용호마을 안내판과 표지석. 77번 도로를 따라간다.

삼산면사무소

삼산면정류소.

 

1010번 지방도로를 따라간다. 갯장어를 하모라 부르는모양이다.

 

14 ; 23. 미동마을 안내판과 미동 정류소. 고성으로 나가는 버스가 지나간다.

 

14 : 47. 미동정류소. 우측 밑에 삼밭골 마을. 고개 오름길이 된다.

우측 밑에 삼밭골 마을

 

15 : 02/08. 고개. 우측 갈모봉 1.3km. 쉼터와 64.2m 수준점. 우측 갈모 봉산(368.3m)ㅡ 신왕산(196m) 가는 고개다.

 

15 : 13. 상촌 정류장. 다음 정류장은 중촌 정류장. 조금 더 내려가면 삼봉사.
        원래 계획은 4.3km쯤 더 가서 중촌교 전에 있는 횟집을 겸한 민박집에서 민박을 하기로 하고
          지난 5차 때 예약을 했었는데(\50000) 병이 나서 못 가고 어제 전화를 했더니 방이 없단다.
         그 옆집에 전화를 하니 10만 원을 달래서 포기하고 이쯤에서 끝내고 고성으로 나갈 요량으로 
         카카오 택시를 부르나 대답이 없어 고성군청 홈피를 찾아보나 교통정보는 없다. 
          군청교통과에 전화를 해서 시내버스 편을 알아보나 시내버스는 지금 시간엔  없다며 새마을 버스
        전화번호를 일러주는데 전화를 받지를 않는다. 고성 택시를 부르려니 집사람이 시간이  아직 많으니
        삼산면으로 가보자고 해서 뒤돌아 1km쯤 간 미동에서 6.1 지방선거에 나온 가족을 만나 동승해서
        삼산면사무소 앞에 내려(16 : 35)  버스 편을 알아보니
          역시 1시간은 더 기다려야 하는데 마침 택시가  와서 택시 타고(\14000)
        17 : 08. 어제 묵었던 고성읍의 우등 모텔에(점심때 야놀자에서 \32000 예약) 도착.

 

상촌정류소.

 

조금 내려가면 삼봉사.

 

17 : 08. 어제 묵었던 고성읍의 우등 모텔에(점심때 야놀자에서 \32000 예약) 도착.

어제는 특실(쿠폰받아 \37000)이라 방은 큰데 목욕탕이 썰렁해서 오늘은 일반실(\32000)에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