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 둘레길. 해안길/남해.창선도

남해. 창선도 4(남해대교-감암-이락사-갈화리-서면 회룡마을)

산경표 2022. 6. 10. 18:51

남해. 창선도 4(남해대교-감암-이락사-갈화리-서면 회룡마을) 

 

 

◈ 일시 : 2022. 05. 05 (목). 남해안 7차 4박 5일 중  넷째 날. 1도~22도로 덥다.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 18.2 km. 8시간 47분.

 

◈ 동행 : 아내.

 

◈ 지도.

 

 

 

 

 

 

 

 

◈ 트랙.

 

남해군4(노량 ㅡ회룡)2022-05-05 063857__20220505_0638.gpx
0.10MB

 

카카오 맵으로 트랙 보기.

 

 

◈ 일정 정리.

 

 

06 : 20. 남해 공용터미널에서 부산행 시외버스 (\1800x2)

06 : 38. 남해대교 앞 하차. 우측으로 가서 엘리베이터를 타고 내려간다.

06 : 44. 유람선앞. 대국산성 9km. 문항어촌체험마을  8km. 남해충렬사 0.3km. 도로 따라간다.

06 ; 52. 남해대교로 올라가는길. 남해 바래길 안내판.

06 : 55. Hello NAM HAE 포토죤. 이어 남해대교 아래를 지난다. 이순신 호국길 이정표.

06 : 59. 신성산 탐방로 안내도. 노량공원 1.8km. 감암마을 0.5km.

07 ; 08. 노량대교 아래.

07 : 14. 감암마을.-감암버스정류장.

07 : 20. 감암 위판장.

07 ; 32. 월곡교를 건너간다.

07 ; 40. 노량대교와 연대봉, 산성산과 구두산을 뒤돌아 본다.

07 : 57. 월곡 하수처리장. 옆은 쉼터와 놀이터가 있는 소공원.

08 : 03. 좌측 산길로 올라 능선길을 따라간다. 남파랑길. 이순신 호국길 이정표.

08 : 27. 전망대. 노량대교와 금오산, 연대봉, 월곡마을, 증봉과 망운산 정상이 올려다 보인다.

08 : 38. 19 국도 위. 이순신 호국길 13코스 안내판. 국도와 나란히 가는 시멘트길을 따라간다.

08 : 49. 구 길 합류 삼거리 쉼터. 갯가를 거쳐오는 구 길을 만나 같이 간다. 이순신 호국길 종합안내도.

09 ; 03. 전망대. 광양 앞바다와 첨망 전망대가 건너다 보인다.

09 ; 10. 목섬 앞. 이순신 호국길 13코스 안내판. 좌측으로 간다.

09 : 14/39. 이순신 명언들을 적은 이순신 호국길 알림판이 쭈욱 걸려있는 해안길에서 요기하며 쉬고

09 ; 43. 이순신 순국공원 상징조형물.

09 : 53. 이순신 영상관. 개인 \3000. 경로는 무료이나 자세히 볼 시간은 없어 통과

09 : 55. 이락사 갈림길-관음포 이충무공 전몰 유허(사적 제232호) 안내판

10 ; 03. 이락사. 유허비.

10 ; 13. 관음포 이충무공 전몰 유허 첨망대 안내판과 첨망대. 첨망대에 올라 둘러보고 되돌아 나간다.

10 ; 36. 다시 돌아온 이락사 갈림길. 도로 따라간다.

10 ; 38. 남해바래길 안내도. 이순신 영상관 안내도.

10 ; 44. 소차면(이순신 순국공원) 정류소.

10 ; 53. 19 국도 교각 밑을 지난다.

11 : 14. 19번 국도 지하도로 앞. 우측 언머리 마을로 내려간다.

11 ; 22. 언뚝제방 수문.

11 ; 42. 언뚝제방 건너편 대사천 쉼터. 남파랑 46코스 갈림길. 대사천 둑은 꽃길로 장식했다.
          77번 국도를 만나  해안도로를 따라간다. 서면 16km.

11 ; 58. 달실마을 표지석. 달실 버스 정류소.

12 ; 11. 우도 앞. 우도는 둑으로 연결되었다.

12 ; 30. 보물섬 남해삼베마을. 옛 초등 학교터인 듯.

12 ; 31. 갈화리 사업 기념비. 갈화리 표지석과 유래비.

12: 45/13 ; 12. 갈화리 입구에서 우측 마을길로 들어 어느 집 돈대에서 점심.

13 ; 20. 도상 옆끝(동갈화)항.갈화새우체험장.금오산과 연대봉, 노량대교를 바라본다.

13 : 23. 또 다른 양식장을 좌측으로 돌아간다.

13 ; 29. 좌측  산길로 올라가 능선길을 따라간다.

13 : 42. 넓적 바위 그늘에서 금오산을 보며 쉬어간다.

13 : 47. 화천 선착장으로 내려가는 길이 없어 되돌아 나가 화천마을 지나 포구로 내려간다.

14 : 06/20. 화전 선착장 쉼터에서 쉬어간다.

14 ; 26. 77 국도를 따라간다.

14 : 36. 고현면과 작별하고 서면으로 들어간다.

14 ; 48. 77 국도와 작별하고 우측 진지리 마을로 내려간다.

14 ; 55. 우미도 앞 진지리 해변. 여수 영취산을 바라보며 해안도로를 따라간다.

15 ; 05. 수문 앞. 우측 수문앞 시멘트길로 간다. 직진하는 포장도로를 따라가면 정포마을. 

15 ; 07. 정포천 끝자락. 왼쪽 정포교로 돌아가야 하지만 그냥 건너갈만해서  건너간다.

15 ; 15. 건너편 수문 앞. 다시 77번 국도에 올라 국도 따라간다. 동의대 남해 수련원 4.5km 표지판.

15 : 20. 중현힐링센터. 중현모인대학.중현지구 복지회관. 회룡농촌체험학교. 옛 학교터인 듯.

15 ; 25. 회룡 삼거리. 좌측은 남해, 대곡. 우측은 이동, 남면. 회룡마을 도룡골 표지석.

15 ; 27. 농협 하나로 마트 앞 회룡 정류소. 하나로마트 좌측의 보건소 앞에 남파랑 45.6 시종점 안내판.

16 ; 25. 서면 중현리 회룡마을의 중현 하나로마트 앞에서  시내버스 탐. (\1500x2). 다음 차는 17:40

16 : 48. 남해터미널 도착. 시장 안에서 장어를 하는 집이 없어 곰장어(\50000)로 저녁 먹고
          터미널 2층에 있는 할인마트에서 장보고(\14110) 6층에 있는 남해 모텔에서 3박

 

 

06 : 20. 남해 공용터미널에서 부산행 시외버스 (\1800x2)

06 : 38. 남해대교 앞 하차. 우측으로 가서 엘리베이터를 타고 내려간다.

 

남해대교 앞.

 

 

 

06 : 44. 유람선앞. 대국산성 9km. 문항어촌체험마을  8km. 남해충렬사 0.3km. 도로 따라간다.

 

 

 

 

 

 

 

 

06 ; 52. 남해대교로 올라가는길. 남해 바래길 안내판.

 

 

 남해 바래길 안내판.

 

 

06 : 55. Hello NAM HAE 포토죤. 이어 남해대교 아래를 지난다. 이순신 호국길 이정표.

남해대교.

 

 

 

 

 

06 : 59. 신성산 탐방로 안내도. 노량공원 1.8km. 감암마을 0.5km.

 

 

노량대교(좌)와 남해대교(우).

 

노량대교.

 

 

07 ; 08. 노량대교 아래.

 

 

07 : 14. 감암마을.-감암버스정류장.

 

 

 

 

07 : 20. 감암 위판장.

거북선 모양의 감암 위판장.

 

 

 

 

각 어종별로 잡을수 있는 크기와 금어 시기가  자세히 적혀있다.

 

 

 

07 ; 32. 월곡교를 건너간다.

월곡교.

 

 

07 ; 40. 노량대교와 연대봉, 산성산과 구두산을 뒤돌아 본다.

뒤돌아 본 노량대교와 연대봉.

 

뒤돌아 본 산성산(좌)-구두산(우).

 

 

 

언덕을 너머가서

 

우측  소항도와 광양쪽.

 

 

 

07 : 57. 월곡 하수처리장. 옆은 쉼터와 놀이터가 있는 소공원.

월곡 하수처리장(우).

 

08 : 03. 좌측 산길로 올라 능선길을 따라간다. 남파랑길. 이순신 호국길 이정표.

월곡마을앞 . 저기서 산으로 오르고

 

뒤돌아 본 소항도. 금오산. 금성면. 

 

 

 

 

능선을 따라가며

 

08 : 27. 전망대. 노량대교와 금오산, 연대봉, 월곡마을, 증봉과 망운산 정상이 올려다 보인다.

능선에서 뒤 돌아 본 금오산. 연대봉. 노량대교. 월곡마을.

 

증봉, 망운산.

 

우측으로  광양,여수쪽

 

 

 

좌측으로 금오산-연대봉-노량대교-월국마을.

 

광양쪽

 

우측길로 내려가지 말라고 친절하게 

 

08 : 38. 19 국도 위. 이순신 호국길 13코스 안내판. 국도와 나란히 가는 시멘트길을 따라간다.

 

 

 

19국도와 나란히 가다가

 

 

19국도에서 올라오는 길을 따라가고 

 

 

 

08 : 49. 구 길 합류 삼거리 쉼터. 갯가를 거쳐오는 구 길을 만나 같이 간다. 이순신 호국길 종합안내도.

 

 

 

 

 

 

 

 

09 ; 03. 전망대. 광양 앞바다와 첨망 전망대가 건너다 보인다.

 하동군 금성면 대도와 주변섬들.

 

능선따라 내려가서

 

건너편 맨아래 능선끝이 잠시후에 들릴 첨망대. 뒤로 멀리 망운산.

 

금오산(우)에서 금성면(좌)

 

다시 하동군 금성면 대도와 주변섬들.

 

앞 좌측 아래가 목섬.

 

 

 

09 ; 10. 목섬 앞. 이순신 호국길 13코스 안내판. 좌측으로 간다.

 

 

좌측으로 이락사가 있는 능선을 보며 가고 

 

우측에 목섬.

 

 

09 : 14/39. 이순신 명언들을 적은 이순신 호국길 알림판이 쭈욱 걸려있는 해안길에서 요기하며 쉬고

 

 

 

목섬(우)과 대도 .장도. 주지섬.

 

 

목섬.

09 ; 43. 이순신 순국공원 상징조형물.

 

 

 

 

장군의 순국일인 (1598.11.19)에 맞춰 전체높이11.19m로 탄신 472주기인 2017.4.28에 건립.

 

 

09 : 53. 이순신 영상관. 개인 \3000. 경로는 무료이나 자세히 볼 시간은 없어 통과

 

 

 

 

09 : 55. 이락사 갈림길-관음포 이충무공 전몰 유허(사적 제232호) 안내판

 

 

 

 

 

 

 

 

 

 

 

 

10 ; 03. 이락사. 유허비.

1950년 남해 군민 7000명이 헌금하여 정원과 참배로를 조성하고

1965년 박정희 대통령이 이락사. 대성운해라는 현액을 내렸다.

 

 

 

대성운해안에 있는 유허비.
순조32(1832)에 이순신의 8세손 통제사 이항권이 왕명에 따라 충무공 이순신의 충의와 공적을 기록한 유허비를 세웠다.
유허비는 홍문관 대제학 홍석주가 짓고 예문관 제학 이익회가 썼다.

 

 

10 ; 13. 관음포 이충무공 전몰 유허 첨망대 안내판과 첨망대. 첨망대에 올라 둘러보고 되돌아 나간다.

 

첨망대

 

 

 

첨망대에서 본 관음포 앞 바다.

 

 

10 ; 36. 다시 돌아온 이락사 갈림길. 도로 따라간다.

 

 

10 ; 38. 남해바래길 안내도. 이순신 영상관 안내도.

 

 

 

 

10 ; 44. 소차면(이순신 순국공원) 정류소.

 

 

소차면(이순신 순국공원) 정류소에서 내려다 본 관음포

 

 

10 ; 53. 19 국도 교각 밑을 지난다.

 

 

 

 

11 : 14. 19번 국도 지하도로 앞. 우측 언머리 마을로 내려간다.

 

 

언머리 마을과 바다 건너편 달실마을.

 

 

언머리마을가는 길가에 핀 선인장꽃.

 

 

11 ; 22. 언뚝제방 수문.

수문위 제방을 건너간다.

 

 

11 ; 42. 언뚝제방 건너편 대사천 쉼터. 남파랑 46코스 갈림길. 대사천 둑은 꽃길로 장식했다.
          77번 국도를 만나  해안도로를 따라간다. 서면 16km.

 

 

 

 

낲랑길46코스는 여기서 좌측 고현쪽으로 가는 대사천 둑방길을따라 고현면을 거쳐
삼봉산과 사학산 사이의 고개를 너머가 중현리 회룡마을로 간다.

 

 

77번국도를 따라가고

 

우측으로 첨망대와 관음포쪽.

 

 

11 ; 58. 달실마을 표지석. 달실 버스 정류소.

 

 

첨망대와 금오산.

 

 

12 ; 11. 우도 앞. 우도는 둑으로 연결되었다.

우도.

 

우도와 대도와 주변섬들.

 

첨망대.관음포와 뒤로 금오산.

 

우도.

 

 

우도

 

우도와 금오산.

 

 

12 ; 30. 보물섬 남해삼베마을. 옛 초등 학교터인 듯.

 

 

 

 

12 ; 31. 갈화리 사업 기념비. 갈화리 표지석과 유래비.

 

 

 

 

 

12: 45/13 ; 12. 갈화리 입구에서 우측 마을길로 들어 어느 집 돈대에서 점심.

갈화리

 

 

갈화리 새우 양식장 제방둑.

 

 

13 ; 20. 도상 옆끝(동갈화)항.갈화새우체험장.금오산과 연대봉, 노량대교를 바라본다.

갈화 새우 체험장.

 

금오산과 연대봉, 노량대교.

 

대도쪽

13 : 23. 또 다른 양식장을 좌측으로 돌아간다.

 

 

13 ; 29. 좌측  산길로 올라가 능선길을 따라간다.

 

 

 

우측 아래  덕생이끝 14.8m(우)

 

 

13 : 42. 넓적 바위 그늘에서 금오산을 보며 쉬어간다.

 

 능선따라 올라온 쉼터. 날이 가물어 고추밭에 조루로 물을 주고 있다.

 

금오산과 노량대교부터 지나온길을 돌아보며 쉬어간다.

 

갈화리마을.

 

 

46.6m 옆으로 내려간다. 멀리 망운산이 보이고

 

좌측으로 본 지나온길과 산성산(중)

 

금오산 연대봉과 하동 금성면쪽

 

화천선착장이 내려다 보이고

 

 

13 : 47. 화천 선착장으로 내려가는 길이 없어 되돌아 나가 화천마을 지나 포구로 내려간다.

 

저앞에서 좌측으로 화천선착장으로  내려가려다 길이 없어 다시 올라와 화천마을로 가서 선착장으로 갔다.

 

 

 

14 : 06/20. 화전 선착장 쉼터에서 쉬어간다.

화전 선착장.

 

 

가운데 전봇대 뒷집 우측으로 내려올려고 했는데 언제 수해를 봤는지 깊게 골이 파이고 없어졌다.

 

 

선박 폐유 저장통이다. 나무 그늘 쉼터에서 쉬어간다.

 

우미도. 육도와 돌섬.

 

 

광양쪽

 

 

14 ; 26. 77 국도를 따라간다.

 

 

14 : 36. 고현면과 작별하고 서면으로 들어간다.

 

 

우미도. 육도 돌섬.

 

 

14 ; 48. 77 국도와 작별하고 우측 진지리 마을로 내려간다.

 

 

14 ; 55. 우미도 앞 진지리 해변. 여수 영취산을 바라보며 해안도로를 따라간다.

우미도.

 

 

 해안도로를 따라간다.

 

 

우미도.

 

여수쪽

 

 

망운산과 회룡마을쪽이 보이고

 

정포마을이 저위에 보이고 앞에  하얀수문이 보인다.

 

 

 

15 ; 05. 수문 앞. 우측 수문앞 시멘트길로 간다. 직진하는 포장도로를 따라가면 정포마을. 

 

 

15 ; 07. 정포천 끝자락. 왼쪽 정포교로 돌아가야 하지만 그냥 건너갈만해서  건너간다.

 

 

우미도

15 ; 15. 건너편 수문 앞. 다시 77번 국도에 올라 국도 따라간다. 동의대 남해 수련원 4.5km 표지판.

 

 

 

15 : 20. 중현힐링센터. 중현모인대학.중현지구 복지회관. 회룡농촌체험학교. 옛 학교터인 듯.

 

 

 

 

15 ; 25. 회룡 삼거리. 좌측은 남해, 대곡. 우측은 이동, 남면. 회룡마을 도룡골 표지석.

우측 붉은 벽돌건물이 정류소

 

 

15 ; 27. 농협 하나로 마트 앞 회룡 정류소. 하나로마트 좌측의 보건소 앞에 남파랑 45.6 시종점 안내판.

하나로마트앞에서 좌측으로 가면 보건소앞에 남파랑 45.6코스 시종점 안내판.

 

 

회룡정류소에 있는 버스시간표. 회룡에서 대곡 방면이 아니고 남해터미널에서 대곡경유 서상가는것이다.

 

버스시간표. 남해터미널에서 서상 ㅡ대곡.

 

 

 

16 ; 25. 서면 중현리 회룡마을의 중현 하나로마트 앞에서  시내버스 탐. (\1500x2). 다음 차는 17:40

16 : 48. 남해터미널 도착. 시장 안에서 장어를 하는 집이 없어 곰장어(\50000)로 저녁 먹고
          터미널 2층에 있는 할인마트에서 장보고(\14110) 6층에 있는 남해 모텔에서 3박

 

남해터미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