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안길

남해안 길 27(광양 진월 -태인대교-광양제철-금호대교)

산경표 2022. 6. 24. 11:00

남해안 길 27(광양 진월 -태인대교-광양제철-금호대교) 

                                

◈ 일시 : 2022. 06. 17 (금). 남해안 10차  3박 4일 중  넷째 날. 18~29도. 귀가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 12.5 km. 5시간 08분.


◈ 동행 : 아내.


◈ 지도.

 

 


◈ 트랙.


남해안27(광양진월 ㅡ마동금호대교)2022-06-17 060024__20220617_0600.gpx
0.07MB


카카오 맵으로 트랙 보기.



◈ 일정 정리.


06 : 00. 광양 진월면 다이아 모텔출발. 

06 ; 08. 무접섬 광장. 전어 조형물. 망덕 정류소. 앞의 진남루 정자 현판은 자개로

06 ; 14. 진월초교 정문. 진월초등학교 정류소. 좌측은 면사무소. 초교를 좌측에 끼고 우측으로 돌아간다.

06 ; 19. 진월정 공원 맞은편의 남파랑길 49코스 시점. 어제 온 길을 돌아보고 낡은 데크길을 따라간다.

06 : 27. 광양 선소(船所)터. 임진왜란 때 배를 만들던 곳이다.

06 : 29. 윤동주 시 정원.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등 31편의 시.
          바로 앞 데크의 윤동주 쉼터에서 배알도와 섬진대교, 망덕산을 둘러본다.

06 ; 40. 망덕포구. 호남정맥 끝 망덕산 들머리로 망덕산 안내판.
    우측 길 건너에 먹거리타운이 이어지고 윤동주의 육필시고를 보관했던 정병욱 가옥이 있는데 잊고 지나쳤다.

07 ; 04. 배알도 들어가는 별 헤는 다리. 배알도와 태인대교를 바라본다.

07 : 17. 언덕을 넘어 태인대교를 건너간다. 태인대교는 1990.12~1994.12. 준공. 길이 600m. 폭 11m로 4차선.

07 : 28/34. 태인대교 건너편. 해안으로 내려가는 길은 맞은편에 있고 길 따라 가려면 거리가 좀 있어 무단횡단.

07 : 37. 해안도로 옆 자전거 길을 따라 태인대교 밑을 지난다. 배알도 조망. 배알도 수변공원 630m. 시점 3.3km.

07 ; 47. 삼거리에서 직진. 좌측은 시청 가는 길.

08 ; 15. 우측 강 건너편에 수어천을 건너는 다리 공사 중. 광영동의 아파트 단지와 가야산 조망.
          좌측  건너편에 금섬의 끝 지점이 보인다.

08 : 19. ACE 데크 주식회사 동산. 좌측으로 휘어가며 포스코 광양제철이 보인다. 

08 ; 32. 섬진강 뱃길 시원 기념비.

08 ; 33. 동광아파트(태인 도촌) 정류장. 광양제철을 보며  쭉 뻗은 국토종주 자전거길을 따라간다.

08 ; 55. 사거리에서 우측으로 꺾어 GS25 앞 2번 국도를 따라가며 도촌 정류장을 지나간다.

08 ; 58. 광양제철을 보며 꽃단장을 한 태인교를 건너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간다.

09 : 05. Gree & Clean POSCO을 지나며 광양제철소 2문 정류소.

09 : 18. 제철소 삼거리. 시추 작업대 신호등. 우측으로 간다. 직진하는 2번 국도는 길호대교, 금호대교로 간다.

09 : 23. 제철소 본부.

09 : 26. 수문.  우측으로 꺾어 해안도로를 간다. 직진은 동백아파트, 목련 주택단지 가는 길

09 : 32/10 : 01. 포장 친 공원 쉼터에서 쉬어간다. 좌측은 광양제철 주택단지.

10 : 03. 금호 어버이집. 해안은 철망울타리가 쳐진 해안도로 자전거길과 넓은 인도를 따라간다.

10 ; 06. 대동 센득 안내판. 과거 이곳이 어떤 곳이었는지를 알려주는 안내판이다.
           좌측 울타리 안은 미니 골프장이고 금호어버집에서 시작된 백운 둘레길 이정표가 나온다.

10 ; 40. 금섬 끝 지점. 우측 강 건너편에 수어천을 건너는 다리 공사장을 보고 좌측으로 산 모랭 이를 돌아간다.

10 : 50. 좌측에 광양제철중학교.

10 : 55. 금호대교. 계획은 길호대교를 지난 남파랑길 50코스 시점까지 갈려고 했는데
           아내가 발가락이 아프다고 해서 여기서 끊고 중마(동광양) 터미널로 가기 위해
           금호대교 아래를 지나 좌측으로 올라가 금호대교(1982.5~1983.5. 건설)를 건너간다.

11 : 03. 금호대교 건너 금호 교차로. 좌측으로 조금 내려가

11 : 08. 금호대교앞 정류소. 정류소 표지판도 공터도 없는데 카카오 맵을 보면 여기가 정류장이다.
            바로 54번 버스가 와 손을 들고 탄다.

11 : 20/40. 중마(동광양) 터미널. 순천 가는 시외버스는 12.15분에나 있어  
             광앙가는 990 시내버스를 타고(\2800) 광양농협에서 내려
            77번을 타고(12 : 12) 순천역 서측정류소로 갔다(12 : 48).
            54번 버스를 계속 타고 광양농협으로 가서 77번버스로 환승했으면  될걸 그랬다.

13 : 00/13 : 24. 순천역에서 예매한 16 : 57 천안 아산행 KTX 표를 반환하고
            13 : 24에 출발하는  KTX를 탔다. 16 : 57분 차도 일주일 전에 예매했는데 자리가 없어
           자유석을 끊었는데 이차도 딱 3장이 남았다는데 칸이 다르고 1장은 오송에서 자리를 옮겨야 
           한다지만 3시간 반 이상을 기다리고 있을 수가 없어 이차를 타고 일찍 귀가.

15 : 22. 천안아산역 도착. (\22400*2)           

 

 

06 : 00. 광양 진월면 다이아 모텔출발. 

다이아 모텔. 깨끗하고 친절하고 가성비 만점.

 

 

06 ; 08. 무접섬 광장. 전어 조형물. 망덕 정류소. 앞의 진남루 정자 현판은 자개로

 전어 조형물. 우측은 망덕 정류소.

 

 

 

앞의 진남루 정자 현판은 자개로.

 

진월면사무소쪽 . 빨간 다리뒤에 선소교. 교회와 다이아모텔은 사진 좌측에.

 

 

06 ; 14. 진월초교 정문. 진월초등학교 정류소. 좌측은 면사무소. 초교를 좌측에 끼고 우측으로 돌아간다.

여기오는 버스 차편과 차시간표.

 

 

진월초교. 여는 시골 초등학교보다 규모가 크다.

 

 

06 ; 19. 진월정 공원 맞은편의 남파랑길 49코스 시점. 어제 온 길을 돌아보고 낡은 데크길을 따라간다.

좌측이 진월성공원. 우측 자전거길 초입에 남파랑길 49코스 안내판.

 

 

 

남파랑길 49코스 안내판. 

 

 

저멀리 섬진강휴게소와 남해고속도로 섬진강교.

 

갈 방향. 멀리 배알도가 보인다.

 

 

뒤돌아 당겨본 섬진강휴게소와 남해고속도로 섬진강교.

 

 

 데크는 넓은데 군데군데 구멍이 나있어 주의해야한다.

 

 

 

 

 

06 : 27. 광양 선소(船所)터. 임진왜란 때 배를 만들던 곳이다.

 

 

 

 

광양현감 어영담 추모비.

 

 

06 : 29. 윤동주 시 정원.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등 31편의 시.
          바로 앞 데크의 윤동주 쉼터에서 배알도와 섬진대교, 망덕산을 둘러본다.

윤동주 시 정원.

 

데크의 윤동주 쉼터.

 

데크의 윤동주 쉼터.

 

 

데크의 윤동주 쉼터에서 본 망덕산과 무접섬광장의 전어 조형물.

 

데크의 윤동주 쉼터에서 본 망덕포구와 먹거리타운.

 

데크의 윤동주 쉼터에서 본 어제 지나온 두우산 자락과 멀리 태인도로 들어가는 59번국도의 섬진대교.

 

호남정맥의 끝 망덕산.

 

 

06 ; 40. 망덕포구. 호남정맥 끝 망덕산 들머리로 망덕산 안내판.
    우측 길 건너에 먹거리타운이 이어지고 윤동주의 육필시고를 보관했던 정병욱 가옥이 있는데 잊고 지나쳤다.

망덕포구.

 

망덕산 안내판.

 

길건너 배모양의 화장실과 정자.

 

 

우측 길 건너에 먹거리타운이 이어지고 윤동주의 육필시고를 보관했던 정병욱 가옥이 있는데 잊고 지나쳤다.

 

배알섬나루와 배알도.

 

배알도 들어가는 별 헤는 다리. 

 

 

섬진강 건너편 두우산(頭牛山)과 어제 지나간 해안도로.

 

 

 

07 ; 04. 배알도 들어가는 별 헤는 다리. 배알도와 태인대교를 바라본다.

 

가까이 와보니 색깔이 있다. 밤엔 조명이 좋을듯.

 

별 헤는 다리는?

배알도에서 다시 배알도수변공원으로 다리가 연결돼있다.

 

태인대교가 보이고 우측 도로명은 윤동주길이다.

 

언덕을 넘어가서 본 태인대교

 

남파랑길 트랙은  여기서 우측 지하도로 2번국도를 건너 사진 우측으로 가서 태인대교를 우측으로 건너가고 우리는 좌측으로

07 : 17. 언덕을 넘어 태인대교를 건너간다. 태인대교는 1990.12~1994.12. 준공. 길이 600m. 폭 11m로 4차선.

태인대교.

 

태인대교에서 배알도와 멀리 섬진강휴게소.

 

태인대교에서 배알도와 다리건너  수변공원(우).

 

뒤 돌아 본 태인대교.

 

 

07 : 28/34. 태인대교 건너편. 해안으로 내려가는 길은 맞은편에 있고 길 따라 가려면 거리가 좀 있어 무단횡단.

 

 

 

 

 

07 : 37. 해안도로 옆 자전거 길을 따라 태인대교 밑을 지난다. 배알도 조망. 배알도 수변공원 630m. 시점 3.3km.

 

 

07 ; 47. 삼거리에서 직진. 좌측은 시청 가는 길.

시청가는 도로 표지판.

 

태인대교.

 

 

 

08 ; 15. 우측 강 건너편에 수어천을 건너는 다리 공사 중. 광영동의 아파트 단지와 가야산 조망.
          좌측  건너편에 금섬의 끝 지점이 보인다.

우측 강 건너편에 수어천을 건너는 다리 공사 중. 광영동의 아파트 단지와 가야산 조망.

 

좌측  건너편에 금섬의 끝 지점이 보인다.

 

 

08 : 19. ACE 데크 주식회사 동산. 좌측으로 휘어가며 포스코 광양제철이 보인다. 

 

 

08 ; 32. 섬진강 뱃길 시원 기념비.

 

 

 

포구와 광양제철소.

 

 

08 ; 33. 동광아파트(태인 도촌) 정류장. 광양제철을 보며  쭉 뻗은 국토종주 자전거길을 따라간다.

 

 

 

 

동광아파트.

광양제철소

 

 

뒤돌아 보고

 

 

08 ; 55. 사거리에서 우측으로 꺾어 GS25 앞 2번 국도를 따라가며 도촌 정류장을 지나간다.

섬진강 자전거길 안내도.

 

 

08 ; 58. 광양제철을 보며 꽃단장을 한 태인교를 건너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간다.

태인교.

 

우측으로

 

 

뒤 돌아 본 태인교.

우측으로 꺽어가면

 

 

09 : 05. Gree & Clean POSCO을 지나며 광양제철소 2문 정류소.

제철소 2문.

 

우측으로 온길과 갈길. 태인도를 오메가 모양으로 돌아나간다.

 

제철소 2문 정류소.

 

동광아파트와 222.1m봉.

 

 

저앞에 제철소 삼거리가 보이고 그  우측으로 제철소본부건물이 보인다.

 

09 : 18. 제철소 삼거리. 시추 작업대 신호등. 우측으로 간다. 직진하는 2번 국도는 길호대교, 금호대교로 간다.

 

 

시추 작업대 신호등.

 

 

09 : 23. 제철소 본부.

제철소 본부

 

 

09 : 26. 수문.  우측으로 꺾어 해안도로를 간다. 직진은 동백아파트, 목련 주택단지 가는 길

 

 

철망울타리안 해안길을 따라가고

 

 

09 : 32/10 : 01. 포장 친 공원 쉼터에서 쉬어간다. 좌측은 광양제철 주택단지.

 

 

 

 

 

10 : 03. 금호 어버이집. 해안은 철망울타리가 쳐진 해안도로 자전거길과 넓은 인도를 따라간다.

 

 

 

 

10 ; 06. 대동 센득 안내판. 과거 이곳이 어떤 곳이었는지를 알려주는 안내판이다.
           좌측 울타리 안은 미니 골프장이고 금호어버집에서 시작된 백운 둘레길 이정표가 나온다.

 

 

 

 

 

 

10 ; 40. 금섬 끝 지점. 우측 강 건너편에 수어천을 건너는 다리 공사장을 보고 좌측으로 산 모랭 이를 돌아간다.

 

 

10 : 50. 좌측에 광양제철중학교.

 

 

10 : 55. 금호대교. 계획은 길호대교를 지난 남파랑길 50코스 시점까지 갈려고 했는데
           아내가 발가락이 아프다고 해서 여기서 끊고 중마(동광양) 터미널로 가기 위해
           금호대교 아래를 지나 좌측으로 올라가 금호대교(1982.5~1983.5. 건설)를 건너간다.

금호대교.

 

 

금호대교 아래를 지나 좌측으로 올라가

 

 

금호대교(1982.5~1983.5. 건설)를 건너간다.

 

 

금호대교에서 좌측 삼화도와 이순신대교쪽.

 

 

금호대교 건너편.

 

 

 

11 : 03. 금호대교 건너 금호 교차로. 좌측으로 조금 내려가

금호 교차로.

 

 

11 : 08. 금호대교앞 정류소. 정류소 표지판도 공터도 없는데 카카오 맵을 보면 여기가 정류장이라
           바로 54번 버스가 와 손을 들고 탄다.(\1400*2).

 

11 : 20/40. 중마(동광양) 터미널. 순천 가는 시외버스는 12.15분에나 있어  터미널정류소에서
             광앙가는 990 시내버스를 타고(\2800) 광양농협에서 내려(12 : 09)
            77번을 타고( 12 : 12) 순천역 서측 정류소(12 : 48도착)으로 갔다.
               54번 버스를 계속 타고 광양농협앞으로 가서 77번으로 환승했으면  될걸 그랬다.

 

중마(동광양) 터미널에서 시외버스 시간표.

 

 

13 : 00/13 : 24. 순천역에서 예매한 16 : 57 천안 아산행 KTX 표를 반환하고
            13 : 24에 출발하는  KTX를 탔다. 16 : 57분 차도 일주일 전에 예매했는데 자리가 없어
           자유석을 끊었는데 이차도 딱 3장이 남았다는데 칸이 다르고 1장은 오송에서 자리를 옮겨야 
           한다지만 3시간 반 이상을 기다리고 있을 수가 없어 이차를 타고 일찍 귀가.

 

 

15 : 22. 천안아산역 도착. (\224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