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안 길 43( 순천만 습지-별량거차-보성벌교호동) 1
부산 오륙도 해맞이 공원에서 해남 땅끝탑까지 106일 차.
남해안 길 43( 순천만 습지-별량거차-보성벌교호동) 1
◈ 일시 : 2022. 12. 17 (토). 남해 해안. 섬 22차(남해안 11차) 5박 6일 중 셋째 날. 가끔 눈.
영하 4~3도이나 바람이 많이 불어 춥다. 서울은 영하 8.5도에 대설 주의보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 22.8 km. 8시간 .
◈ 동행 : 아내.
◈ 지도.
◈ 트랙.
카카오 맵으로 트랙 보기.
◈ 일정 정리.
07 : 05. 순천역 정류소에서 66번 버스 타고 (1400*2)
07 : 31. 순천만 습지 정류소 하차.
07 : 39. 주차장을 지나 순천만 습지 매표소. 8시는 돼야 문을 연다. 입장료 성인 8000원 경로 무료
되돌아 나가 도로 따라간다.
07 : 46. 흑두루미 월동지 감시초소. 출입금지 금줄. 울타리 안의 흑두루미들을 둘러보고
07 ; 56. 도로 따라가다가 좌측 농로로 꺾어 비닐하우스를 보며 간다. 흑두루미 희망농업단지입니다 표지판.
08 ; 06. 남파랑길 61코스 시점 8.9km. 종점 7.3km 이정표.
08 : 29. 남파랑길 61코스 종점 5.5km. 시점 10.7km 이정표. 좌측으로 간다.
08 : 35. 남파랑길 61코스 종점 5.3km. 시점 10.9km 이정표.
여기서 좌측으로 조금만 가면 제방둑이 나올 텐데 무슨 생각을 했는지 우측만 보고 길이 없다 하고 되돌아갔다
08 ; 58. 정미소와 수문을 지나 2차선 도로. 좌측으로 도로 따라간다.
09 ; 03. 내동마을 가는 갈림길에서 2차로 버리고 좌측으로 가서 35.7m 봉을 왼쪽으로 돌아간다.
09 : 20. 50.7m 밑을 지나며 흑두루미들의 군무를 보고
09 ; 24. 진등 서당터. 이태평강학비.
09 ; 35. 2차로 만나 따라간 장산마을 표지석. 왼쪽 마을길로 들어 앵무산 바라보며
09 : 41. 인양 방조제둑과 수문 11호. AI 바이러스 검출로 출입금지 현수막과 금줄.
남도 삼백리길 1코스 ←철새 서식지 쉼터 2.1km. 별량장산마을 0.4km → 이정표.
09 : 43/57. 큰 바위 옆에서 잠시 쉬어간다.
10 ; 02. 장산 마을회관. 학산 보건 진료소. 마을 바로옆은 갈대밭. 장산마을 이야기판.
10 ; 05. 쉼터와 운동기구 짱둥어 조형물이 있는 공터.-장산 낚시체험장 앞을 지난다.
10 ; 17. 불무골 정류소.
10 ; 22. 여수지맥 앵무산을 바라보고
10 ; 32. 전망대 가든인듯한 산밑을 지난다.
10 : 34. 남도 삼백리길 1코스 별량장산마을 1.6km. 별량화포해안길 1.5km. 봉화산을 올려다본다.
순천만 건너편으로 앵무산과 와온마을과 순천만 애코비치 캐슬과 칠게빵집이 보인다.
10 ; 42. 우명 마을회관.
10 : 46. 우명 선착장. 순천만 건너편엔 와온마을과 남쪽으론 팔영산을 바라본다.
10 : 57. 배모양의 쉼터
10 ; 58. 공사가 끝난 바다데크. 입구에 남파랑길 별량장산마을 2.7km. 별량화포해안길 0.4km.
11 ; 07. 화포항 해맞이 일출광장 전망대 데크. 방파제 확장 공사 중이고
남파랑길 62코스(남도 삼백리길 2코스 꽃산너머 동화사길) 안내판. 남도 삼백리길 전구간 안내도
11 : 20. 해안길은 데크공사 중이라 도로 따라 언덕을 올라가 돌아간다.
11 ; 29. 공사 중인 바다데크와 천마산과 팔영산을 바라본다.
11 : 36. 2차로 작별하고 좌측으로 내려간다. 화포 1.3km. 죽전방조제 0.2km
11 ; 41. 바다데크 끝. 우측으로 방조제 둑길을 따라간다.
11 : 58. 죽천 삼거리 정류소. 화포 2.4km. 창산 0.6km. 거차 뻘배 체험장 2.4km. 좌측으로 간다.
12 ; 02/17. 바람이 덜 부는 정자에서 미숫가루와 빵으로 점심. 눈바람이 몰아치기 시작한다.
12 ; 25. 창산 복지 회관과 정류소. 쉼터. 85번 버스가 들어왔다 나간다.
12 : 35. 창산입구정류소를 지나 방조제를 건너간다. 창산 0.5km. 거차 뻘배 체험장 1.5km.
12 ; 47. 방조제 건너 거차마을 표지석. 창산 1.3km. 거차뻘밭체험장 0.7km.다시 눈발이 몰아친다
12 : 52. 거차종점 정류소와 거차 마을회관. 눈은 앞이 안 보이게 계속 쏟아진다.
12 : 56. 거차 선착장. 천마산(145.9m) 남쪽 끝자락이다.
13 ; 00. 거차 뻘배 체험장. 체험료는 성인 13000원. 청소년 10000원. 어린이 8000원. 눈이 그쳤다.
천마산 자락을 돌아 나간다.
13 ; 33. 갈림길. 남파랑길은 우측으로 돌아 마산 배수문으로 가나 우리는 좌측으로 돌아 배수문으로 간다.
13 ; 44. 마산 배수문. 남파랑길을 만나 같이 배수문을 건너 우측으로 둑길을 따라간다.
14 : 00. 원창배수문을 건너 좌측으로 둑길을 따라간다. 호룡산(75.6m) 서쪽이다.
14 : 11. 태양광 발전소. 지형도의 한국 신재생 에너지 연구소다.
14 : 37. 방조제 끝 수문. 우측으로 49.4m 봉 밑을 돌아간다. 좌측 갯골은 천둥오리들 천국.
14 ; 47. 용두마을 삼거리. 남파랑길은 좌측 구룡사 0.8km로 가고 우리는 용두마을 0.1km로 간다.
14 ; 51. 용두 마을회관. 용두 체육공원. 용두마을 이야기. 구룡마을 1.5km. 덕산수문 2.3km.
15 ; 04. 좌측 구룡사에서 오는 남파랑길을 만나 우측으로 시멘트 둑길을 같이 간다.
15 ; 18. 남파랑길은 둑길에서 우측 농로로 가서 2번 국도를 건너가고 우리는 계속 둑길을 따라간다.
15 ; 28. 2번 국도 동막 2교. 2번국도로 올라 좌측 동막2교를 건너간다.다리가 순천과 보성을 가르는 군경계다.
15 : 33. 동막2교 건너. 호동 정류소. 보성군 벌교땅이라 정류소 모양이 다르다.
순천-벌교 다니는 88번 버스를 기다린다.
15 : 53. 호동 정류소에서 88번 버스 타고(1400*2)
16 : 25. 순천역 다음의 중앙 초교 정류소에서 하차.
마트에서 장보고(₩16000) 혼자 평판이 좋은 덕흥식당엘 갔더니 2인 이상이나 된다고
텟자를 맞고 여기저기 기웃거리다 겨우 뼈다귀 해장국으로 저녁을 때우고 발리 모텔에서 3박.
07 : 05. 순천역 정류소에서 66번 버스 타고 (1400*2)
07 : 31. 순천만 습지 정류소 하차.
07 : 39. 주차장을 지나 순천만 습지 매표소. 8시는 돼야 문을 연다. 입장료 성인 8000원 경로 무료
되돌아 나가 도로 따라간다.
대발 사이로 들여다 본 안쪽 모습.
07 : 46. 흑두루미 월동지 감시초소. 출입금지 금줄. 울타리 안의 흑두루미들을 둘러보고
우측으로 돌아갈 봉화산쪽 모습.
흑두루미들
흑두루미들.
07 ; 56. 도로 따라가다가 좌측 농로로 꺾어 비닐하우스를 보며 간다. 흑두루미 희망농업단지입니다 표지판.
08 ; 06. 남파랑길 61코스 시점 8.9km. 종점 7.3km 이정표.우측으로 간다.
여기선 앞쪽 길을 막아 우측으로
뒤돌아 본 매표소쪽. 뒤로 보이는 산은 천황산(天皇山.183.4m).
08 : 29. 남파랑길 61코스 종점 5.5km. 시점 10.7km 이정표. 좌측으로 간다.
좌측으로 봉화산을 보며 간다.
08 : 35. 남파랑길 61코스 종점 5.3km. 시점 10.9km 이정표.
여기서 좌측으로 조금만 가면 제방둑이 나올 텐데 무슨 생각을 했는지 우측만 보고 길이 없다 하고 되돌아갔다
되돌아 나가 남파랑길 61코스 종점 5.5km. 시점 10.7km 이정표에서 좌측으로 나가 저기 보이는 정미소앞을 지나고
수문을 지나서
08 ; 58. 정미소와 수문을 지나 2차선 도로. 좌측으로 도로 따라간다.
09 ; 03. 내동마을 가는 갈림길에서 2차로 버리고 좌측으로 가서 35.7m 봉을 왼쪽으로 돌아간다.
35.7m밑을 돌아가며 본 조류 사체.
홀로 있는 흑두루미를 사진을 찍었더니 꽤떨어져 있는데도 찰칵하는 셔터 소리에 화들짝 놀라서 둘러본다.
남파랑길 61코스 종점 5.3km. 시점 10.9km 이정표에서 좌측으로 갔으면 저 제방둑으로 나왔을것이다.
09 : 20. 50.7m 밑을 지나며 흑두루미들의 군무를 보고
흑두루미들의 군무.
흑두루미들의 군무.
앵무산(좌)에서 수암산(우)으로 이어가는 여수지맥. 좌측 앵무산앞 낮은산이 용산전망대.
잠시후에 지나갈 봉화산쪽
09 ; 24. 진등 서당터. 이태평강학비.
09 ; 35. 2차로 만나 따라간 장산마을 표지석. 왼쪽 마을길로 들어 앵무산 바라보며
09 : 41. 인양 방조제둑과 수문 11호. AI 바이러스 검출로 출입금지 현수막과 금줄.
남도 삼백리길 1코스 ←철새 서식지 쉼터 2.1km. 별량장산마을 0.4km → 이정표.
09 : 43/57. 큰 바위 옆에서 잠시 쉬어간다.
장산마을.
10 ; 02. 장산 마을회관. 학산 보건 진료소. 마을 바로옆은 갈대밭. 장산마을 이야기판.
10 ; 05. 쉼터와 운동기구 짱둥어 조형물이 있는 공터.-장산 낚시체험장 앞을 지난다.
작품명은 뚱이 꿈 이야기. 2020제작 작가 방우송, 한성스틸.
10 ; 17. 불무골 정류소.
10 ; 22. 여수지맥 앵무산을 바라보고
좌측이 장산 낚시 체험장.뒤는출발점인 순천만 습지. 우측 높은봉이 앵무산.
용산전망대(좌)-앵무산(중)
앵무산이 어느 봉인가(?) 12년전 여수지맥을 할때 쓴 산행기를 들춰본다.
11 : 05/20. 지도상의 앵무산.
343.4m 이등 삼각점(광양23)이 있고 현지 이정표는 곡고산(봉)으로 표기하고 있다. 조망이 아주좋다.
지리원지도나 영진지도는 이곳을 앵무산(鸚鵡山.343.4m)로 적고 있는데
현지의 이정표는 이봉을 곡고산(봉), 여기서 약 1.4km 떨어진 395m봉을 앵무산으로 따로 적고 있다.
높이로나 산세로 봐서 395mn봉이 어른이니 이쪽을 앵무산으로 봐야 맞을 듯 싶다.
삼각점을 위주로 산이름을 끌어다 붙여서 앵무산 이름을 이곳에 쓰지 않았나 생각든다.
11 : 05/20. 지도상의 앵무산인 곡고봉(343.4m)에서 뒤 돌아 본 지맥모습.
사진 가운데 높은봉이 천황산(208m),그 앞쪽 철탑이 용전재,사진 우측 파란 레미콘공장뒤가 검단산성,
좌측끝이 147m봉이고 우측 옥녀봉뒤로 하얀곳이 2번국도의 성 가롤로병원이다.
11 : 05/20. 지도상의 앵무산인 곡고봉(343.4m)에서 좌측으로 본 광양쪽모습.
11 : 05/20. 지도상의 앵무산인 곡고봉(343.4m)에서 우측으로 본 순천만의 갈대밭.
11 : 05/20. 지도상의 앵무산인 곡고봉(343.4m)에서 다 함께.
좌측부터 양천 심용보님.최덕조님.최평칠님.정한규님.정영옥님.현주환님.나.요맥 강형태님.
11 : 30/50. 곡고봉(343.4m)아래 안부 사거리에서 점심.
12 : 01. 앵무산아래 너럭바위에서 뒤 돌아 본 곡고봉(343.4m).
12 : 07/13. 395m봉인 앵무산 정상.
앵무산(鸚鵡山)앵자도 앵무새 鸚자이고 무자도 앵무새 鵡자인데 앵무새가 많이살았다하여 앵무산이라 하기도 하고,
산의 혈이 앵무혈이라 앵무산이라 부른단다.앵무혈이 어떻게 생긴건지 ...
이곳에선 우측으로 보는 순천만과 건너편산들의 조망이 일품이다.
12 : 07/13. 395m봉인 앵무산 정상에서 순천만을 배경으로 다시한번.
좌측부터 나. 현주환님.정한규님.심용보님.강형태님.최평칠님.최덕조님.
정영옥님은 뭐가 바쁜지 먼저 내려가서 없다.
먼 훗날 이사진을 보며 이날을 그리워 할 것이다.오래오래 같이 합시다.
12 : 07/13. 395m봉인 앵무산 정상에서 본 순천만.
산경표를 따라서 | 여수지맥 2구간(순천제일교회-앵무산(395m)-수암산(372m)-여수시립묘원). - Daum 카페
10 ; 32. 전망대 가든인듯한 산밑을 지난다.
봉화산(235m).
10 : 34. 남도 삼백리길 1코스 별량장산마을 1.6km. 별량화포해안길 1.5km. 봉화산을 올려다본다.
순천만 건너편으로 앵무산과 와온마을과 순천만 애코비치 캐슬과 칠게빵집이 보인다.
앵무산(중)-와온공원(중 앵무산 아래).
순천만 건너편으로 앵무산과 와온마을(중)과 순천만 애코비치 캐슬과 칠게빵집(좌)이 보인다.
뒤돌아 본 순천만 습지쪽
10 ; 42. 우명 마을회관.
뒤돌아 본 전망대가든(?)
앵무산과 와온마을.
10 : 46. 우명 선착장. 순천만 건너편엔 와온마을과 남쪽으론 팔영산을 바라본다.
와온마을
팔영산(우)
팔영산.
공사중인 화포항과 데크
뒤돌아 본 우명 선착장과 앵무산.
와온마을.
10 : 57. 배모양의 쉼터
10 ; 58. 공사가 끝난 바다데크. 입구에 남파랑길 별량장산마을 2.7km. 별량화포해안길 0.4km.
11 ; 07. 화포항 해맞이 일출광장 전망대 데크. 방파제 확장 공사 중이고
남파랑길 62코스(남도 삼백리길 2코스 꽃산너머 동화사길) 안내판. 남도 삼백리길 전구간 안내도
화포항 해맞이 일출광장.
남도 삼백리길 전구간 안내도.
2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