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안 길 43( 순천만 습지-별량거차-보성벌교호동) 2
부산 오륙도 해맞이 공원에서 해남 땅끝탑까지 106일 차.
남해안 길 43( 순천만 습지-별량거차-보성벌교호동) 2
◈ 일시 : 2022. 12. 17 (토). 남해 해안. 섬 22차(남해안 11차) 5박 6일 중 셋째 날. 가끔 눈
영하 4~3도이나 바람이 많이 불어 춥다. 서울은 영하 8.5도에 대설 주의보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 22.8 km. 8시간 .
◈ 동행 : 아내.
◈ 지도.
◈ 트랙.
카카오 맵으로 트랙 보기.
◈ 일정 정리.
07 : 05. 순천역 정류소에서 66번 버스 타고 (1400*2)
07 : 31. 순천만 습지 정류소 하차.
07 : 39. 주차장을 지나 순천만 습지 매표소. 8시는 돼야 문을 연다. 입장료 성인 8000원 경로 무료
되돌아 나가 도로 따라간다.
07 : 46. 흑두루미 월동지 감시초소. 출입금지 금줄. 울타리 안의 흑두루미들을 둘러보고
07 ; 56. 도로 따라가다가 좌측 농로로 꺾어 비닐하우스를 보며 간다. 흑두루미 희망농업단지입니다 표지판.
08 ; 06. 남파랑길 61코스 시점 8.9km. 종점 7.3km 이정표.
08 : 29. 남파랑길 61코스 종점 5.5km. 시점 10.7km 이정표. 좌측으로 간다.
08 : 35. 남파랑길 61코스 종점 5.3km. 시점 10.9km 이정표.
여기서 좌측으로 조금만 가면 제방둑이 나올 텐데 무슨 생각을 했는지 우측만 보고 길이 없다 하고 되돌아갔다
08 ; 58. 정미소와 수문을 지나 2차선 도로. 좌측으로 도로 따라간다.
09 ; 03. 내동마을 가는 갈림길에서 2차로 버리고 좌측으로 가서 35.7m 봉을 왼쪽으로 돌아간다.
09 : 20. 50.7m 밑을 지나며 흑두루미들의 군무를 보고
09 ; 24. 진등 서당터. 이태평강학비.
09 ; 35. 2차로 만나 따라간 장산마을 표지석. 왼쪽 마을길로 들어 앵무산 바라보며
09 : 41. 인양 방조제둑과 수문 11호. AI 바이러스 검출로 출입금지 현수막과 금줄.
남도 삼백리길 1코스 ←철새 서식지 쉼터 2.1km. 별량장산마을 0.4km → 이정표.
09 : 43/57. 큰 바위 옆에서 잠시 쉬어간다.
10 ; 02. 장산 마을회관. 학산 보건 진료소. 마을 바로옆은 갈대밭. 장산마을 이야기판.
10 ; 05. 쉼터와 운동기구 짱둥어 조형물이 있는 공터.-장산 낚시체험장 앞을 지난다.
10 ; 17. 불무골 정류소.
10 ; 22. 여수지맥 앵무산을 바라보고
10 ; 32. 전망대 가든인듯한 산밑을 지난다.
10 : 34. 남도 삼백리길 1코스 별량장산마을 1.6km. 별량화포해안길 1.5km. 봉화산을 올려다본다.
순천만 건너편으로 앵무산과 와온마을과 순천만 애코비치 캐슬과 칠게빵집이 보인다.
10 ; 42. 우명 마을회관.
10 : 46. 우명 선착장. 순천만 건너편엔 와온마을과 남쪽으론 팔영산을 바라본다.
10 : 57. 배모양의 쉼터
10 ; 58. 공사가 끝난 바다데크. 입구에 남파랑길 별량장산마을 2.7km. 별량화포해안길 0.4km.
11 ; 07. 화포항 해맞이 일출광장 전망대 데크. 방파제 확장 공사 중이고
남파랑길 62코스(남도 삼백리길 2코스 꽃산너머 동화사길) 안내판. 남도 삼백리길 전구간 안내도
11 : 20. 해안길은 데크공사 중이라 도로 따라 언덕을 올라가 돌아간다.
11 ; 29. 공사 중인 바다데크와 천마산과 팔영산을 바라본다.
11 : 36. 2차로 작별하고 좌측으로 내려간다. 화포 1.3km. 죽전방조제 0.2km
11 ; 41. 바다데크 끝. 우측으로 방조제 둑길을 따라간다.
11 : 58. 죽천 삼거리 정류소. 화포 2.4km. 창산 0.6km. 거차 뻘배 체험장 2.4km. 좌측으로 간다.
12 ; 02/17. 바람이 덜 부는 정자에서 미숫가루와 빵으로 점심. 눈바람이 몰아치기 시작한다.
12 ; 25. 창산 복지 회관과 정류소. 쉼터. 85번 버스가 들어왔다 나간다.
12 : 35. 창산입구정류소를 지나 방조제를 건너간다. 창산 0.5km. 거차 뻘배 체험장 1.5km.
12 ; 47. 방조제 건너 거차마을 표지석. 창산 1.3km. 거차뻘밭체험장 0.7km.다시 눈발이 몰아친다
12 : 52. 거차종점 정류소와 거차 마을회관. 눈은 앞이 안 보이게 계속 쏟아진다.
12 : 56. 거차 선착장. 천마산(145.9m) 남쪽 끝자락이다.
13 ; 00. 거차 뻘배 체험장. 체험료는 성인 13000원. 청소년 10000원. 어린이 8000원. 눈이 그쳤다.
천마산 자락을 돌아 나간다.
13 ; 33. 갈림길. 남파랑길은 우측으로 돌아 마산 배수문으로 가나 우리는 좌측으로 돌아 배수문으로 간다.
13 ; 44. 마산 배수문. 남파랑길을 만나 같이 배수문을 건너 우측으로 둑길을 따라간다.
14 : 00. 원창배수문을 건너 좌측으로 둑길을 따라간다. 호룡산(75.6m) 서쪽이다.
14 : 11. 태양광 발전소. 지형도의 한국 신재생 에너지 연구소다.
14 : 37. 방조제 끝 수문. 우측으로 49.4m 봉 밑을 돌아간다. 좌측 갯골은 천둥오리들 천국.
14 ; 47. 용두마을 삼거리. 남파랑길은 좌측 구룡사 0.8km로 가고 우리는 용두마을 0.1km로 간다.
14 ; 51. 용두 마을회관. 용두 체육공원. 용두마을 이야기. 구룡마을 1.5km. 덕산수문 2.3km.
15 ; 04. 좌측 구룡사에서 오는 남파랑길을 만나 우측으로 시멘트 둑길을 같이 간다.
15 ; 18. 남파랑길은 둑길에서 우측 농로로 가서 2번 국도를 건너가고 우리는 계속 둑길을 따라간다.
15 ; 28. 2번 국도 동막 2교. 2번국도로 올라 좌측 동막2교를 건너간다.다리가 순천과 보성을 가르는 군경계다.
15 : 33. 동막2교 건너. 호동 정류소. 보성군 벌교땅이라 정류소 모양이 다르다.
순천-벌교 다니는 88번 버스를 기다린다.
15 : 53. 호동 정류소에서 88번 버스 타고(1400*2)
16 : 25. 순천역 다음의 중앙 초교 정류소에서 하차.
마트에서 장보고(₩16000) 혼자 평판이 좋은 덕흥식당엘 갔더니 2인 이상이나 된다고
텟자를 맞고 여기저기 기웃거리다 겨우 뼈다귀 해장국으로 저녁을 때우고 발리 모텔에서 3박.
1부에 이어
11 ; 07. 화포항 해맞이 일출광장 전망대 데크. 방파제 확장 공사 중이고
남파랑길 62코스(남도 삼백리길 2코스 꽃산너머 동화사길) 안내판. 남도 삼백리길 전구간 안내도
남도 삼백리길 전구간 안내도.
화포항에서 본 천마산(가운데 뾰족봉)
저 앞쪽에 바다데크 공사장 직전에 우측으로 올라간다.
사진 좌측끝에 팔영산과 여자만의 섬들.
11 : 20. 해안길은 데크공사 중이라 도로 따라 언덕을 올라가 돌아간다.
11 ; 29. 공사 중인 바다데크와 천마산과 팔영산을 바라본다.
팔영산(좌)-천마산(우)
천마산.
바다농장과 팔영산(좌)
천마산과 잠시후에 지나갈 거차 뻘배 체험장.
11 : 36. 2차로 작별하고 좌측으로 내려간다. 화포 1.3km. 죽전방조제 0.2km
11 ; 41. 바다데크 끝. 우측으로 방조제 둑길을 따라간다.
화포항쪽
천마산
방조제 둑길을 따라간다
11 : 58. 죽천 삼거리 정류소. 화포 2.4km. 창산 0.6km. 거차 뻘배 체험장 2.4km. 좌측으로 간다.
12 ; 02/17. 바람이 덜 부는 정자에서 미숫가루와 빵으로 점심. 눈바람이 몰아치기 시작한다.
화포항을 뒤 돌아 보고
12 ; 25. 창산 복지 회관과 정류소. 쉼터. 85번 버스가 들어왔다 나간다
12 : 35. 창산입구정류소를 지나 방조제를 건너간다. 창산 0.5km. 거차 뻘배 체험장 1.5km.
12 ; 47. 방조제 건너 거차마을 표지석. 창산 1.3km. 거차뻘밭체험장 0.7km.다시 눈발이 몰아친다
거차마을
12 : 52. 거차종점 정류소와 거차 마을회관. 눈은 앞이 안 보이게 계속 쏟아진다.
거차 마을회관.
12 : 56. 거차 선착장. 천마산(145.9m) 남쪽 끝자락이다.
13 ; 00. 거차 뻘배 체험장. 체험료는 성인 13000원. 청소년 10000원. 어린이 8000원. 눈이 그쳤다.
천마산 자락을 돌아 나간다.
여자만의 섬들.
13 ; 33. 갈림길. 남파랑길은 우측으로 돌아 마산 배수문으로 가나 우리는 좌측으로 돌아 배수문으로 간다.
13 ; 44. 마산 배수문. 남파랑길을 만나 같이 배수문을 건너 우측으로 둑길을 따라간다
14 : 00. 원창배수문을 건너 좌측으로 둑길을 따라간다. 호룡산(75.6m) 서쪽이다.
직진하면 덕산마을.
14 : 11. 태양광 발전소. 지형도의 한국 신재생 에너지 연구소다.
좌측 돌아온 천마산(우)
갯고랑.
14 : 37. 방조제 끝 수문. 우측으로 49.4m 봉 밑을 돌아간다. 좌측 갯골은 천둥오리들 천국.
뒤돌아 보고
여자만
14 ; 47. 용두마을 삼거리. 남파랑길은 좌측 구룡사 0.8km로 가고 우리는 용두마을 0.1km로 간다.
14 ; 51. 용두 마을회관. 용두 체육공원. 용두마을 이야기. 구룡마을 1.5km. 덕산수문 2.3km.
15 ; 04. 좌측 구룡사에서 오는 남파랑길을 만나 우측으로 시멘트 둑길을 같이 간다.
15 ; 18. 남파랑길은 둑길에서 우측 농로로 가서 2번 국도를 건너가고 우리는 계속 둑길을 따라간다.
남파랑길
좌측 앞쪽이 2번국도 동막2교. 앞에 보이는 산은 제석산(563.3m).
15 ; 28. 2번 국도 동막 2교. 2번국도로 올라 좌측 동막2교를 건너간다.다리가 순천과 보성을 가르는 군경계다.
동막2교.
뒤 돌아 보고
15 : 33. 동막2교 건너. 호동 정류소. 보성군 벌교땅이라 정류소 모양이 다르다.
순천-벌교 다니는 88번 버스를 기다린다.
벌교 꼬막 축제는 11.4~6일네 끝났다.
15 : 53. 호동 정류소에서 88번 버스 타고(1400*2)
16 : 25. 순천역 다음의 중앙 초교 정류소에서 하차.
마트에서 장보고(₩16000) 혼자 평판이 좋은 덕흥식당엘 갔더니 2인 이상이나 된다고
텟자를 맞고 여기저기 기웃거리다 겨우 뼈다귀 해장국으로 저녁을 때우고 발리 모텔에서 3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