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안길

남해안길 56.남파랑74( 두원 오수마을-노일리-남양읍-우도 앞-중산전망대) 2

산경표 2023. 4. 26. 12:40

부산 오륙도 해맞이 공원에서 해남 땅끝탑까지 127일 차.

 

남해안길 56.남파랑74(  두원 오수마을-노일리-남양읍-우도 앞-중산전망대) 2

                                

◈ 일시 : 2023.  03. 04 (토). 남해 해안. 섬 26차(남해안 15차)  8박 9일 중 둘째 날. 

               고흥 흐리고 4도~13도.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 22.2 km. 7시간 30분.


◈ 동행 : 아내는 무릎 보호차 쉬고 혼자


◈ 지도.

 

 

 


◈ 트랙.


 

다운로드
남해안56(오수 ㅡ중산전망대)2023-03-04 0630.gpx
0.12MB

 

 

카카오 맵으로 트랙 보기.



◈ 일정 정리.

 

 

05 : 00. 썬모텔을 나와 24시 편의점에서 장터국밥으로 아침을 먹고(5500)

06 : 10. 고흥 터미널에서 오수 가는 버스 타고(950)

06 : 30/33. 오수마을 정류소 도착. 버스 타고 온 길을 되돌아 나가

06 ; 37. 오수 삼거리. 우측으로 830번 지방도를 따라간다.

06 : 41. 지방도로 버리고 좌측 시멘트길로 올라가서 능신길 따라 우측으로 가며 태양광발전시설

06 : 50. 태양광 발전시설.

06 : 56. 삼거리. 좌측은 해안 가는 길. 우측으로 가서 

07 ; 03. 용산천 제방. 우측으로 제방둑길을 따라간다.

07 : 11. 830번 지방도. 와룡교. 와룡 정류소. 와룡마을 표지석. 정자. 좌측 와룡교로  용산천을 건너간다.
             남파랑길 73구간 시점 11.5km. 종점 6.4km 이정표.

07 : 18. 신월 삼거리. 신월 정류소. 와룡. 신월마을 표지석. 우측은 고흥. 두원. 직진은 광주. 벌교 가는 길.
             지방도 버리고 좌측 신월마을로

07 : 24. 신월회관. 신월마을을 지난다.

07 : 39. 화신축산. 시멘트 소로를 따라 올라간다.

07 ; 56. 고개. 계단식 주택단지를 만들었다. 우도와 뒤로 흐릿한 두방산. 병풍산. 비조암을 바라본다.

07 : 57. 금성마을뒷산인 九寺山. 133.5m과 용두제방뒤로 복호산. 216.5m. 계룡산을 바라본다.

08 : 04. 금성마을 뒷 고개. 수효사(崇孝祠). 골목길을 따라 내려간다.

08 : 11. 금성마을회관. 340년생 (1982 지정) 금성마을 느티나무 보호수. 남파랑길 따라 좌측으로 언덕을 넘어간다.

08 ; 24. 고개. 납골묘. 금성마을을 뒤돌아 보고 시멘트 농로를 내려간다.

08 ; 30. 농로 사거리에서 좌측으로 언덕을 넘어간다.

08 : 37. 동촌마을. 대밭 언덕을 넘어가면 용두제방과 멀리 노일리 내로마을이 보인다.

08 : 43. 용두제방. 내로마을과 우도를 당겨보고 제방 위는 잡초가 욱어져 제방 아래길을 따라 제방을 건너간다.

08 : 53/09 : 04. 제방 건너편 노일 배수갑문.  인근 노인들 4명이 산책을 나와있어 잠시 담소를 하고

09 : 10. 12.3m 봉 앞 삼거리. 시멘트길 따라 우측으로 돌아간다.

09 : 19. 좌측 해안둑길로 나가 내로마을과 언덕 위의 빨간 집을 보며 해안둑길을 따라간다.

09 : 32. 내로 선착장. 우측 로프줄 따라 언덕을 올라간다.

09 : 34. 전망대 데크. 내로 선착장과 지나온 해안과 우도, 죽도와 갈 해안을 바라본다.

09 : 45/10 : 03. 빨간 주택 앞 능선에서 데크 계단을 내려간 소공원 정자에서 죽도와 우도를 보며 간식.
                푸르내로 체험휴양마을 안내판. 

10 : 12. 죽도 입구. 간조시간이라 바닷길이 열려 주민들이 몇 명 들어가고 있다.

10 ; 18. 내노 방조제를 건너간다.

10 : 23. 내노 방조제 끝 수문에서 남파랑길 따라 우측 외로 마을로

10 ; 28. 외로마을 회관.

10 : 34. 2차로를 만나 좌측으로 따라간다. 남파랑길 74구간 종점 5.9km. 시점 3.3km 이정표.-외로 감남 골 표지석

10 : 44. 고개. 우측 71.1m. 좌측 계룡산(153m).

10 ; 50. 방란 정류소. 남파랑길 74구간 시점 4.3km. 종점 4.9km 이정표. 2차로 버리고 좌측 마을길로 간다.

10 : 57. 방란마을 축대밑을 지난다.

11 ; 03. 시멘트길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올라간다. 남파랑길 이정표 74구간 종점 4.6km. 시점 4.6km.

11 ; 05. 언덕 위. 철망울타리가 쳐진 유자밭(?). 옥녀봉과 도야마을을 보며 시멘트길을 따라 내려간다.

11 : 16. 도야(道也) 마을회관. 정자. 도야 승강장. 과역 - 노일 버스가 들어온다. 옥녀봉밑 마을이다.

11 : 32. 다리 앞 삼거리. 좌측에 와가리등과 수문. 우측의 작은 소나무봉을 돌아 15번 국도 지하도로

11 ; 40. 신 15 국도 지하도를 통과.

11 : 45. 15 국도. 노송 정류소. 좌측으로 국도를 따라간다.

11 : 53. 대곡교. 남파랑길은 좌측으로 가서 남양으로 가는데 도로 따라가서 고개를 넘어갔는데 
                        남파랑길을 따라가는 게 편할걸 그랬다.

12 ; 09. 고개. 좌측 아래에 신 15번 도로와 남파랑길을 건너다보며 왔다. 내려가면서 남파랑길을 다시 만난다.

12 ; 20/45. 남양 사거리. 남파랑 75 시점 안내판. 정류소고흥 남양리 산성 안내판. 정류소에서 쉬어간다.

12 ; 49. 남양 교차로. 신 15 국도지하도를 건너 좌측으로 간다. 중산일몰전망대 1km. 가족의 섬 우도 이정표.

13 ; 01. 해안도로를 따라간다.

13 ; 09. 우도 입구. 우도마을 표지석과 정자. 우도 바다 갈리짐 시간표. 간조시간이라 바닷길이 열려있다.
              들어가는 차를 얻어 타고 들어갔다 올까 하다가 그냥 왔는데 중산마을을 지나며 주민을 만나
               물어보니  우도를 한 바퀴 도는 일주로가 있단다. 시간도 많은데 카카오 지도라도 한번 봤으면 
              우도를 한 바퀴 돌고 왔을 텐데 전혀 신경을 쓰지 않아서 그냥  온 것이 후회가 된다.

13 : 22. 중산마을.

13 ; 41. 갈림길. 남파랑길은 좌측으로 가서 웃밭등으로 가고 나는 고흥 팔경의 한 곳인 중산일몰전망대로 간다.

13 : 48. 중산 일몰 전망대 정자와 15번 국도옆의 30m 삼각점. 정자는 줄을 쳐서 막았고 옆은 공연장.
           우도와 각도섬. 상, 중, 하 구룡도 3섬을 둘러보고 앉아서 쉴 곳도 마땅찮아 버스를 타러도로 따라 내려간다.
14 ; 02. 운교 정류소. 일정을 끝내기엔 너무 이른 시간인데 좀 더 가면 교통편이 적어서 오늘은 여기서 끝내고
              벌교가 가까워 벌교로 간다.

14 : 32. 운교 정류소-950-벌교 터미널 도착 14 : 53.

              벌교에서의  시내버스 시간을 알아보고 벌교천변길을 돌아 시장에 들러 떡 2팩(6000)과
                단백질 바 2개(2400) 사고 지난번에 묵었던 그랜드모텔로 정하고  모텔 1층 식당에서
                꼬막정식(20000)으로 저녁을 먹고 그랜드 모텔에서 1박(40000).

 

 

1부에 이어

 

10 ; 50. 방란 정류소. 남파랑길 74구간 시점 4.3km. 종점 4.9km 이정표. 2차로 버리고 좌측 마을길로 간다.

방란 정류소

 

 

 

10 : 57. 방란마을 축대밑을 지난다.

축대위에 방란마을.

 

 

11 ; 03. 시멘트길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올라간다. 남파랑길 이정표 74구간 종점 4.6km. 시점 4.6km.

좌측 언덕으로 올라간다.

 

 

11 ; 05. 언덕 위. 철망울타리가 쳐진 유자밭(?). 옥녀봉과 도야마을을 보며 시멘트길을 따라 내려간다.

도야마을과 옥녀봉

도야마을과 옥녀봉.

 

도야마을

도야마을

 

 

11 : 16. 도야(道也) 마을회관. 정자. 도야 승강장. 과역 - 노일 버스가 들어온다. 옥녀봉밑 마을이다.

 

 

 

과역 - 노일 버스가 들어온다.

 

뒤 돌아 본 계룡산(좌 153m)-옥녀봉(우. 137m)과 도야마을.

 

 

다리건너 좌측으로 

저앞에서 우측으로 나간다.

 

11 : 32. 다리 앞 삼거리. 좌측에 와가리등과 수문. 우측의 작은 소나무봉을 돌아 15번 국도 지하도로

좌측에 와가리등과 수문

 

 

우측의 작은 소나무봉을 돌아 15번 국도 지하도로

 

 

11 ; 40. 신 15 국도 지하도를 통과.

 

 

11 : 45. 15 국도. 노송 정류소. 좌측으로 국도를 따라간다.

 

 

좌측으로 국도따라

 

 

 

11 : 53. 대곡교. 남파랑길은 좌측으로 가서 남양으로 가는데 도로 따라가서 고개를 넘어갔는데 
                        남파랑길을 따라가는 게 편할걸 그랬다.

남파랑길은 대곡교를 건너 좌측 15번국도 지하도로 

 

 

좌측 아래에 신 15번 도로와 남파랑길을 건너다보며 간다

 

 

12 ; 09. 고개. 좌측 아래에 신 15번 도로와 남파랑길을 건너다보며 왔다. 내려가면서 남파랑길을 다시 만난다.

 

낭양면소재지가 보이고

 

 

12 ; 20/45. 남양 사거리. 남파랑 75 시점 안내판. 정류소. 고흥 남양리 산성 안내판. 정류소에서 쉬어간다.

 

 

남파랑길은 75코스는 여기서 부터 내일 일정을 끝낼 대서면 신기수문동 버스정류소까지 21km.

 

 

남양 정류소에서 뒤 돌아 본 넘어온 고개.

 

12 ; 49. 남양 교차로. 신 15 국도지하도를 건너 좌측으로 간다. 중산일몰전망대 1km. 가족의 섬 우도 이정표.

 

지하도 건너서 좌측으로

 

 

 

13 ; 01. 해안도로를 따라간다.

우도와 상.중.하 구룡도가 일렬로 보인다.

 

당겨본 우도 전경.

 

상.중 구룡도와 뒤로 봉두산-송장고개-두방산 -병풍산능선.

13 ; 09. 우도 입구. 우도마을 표지석과 정자. 우도 바다 갈리짐 시간표. 간조시간이라 바닷길이 열려있다.
              들어가는 차를 얻어 타고 들어갔다 올까 하다가 그냥 왔는데 중산마을을 지나며 주민을 만나
               물어보니  우도를 한 바퀴 도는 일주로가 있단다. 시간도 많은데 카카오 지도라도 한번 봤으면 
              우도를 한 바퀴 돌고 왔을 텐데 전혀 신경을 쓰지 않아서 그냥  온 것이 후회가 된다.

우도 입구.

 

바닷길이 열린 우도.

 

 

 

 

 

 

당겨 본 우도. 중간쯤은 아직 물이  마르지 않아서 그런지 차들이 엉금엉금 기어간다.

우도 둘레길이 있는줄 알았으면 한바퀴 돌아 나오는건데 카카오맵지도를 안봐서 갈 생각을 못했다.

 

 

우도 입구에서 본 상.중.하 구룡도와 좌측 끝에 해섬.

쭈~욱 당겨 본 해섬.

 

쭈~욱 당겨 본 하구룡도..

 

쭈~욱 당겨 본  중 구룡도.

 

 

쭈~욱 당겨 본 상 구룡도.

 

우도 가는 차량. 오늘 3.4(음2.13)일은 낮 12.11분부터 18.43분까지는  통행을 할 수있단다.

 

 

13 : 22. 중산마을.

 

중산마을앞 해안도로

 

중산마을앞 해안도로를 따라가며 본 갈대밭 너머로 상.중.하 구룡도.

중산마을앞 해안도로를 따라가며 갈대밭 너머로 우도와 그 우측의 각도섬.

우도(좌) -각도섬-하구룡도-중구룡도-상구룡도(우)

 

 

중산마을앞 해안도로를 따라 가며 본  웃터마을과 지섬(좌. 현지인들에게 물으니 그냥 할미섬으로 부른단다).

땡겨 본 지섬(할미섬)

해안에서 우측으로 꺽어 올라간다. 저위끝에 중산일몰전망대 정자가 보인다.좌측 뒷봉이 천봉산(194.5m)

 

 

13 ; 41. 갈림길. 남파랑길은 좌측으로 가서 웃밭등으로 가고 나는 고흥 팔경의 한 곳인 중산일몰전망대로 간다.

남파랑길은 여기서 좌측으로 꺽어 웃터마을로 가고 우리는 곧장 앞쪽으로 질러서 전망대로

 

논두렁을 건너 묘지 좌측으로

 

잘꾸민 개인집 정원.

 

 

신,구 15번 국도 사이의 회정 미술관.

 

13 : 48. 중산 일몰 전망대 정자와 15번 국도옆의 30m 삼각점. 정자는 줄을 쳐서 막았고 옆은 공연장.
           우도와 각도섬. 상, 중, 하 구룡도 3섬을 둘러보고 앉아서 쉴 곳도 마땅찮아 버스를 타러도로 따라 내려간다.

중산 일몰 전망대 정자.

 

고흥 8경의 한곳인 중산 일몰 전망대.

중산 일몰 전망대에서 본 득량만의 우도.각도섬. 상.중.하 구룡도.

 

중산 일몰 전망대에서 당겨 본 우도와 각도섬.

 

 

중산 일몰 전망대에서 당겨 본 상,중.하 구룡도와 그 우측에 오리섬.

중산 일몰 전망대에서 당겨 본 지섬과 뒤로 오봉산(좌), 방장산-주월산능선(우)

 

 

바위 뒤에 30m 삼각점.

30m 삼각점.고흥 403. 2010 재설.

 

 

도로따라 내려간다.

 

 

웃터마을 가는길.

 

 

14 ; 02. 운교 정류소. 일정을 끝내기엔 너무 이른 시간인데 좀 더 가면 교통편이 적어서 오늘은 여기서 끝내고
              벌교가 가까워 벌교로 간다.

운교 정류소 앞에 운교마을 표지석.

 

고흥-벌료 버스 시간표.

 

벌료-동강 대서방면 버스 시간표.

 

 

14 : 32. 운교 정류소-950-벌교 터미널 도착 14 : 53.

              벌교에서의  시내버스 시간을 알아보고 벌교천변길을 돌아 시장에 들러 떡 2팩(6000)과
                단백질 바 2개(2400) 사고 지난번에 묵었던 그랜드모텔로 정하고  모텔 1층 식당에서
                꼬막정식(20000)으로 저녁을 먹고 그랜드 모텔에서 1박(40000).

벌교천변의 남파랑길 63코스 안내판.

남파랑길 62코스 가 끝나고 63코스는 벌교천을 따라 올라가서 벌교 홍교를

건너 벌교시장쪽을 돌아 내려와 벌교역을 지나
부용교로 가서 벌교천변을 따라 벌교대교밑을 지나 목교쪽으로 간다.

장편소설 태백산맥 조형물.

나,벌교 살아요.

미라내교.

 

미라내교 북쪽모습.

미라내교 남쪽모습.

 

 

벌교는 꼬막으로 유명해서 이런 꼬막 판매집이 줄지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