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안길 59. 남파랑 77.78( 보성회천 묵산-율포-장흥양산원등) 2
부산 오륙도 해맞이 공원에서 해남 땅끝탑까지 130일 차.
남해안길 59. 남파랑 77.78( 보성회천 묵산-율포-장흥양산원등) 2
◈ 일시 : 2023. 03. 07 (화). 남해 해안. 섬 26차(남해안 15차) 8박 9일 중 다섯째 날.
보성. 장흥 개임.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 25.8 km. 8시간 07분.
◈ 동행 : 아내는 무릎 보호차 쉬고 혼자
◈ 지도.
◈ 트랙.
카카오 맵으로 트랙 보기.
◈ 일정 정리.
보성터미널 뒤편에 있는 보성 관광모텔에서 혜자로운 집밥 오징어불고기 도시락으로 아침을 먹고
07 : 00. 보성 터미널에서 천포. 객산. 선소행 첫차 타고(950).
07 ; 26. 서동정류소 하차. 버스를 혼자 타고 가면서 확인차 기사분에게 묵산정류소에서 내린다고 하니
거기는 안 가고 천포가 종점이라며 로터리에서 내리란다.
이상하다 생각하며 지도에 로터리 좌측 동네가 천포리로 돼있어 그리로 가나보다 생각하고
내리고 보니 버스는 묵산 쪽으로 가고 있고 잠시 후 묵산 쪽에서 나오는 그 버스를 다시 만났다.
물어나 보지 말 것을 물어보고 한참을 헛수고헀다.
자기가 다니는 노선의 정류장을 모른다니 이해가 안 간다.
고흥. 장흥. 보성버스는 정류소 안내 맨트가 없다.
07 ; 34. 묵산 정류소. 묵산. 와교마을 표지석. 정류소 우측 정자 우측길로 들어 회천농협 천포지점옆길로 간다.
07 ; 41. 선정교를 건너 좌측으로 간다. 다향길 2코스 시작점 2.3km. 종점 400m 이정표.
남파랑길 77구간 시점 6.3km. 종점 6.6km 이정표.
07 ; 45. 천포수산 양식장을 지나며 서당리 원산마을 위로 뜬 일출을 본다.
07 ; 54. 천포 방조제. 목교를 건너 갈대밭옆 제방길을 따라간다.
08 ; 18. 석간 어촌 어울림 센터. 계속 목책이 쳐진 둑길을 따라간다.
08 ; 27/33. 데크쉼터. 갈대반. 뻘밭 너머로 물안개 낀 필봉을 바라보며 쉬어간다. 석간마을 안내판.
08 ; 49. 물안개 낀 천포리. 서당리와 필봉. 금강포구를 바라본다.
08 ; 53. 금강포구. 우측으로 꺾어 금강마을을 돌아 나간다.
08 ; 56. 금광회관.
08 ; 58. 845번 지방도로. 금광 표지석. 845지방도를 조금 따라가다 좌측 아래로 내려간다.
09 : 04. 바다엔 물고기조명과 낚시하는 조형물이 있는 햇살펜션 앞을 지난다.
09 : 10. 목책 쳐진 산책로 바닥을 몽돌로 장식을 했는데 인건비는 엄청 들였을 텐데 걷기는 불편하다.
이런 길이 우암선착장까지 무려 1km를 계속된다.
09 : 11. 바다 안에 전망데크
09 ; 24. 농부와 바다 체험장. 직전 모래사장엔 하트 조형물.
09 : 30. 지방도옆 산책로엔 가고 싶은 보성 서재필 기념관 율포해수 풀장 및 해수 녹차탕 안내판.
09 ; 37. 보성 생태문화 탐방로 안내판. 전체 4코스에 총길이 42.195km.
09 : 38. 우암(율포) 선착장. 몽돌 조각을 한산책길이 여기서 끝난다. 포구뒤로 득량도가 우뚝하다.
큰 건물 앞에서 어구작업을 하고 있는 산모퉁이를 돌아가면 율포해수욕장이 나온다.
09 ; 48. 율포 해수욕장. 손하트 조형물. 율포솔밭 해변을 지난다.
09 ; 54. 남파랑길 78코스 시점 안내판. 78코스는 여기서부터 장흥군 용산면 원등까지 18.9km
남도 이순신길 조선수군재건로 안내판. 율포해수녹차센터 앞을 지난다.
2023. 4.29~5.7에 있을 2023 제11회 보성세계 차 엑스포 준비로 가림막을 쳤다.
10 ; 10. 회천면(會泉面)사무소 앞.
10 : 16. 율포항(栗浦港). 보성 호천수산물 위판장과 회센터.
10 ; 22/36. 다향울림촌 정자 앞 벤치에서 명교해수욕장을 보며 점심. 다향 울림촌 안내판.
10 ; 39. 2차선 도로. 벽교리 천명선원 표지석. 제암산 10km. 일림산 8km 표지판.
10 ; 41. 명교 해수욕장. 명교마을 유래판. 명교 정류소. 명교마을 표지석. 계속 도로 따라간다.
11 ; 00. 운교를 건너 좌측으로 돌아간다. 운교정 안내판과 정자. 남파랑길 78구간 시점 3km. 종점 15.9km.
11 ; 10. 반원을 그리며 돌아온 전일교. 남파랑은 다리를 건너서 다시 좌측으로 가지만
장흥. 안양 쪽 18. 77 국도를 따라간다. GS주유소.
11 ; 22. 봉강교. 좌측에서 오는 남파랑길을 만나 같이 도로 따라간다. 득량만 키조개. 왕새우 양식장입간판.
11 ; 35. 고개. 전일회관 식당 입간판.
11 : 38. 좌측에 군학 선착장.
11 ; 41. 군학 마을 표지석과 보호수.
11 ; 44. 군학 해수욕장 솔밭을 지난다. 군학 솔밭 스테이.
12 : 21. 보성 장흥군 경계인 고개를 넘어간다.
12 ; 25. 호텔. 해수녹차탕과 찜질방. 수문 해수욕장과 수문항이 내려다 보이고
12 ; 28. 옥섬워터파크. 해수 녹차탕. 앞으로 내려가
12 ; 33. 바닷가에 남파랑길 78코스 안내판. 해안도로를 따라간다.
12 ; 37. 작은 선착장과 용곡마을 정자. 남파랑길을 걷는 태안에서 온 분을 만나 같이 간다.
12 ; 40. 용곡마을 표지석. 장흥군 수문권역 현황도. 용곡마을. 키조개 이야기.
12 : 43. 좌측 바다 전망대로 내려가는 데크길.
12 ; 44. 수문동 해수욕장. 해수욕장옆 데크를 따라간다.
12 : 55. 키조개 상설 전시 판매장. 대형 키조개 표지석.
12 ; 56. 수문동 선착장.
13 ; 02. 수문 보건 진료소.-해안교를 건너간다.
13 ; 05. 정남진 종려거리 조성 기념탑.
13 ; 28. 등대와 고흥반도 끝과 소록도. 거금도와 장재도를 바라보고.
13 ; 37. 장재도 입구. 동행하던 분은 장재도로 들어가 남포로 건너간다고 헤어지고 나는 직진해 간다.
13 ; 43. 사촌 종합복지회관. 버스 전용 정류장.
13 ; 46. 좌측 제방으로 나가 장제도 들어가는 사촌제방과 장재도에서 남포마을로 이어지는 정남진대교를 보며
소촌 제방 둑길을 따라간다.
14 ; 06. 소촌제방 끝. 시혜비와 수문. 해안으로 돌아가는 길은 물은 빠졌지만
갯바윗길이라 어려울듯싶어 남파랑길 따라 우측으로 돌아간다.
14 ; 11. 좌측 마을길로 들어 언덕을 올라간다.
14 ; 15. 고개. 관월정 쉼터와 노목. 내려가면 해창마을회관.
14 ; 20. 해창 정류소.
14 : 26. 도로에서 좌측 둑 아래 소로로 가며 사자지맥 광춘산과 억불산을 바라본다.
14 ; 32. 해창제방. 모령 배수장. 해창제방을 따라간다.
14 ; 50. 지천마을과 뒤로 사자지맥의 연대봉, 억불봉을 바라본다.
14 ; 53/15 ; 01. 좌측으로 꺾어 제방둑길을 따라간다.
15 ; 05. 지나온 해창마을과 장재도를 뒤돌아 본다.
15 ; 09. 오늘의 목적지인 원등마을과 삼십포마을 뒤로 사자지맥의 억불봉-사자산능선을 바라본다.
15 : 32. 장흥군 용산면 원등 정류소. 원등마을 표지석과 원 등 회관.
원등에서 장흥행 버스는 14 : 00.14 ; 50. 그리고는 18 : 15분에나 있는 모양인데
물어볼 사람도, 물어봐도 버스를 타고 다는 사람이 아니면 대부분 차시간을 모르고
오늘은 어제 병이 나서 몸도 편치 않아 카카오 택시를 부르니 곧 온단다.
16 : 04. 장흥 터미널 도착(택시비 13700). 쌍화탕과 활명수 사 먹고 예약한 리버스모텔(400000에
짐 두고 남원추어탕집에서 추어탕 한 그릇 (10000) 먹고 마트에서 장보고(6650) 모텔에서 땀 흘리고 잤다.
1부에 이어
10 ; 41. 명교 해수욕장. 명교마을 유래판. 명교 정류소. 명교마을 표지석. 계속 도로 따라간다.
명교마을 표지석. 계속 도로 따라간다.
우측으로 일림산 -한치-활성산-봇재로 이어가는 호남정맥.
11 ; 00. 운교를 건너 좌측으로 돌아간다. 운교정 안내판과 정자. 남파랑길 78구간 시점 3km. 종점 15.9km.
운교 좌측 모습. 멀리 득량도.
운교 우측모습(호남정맥 일림산-활성산)
11 ; 10. 반원을 그리며 돌아온 전일교. 남파랑은 다리를 건너서 다시 좌측으로 가지만
장흥. 안양 쪽 18. 77 국도를 따라간다. GS주유소.
전일교.
남파랑은 다리를 건너서 다시 좌측으로 가지만
장흥. 안양 쪽 18. 77 국도를 따라간다. GS주유소.
장흥. 안양 쪽 18. 77 국도를 따라간다. GS주유소.
11 ; 22. 봉강교. 좌측에서 오는 남파랑길을 만나 같이 도로 따라간다. 득량만 키조개. 왕새우 양식장입간판.
11 ; 35. 고개. 전일회관 식당 입간판.
11 : 38. 좌측에 군학 선착장.
군학 선착장과 득량도.
11 ; 41. 군학 마을 표지석과 보호수.
11 ; 44. 군학 해수욕장 솔밭을 지난다. 군학 솔밭 스테이.
군학 해수욕장.
군학 솔밭 스테이.
12 : 21. 보성 장흥군 경계인 고개를 넘어간다.
보성군에서 장흥군으로 들어간다.
12 ; 25. 호텔. 해수녹차탕과 찜질방. 수문 해수욕장과 수문항이 내려다 보이고
12 ; 28. 옥섬워터파크. 해수 녹차탕. 앞으로 내려가
해오름펜션.
12 ; 33. 바닷가에 남파랑길 78코스 안내판. 해안도로를 따라간다.
12 ; 37. 작은 선착장과 용곡마을 정자. 남파랑길을 걷는 태안에서 온 분을 만나 같이 간다.
12 ; 40. 용곡마을 표지석. 장흥군 수문권역 현황도. 용곡마을. 키조개 이야기.
뒤돌아 보고
12 : 43. 좌측 바다 전망대로 내려가는 데크길.
12 ; 44. 수문동 해수욕장. 해수욕장옆 데크를 따라간다.
수문동 해수욕장.
12 : 55. 키조개 상설 전시 판매장. 대형 키조개 표지석.
12 ; 56. 수문동 선착장.
13 ; 02. 수문 보건 진료소.-해안교를 건너간다.
수문 보건 진료소.
해안교를 건너간다.
13 ; 05. 정남진 종려거리 조성 기념탑.
13 ; 28. 등대와 고흥반도 끝과 소록도. 거금도와 장재도를 바라보고.
고흥반도 끝과 소록도. 거금도.
장재도.
13 ; 37. 장재도 입구. 동행하던 분은 장재도로 들어가 남포로 건너간다고 헤어지고 나는 직진해 간다.
장재도 입구인 사촌제방.
장재도 입구인 사촌제방에서 사촌마을. 저 안쪽끝이 오늘의 목적지인 장흥군 용산면 덕암리 원등마을.
13 ; 43. 사촌 종합복지회관. 버스 전용 정류장.
사촌마을에서 본 장재도와 장재도 조형물.
사촌 종합복지회관
13 ; 46. 좌측 제방으로 나가 장제도 들어가는 사촌제방과 장재도에서 남포마을로 이어지는 정남진대교를 보며
소촌 제방 둑길을 따라간다.
소촌제방.
장재도와 남포마을로 이어지는 정남진대교.
앞 사진을 당겨봤다.
소촌제방.
14 ; 06. 소촌제방 끝. 시혜비와 수문. 해안으로 돌아가는 길은 물은 빠졌지만
갯바윗길이라 어려울듯싶어 남파랑길 따라 우측으로 돌아간다.
소촌제방끝에서 본 해창으로 가는 해안은 물이 빠져도 돌아가는 어렵겠다. 우측으로 돌아간다.
소촌제방끝에서 뒤 돌아 본 사촌마을과 장재도와 정남진 대교(우)
14 ; 11. 좌측 마을길로 들어 언덕을 올라간다.
14 ; 15. 고개. 관월정 쉼터와 노목. 내려가면 해창마을회관.
관월정 쉼터와 노목.
내려가면 해창마을회관.
14 ; 20. 해창 정류소.
해창정류소.
14 : 26. 도로에서 좌측 둑 아래 소로로 가며 사자지맥 광춘산과 억불산을 바라본다.
14 ; 32. 해창제방. 모령 배수장. 해창제방을 따라간다.
해창제방. 모령 배수장.
내일 갈 풍길, 신풍마을 뒤로 노승산, 승주봉.
해창제방을 따라간다.
14 ; 50. 지천마을과 뒤로 사자지맥의 연대봉, 억불봉을 바라본다.
사자지맥의 연대봉, 억불봉.
14 ; 53/15 ; 01. 좌측으로 꺾어 제방둑길을 따라간다.
직진방향쪽 모습.
좌측으로 꺾어 제방둑길을 따라간다.
멀리 원등마을이 보이고
15 ; 05. 지나온 해창마을과 장재도를 뒤돌아 본다.
앞 사진을 당겨보고. 해창마을(맨좌측). 사촌마을(중). 장재도(우).
15 ; 09. 오늘의 목적지인 원등마을과 삼십포마을 뒤로 사자지맥의 억불봉-사자산능선을 바라본다.
오늘의 목적지인 원등마을
삼십포마을 뒤로 사자지맥의 억불봉-사자산능선을 바라본다.
원등마을을 다시보고
15 : 32. 장흥군 용산면 원등 정류소. 원등마을 표지석과 원 등 회관.
원등에서 장흥행 버스는 14 : 00.14 ; 50. 그리고는 18 : 15분에나 있는 모양인데
물어볼 사람도, 물어봐도 버스를 타고 다는 사람이 아니면 대부분 차시간을 모르고
오늘은 어제 병이 나서 몸도 편치 않아 카카오 택시를 부르니 곧 온단다.
장흥군 용산면 원등 정류소. 원등마을 표지석과 원 등 회관.
16 : 04. 장흥 터미널 도착(택시비 13700). 쌍화탕과 활명수 사 먹고 예약한 리버스모텔(400000에
짐 두고 남원추어탕집에서 추어탕 한 그릇 (10000) 먹고 마트에서 장보고(6650) 모텔에서 땀 흘리고 잤다.
시설이 좋아 따뜻하게 목욕하고 약먹고 땀내고 잤다.
모텔옆 장흥성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