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안길

남해안길 62. 남파랑 81( 강진마량항-대구가우도입구) 2

산경표 2023. 4. 26. 14:35

부산 오륙도 해맞이 공원에서 해남 땅끝탑까지 135일 차.

 

남해안길 62. 남파랑 81( 강진마량항-대구가우도입구) 2

                                

◈ 일시 : 2023.  03. 21(화). 남해 해안. 섬 27차(남해안 16차)  5박 6일 중 첫날.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 16.7 km. 5시간 41분.


◈ 동행 : 아내.


◈ 지도.

 

 

 

 

 

 


◈ 트랙.


다운로드

 

 

 

카카오 맵으로 트랙 보기.



◈ 일정 정리.

 

 

06 : 10. 천안고속터미널에서 광주행 고속버스(₩21700x2)-광주터미널 08 : 50 도착.

09 ; 20. 광주터미널에서 강진. 당목행 시외버스(₩11200x2)-강진 10 ; 40 도착.
           강진-마량-고금-당목 가는 버스인데 강진 보금모텔에 짐 두고 점심 먹고

11 : 55. 강진터미널에서 마량 가는 농어촌버스(₩1000x2) 를 타고

   이 버스는 중간에 안 서고 마량까지 직행. 고금 당목행.

12 : 23. 마량터미널 도착. 마량항쪽은 몇 번 들린 곳이라 바로 까막섬 앞 해안으로 

12 : 31. 마량까막섬 앞. 좌측에 놀토수산시장과 마량항. 고금도와 대조도, 소조도를 보고 우측으로 간다.

12 ; 36. 마량 보건지소-마량 파출소-마량 우체국-언덕을 올라간 마량 1구 회관.

12 : 42. 강진마도진 만호성지. 성돌들은 담장 밑돌도 되고 일부는 성이 남아있다.

12 ; 46. 마량 농공단지 입구. 2차로를 건너 마량초교 가는 길로 내려간다. 마량정류소와 마량농공단지 조형물.

12 : 52. 마량초교 정문. 학교가 꽤 크다.

13 : 02. 노루목입구 삼거리. 마량항과 대,소오도,
          고금도와 노루목을 보고 좌측으로 노루목을 한 바퀴 돌아 나온다.

13 ; 10. 노루목 끝의 서종 어촌 체험마을 해상펜션승선장. 고금도와 마량항을 돌아본다.

13 ; 18. 서중 어촌 체험마을. 노루목 입구다.

13 : 23. 거북바위. 뒤는 외호도.

13 : 34. 수인마을 앞. 내호도, 외호도 바라보고

13 :37. 물 빠진 바닷길 끝으로 벌거숭이가 된 내호도 바라보고-(주)바다해초

13 ; 40. 양식장 앞 물 빠진 갯벌엔 새떼들이.   양식장에서 먹거리가 나오는 듯.

13 ; 48. 수인교차로 앞.  좌측으로 내호도를 보며 2차선 도로를 따라간다. 갯벌은 살아있다.

14 : 21. 내호도를 갔다 온다. 개발을 하려고 나무를 심었는데 말리 죽었다.

14 : 34. 바다 목장. 구수리카페를 지나 외호리 입구를 가기 전에 구수리 카페 주차장 쪽 고개로 올라간다.

14 ; 47. 언덕 넘어 남호마을. 남파랑길을 가는 남자 한 분을 만나 잠시 같이 남호마을을 지나간다.

14 ; 56. 방조제. 좌측 해안으론 길 없다. 우측으로 시멘트길을 따라간다.

14 ; 57. 도암만 건너 망호마을에서 가우도 오는 출렁다리와 덕룡산과 주작능선을 당겨본다.

15 ; 09. 구곡 포구. 대둔산과 두륜산, 위봉을 당겨본다.

15 ; 24. 더베이 카페. 온길 갈길을 짚어본다. 좀 전에 만났던 분이 오늘 묵어 간다는 수모텔이 뒤로 멀러 보인다.
           갯벌에 굴을 따는 사람들이 보이고 바다 건너편 해남의 두륜산-주작산 땅끝기맥을 바라본다.

15 ; 37/53. 백사 어촌 체험마을 안내소와 쉼터. 직전에 있는 해안데크의 용도는?

16 ; 02. 사당리. 비래도와 주작산 바라보고

16 : 11. 잠수교(세월교). 대구천이 도암만에 드는 곳으로 집중호우 시 넘칠 수도 있겠다.

16 : 17. 가우수산 민물장어 직판장 앞에서 여계산밑의 청자박물관과 한국민화 뮤지엄이 있는 사당리를 바라본다

16 ; 22. 도상 청정물산. 우측으로 청자박물관. 강진바다 둘레길 이정표.
          지나고 보니  우측으로 가서 고려청자박물관과 한국민화 뮤지엄을 둘러보고 올걸 그랬다.

16 : 24. 포구. 물이 멀러까지 빠졌다. 모자 같은 비래도와 뒤로 대둔산, 두륜산. 주작능선을 당겨본다.

16 : 26. 도상 "염걸장군 임진왜란 전적지"는 아무런 표식 없는 굴밭이다.

16 ; 37. 만덕산과 고바우공원전망대를 보며 23번 국도에 올라서 국도 따라 좌측으로. 강진 16km 표지판.

16 ; 45. 고바우 공원 전망대. 길 우측에 창자모형 돌탑 2기. 낡은 표지판만 있고 분홍나루 공사 중
         낡은 데크를 따라 내려가며 주작능선과 논정방조제. 가우도와 만덕산을 바라본다.

16 ; 59. 옛날 손짜장집과 삼바우골 정류소.

17 : 15. 국도 버리고 좌측 하저마을로

17 ; 17. 가우도와 양쪽의 출렁다리. 죽도와 강진읍. 만덕산-석문산-덕룡산이 좀 더 가까이 보인다.

17 ; 22. 하저 선착장. 큼직한 정자. 우측으로 꺾어가며 가우도와 석문산. 강진읍이 가깝게 보인다.

17 : 25/34. 하저 어촌 체험마을. 대둔산. 두륜산. 주작능선. 명호 출렁다리. 석문산을 하나씩 당겨본다.

17 : 52. 가우도 입구 남파랑 82 시점 안내판. 오늘은 여기까지 버스를 타러 간다.

18 : 02. 대구면 저두리 중저마를  210년(1982 지정) 팽나무 보호수.

18 ; 06. 상저마을 정류소. 시외버스도 선다. 버스를 기다린다.

18 : 22. 상저정류소에서 버스 타고 (₩1000x2)-18 : 40. 강진터미널 도착.
          모란 추어탕집에서 추어탕으로 저녁(9000x2) CU 들리고(3000) 예약한 보금모텔( 47000X3일)

 

 

 

1부에 이어.

 

 

15 ; 37/53. 백사 어촌 체험마을 안내소와 쉼터. 직전에 있는 해안데크의 용도는?

덕룡산(좌)

 

 

 

16 ; 02. 사당리. 비래도와 주작산 바라보고

대둔산 -두륜산-위봉.

 

위봉-주작산

 

 

 

16 : 11. 잠수교(세월교). 대구천이 도암만에 드는 곳으로 집중호우 시 넘칠 수도 있겠다.

세월교와 여계산.

주작산과 덕룡능선

덕룡능선-석문산.

 

 

16 : 17. 가우수산 민물장어 직판장 앞에서 여계산밑의 청자박물관과 한국민화 뮤지엄이 있는 사당리를 바라본다

여계산밑의 청자박물관과 한국민화 뮤지엄이 있는 사당리를 바라본다

 

완도(좌)-해남(우)

 

 

16 ; 22. 도상 청정물산. 우측으로 청자박물관. 강진바다 둘레길 이정표.
          지나고 보니  우측으로 가서 고려청자박물관과 한국민화 뮤지엄을 둘러보고 올걸 그랬다.

 

 

좌측길이 청자박물관. 우측길이 온길.

 

 

16 : 24. 포구. 물이 멀러까지 빠졌다. 모자 같은 비래도와 뒤로 대둔산, 두륜산. 주작능선을 당겨본다.

대둔산(비래도뒤로 통신탑있는봉)-두륜산-위봉(우).

 

주작산과 덕룡능선

만덕산.

 

만덕산과 고바우 공원 전망대.

 

 

16 : 26. 도상 "염걸장군 임진왜란 전적지"는 아무런 표식 없는 굴밭이다.

 

 

쭈~욱 당겨본 대둔산의 중계탑들.

16 ; 37. 만덕산과 고바우공원전망대를 보며 23번 국도에 올라서 국도 따라 좌측으로. 강진 16km 표지판.

온길을 뒤돌아 보고

 

23번 국도에 올라서 국도 따라 좌측으로. 강진 16km 표지판.

 

 

16 ; 45. 고바우 공원 전망대. 길 우측에 창자모형 돌탑 2기. 낡은 표지판만 있고 분홍나루 공사 중
         낡은 데크를 따라 내려가며 주작능선과 논정방조제. 가우도와 만덕산을 바라본다.

길 우측에 창자모형 돌탑 2기.

 

고바우 공원 전망대.

 

지나온 해변.

 

완도의 산들.

 

비래도와 대둔산. 두륜산(우)

 

 

전망대는 개인 카페에서 짓는듯.

 

 

 

가우도(우)와  뒤로 만덕산.

망호리와 만덕산.

 

덕룡능선과 석문산

 

 

16 ; 59. 옛날 손짜장집과 삼바우골 정류소.

 

17 : 15. 국도 버리고 좌측 하저마을로

17 ; 17. 가우도와 양쪽의 출렁다리. 죽도와 강진읍. 만덕산-석문산-덕룡산이 좀 더 가까이 보인다.

망호마을에서 가우도 들어가는 출렁다리와 덕룡능선과 석문산.

 

하저마을(앞)과 뒤로 대구면 상저마을에서 가우도 들어가는  청자다리와  그 뒤로 강진읍.죽도.

 

뒤 돌아본 고바우 공원 전망대(좌)-완도의 상황봉. 백운봉.

 

대둔산-두륜산-위봉.

 

17 ; 22. 하저 선착장. 큼직한 정자. 우측으로 꺾어가며 가우도와 석문산. 강진읍이 가깝게 보인다.

 

가우도(우).

 

밓-가우도 다리와 뒤로 소석문(우)-덕룡능선.

당겨 본 가우도 남쪽모습.

죽도와 강진읍.

 

하저 체험마을.상저마을.

 

 

17 : 25/34. 하저 어촌 체험마을. 대둔산. 두륜산. 주작능선. 명호 출렁다리. 석문산을 하나씩 당겨본다.

 

주작능선.

 

당겨본 대둔산- 위봉

주작산-덕룡능선.

망호-가우도 출렁다리.

 

오리모양의 앙증맞은 시소.

 

 

가우도 모노레일.

 

당겨보고

 

가우도.

 

17 : 52. 가우도 입구 남파랑 82 시점 안내판. 오늘은 여기까지 버스를 타러 간다.

가우도 입구의 가게들.

 

 

 

가우도와 우측의 출렁다리를 뒤돌아 보고. 가우도 정상의 청자모양의 짚라인 탑승장.

 

 

18 : 02. 대구면 저두리 중저마를  210년(1982 지정) 팽나무 보호수.

 

 

동화작가 김옥애의 집이 이 골목에 있어서 그런지 담벼락 벽화가 잘 그려져 있다.

 

18 ; 06. 상저마을 정류소. 시외버스도 선다. 버스를 기다린다.

 

 

 

18 : 22. 상저정류소에서 버스 타고 (₩1000x2)-18 : 40. 강진터미널 도착.
          모란 추어탕집에서 추어탕으로 저녁(9000x2) CU 들리고(3000) 예약한 보금모텔( 47000X3일)

 

강진군청앞의 모란 추어탕집.

 

명성에 비해선 좀 그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