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산지맥 1구간[장성갈재-분기점(734m)-수산(237m)-송천(708번도로)].
변산지맥 1구간[장성갈재-분기점(734m)-수산(237m)-송천(708번도로)].
11 : 38/58.고흥유씨묘 우측에 있는 전망바위에서본 조망 1.
맨좌측에 뾰족한 봉이 갓바위,그 우측에 입암산,내장산이 보이고
가운데 앞봉이 551m,안부가 장성갈재,뒤로 시루봉과 그 우측뒤로 상왕봉이 보인다.
12 : 06/08. 조망바위에서 본 가야할 지맥능선.
맨앞이 492m봉이고 가운데가 소살재이고 가운데 맨뒤로 347.4m삼각점봉과 삼면경계봉이 보인다.
14 : 32. 347.4m 삼각점(담양301/1988재설)봉 바로 아래에서 본 분기점-소갈재-삼면경계봉.
좌측봉이 551m,가운데봉이 분기점,우측봉이 봉수대.
가운데 둔덕봉이 290m봉이고 그넘어 안부가 소살재다.
앞에 보이는 소살재에서 온 임도는347.4m봉 넘어에서 다시 만난다.
14 : 54. 송전탑 다음봉에서 좌측으로 꺽어 내려오다가 본 155m-왕림고개-수산(237m).
사진 좌측에서 임도를 만나고 사진가운데 우측이 산불초소가 있는 사거리이고,
맨우측위로 임도가 있는봉이 155m이고 하얀집뒤 솔밭 능선으로 맥은 이어진다.
좌측 수산(237m)밑에 쫒겨난 목장집이 보이고 저 뒤로화실봉이 보인다.
◈ 산행코소와 거리 및 소요시간. 도상거리 10.5 km+1.7km.6시간 10분.
장성갈재-551m-분기점(734m.쓰리봉)-492m-소갈재-347.4m-도산재(23번군도)-수산(237m)-송촌.
◈ 일시 : 2010. 5. 16(일).
◈ 날씨 : 초여름 날씨같이 더움.
◈ 인원 : 요맥회13명(강형태회장님.심용보님.최평칠님.김형식님.정영옥님. 김권봉님.최덕조님 정한규님.현주환님.
정송자님.김복희님.황효정님. 나.)
◈ 지도 :영진 5만지도 P446 고창.447 정읍.장성.
변산지맥 1구간[장성갈재-분기점(734m)-수산(237m)-송천(708번도로)].지도 1.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변산지맥 1구간[장성갈재-분기점(734m)-수산(237m)-송천(708번도로)].지도 2.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 일정정리. 12.2km. 6시간10분.
08 : 00. 천안에서 합류.
10 : 33/35. 영산기맥의 장성갈재.
11 :00. 551m. 헬기장과 성터.
11 : 29. 고흥유씨묘.우측 전망바위뒤로 변산지맥길이 이어짐.
11 :33/4. 분기점.734m(쓰리봉).지형도는 방장산으로 표기.
11 : 38/58.다시 돌아온 고흥유씨묘앞 전망바위에서 입산신고예를 올림.
12 : 04. 갈림길서 우측으로 내려감.
12 : 06/08. 조망바위.갈길과 장성갈재쪽 조망.좌측으로 내려감.
12 : 31/13 :02. 492m봉. 솔밭봉을 넘어서 100여m내려가서 우측으로 감.직진하여 25분 알바.<주의지역>
13 : 07.바위사이에 묘 있는봉.좌측으로 꺽어 급경사를 내려감.
13 :11. 급경사를 내려가다 우측으로 꺽어 송전탑 우측을 겨냥하고 내려감.<주의지역>
13 : 31/58. 소갈재.큰 느티나무있고 좌측은 임도.수산과 신림저수지보임.점심.
14 : 08. 송전탑.290m정점은 3분정도 더 올라감.
14 : 29. 삼면경계봉.장성군과 작별하고 좌측 고창군관내로 들어감. 우측으로 이어가는군 경계봉은 밤고개로 감.
14 : 34. 347.4m.삼각점(담양301/1988재설).방장산군조망.
14 : 44. 송전탑.
14 : 56/15 :00. 좌측 소갈재에서 온 세멘임도 만남.
15 : 14. 임도 사거리.산불초소.
15 : 27.왕림고개.왕림과 월계를 잇는 수렛길안부.맥따라 수렛길은 계속됨.
15 : 35/40. 도산재. 2차선 23번군도.건너편은 목장철망이 쳐있어 우측지능선으로 돌아감.
15:53. 우회하여 오른 목장윗봉.우측으로 꺽어졌다 다시 좌측으로 꺽어 내려감.
15 : 56. 안부.우측에서 온 메인 등산로를 만나 수산을 오름.여기서부턴 송촌까지는 길좋음.
16 : 07/20. 수산(秀山.237m).수산정 정자있고 운동기구와 돌탑들과수산정건립비있음.조망좋음.
16 : 45/17 ;00. 송촌마을입구 2차선포장도로(708번도로)에서 산행끝냄.
17 : 00.송촌마을입구출발.
18 : 50. 서해안 고속도로 군산휴게소에서 저녁먹고 출발.
20 ; 20. 천안도착.
◈ 산행후기.
◇ 장성갈재-551m-분기점(734m.쓰리봉).1.7km. 58분.
10 : 33/35. 영산기맥의 장성갈재.
11 :00. 551m. 헬기장과 성터.
11 : 29. 고흥유씨묘.
11 :33/4. 분기점.734m(쓰리봉).지형도는 방장산으로 표기.
11 : 38/58.다시 돌아온 고흥유씨묘앞 전망바위에서 입산신고예를 올림.
오늘부터는 달인클럽의 김형식회장님과 김복희씨와 낙원팀의 황효정님이 새로 동참하시고
차도 15인승에서 25인승으로 승격되었다.
영산기맥 장성갈재에 온게 10시 반경. 2006년 4월에 영산기맥을 하면서 지나갔고 그후동네산악회 한번 지나간곳이다.
고개위에서 단체사진 한 장찍고 바로 서쪽 철문옆길로 들어서며 T셔츠 벗어 가방에 넣고
바로 오름길로 들어 25분쯤 된비얄을 올라가면 551m봉이다.
551m 봉 헬기장을 지나면 무너진 성터가 있고 앞에 분기봉이 높게 올려다 보인다.
한고비 비지땀을 흘리며 다시 30여분 된비얄을 올려채면 고흥유씨묘가있고
우측에 조망좋은 바위가 있고 이바위 뒤로 변산지맥길은 이어진다.
고흥유씨묘에서 직진해 넘어가면 734m봉으로 전일상호신용금고에서 세운 스텐레스 이정표가 있는 일명 쓰리봉이라 부르는봉인데
전남 장성군과 전북 고창,정읍군이 만나는 삼군경계봉이라 쓰리봉이라 부르는 모양이다.
지도는 이봉을 방장산이라 표기했는데 원 방장산은 건너편에 있는 742.8m봉이 방장산이다.
조망이 좋아 건너편으로 방장산에서 양고살제 건너의문수산이 보이고 발밑으론 수도제와 곤모봉이 내려다 보인다.
다시 고흥유씨묘로 돌아와서 묘지앞 전망바위에 서면 장성갈재와 시루봉,입암산,입암저수지가 그림같이 내려다 보이고
가야할 492m봉과 347.4m봉이 내려다 보인다.
전망바위에서 변산지맥을 시작하며 무사산행을 기원하는 간단한 예를 올리고 북쪽으로 내려섰다.
10 : 33/35. 영산기맥의 장성갈재에서.
좌측부터 나. 심용보님.김권봉님.정한규님.정영옥님. 김복희님.황효정님.김형식님.정송자님.최덕조님.현주환님.최평칠님. 강형태 요맥회장님.
10 : 33/35. 영산기맥의 장성갈재.
시루봉쪽에 있는 조국통일기원비가 있는 통일공원.
10 : 33/35. 출발에 앞서.
10 : 33/35. 장성갈재.
전남 장성군 북이면과 전북 정읍시 입암면의 경계다.
11 :00. 551m.의 성터.
분기봉이 높게 올려다 보인다.
11 : 29. 고흥유씨묘에서 뒤 돌아 본 입암산(좌)과 시루봉(우).
11 :33/4. 734m(쓰리봉)의 이정표와 분기점의 큰바위.
고흥유씨묘에서 직진해 넘어가면 734m봉으로 전일상호신용금고에서 세운 스텐레스 이정표가 있는 일명 쓰리봉이라 부르는봉인데
전남 장성군과 전북 고창,정읍군이 만나는 삼군경계봉이라 쓰리봉이라 부르는 모양이다.
지도는 이봉을 방장산이라 표기했는데 원 방장산은 건너편에 있는 742.8m봉이 방장산이다.
11 :33/4. 734m(쓰리봉)에서 본 진짜 방장산(742.8m.
11 :33/4. 734m(쓰리봉)에서 본 수도제와 문수산(우측뒤).
◇ 분기점(734m.쓰리봉)-492m-소갈재. 2km. 63분.
11 :33/4. 분기점.734m(쓰리봉).지형도는 방장산으로 표기.
11 : 38/58.다시 돌아온 고흥유씨묘앞 전망바위에서 입산신고예를 올림.
12 : 04. 갈림길서 우측으로 내려감.
12 : 06/08. 조망바위.갈길과 장성갈재쪽 조망.좌측으로 내려감.
12 : 31/13 :02. 492m봉. 솔밭봉을 넘어서 100여m내려가서 우측으로 감.직진하여 25분 알바.<주의지역>
13 : 07.바위사이에 묘 있는봉.좌측으로 꺽어 급경사를 내려감.
13 :11. 급경사를 내려가다 우측으로 꺽어 송전탑 우측을 겨냥하고 내려감.<주의지역>
13 : 31/58. 소갈재.큰 느티나무있고 좌측은 임도.수산과 신림저수지보임.점심.
전망바위를 내려서자마자 산죽밭이고 족적도 흐릿하다.산쭉을 뚫고 나가면 살짝 좌틀하며 바위들이 나오고
바위를 우측밑으로 건너와조금 내려가면 첫 Y자 갈림길인데 맥은 우측길인데 맥길이 더 잘 나있다.(12 :04)
갈림길에서 2분쯤 내려오면 조망좋은 바위가 있고 올라가보면 장성갈재,시루봉,입암산,입암저수지와
가야할 492m봉과 소갈재 넘어의 347.4m봉이 잘 내려다보여 갈길을 짚어본다
이바위봉에서 좌측으로 급경사를 내려가면 날들이 살아나고 소나무가 많은 둔덕을 넘어서
100m쯤 나가다 바로 우측으로 꺽어져야 하는데 잡목에 길이 덮여있어 갈림길을 못보고 지나쳐20여분을 알바하고 올라왔다.
492m을 내려와 앞 둔덕봉에 오면 바위사이에 묘지가 하나있고 묘지앞에선 맥은 좌측으로 꺽어 내려간다.
4분쯤내려간중턱에서 좀전 492m봉에서와 같이 우측으로 꺽어 내려가야하는데 역시 잔잡목에 길은 안보인다.
먼저 내려오신 요맥회장님이 길을 찾아 정리를 해놨으니 망정이지 아니면 좀전같이 알바하기 딱 좋은 그런 지형이다.
갈림길에선 우측의 송전탑을 겨냥하고 내려가야 하는데 송전탑이 맥위에 있는건지 아니면 맥 좌측에 있는건지 알수없어
송전탑을 겨냥하고 가시밭에 찔레나무를 헤치고 내려와 송전탑에 와보니 송전탑은 맥 좌측에 있다.
맥을 우측에 두고 앞에 있는 또다른 송전탑으로 건너와서 송전탑아래의 임도를 따라 나오면 바로 소갈재다.
첫 번째 조망바위에서 알바하고오는 후미팀,492m봉에서 알바하다 빽하기 싫어 사면을 치고오는 중간팀을 기다려서
다함께 점심을 먹었다.분기점에서 여기까지가 오늘구간중 아니 변산지맥 전구간중 제일 난해한 구간이 아닐까 싶다.
11 : 38/58.고흥유씨묘 우측에 있는 전망바위.
지맥길은 이 바위에서 북쪽으로 이어진다.
11 : 38/58.고흥유씨묘 우측에 있는 전망바위에서본 조망 1.
맨좌측에 뾰족한 봉이 갓바위,그 우측에 입암산,내장산이 보이고
가운데 앞봉이 551m,안부가 장성갈재,뒤로 시루봉과 그 우측뒤로 상왕봉이 보인다.
11 : 38/58.고흥유씨묘 우측에 있는 전망바위에서본 조망 2.
입암저수지와 호남고속도로.
11 : 38/58.고흥유씨묘 우측에 있는 전망바위에서본 조망 3.
목란제와 곤모봉(356.4m.우)과 호남고속도로.
11 : 38/58.고흥유씨묘 우측에 있는 전망바위에서본 조망 4.
가야할 지맥의 347.4m 삼각점봉(중앙저수지앞나뭇가지밑봉)과 삼면경계봉(중앙).
11 : 38/58.고흥유씨묘 우측에 있는 전망바위에서본 조망 5.
좌측으로 제일높은 수산((秀山.237m)과 그우측아래에 쫓겨난 목장도 보인다.
11 : 38/58.고흥유씨묘 우측에 있는 전망바위에서 무사산행을비는 간단한 예를 올리고...
좌측부터 강형태 요맥회장님.김권봉님.김형식달인클럽회장님.김복희님.최덕조님.최평칠님.
정항규님.황효정님.현주환님. 정영옥님.
12 : 06/08. 조망바위.
이바위에선 좌측으로 내려서야한다.
12 : 06/08. 조망바위에서 본 가야할 지맥능선.
맨앞이 492m봉이고 가운데가 소살재이고 가운데 맨뒤로 347.4m삼각점봉과 삼면경계봉이 보인다.
12 : 06/08. 조망바위에서 본 입암저수지와 갓바위(우).
12 : 06/08. 조망바위에서 본 갓바위(좌)-시루봉(우)-장성갈재-551m봉(앞).
12 : 31/13 :02. 492m봉.
솔밭봉을 넘어서 100여m내려가서 우측으로 내려가야한다. 직진하여 25분 알바.<주의지역>
13 : 07.바위사이에 묘 있는봉.
좌측으로 꺽어 급경사를 내려간다.
13 :11. 바위사이에 묘 있는봉에서 급경사를 내려가다 우측으로 꺽임지점.
송전탑 우측을 겨냥하고 내려간다.<주의지역>.
13 :18.송전탑에서 앞쪽으로 본 347.4m봉(가운데뒷봉).
맥은 송전탑 우측이다.산진 우측안부가 소갈재이고
347.4m봉 좌측으로 송전탑이 보이고 사진 앞봉은 290m이고 그 우측에 송전탑이 보인다.
13 :18.송전탑에서 좌측으로 본 가평저수지와 수산아래의 목장(좌측 저수지뒤)-왕림고개-155m봉.
맨뒤로 흐릿한 산들은 경수지맥의 경수산(좌)과 소요산(중),화실봉(우)같다.
13 : 31/58. 소갈재.
큰 느티나무있고 좌측은 임도.수산과 신림저수지보임.점심.
13 : 31/58. 소갈재에서 뒤 돌아 본 492m(뒤),묘있는봉(앞).
13 : 31/58. 소갈재에서 본 신림저수지(좌측뒤),가평저수지(앞)와 수산(237m.우측앞산),화실봉(403.2m.우측뒤).
◇ 소갈재-삼면경계봉-347.4m. 1.8km. 36분.
13 : 31/58. 소갈재.큰 느티나무있고 좌측은 임도.수산과 신림저수지보임.점심.
14 : 08. 송전탑.290m정점은 3분정도 더 올라감.
14 : 29. 삼면경계봉.장성군과 작별하고 좌측 고창군관내로 들어감. 우측으로 이어가는군 경계봉은 밤고개로 감.
14 : 34. 347.4m.삼각점(담양301/1988재설).방장산군조망.
소갈재 느티나무 시원한 그늘에서 다함께 점심을 먹고 임도파는 임도따라 347.4m을 우회하여 가고
맥파는 직진해 언덕배기를 올라 10여분 올라가면 송전탑이 있고 다시 3분쯤 더 올라가면 290m봉인데 큰 소나무들이 듬성듬성 있다.
앞 둔덕을 넘어 층층나무가 있는 안부를 건너 10여분 올라가면 삼면경계봉인데 뒤로 분기봉에서 내려온 능선이 빤히 보이고
소갈재에서 임도따라 가고 있는 일행들이 보이는데 임도가 지능선을 크게 돌아가니 시간이 별로 단축되질 않겠다.
삼면경계봉에서 우측능선은 밤고개,매봉산으로가는 군경게능선이고 맥은 여기서 좌측으로 꺽어 온전한 고창군관내로 들어간다.
건너편에 347.4m봉이 가깝게 있고 길은 잡목들을 정비를해서 한결 좋다.
5분쯤 건너가면 347.4m봉인데 정점에 오르기전에 좌측으로 방장산군과 입암산,시루봉,입암저수지가 잘 보인다.
여기서 보면 분기점에서 내려오면서 몇 군데 갈림길에서 헤멘곳이 잘 건너다 보인다.
14 : 08. 290m아래의 송전탑에서 뒤 돌아 본 분기점과 방장산.
290m봉정점은 3분정도 더 올라가야한다.
14 : 32. 347.4m 삼각점(담양301/1988재설)봉 바로 아래에서 땡겨 본
분기점-소갈재모습.
14 : 32. 347.4m 삼각점(담양301/1988재설)봉 바로 아래에서 본 분기점-소갈재-삼면경계봉.
좌측봉이 551m,가운데봉이 분기점,우측봉이 봉수대.
가운데 둔덕봉이 290m봉이고 그넘어 안부가 소살재다.
앞에 보이는 소살재에서 온 임도는347.4m봉 넘어에서 다시 만난다.
14 : 33. 347.4m 삼각점(담양301/1988재설)봉 바로 아래에서 본 입암저수지와 갓바위-시루봉.
14 : 34. 347.4m 의 삼각점(담양301/1988재설).
◇ 347.4m-산불초소 사거리-도산재. 3.7km. 60분.
14 : 34. 347.4m.삼각점(담양301/1988재설).방장산군조망.
14 : 44. 송전탑.
14 : 56/15 :00. 좌측 소갈재에서 온 세멘임도 만남.
15 : 14. 임도 사거리.산불초소.
15 : 27.왕림고개.왕림과 월계를 잇는 수렛길안부.맥따라 수렛길은 계속됨.
15 : 35/40. 도산재. 2차선 23번군도.건너편은 목장철망이 쳐있어 우측지능선으로 돌아감.
347.4m을 넘어서면 울창한 송림숲길을 내려가고 앞봉을 넘어서 쭈욱내려가면 송전탑이 나오고
송전탑사이 좌측으로 수산(237m)과 그 좌측으로 제법 큰 신림저수지가 보인다.
송전탑길을 따라 내려가다 안부에서 송전탑길은 좌측으로 내려가고 맥은 앞 둔덕에 올랐다 좌측으로 내려간다.
앞봉에서 좌측으로 꺽어 내려가면 소갈재에서 온 임도를 만나며 때맞춰 임도 따라온 임도파를 만났다.
임도파는 계속 임도를 따라가고 맥파는 임도를 따라 몇 발짝 내려와선 좌측 능선으로 붙어나가우측으로 꺽어 가면
성제 전주이씨묘를 지나고 사거리 안부에오면 좀전에 헤어진 임도를 다시 만나며 길가에 쓸모없는산불초소가 있다.
임도따라온 임도파를 다시 만나 직진하는 수렛길을 따라 오르며 뒤 돌아보면 조망이 좋아 방장산군은 물론이고
방금 지나온 347.4m봉과 송전탑을 지나온 맥능선이 잘 보인다.
산불초소있는 사거리안부를 지나 수렛길을 따라 조금 오르다가 우측 능선으로 붙어155m봉으로 가야하는데
맥길이 시원찮아 보여 수렛길따라 가니 지능선상의 하얀 집으로 왔다.집뒤 우측의 수렛길따라 올라가면 155m봉쪽으로 가겟는데
바로 앞쪽 우측 건너편이 왈림과 월계를 잇는 수렛길안부라 바로 왕림고개안부로 건너갔다.
왕림고개를 지나면 조경수들이 능선 양쪽으로 심겨겨있고 앞 잔등을 넘어가면 2차선 포장도로가 있는 도산재다.
고개우측 북쪽에 도산마을이 있어 편의상 도산재로 적는다.
14 :37. 347.4m 삼각점(담양301/1988재설)봉 내림길.
14 : 44. 송전탑에서 본 수산(237m).
수산넘어 좌측으론 신림저수지가 보이고 우측으론 화실봉이 보인다.
14 : 54. 송전탑 다음봉에서 좌측으로 꺽어 내려오다가 본 155m-왕림고개-수산(237m).
사진 좌측에서 임도를 만나고 사진가운데 우측이 산불초소가 있는 사거리이고,
맨우측위로 임도가 있는봉이 155m이고 하얀집뒤 솔밭 능선으로 맥은 이어진다.
좌측 수산(237m)밑에 쫒겨난 목장집이 보이고 저 뒤로화실봉이 보인다.
14 : 54. 송전탑 다음봉에서 좌측으로 꺽어 내려오다가 본 방장산군.
14 : 56/15 :00. 좌측 소갈재에서 온 세멘임도를 만났다.
15 : 11. 저 아래가 산불초소가 있는 임도 사거리다.
15 :15. 산불초소가 있는 임도 사거리를 지나서 뒤 돌아 본 347.4m 삼각점봉과 송전탑.
제일높은봉이 347.4m 삼각점봉,임도는 산불초소 좌측으로 돌아 내려온다.
15 :15. 산불초소가 있는 임도 사거리를 지나서 뒤 돌아 본 방장산.
15 :18.155m 지능선의 하얀집.
여기까지 왔다면 우측윗쪽으로 난 임도를 따라 올라가야 155m봉이다.
이집앞쪽으로 이어진 임도는 맥이 아니고 왕림고개 좌측으로 떨어진다.
15 :19.155m 지능선의 하얀집앞에서 본 수산과 목장집.
15 : 27.왕림고개위에서 뒤 돌아 본 155m봉(좌)과 하얀집(소나무뒤)에서 왕림고개로 내려온 수렛길.
15 : 32. 언덕위에서 본 수산과 목장집.
15 : 32. 언덕위에서 본 소갈재(좌)-분기점-방장산(우).
15 : 35/40. 도산재. 2차선 23번군도.건너편은 목장철망이 쳐있어 우측지능선으로 돌아감.
◇ 도산재-수산(237m)-송촌. 3km. 52분.
15 : 35/40. 도산재. 2차선 23번군도.건너편은 목장철망이 쳐있어 우측지능선으로 돌아감.
15:53. 우회하여 오른 목장윗봉.우측으로 꺽어졌다 다시 좌측으로 꺽어 내려감.
15 : 56. 안부.우측에서 온 메인 등산로를 만나 수산을 오름.여기서부턴 송촌까지는 길좋음.
16 : 07/20. 수산(秀山.237m).수산정 정자있고 운동기구와 돌탑들과수산정건립비있음.조망좋음.
16 : 45/17 ;00. 송촌마을입구 2차선포장도로(708번도로)에서 산행끝냄.
2차선 23번군도 옹벽을 넘어가면 목장인모양인데목장안길로 들아가니 밭은 매던 아낙네가 제지를한다.
철망이 쳐져있으니 철망 밖으로 돌아가란다.다시 내려와 도로따라 우측으로 돌아가니 철망 쪽문이 있어 그리로 들어서니
아까 그 아낙네가 또 제지를한다.다시 또 더 내려가서 왕림마을과 도산마을이 보이는곳에서 좌측 지능선으로 올랐다.
능선에 쳐진 철망길따라 목장윗봉에 오면 철망은 좌측으로 가고우측으로 꺽어 몇발짝 내려서다 다시 좌측으로 꺽어 내려가면
수산 오름길전 안부에 닿고 우측에서 올라온 수산 메인 등산로를 만나며 길은 대로가 된다.
수산 오름길엔누군가가 정성스레 쌓은 작은 돌탑들이 있고 한오름 올라서 좌측으로 꺽어 조금 나가면 운동기구들이 있고
이어 수산정상인데 수산정이란 정자가 있고 수산정을 지은 기적비와 등산안내판이있다.
조망이 좋아 방장산군과 지나온 소갈재뒤로 시루봉이 건너다보이고 앞쪽엔 신림저수지와 오늘의 종착점이 송촌마을이
내려다 보인다. 먼저오신 심용보님을 만났고 이제 내려만가면 될일이라 느긋하게 푹 쉬어간다.
수산 내림길은 울창한 송림에 길도 넓직한 웰빙숲길이라 좋다.
13분쯤 쭈욱 큰길따라 내려가면 묘지들이 나오며 우측으로 송촌에서 흥덕으로 이어지는 낮은구릉지대의 맥이 보이고
묘지군앞의 마지막 수렛길 안부를 건너 좌측으로 꺽어 조금 내려가면 708번도로가 지나는 송촌마을입구다.
고개위엔 송촌마을입구표석과 송촌 버스정류장이 있고 건너편언덕에 인삼밭이 있고 고개좌측넘어엔 신림저수지가 있다.
15 : 42.우측 아래로 내려와 이 쪽문으로 오르려니 여기도 안된단다.
15 : 45. 더 내려가서 여기서 올랐다. 뒤로 155m봉과 왕림마을과 347.4m삼각점봉이 보인다.
15:53. 우회하여 오른 목장윗봉.
우측으로 꺽어졌다 다시 좌측으로 꺽어 내려가면 수산 메엔 등산로가 나온다.
수산(秀山.237m) 오름길의 돌탑들.
16 : 07/20. 수산(秀山.237m).
수산정 정자가 있고 운동기구와 돌탑들과 수산정건립비 있고 조망이 좋다.
16 : 07/20. 수산정(秀山亭.237m).
16 : 07/20. 수산(秀山.237m)에서 본 소갈재-분기점-방장산.
16 : 07/20. 수산(秀山.237m)에서 본 방장산-벽오봉.
16 : 07/20. 수산(秀山.237m)에서 본 신림저수지와 송촌마을.
지맥은 저수지 우측의 송촌마을뒷봉(사진중앙)에서 우측으로 꺽어 간다.
16 :21.수산(秀山.237m)에서 하산길은 이런 웰빙숲길로 아주 좋다.
16 : 33. 묘지에서우측으로 본 송촌마을에서 신림초교쪽으로가는 지맥모습(가운데 얕은 산줄기).
16 : 45/17 :00. 송촌마을입구 2차선포장도로(708번도로) 송촌 버스정류장.
16 : 45/17 :00. 송촌마을입구 2차선포장도로(708번도로)에서 본 송촌마을과 버스시간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