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월지맥 2구간[돌고개-국사봉-연기고개(1번국도)-전월산(260m)-월산교앞](終).
전월지맥 2구간[돌고개-국사봉-연기고개(1번국도)-전월산(260m)-월산교앞](終).
◈ 산행코소와 거리 및 소요시간.도상거리 약 21.1km + 3.7km .8시간50분.
돌고개((2번군도)-국사봉(國師峰.213.8m)-213m돌탑봉-감나무재(6차선도로)-110m(은하수공원묘지)-160m봉-연기고개(1번국도)-
223.5m 삼각점봉(SK남면기지국)-180m 원수봉 갈림봉(철탑)-원수봉(254m왕복)-상촌고개(월산산업단지)-전월산(260m)-월산교앞 샛뜸마을.
◈ 일시: 2011. 02. 16(수).
◈날씨: 흐리고 기온은 쌀쌀하나 산행하긴 좋음.
◈ 인원:나홀로.
◈ 지도.
전월지맥 2구간[돌고개-국사봉-연기고개(1번국도)-전월산(260m)-월산교앞](終).지도 1.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전월지맥 2구간[돌고개-국사봉-연기고개(1번국도)-전월산(260m)-월산교앞](終).지도 2.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전월지맥 2구간[돌고개-국사봉-연기고개(1번국도)-전월산(260m)-월산교앞](終).지도 3.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전월지맥 2구간[돌고개-국사봉-연기고개(1번국도)-전월산(260m)-월산교앞](終).지도 4.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 일정정리.
07 ; 07/40. 천안에서 무궁화호 기차로 조치원행.
08 : 10. 조치원역앞에서 용암행 시내버스.
08 : 30. 돌고개(2차선 2번군도).밤나무밭가로 오르며 산행시작.
08 : 40/41. 첫봉(150m)에서 좌측 묘지쪽으로 내려간다.<주의>
09 ; 00. 140m봉. 우로꺽어 내려서며 바로 Y자 능선갈림길에서 우측으로.우측밑에 퇴비공장.
09 ; 08. 130m.우측에 봉있고 홈통골을 직진해 넘어간다.좀가면 전주이공묘 3기 있다.<주의>
09 ; 14. 171m갈림길.넓은길은 직진해 171m로 가고 맥은 좌측 리기다송숲으로 꺽어 진다.
09 ; 24. 수렛길안부. 좌측 수산저수지쪽은 세멘길.건너는 밤나무밭.여기서부터는 길이 나아진다.
09 : 33. 180m.직진해 넘어간다.우측에 높은 186m봉이 보인다<주의>
09 : 43. 190m 삼면경계봉.좌로 꺽어지며 우측은 벌목.좀내려오면 좌측긑으로 국사봉이 보인다.
09 ; 50. 안부 지나며 우측으로 휘는지점에서 바로 좌측능선으로 간다. <주의>.
09 ; 55. 벌목지끝봉인 180m봉. 뒤로 190m삼면경계봉과 지나온능선이 보인다.
10 : 04. 국사봉(國師峰.213.8m).낙엽속에 파묻힌 삼각점.건너편에 213m 돌탑봉이 보인다.
10 ; 13/18. 213m돌탑봉.토공 기준점 있고 뒤로 국사봉, 앞쪽 갈방향으로 세종시공사현장이 멀리 보인다.우측 토막나무 계단길따라 내려간다.
10 : 26. 160m.Y자능선에서 우측으로 가고.
10 : 31. 맨밑안부. 좌측으로 하우스들이 보이고.
10 : 44. 비포장안부. 버려진 폐기물 쓰레기들이 있고 좌측 넘어쪽에 축사.
10 : 48. 110m능선갈림봉.정면으로 골재 야적장이 보이는곳에서우측으로 긴능선 있으나 좌측으로 간다.
10 : 55. 감나무재.6차선도로공사장(우측은 완공.좌측은 공사중).건너편에 집하나있다.
11 : 01. 우측으로 은하수공원묘지.
11 : 10. <자로 꺽어온 은하수공원끝 110m.우측 은하수공원에 큰 조형물.
11 : 15. 또다른 110m봉. 수렛길은 여기까지.우측으로 내려간다.
11 ; 21. 건너편 둔덕부터 우측으로 세종시 공사장이 펼쳐진다.
11 : 32. 160m아래 안부.긴밭끝에 수렛길안부있고 우측가까이에 세종시 공사현장.
11 : 38/12 :06. 160m봉. 토공 기준점.우측으로 바짝꺽어 내려간다. <직진길 주의>.점심.
12 : 16. 150m봉. 우측으로 내려간다.
12 : 21. 세종시공사현장으로 좌우로 파헤쳐졌고 날등만 겨우 남아 있다.
12 : 33. 연기고개.1번국도.도로 공사중.건너편에 통신탑과 과수원.좌측엔 남면사무소 들어가는 도로삼거리.
12 : 48. 110m봉 넘어 또다른 도로공사장.건너편 절개지위에서 좌측으로 간다.
12 : 58. 120m봉.앞쪽으로 223.5m봉과 원수봉조망. 넘어서면 수렛길이 철탑까지 이어진다.
13 : 06. 세멘길안부.우측 위에 성당.
13 ; 25. KT 남면기지국앞.맥은 좌측으로 조금 내려서다 우측밑으로 가고 ,우측위에 KT남면기지국이 있고 기지국뒤에 223.5m 삼각점.
13 : 28. 223.5m삼각점(청주 26.1984복구).원수봉조망.
13 : 38. 180m봉아래 임도안부.직진해 건너간다.
13 : 42. 180m봉.맥은 정점전에 좌측으로 가고우측180m 정점 넘어쪽에 47번 철탑 있다.
13 : 44.원수봉을다녀 올려면 47번 철탑을 지나서 50여m 내려가선 빤빤한길은 직진하고 좌측으로 내려간다.
13 : 51. 수렛길 안부. 간벌목 널려있는 원수봉 급경사길이 시작된다.
14 : 06/11. 원수봉(元帥峰.254m).토공기준점.폐산불초소.전월산과 금강등 주변조망.영진지도의 원사봉은 帥를 師로 잘못 표기한듯.
14 ; 28/36. 다시 돌아온 180m 철탑봉.
14 : 43. 169m봉. 우측으로 내려간다.
14 ; 48. 묘5기에서 우측능선으로 간다.건너편에 210m봉과 전월산이 조망.
14 : 55/57. 상촌고개.월산지방산업단지 우측고개.좌측에 용마산업.길건너는 조경수 묘포장.
15 : 09. 유격훈련용 로프.
15 : 15. 전월산갈림길.맥은 좌측으로 내려가고 우측 윗봉 정상에 상여바위가 있다.
15 : 24/27. 상여바위.전망대.상여바위안내판.조망바위.
15 : 30/38. 전월산(轉月山. 260m).통나무의자.용샘. 이정표.조망좋다.
15 : 50. 다시 돌아온 전월산갈림길. 바로밑이 안부다.
16 : 00. 210m봉.봉이 두 개이고 첫봉은 바위봉이고 두 번째봉에서 직진해 묵은 나무 계단길따라 내려간다.
16 : 07. 수렛길 안부.좌측에 철탑.좌측밑엔 공장있고마루금따라 수렛길이 이어진다.
16 : 17. 노적산(露積山. 183m)갈림길.맥은 좌측이고 우측은 노적산 수렛길.
16 ; 28. 노적산(露積山. 183m).좌측으로 금강과 미호천의 합수점이 보이고 앞쪽으론 전월산이 보인다.
16 : 35. 다시 돌아온 노적산 길림길.앞쪽 166m봉에 공사중인 구조물이 보인다.
16 : 43. 166m봉. 공사중인 타워시설물같은것이 있고 뒤로는 전월산과 마적산이 보인다.
16 : 49. 130m봉. 우측으로 내려간다.좌측능선으로 행군로 ← 표시있어 헷갈릴수있다.
16 : 53. 큰 바위들이 있는 봉에서 좌측능선으로 간다.
17 ' 04. 94m봉.직진해 넘어간다.
17 ; 20/32. 월산리 샛뜸마을앞도로에서 산행종료.앞에 미호천과 금강의 합수점있고 좌측엔 월산교.제방따라 양쪽으로 도로가 있다.
17 : 40. 좌측 외딴집에서 택시로 (016 403 0001. 7000원은 너무비싸다)남면으로 나와 조치원가는 시내 버스탐.
18 ; 16~18 : 37. 조치원역에서 무궁화호 입석으로 천안 도착(2100원).
◈ 산행후기.
천안에서 07 : 07분 무궁화 기차를탔다.
다음차를 타면 조치원 도착이 08 :09분인데 돌고개가는 용암행 버스가 08 :10분에 있으니 30분을 기다려도 어쩔수 없다.
조치원역에서 커피 한 잔 빼 먹으며 시간을 죽이다 역앞 차부로 가니 시간이 채 안됐어도 버스는 그냥 출발한다.
손님은 단 세 명. 내가 제일 장거리 손님으로 20분후에 돌고개에 도착.카드 결재된다.
은암마을에서 내리면 10여분을 걸어가야하니 고개위 구제역방역초소에서 내려달라하니 정류장이 아니라고 한마디 하며 내려준다.
조치원역앞에서 은암마을(와촌3리) 돌고개가는 용암행 버스 시간표.08 : 10.
※ 돌고개(627도로.2번군도)-국사봉(國師峰.213.8m). 4.3km. 1시간 34분.
08 : 30. 돌고개(2차선 2번군도).밤나무밭가로 오르며 산행시작.
08 : 40/41. 첫봉(150m)에서 좌측 묘지쪽으로 내려간다.<주의>
09 ; 00. 140m봉. 우로꺽어 내려서며 바로 Y자 능선갈림길에서 우측으로.우측밑에 퇴비공장.
09 ; 08. 130m.우측에 봉있고 홈통골을 직진해 넘어간다.좀가면 전주이공묘 3기 있다.<주의>
09 ; 14. 171m갈림길.넓은길은 직진해 171m로 가고 맥은 좌측 리기다송숲으로 꺽어 진다.
09 ; 24. 수렛길안부. 좌측 수산저수지쪽은 세멘길.건너는 밤나무밭.여기서부터는 길이 나아진다.
09 : 33. 180m.직진해 넘어간다.우측에 높은 186m봉이 보인다<주의>
09 : 43. 190m 삼면경계봉.좌로 꺽어지며 우측은 벌목.좀내려오면 좌측긑으로 국사봉이 보인다.
09 ; 50. 안부 지나며 우측으로 휘는지점에서 바로 좌측능선으로 간다. <주의>.
09 ; 55. 벌목지끝봉인 180m봉. 뒤로 190m삼면경계봉과 지나온능선이 보인다.
10 : 04. 국사봉(國師峰.213.8m).낙엽속에 파묻힌 삼각점.건너편에 213m 돌탑봉이 보인다.
밤나무밭으로 들어가는 차단기를 넘어 밤나무밭 갓으로 오르며 지난번에 내려온 지맥을 짚어보고
첫봉인 150m봉에서 우측에 좀더 높은봉이 있고 그쪽 능선이 실하지만 맥은 좌측 아래로 묘지들이 줄줄이 있는 곳으로 내려가서
또다른 묘지가 있는 안부에서 좌측능선으로 길이 잘나 있지만 맥은 직진해 넘어서는데 길은없고 몇 발짝 내서서면 좌측 산허리로 돌아온길이 나온다.
조금가면 우측으로 돌고개에서 내려간 도로가 잠시 보이고, 올라선 140m봉에서 우측으로 꺽어 내려서며 바로 다시 능선이 갈라지면
다시 우측으로 내려간다.내려가며 분료냄새가 진동을한다.우측밑에 허연 건물이 보이는데 아마도 퇴비공장인 모양이다.
저앞쪽 우측에 벌건곳이 살짝보이는데 나중에 보니 130m 우측에 있는 묘지인데
거기를 기준삼아 잡목을 헤치고 나가 이 묘지앞에서 능선은 좌우로 실하게 있고 우측엔 좀더 높은봉도 있지만 직진해서 홈통같은 능선을 이리저리 돌아간다.
좀나가면 전주이공묘가 있고 맥이 살아난다.네 번째로 주의할곳이다.전주이공묘를 지나면 길은 묘지길이라 나아진다.
빤빤한길따라 가면 171m봉갈림길인데 빤빤한길은 직진해 171m로 가고 맥은 좌측으로 빼곡한 리기다숲으로 들어간다.
역시 주의할곳이고 이곳을 지나면 길은 사나워져도 길잃을 염려는 없는 외길이다.
잡목을 빠져나오면 고목 둥치와 큰 참나무가 있는 안부인데 좌측은 고개위까지 세멘길이 올라와 있다.좌측 아래에 수산저수지가 있는 안부다.
안부를 지나면 밤나무밭이고 올라가며 앞쪽에 큰 봉우리 두 개가 보이는데 우측봉은 186m봉으로 맥이 아니고 좌측 180m봉에서 앞쪽으로 넘어간다.
안부를 지나면서부터는 길은 나아지고 한 오름 올라선 180m봉 ㅏ자 갈림길에서 직진해 넘어가고 활처럼 우로 휘어가며 좌측으로 능선 갈림길을 지나고
190m 삼면경계봉에가면 우측이 벌목돼서 훤하다.우측능선은지도상의 아세아 채석장쪽으로 가는 능선이고 좌측으로 꺽어 내려간다.
정점에선좌측뒤에있는 국사봉이 안보이고 앞쪽 우측의 산양동쪽으로 이어지는능선이맥같이보이나조금 나오면 좌측끝에 국사봉이 보인다.
벌목한 나무들로 지저분한 산판길을 내려와좌우측으로수렛길이있는 안부에서 자칫하면 수렛길따라 우측 산양동쪽으로 빠질수있으니
안부를 지나면서 바로 앞 둔덕에서 좌측으로 꺽어져 또다른 벌목지 우측을 따라간다.
말발국모양으로 U자로 돌아간 벌목지끝인 180m봉에서 지나온지맥을 뒤돌아보고 앞쪽에 국사봉이 보이나 맥은 우측으로 돌아서 간다.
국사봉(國師峰.213.8m)정점은 간벌목들이 널려있고 삼각점은 낙엽속에 묻혀있고
한참만에 낙엽을 여기저기 헤쳐서 삼각점을 겨우 찾아 보니 이끼가 파랗게 덮혀있어 글자판은 읽을수가 없다.
08 : 30. 돌고개(2차선 2번군도).
차단기를넘어 밤나무밭가로 오르며 산행시작.
밤나무밭에서 뒤 돌아 본 돌고개와 지난구간.
08 : 40/41. 첫봉(150m)에서 우측 능선길이 실하나 좌측 묘지쪽으로 내려가 소나무앞에서 좌측능선이 아닌 우측으로 넘어간다.<주의>
09 ; 08. 130m.
우측에 봉있고 홈통골을 직진해 넘어간다.좀가면 전주이공묘 3기 있다.<주의>
09 ; 14. 171m갈림길.
넓은길은 직진해 171m로 가고 맥은 좌측 리기다송숲으로 꺽어 진다.
09 ; 24. 수렛길안부.
좌측 수산저수지쪽은 세멘길.건너는 밤나무밭.여기서부터는 길이 나아진다.
09 : 43. 190m 삼면경계봉.
좌로 꺽어좀 내려오면 좌측긑으로 국사봉이 보이고 사진 우측의안부에서 좌측으로 가야한다.
09 ; 55. 벌목지끝봉인 180m봉에서 뒤 돌아본 로 180m봉.
10 : 04. 국사봉(國師峰.213.8m).
삼각점은 낙엽속에 파묻혀있고 건너편에 213m 돌탑봉이 보인다.
10 : 04. 국사봉(國師峰.213.8m)에서본 213m 돌탑봉.
※ 국사봉(國師峰.213.8m)-하늘공원-연기고개(1번국도). 6.5km. 2시간 3분.
10 : 04. 국사봉(國師峰.213.8m).낙엽속에 파묻힌 삼각점.건너편에 213m 돌탑봉이 보인다.
10 ; 13/18. 213m돌탑봉.토공 기준점 있고 뒤로 국사봉, 앞쪽 갈방향으로 세종시공사현장이 멀리 보인다.우측 토막나무 계단길따라 내려간다.
10 : 26. 160m.Y자능선에서 우측으로 가고.
10 : 31. 맨밑안부. 좌측으로 하우스들이 보이고.
10 : 44. 비포장안부. 버려진 폐기물 쓰레기들이 있고 좌측 넘어쪽에 축사.
10 : 48. 110m능선갈림봉.정면으로 골재 야적장이 보이는곳에서우측으로 긴능선 있으나 좌측으로 간다.
10 : 55. 감나무재.6차선도로공사장(우측은 완공.좌측은 공사중).건너편에 집하나있다.
11 : 01. 우측으로 은하수공원묘지.
11 : 10. <자로 꺽어온 은하수공원끝 110m.우측 은하수공원에 큰 조형물.
11 : 15. 또다른 110m봉. 수렛길은 여기까지.우측으로 내려간다.
11 ; 21. 건너편 둔덕부터 우측으로 세종시 공사장이 펼쳐진다.
11 : 32. 160m아래 안부.긴밭끝에 수렛길안부있고 우측가까이에 세종시 공사현장.
11 : 38/12 :06. 160m봉. 토공 기준점.우측으로 바짝꺽어 내려간다. <직진길 주의>.점심.
12 : 16. 150m봉. 우측으로 내려간다.
12 : 21. 세종시공사현장으로 좌우로 파헤쳐졌고 날등만 겨우 남아 있다.
12 : 33. 연기고개.1번국도.도로 공사중.건너편에 통신탑과 과수원.좌측엔 남면사무소 들어가는 도로삼거리.
국사봉에서 건너편의 213m 돌탑봉이 건너다 보이나 우측으로 삥돌아가는데 중간봉에 가면 우측 김종서장군묘지쪽에서 올라온 능선을 만나며
길으 더 좋아져서 좌측으로 꺽어가면 213m돌탑봉이다.213m돌탑봉부터는 이제까지 공주군과 연기군경계이던 능선이 공주군과는작별하고 연기군 관내로 들어선다.
213m돌탑봉엔 돌탑과 토공에서 설치한 기준점이 있고 뒤로는 국사봉이 살짝보이고 앞쪽으로 가야할 지맥능선이 보이고 멀리세종시 공사현장이보인다.
우측으로 길따라 내려오면 최근에 설치한 통나무 계단길이 나오고 살짝 좌틀하며 쭈욱 내려가는데 길이 상각보다 잘 나 있다.
160m쯤되는 Y 자 둔덕에서 양쪽능선으로 길이 잘나 있으나 우측으로 내려서고 좌측에 하우스들이 보이는 안부를 건너 작은 둔덕을 두어개 넘어가면
좌측밑에 파란지붕의 축사가 보이더니 쓰레기에 폐기물들이 버려진 세멘길 안부를 지난다.지도상의 우측밑에 뜸이기 마을이 있는 고개다.
세멘길 안부를지나 앞 둔덕에 올라서면 앞에서 요란한 중장비들이 움직이는 소리가 들리고 우측으로 긴 능선이 이어지며 좀 높은 봉들이 보이는데
맥은 좌측 개활지같은곳으로 꺽어 자갈골재가 산처럼 쌓여있는 야적장을 우측에 끼고 나가면 우측은 6차선 도로가 나 있고 좌측은 공사중인 감나무재다.
지리원지도는 감나무재를 이곳 서북쪽에 적고 있고 영진지도는 이곳과 서북쪽 양쪽에 적고 있는데 나는 편의상 이곳을 감나무재로 적는다.
감나무재 도로공사장 건너편엔 옛집이 하나있고 그집 우측 둔덕엔 기준점 표석이 있는데 여기서부터는 이런 기준점 표석이 자주나온다.
이곳부터는 이제 건설중인 세종시관내로 들어가는 모양이다.
파란 차광망따라 조금 나가면 우측에 은하수공원 안내판이 있고 맥은 북쪽 115.1m 쪽으로 올라갔다 110m에서 ㅅ자로 내려온다.
은하수공원을 둘러볼겸 115.1m쪽은 생략하고 은하수공원을 가로질러 건너편 지맥능선으로건너가면 임도가 마루금따라 나있고 좌측은철망이쳐져있다.
임도따라우측으로내려가면우측밑공원묘지엔커다란조형물이있고앞쪽은세종시공사로분주하다.
임도따라 110m에 올라 우측으로 꺽어 앞 둔덕을 넘어서면 우측 바로밑은 세종시공사장으로 저 앞까지 온통 까 발라져 있고
평지 능선을 쭈욱 나가서 160m봉을 건너다보며 커다란밭을 내려가면 수렛길 옛 고개를 지나는데 우측에 있어야 할 범직이 마을은세종시건설로없어졌다.
한오름 올라서면 160m봉인데 기준점 표석이 있고 정면에 봉긋한 150m봉이 두 개 보이며맥은바로앞쪽으로이어질듯싶고그쪽으로내림길도있으나
맥은그쪽이아니고우측으로바짝 꺽어역 C자를 그리며 삥 돌아간다.
160m 우측밑에있는공사장이 잘 내려다 보이는 이장한 묘터에서 점심을 먹었다.여기서부터 지맥이 끝낼때까지 지맥에 있는 묘지들은 거의다 이장을 했다.
144m봉갈림길에서 좌측으로 꺽어가고 150m쯤되는 첫봉에서 우로 가고 두 번째 150m봉엔 이장 공고가붙은 묘가 있고
좌측능선으로 길 있으나 우측으로꺽어내려간다.
150m봉을 내려오면 좌우는 이미 세종시공사로 거덜이 나고 한뼘도 안되게 맥만 겨우 남은 능선을 내려가면 다시 산허리를 넘는 도로공사중이다.
1번국도가 지나는 연기고개 앞엔 거대한 지하차도가 건설중인데 뒤로있는 144m봉의길운터널로 이어지는 길인 모양이다.
연기고개 마루금 좌측엔 남면사무소로 들어가는 삼거리가 있고 맥은 통신탑위 과수원으로 이어진다.
도로삼거리에서 신호받아 도로를 건너 통신탑 좌측에 있는 목공소옆 임도를 따라 올라간다.
10 ; 13/18. 213m돌탑봉의 토공기준점.
10 ; 13/18. 213m돌탑봉.
좌축에 160m봉과 144m 우측으로 세종시 공사현장이 멀리 보인다.
10 ; 13/18. 213m돌탑봉.
우측에최근에만든듯한 토막나무 계단길을 따라 내려간다.
10 : 44. 비포장안부.
버려진 폐기물 쓰레기들이 있고 좌측 넘어쪽에 축사가 있는데 지도상의 우측밑에 뜸이기 마을이 있는 고개다.
10 : 48. 110m능선갈림봉.정면으로 골재 야적장이 보이는곳에서우측으로 긴능선 있으나 좌측으로 가면 이런골재 야적장이 나온다.
10 : 55. 감나무재.
우측은 6차선도로가 완공됐고(연기고개로 이어지는모양이다)
10 : 55. 감나무재.
좌측모습(이길은 정안IC로 이어지는데 첫구간 시작점인 어물리마을의 도로공사장으로 이어진다).
감나무재 집뒤에서 뒤 돌아 본 213m돌탑봉.
11 : 01. 우측으로 은하수공원묘지 안내판.
11 : 01. 우측으로 은하수공원묘지 안내판.
은하수공원묘지.
좌측끝이 115.1m쪽으로 안내판의 7번구역이다.
은하수공원묘지.우측 아래모습이다.
11 : 10. <자로 꺽어온 은하수공원끝 110m.우측 은하수공원에 큰 조형물.
상징조형물은 안내판의 10번으로 세종의 꽃이란다.
상징조형물 우측뒷편으로 본 213m돌탑봉과 국사봉.
11 ; 21. 세종시 공사장뒤로 원수봉(우측 2봉)과 KT남면기지가 있는 223.5m삼각점봉(좌).
긴밭 건너로본160m봉.
11 : 38/12 :06. 160m봉에서본150m봉. 토공 기준점에서 우측으로 바짝꺽어 내려가야한다. <직진길 주의>.점심.
11 : 38/12 :06. 160m봉에서본우측 세종시공사현장.
12 : 16. 150m봉. 우측으로 내려간다.
연기고개위에서 본 1번도로(앞)과 223.5m삼각점봉(좌),180m철탑봉(중),원수봉(우).
사진 좌측은 1번국도 철탑,가운데는 120m봉.
12 : 33. 연기고개.1번국도.
도로 공사중.건너편에 통신탑과 과수원.좌측엔 남면사무소 들어가는 도로삼거리.
12 : 33. 연기고개.1번국도.
도로 공사중.건너편에 통신탑과 과수원.좌측엔 남면사무소 들어가는 도로삼거리.
12 : 33. 연기고개.1번국도.
도로 공사중.건너편에 통신탑과 과수원.좌측엔 남면사무소 들어가는 도로삼거리.
※ 연기고개(1번국도)-180m 철탑봉-상촌고개(월산산업단지). 5km + 1.8km. 2시간 10분.
12 : 33. 연기고개.1번국도.도로 공사중.건너편에 통신탑과 과수원.좌측엔 남면사무소 들어가는 도로삼거리.
12 : 48. 110m봉 넘어 또다른 도로공사장.건너편 절개지위에서 좌측으로 간다.
12 : 58. 120m봉.앞쪽으로 223.5m봉과 원수봉조망. 넘어서면 수렛길이 철탑까지 이어진다.
13 : 06. 세멘길안부.우측 위에 성당.
13 ; 25. KT 남면기지국앞.맥은 좌측으로 조금 내려서다 우측밑으로 가고 ,우측위에 KT남면기지국이 있고 기지국뒤에 223.5m 삼각점.
13 : 28. 223.5m삼각점(청주 26.1984복구).원수봉조망.
13 : 38. 180m봉아래 임도안부.직진해 건너간다.
13 : 42. 180m봉.맥은 정점전에 좌측으로 가고우측180m 정점 넘어쪽에 47번 철탑 있다.
13 : 44.원수봉을다녀 올려면 47번 철탑을 지나서 50여m 내려가선 빤빤한길은 직진하고 좌측으로 내려간다.
13 : 51. 수렛길 안부. 간벌목 널려있는 원수봉 급경사길이 시작된다.
14 : 06/11. 원수봉(元帥峰.254m).토공기준점.폐산불초소.전월산과 금강등 주변조망.영진지도의 원사봉은 帥를 師로 잘못 표기한듯.
14 ; 28/36. 다시 돌아온 180m 철탑봉.
14 : 43. 169m봉. 우측으로 내려간다.
14 ; 48. 묘5기에서 우측능선으로 간다.건너편에 210m봉과 전월산이 조망.
14 : 55/57. 상촌고개.월산지방산업단지 우측고개.좌측에 용마산업.길건너는 조경수 묘포장.
목공소집을 우측에끼고 올라가 우측으로 꺽어가며 지나온 지맥과세종시공사장을뒤돌아보고 임도따라 쭈욱가서
우측으로 지능선이 갈라지는 110m을 지나면 좌우로 4차선은 돼보이는 큰 도로공사장 절개지가 나온다.
절개지를 좌측으로 내려가서 건너편 절개지위에서 좌측으로 휘어지면 우측은 민둥산인 까까머리 능선이다.
가시잡목인 220m봉에 가면 앞쪽으로 223.5m봉과 그 우측으로 원수봉이 높게 보이고 내려서면 좌측에서 올라온 상태좋은 수렛길이 능선따라 이어진다.
철문을 지나 능선따라 쭈욱가면 세멘길 안부가 나오고 안부를 건너서면 우측에 성당이 있고 조금 올라가면 좌측에 철탑이 나온다.
철탑을 지나면 된 비얄길에좌측엔철조망이나온다.한오름길게올라가우측으로꺽어지면 다시 좌측능선에서 올라온 임도를 만나며
우측 바로 윗쪽에 SK남면 기지국이 있고 그 뒷봉이 223.5m 삼각점봉인데 맥은 이 임도를 만나는 기지국밑에서 좌측으로 내려간다.
삼각점을 확인하러 기지국옆으로 올라 223.5m에 가면 2등삼각점(청주 26.1984복구)이 있고 건너편으로 원수봉이 뾰족하고 높게 건너다 보인다.
다시 갈림길로 되 돌아와 임도따라 조금 내려서다 앞봉까지 다 안가고 안부에서 우측으로 임도 따라 내려간다.
임도따라 내려온 안부는 임도 삼거리이고 임도 건너로 바로 오르는데 맥길이 가시밭으로 길이 시원찮다.
임도 우측에 작은골짜기 건너편에 있는 능선으로 오르면 바로 180m봉인데 아마도 그길로 다녀서 그런가본데 그쪽 능선은 정확한 맥이 아니다.
임도 바로 건너편 시원찮은 능선으로 4분쯤오르면 좌측으로 내려가는 능선길이 맥이고 180m봉 정점은 우측 위에 있다.
원수봉(254m)을 다녀올려고 우측으로 2분정도 더 올라가면 180m봉이고 정점 넘어쪽엔 47번 철탑이 있고
철탑에서 50m쯤 나가서 빤빤한 수렛길은 직진해 내려가고 시원찮은 원수봉길은 좌측으로 꺽어지며 조금 내려가면 길은 좋아진다.
7분쯤 내려가면 맨밑안부인데 수렛길이 좌우로 넘고있고 여기서부터는 간벌목들이 널려있고 길도 시원찮고 급경사라서 기운을 뺀다.
원수봉은 봉이 좌우로 두 개인데 우측봉에 올라서좌측봉으로 건너가는데 워낙 경사가 심해서 바로가는 사면길은 없다.
우측봉끝까지 올라서 좌측으로 내려섰다 오르면 원수봉인데 초입에 폐허가된산불초소가 있고 정점 남쪽은 까까머리라 조망이 좋다.
원수봉은 영진지도엔 원사봉으로 적고 있어 헷갈리는데 장수수帥자를 스승사師로 잘못 적은 듯싶다.
전월산과 금강이 건너다 보이고 2223.5m봉과 지나온 지맥이 뒤 돌아 보이며 우측밑으로 오산과 금강건너로관암지맥의지능선들이보인다.
다시 180m철탑봉으로 되 돌아와서 감하나 깍아 먹고
둔덕을 넘어 내려가면 좌측에서 올라온 흐릿한 수렛길을 만나고 수렛길따라 올라가 169m둔덕봉에서 좀 나은 길은 직진하고
우측으로 꺽어 없는길 뚫고 내려오면 169m봉을 좌측 사면으로 건너온 길을 만나서 묘지로 내려오면 저앞에 전월산과 220m봉이 건너다 보인다.
묘지에서 우측으로 내려오면 수렛길이 나오고 수렛길따라 내려오면 상촌고개인데 좌측 가까이엔 월산 산업단지끝에 있는 용마산업이 있다.
목공소집을 우측에끼고 올라가 우측으로 꺽어가며 뒤 돌아 본 지맥모습.
우측 철탑뒷봉이 150m봉,좌측 터널공사중인봉이 144m봉.
12 : 48. 110m봉 넘어 또다른 도로공사장.
건너편 절개지위에서 좌측으로 간다.
12 : 58. 120m봉에서 본 223.5m봉과 원수봉.
수렛길이 철탑까지 이어진다.
뒤 돌아 본 120m봉.
13 : 06. 세멘길안부를 지나면 우측 성당뒤로 원수봉이 뾰족하게 올려다 보인다.
13 ; 25. KT 남면기지국.
13 : 28. 기지국뒤의 223.5m삼각점(청주 26.1984복구).
13 : 28. 기지국뒤의 223.5m삼각점(청주 26.1984복구)봉에서 본 원수봉.
13 : 38. 180m봉아래 임도안부.직진해 건너간다.
13 : 42. 180m봉.
맥은 정점전에 좌측으로 가고우측180m 정점 넘어쪽에 47번 철탑 있다.
180m봉 근처에서 본 원수봉.
14 : 06/11. 원수봉(元帥峰.254m)앞뒤모습.
토공기준점.폐산불초소.전월산과 금강등 주변조망.영진지도의 원사봉은 帥를 師로 잘못 표기한듯.
14 : 06/11. 원수봉(元帥峰.254m)에서 본 오산(175m)과 금강.헬기가 떴다.
14 : 06/11. 원수봉(元帥峰.254m)에서 본 전월산(우)과 마적산(좌).
좌측파란건물이 상촌고개밑의 용마산업이고 그 뒤로 210m봉과그뒤로 마적산이 보이고
우측봉우리중 좌측봉이 상여바위봉이고 우측봉이 전월산이다.
14 : 06/11. 원수봉(元帥峰.254m)에서 본 전월산(좌)과 형제봉(107m.우측아래),양화리 진의리마을.
금강뒤로계 룡산에서 내려온 관암지맥의 산들이 보인다.
14 : 06/11. 원수봉(元帥峰.254m)에서 본 전월산전위봉(좌)과 KT기지국이 있는 223.5m삼각점봉(중).
14 : 55/57. 상촌고개에서 본 210m(좌)과 상여바위,전월산(우측뒤).
맥은 사진 우측의 상여바위봉중턱의 암벽 좌측밑에서 좌측 210m봉으로 이어진다.
14 : 55/57. 상촌고개.
월산지방산업단지 우측고개로 좌측에 용마산업이 길건너는 조경수 묘포장이 있다.
※상촌고개(월산산업단지)-전월산(260m)-월산교앞. 5.3km + 1.9km. 2시간 20분.
14 : 55/57. 상촌고개.월산지방산업단지 우측고개.좌측에 용마산업.길건너는 조경수 묘포장.
15 : 09. 유격훈련용 로프.
15 : 15. 전월산갈림길.맥은 좌측으로 내려가고 우측 윗봉 정상에 상여바위가 있다.
15 : 24/27. 상여바위.전망대.상여바위안내판.조망바위.
15 : 30/38. 전월산(轉月山. 260m).통나무의자.용샘. 이정표.조망좋다.
15 : 50. 다시 돌아온 전월산갈림길. 바로밑이 안부다.
16 : 00. 210m봉.봉이 두 개이고 첫봉은 바위봉이고 두 번째봉에서 직진해 묵은 나무 계단길따라 내려간다.
16 : 07. 수렛길 안부.좌측에 철탑.좌측밑엔 공장있고마루금따라 수렛길이 이어진다.
16 : 17. 노적산(露積山. 183m)갈림길.맥은 좌측이고 우측은 노적산 수렛길.
16 ; 28. 노적산(露積山. 183m).좌측으로 금강과 미호천의 합수점이 보이고 앞쪽으론 전월산이 보인다.
16 : 35. 다시 돌아온 노적산 길림길.앞쪽 166m봉에 공사중인 구조물이 보인다.
16 : 43. 166m봉. 공사중인 타워시설물같은것이 있고 뒤로는 전월산과 노적산이 보인다.
16 : 49. 130m봉. 우측으로 내려간다.좌측능선으로 행군로 ← 표시있어 헷갈릴수있다.
16 : 53. 큰 바위들이 있는 봉에서 좌측능선으로 간다.
17 ' 04. 94m봉.직진해 넘어간다.
17 ; 20/32. 월산리 샛뜸마을앞도로에서 산행종료.앞에 미호천과 금강의 합수점있고 좌측엔 월산교.제방따라 양쪽으로 도로가 있다.
상촌고개 2차선도로를 건너면 세종시건설에 쓸 소나무같은 큰 조경수들이 심겨있고
묘포장을 지나 시원찮은 덤불을 헤치고 나가면 좌측에서 올라온 수렛길을 만난다.
수렛길따라 올라가 유격훈련장 하강로프를 지나면 우측 앞쪽위에 암벽훈련장이 보이는곳에서 수렛길은 좌측 210m봉밑 안부쪽으로 간다.
여기서 전월산을 가지 않으려면 좌측으로 수렛길따가면 되고 전월산을 갈려면 직진해 6분쯤 더올라가면 전월산과 맥이 갈라지는 갈림길이다.
전월산을 갈려고 우측으로 꺽어 급경사를 10여분 올라가면 전망좋은바위가있는전월산전위봉인데이봉이상여바위란다 .
상여바위라기에 장사때쓰는 상여를 생각했더니 상여바위(想麗岩)로 고려충신 임난수(林蘭秀)가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건국하자
관직을 버리고 이곳 금강 월봉아래에 은둔하며 이 바위에 올라 멀리 북족 고려를 쳐다보고 나를 걱정하였다하여 이 바위를 상여바위라고전해진단다.
상여바위에 올라 지나온 지맥을 뒤돌아 보고 건너편 전월산에 가면 통나무의자 몇 개있고 우측밑에 용샘이 있는데 물은 없다.
전월산에서 미호천이 금강에 드는합수점과 월산교뒤로 이어지는 팔봉지맥과 금강넘어로 흐릿한 관암지맥을 짚어본다.
며느라바위가 260m 거리에 있다지만 갈길이 바빠 내려가보진못하고 돌아섰다.
상여바위를 지나 다시 갈림길로 되 돌아와서 조금 내려오면 좌측에서 건너온길을 만나고 이어서 안부에 이르고
210m봉오름길은 딤성듬성 큰바위들이 있고 뒤로 상여바위봉과 전월산에 아주 높게 올려다보인다.
210m봉은 봉이 두 개인데 첫봉은 바위봉이고 두 번째봉에가면 우측으로 노적산이 가깝게 보이며 능이 바로 그쪽으로 연결되는듯싶게 보이나
맥은 직진해 내려가는데 만든지 오래된듯한 낡은 통나무계단길이 나온다.
좌측에 철탑이 잇는 안부에 가면 좌측 가까이에 공장건물이 보이고 그쪽에서 올라온 수렛길이 능선따라 앞쪽으로 이어진다.
수렛길능선따라 올라가 우측으로 휘어가면 노적산갈림길인데 빤빤한 수렛길은노적산쪽으로 이어가고
맥은 여기서 좌측으로 꺽어 166m봉으로 가는데 166m봉의 공사장에허연건축물이보인다.
노적산(露積山. 183m)까진 왕복 20분이 채 안걸리고 노적산정상엔 삼각점이나 기타 표식은 없고 낯익은분들의 표지기만 보인다.
다시 노적산 갈림길로 돌아와 잠시 내려가면 좌측에서 올라오는 도로 공사중이고 올라간 166m봉엔 둥근모양의 건축물이 있고
뒤로는 전월산과 마적산이 뒤돌아 보인다.
166m봉에서 직진해 넘어가면 육군말뚝이 보이기 시작하고 건너편 130m봉에 가면 훈련 행군로인지 나무에 ← 표시가돼있어
좌측능선으로 가가 쉽겠으나 맥은 우측으로 꺽어 내려간다.
130m봉에서 우측으로 꺽어가서 큰 바위가 두 개있는 다음봉에선 좌측으로 가고 다시 봉긋한 좀 높은봉을 하나 넘어가
93m 마지막 둔덕을 넘어가면 앞에 미호천이 금강에 드는 합수점이 보이고 좌측엔 미호천끝자락을 건너는 월산교가 보이고
금강 제방둑을 따라 96번도로가 있고 좌측 미호천을 따라서도 2차선도로가 있다.
샛뜸마을엔집이몇채있고우측으론전월산이건너다보인다.
제방안쪽 함수점엔 사대강사업으로 덤프차들만 분주히 드나들고 있어 내려가볼 마음은 없고 시간도 없다.
마을에서나가는차편을알아볼려니사람이없다.마침 외츨했다 돌아오는사람을만나차편을 물어보니 시내버스는 멀리 가야있고
남면에서 택시를 부를려면 좌측 넘어쪽에 있는 외딴집에가서 물어보란다.
외딴집 할머니께 택시번호를 부탁해 차를 부르니 렌트카 영업용차가오고 남면으로 나오는데는불과6,7분 걸리느는데 7000원 이란다.
상여바위봉 중턱에 있는 암벽.
15 : 24/27. 상여바위 전망대.
15 : 24/27. 상여바위 안내판.
15 : 24/27. 상여바위에서 본 전월산.
15 : 24/27. 상여바위에서 본 금강.
15 : 24/27. 상여바위에서 뒤 돌아 본 원수봉(좌),180m철탑봉(중),223.5m삼각점봉(우)과 상촌고개.
15 : 30/38. 전월산(轉月山. 260m) 전경.
.통나무의자.용샘. 이정표.조망좋다.
15 : 30/38. 전월산(轉月山. 260m) 용샘.
15 : 30/38. 전월산(轉月山. 260m)에서 본 노적산((露積山. 183m.우측 철탑앞봉)과 166m(좌측 허연봉)
15 : 30/38. 전월산(轉月山. 260m)에서 본 미호천이 금강에드는 합수점(우측나무뒤)과 월산교와
월산교 뒤 좌측으로 팔봉지맥의 끝지락인 출동산(149m)이 보인다.
15:57. 210m봉 첫봉오름길에서 뒤 돌아 본 상여바위봉(우)과 전월산(좌).
15:57. 210m봉 첫봉오름길에서 본 미호천.
15:58. 210m봉 첫봉에서 좌측으로 뒤 돌아 본 상촌고개의 산업단지와 지나온 원수봉(좌),180m철탑봉(중),223.5m삼각점봉(우).
16 ; 28. 노적산(露積山. 183m)에서 본 전월산과 상여바위봉(우).
16 ; 28. 노적산(露積山. 183m)에서 본 금강과 미호천의 합수점.
16 : 43. 166m봉에서 뒤 돌아 본 노적산(좌)과 전월산(우).
16 : 49. 130m봉.
우측으로 내려간다.좌측능선으로 행군로 ← 표시있어 헷갈릴수 있다.
16 : 53. 큰 바위들이 있는 봉에서 좌측능선으로 간다.
17 ; 20/32. 월산리 샛뜸마을에서 본 미호천과 금강의 합수점과 전월지맥의 끝자락모습.
건너편산자락은 계룡산 쌀개봉에서 온 관암지맥의 끝인 부용산(221m)이다.
17 ; 20/32. 월산리 샛뜸마을에서 우측으로 본 노적산과 전월산.
17 ; 20/32. 월산리 샛뜸마을에서 좌측으로 본 월산교와 그 좌측의 팔봉지맥의 끝자락인 출동산(149m)과 미호천변 도로.
◈ 돌아오는길.
남면에서 커피한잔 마시는사이에 대평리서 나오는 시내버스를 타고 조차원역에가니 5시 50분인데
18 :16분차는 입석이고 35분차는 자리가 있다는데 기다리기가 지루해서 입석차를타고 돌아왔다.
전월지맥 (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