ㅊ, ㅌ 기맥,지맥.

칠봉지맥 5구간[부례고개-청룡산(311m)-용머리산-79번도로-객기리합수점](終).

산경표 2011. 9. 7. 10:03

칠봉지맥 5구간[부례고개-청룡산(311m)-용머리산-79번도로-객기리합수점](終).

◈ 산행코소와 거리 및 소요시간. 도상거리 9 km+1km(진입) .4시간 13분.

우곡면소재지 도전마을-부례고개(비포장도로 삼거리)-296.4m삼각점(구지도 쳥룡산)-쳥룡산(311m.신지도)-203.8m-
용머리산(179m)-연동고개(1차선포장도로)-대봉산갈림봉-67.79번도로(엄청난 절개지 철계단)-108m봉-객기리 새터마을-45.6m-합수점.

◈ 일시 : 2010. 12. 12(일). 고령이 영하 8.9도로 추운날씨

◈ 인원 : 달인클럽13명

◈ 지도.

 

 

칠봉지맥 5구간[부례고개-청룡산(311m)-용머리산-79번도로-객기리합수점](終).지도 1.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칠봉지맥 5구간[부례고개-청룡산(311m)-용머리산-79번도로-객기리합수점](終).지도 2.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 그림일기.


10 :42. 도진리 우곡면사무소옆 남와구거.


10 :42. 도진리 우곡면사무소옆 남와구거.


10 :46. 저위가 부례고개다.


10 :49. 청룡산전경.
왼쪽이 296.4m 삼각점봉이고 우측이 311m 진짜 청룡산정상이다.우측밑에 청룡사절이 보인다.


10 : 58. 부례고개에서 뒤 돌아 본 도진리와 회천.


10 : 59. 부례고개 임도 삼거리.
임도따라 오르다 우측 마루금으로 붙으면 바로앞에 철탑이 있고 오름길이 시작된다.


11 : 21. 296.4m 삼각점.
1/25000 지리원 구지도나 영진지도는 여기를 청룡산으로 표기하고 있는데
2010년판 새지도는 여기를 296.4m로 표기하고 0.9km정도 떨어진 저앞의 311m봉을 청룡산으로 표기하고 있다.

삼각점에 끌려 산이름이 잘못 표기했던 것을 바로잡았으니 다행이다.


11 : 35. 청룡산(靑龍山.311m). 청주한씨묘가 있다.
영진지도에 화산덤이라 표시된곳이다.


11 : 53. 246m봉에서 뒤 돌아 본 청룡산.
좌측이 311m청룡산이고 우측 첫 번째 철탑있는곳이 296.4m봉이다.

246m봉정상은 잔솔밭이라 별 특징없고좌측이나 우측으로 좀 나와야 이쪽 저쪽이 보인다.


11 : 53. 246m봉에서 좌측으로 본 낙동강과 구지면.
좌측 앞산은 대니산(408.3m)이고 뒷산줄기는 비슬산-연화봉-089.7m로 이어지는 비슬지맥이다.


11 : 55. 246m봉에서 우측으로 본 소학산(489.1m).


11 : 55. 246m봉에서 본 소학산앞쪽모습.
가운데 뾰족봉이 수도지맥의 솜등산,그 뒤쪽은 만대산쯤이 아닐까?


12 :01/18. 246m봉 넘어엔 장연노씨묘가 있고 내려간 안부에서점심을 먹었다.


12 :31.203.8m 삼각점(창녕327).빼곡한 솔밭속에 아카시아가시밭이다.삼각점 안내판엔 207m로 표기돼있다.


12 :34. 203.8m 삼각점봉을 내려서며 본 용머리산(179m.우앞봉)과 합수점(가운데봉앞쪽).
맨좌측 앞쪽에 대봉산이 보이고 사진 가운데 하얀 비닐하우스 들판앞쪽이 합수점이 되겠다.


12 :47. 용머리산.
정점은 펑퍼짐한 잡목속이다. 앞쪽으로 몇 발짝 나가서는 좌측으로 내려간다.


13 :05. 연등고개.
절개지를 우측으로 내려가서 우측으로 오른다.


13 :23.대봉산 갈림봉.
맥은 묘지 우측으로 직진해 내려가고 대봉산은 좌측으로 2분거리로 100여m 떨어져있다.


12 :25. 대봉산(121m).
삼각점도 없고 조망도 없다.심용보님,문정남님, 조삼국님,죽천님,맨발님등 반가운님들의 표지기가 반기고 있다.


12 :31. 67.79번도로 절개지위.좌측모습.
차량통행은 별로 없으나 낙동강을건너 구지면이나 창녕을 들어가는 도로다.
낙동강건너로 화왕산줄기가 보인다.


12 :31. 67.79번도로 절개지위.우측모습.
좌측으로 합수점으로가는 도로와 회천이 가까이 있다.
엄청나게 높은 절개지인데 경사가 직벽에 가까워 간큰 사람들이나 내려가고 소시민들은 우측으로 돌아서 건너간다.
수직에 가까운 철계단에 칡덩굴까지 있어 조심해야한다.


12 :37. 67.79번도로 절개지아래.


12 :42. 건너편 67.79번도로 절개지위에서.


13 :47/55. 곤시골지 서쪽안부에서 휴식.


13 :56. 연리 우곡초교 뒷봉에서 우측으로 본 회천과 다남산줄기.
저 앞산줄기 넘어에 수도지맥의 긑자락인 필봉,성산이 있고골짜기 우측끝쯤이 솜등산에서 내려온 도로 삼거리쯤이 아닐까?


14 :07. 108m봉.
유인 진양강씨묘가 있고 능선이 둘로 갈라지는데 우측으로 내려간다.


14 :08. 108m봉을 내려서며 본 지맥의 끝자락모습.
가운데 도로끝 우측이 60m봉,좌측이 삼각점있는 45.6m봉.
우측 참나무앞쪽이 합수점이다.


14 :21. 60m봉앞에서 우측으로 본 회천(會川)가의 비닐하우스단지.
소학산(489.1m)이 계속 따라온다.


14 :22. 60m봉앞에서 좌측으로 본 회동마을과 화왕산군 <요맥님사진>


14 :24. 60m봉.


14 :26. 60m봉에서 좌측으로 꺽어 내려오며 건너다본 45.6m봉.
바로밑엔 세멘길이 있고 건너편 물탱크 뒤 잡초속에 삼각점이 있다.


14 :31.45.6m봉에서 뒤 돌아 본 60m봉.


14 :31.45.6m 삼각점의 번호가 서로 틀린다.
안내판은 창녕 447,삼각점엔 창녕 477.
어느것이 맞는걸까? 안내판보다는 삼각점을 믿어야하겠지?


14 : 33. 45.6m 봉에서 새터마을로내려오며 본 새터마을(신기)과 마지막 43m봉.
43m봉우측으로 합수점이 보이고 43m봉 좌측 솔밭밑에 정터마을표석과 마을회관이 있다.
43m봉뒤의 높은산은 낙동강건너의 170.5m봉이다.


14 : 38. 객기리 새터마을을 지나 우측 43m봉으로 오르고


14 : 40. 뒤 돌아 본 객기리 새터마을과 뒤로 화왕산군.

14 : 44. 43m봉 좌측 손터마을과 낙동강.뒤로 화왕산군.
좌측 소나무옆에 마을회관이 있고 좌측에 보이는 느티나무있는 빨간탑의 객기리교회있는곳과
우측 소나무숲이 있는 손터마을은 맥이 이봉(43m)에서 이어지지 않고 45.6m 삼각점봉에서 좌측으로 이어온 산줄기다.


14 : 49. 43m봉에서 우측으로 이어지는 지맥의 끝자락인 객기리 배수장.<요맥님사진>
합수점뒤로 낙동강을 건너는 율지교가 보인다.


14 :57. 회천(會川)이 낙동강에 합류하는 합수점.<요맥님사진>
율지교(栗旨橋)뒤로 다남산줄기가 보인다.
저 산 좌측 끝자락이 수도지맥의 긑이며 황강이 낙동강에 드는 합수점이다.
현지형으로만 따진다면 성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 대신 다남산으로 이어지는 저 산줄기가 수도지맥의 끝으로 볼 수도 있다.


손터마을 우측 낙동강뚝에서 본 43m봉(우)과 객기리 배수장(좌측건물).


손터마을 우측 낙동강뚝에서 본 배수장과 합구점의 율지교.
낙동강은 4대강사업으로 한참 공사중.


객기리 마을회관.정토마을표석.


15 : 56. 고령읍내의 대가야왕릉전시관.
대규모 순장무덤인 지산리 44호분의 내부를 원래의 모습 그대로 재현해 놓은 것이다.

무덤의 구조와 축조방식,주인공과 순장자들의 매장모습,부장품의 종류와 성격등을 실물크기로 복원한 것이다.


대가야왕릉전시관.
40여명에 이르는 순장들은 개개인별로 따로 따로 무덤이 있고
연령대는 8세에서부터 10대부터 50대까지있다.


왕과 부장품들.


대가야왕릉전시관앞 30호 구분에서.



고령 쌍림공단앞에 있는 "엄마와 까치집 두 개" 란 비닐하우스 식당에서
요맥 강형태회장님이 동태찌게로 저녁을 사셨다.<강회장님사진>

강회장님 저넉 맛있게 잘 먹엇습니다 ,감사합니다.

 

 

 

 

 

 

 

사진 우측 아래의 슬라이드 쑈를 눌러 크게하여

좌측의 ▶ 버튼을 눌러 슬라이드 쇼로 보십시오.

5차에 걸친 칠봉지맥을 모두 마칩니다.

<달인클럽은 1월 둘째주부터 숭덕지맥을 이어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