ㅂ 기맥,지맥.

백덕지맥 3회차 대미분맥 2구간[개수리-장미산-승두봉(1013.4m)-구포교(평창강)].

산경표 2011. 9. 7. 09:25

백덕지맥 3회차 대미분맥 2구간[개수리-장미산-승두봉(1013.4m)-구포교(평창강)].

◈ 산행코소와 거리 및 소요시간. 도상거리 12 km+4.3km.8시간 33분.

개수리 덕수교-유등동-1022m -1000.2m 덕수산-장미산(979.8m)-947m-965m봉-폐 채석장-승두봉(1013.4m)-골미재-
984m-보석봉(983m)-채석장-785m-754.4m-미날교-424번도로.

◈ 일시 : 2010. 7. 11(일).

◈ 날씨 : 비가 온다는 에보였으나 다행히 비는 오지 않았으나 시계는 불량함.

◈ 인원 : 27명.

◈ 지도 :영진 5만지도 P 129 평창.

 

 

백덕지맥 3회차 대미분맥 2구간[개수리-장미산-승두봉(1013.4m)-구포교(평창강)].지도.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 일정정리.

06 : 10. 천안에서 동서울행버스.
07 :35. 잠실출발.


10 : 17.강원도 평창군 대화면 개화리 덕수교에 도착하여 산행시작.
10 : 34. 유등동 우측 지능선에서 덕수산 오름길로 듦.덕수산 1km(?) 봉황대 1.6km 이정표.
11 : 16. Y자 갈림길. 우측으로 감.
11 : 48. 1022m진짜 덕수산암봉.대미산조망.
11 : 59/12 : 21. 지도상의 덕수산(德修山.1002).묵은 헬기장에 이정표(봉황대 2.6km.장미산 2.2km)와 삼각점(판독불가).점심.


12 : 35. 퉁텡이재 안부.퉁텡이 0.7km.덕수산,장미산 0.9km 이정표.
12 :56. 장미산(長美山.979.8m).삼각점(303재설 77.6 건설부)과 이정표(덕수산 1.8km봉황대 2.8km).동쪽으로 봉황대 하산길.
13 : 18/21. 947m봉.길잃은양을만남.
13 :51. 912m봉. 넘어쪽에 납작묘 있음.
14 : 05. 965m봉.우측능선으로 962m 갈림길.
14 : 10/13. 절벽바위위.조망좋고 우측으로 꺽어져감.
14 : 21. 채석장위.절개지를 내려서 우측으로 채석장을 건너서 사면길을 따라 올라감.
14 :49/54. 승두봉(僧頭峰.중대갈봉.1013.4m).산불감시카메라.삼각점(평창 21.1989복구)춘천깨바위산악회의 승두봉표찰.


15 :04. 승두봉(1013m)표찰(평창선거관리위원회).억새밭에서 좌측으로 내려감.
15 ; 17. 골미재안부 사거리.좌우로 하산길. 임도.
15 :32. 984m봉 갈림길. 우측 5분거리에 조망좋은 984m봉 전망대 있음.
15 :37/40. 984m봉 전망대 승두봉,백덕산조망.

15 : 48. 다시 984m봉 갈림길.
15 :56/16 : 01. 보석봉(983m) 전망대.가야할맥길과 주왕지맥,백덕산조망.보석봉안내판.


16 : 03/12. 갈림길.이정표(방림면 6.9km.방림면 6.5km). 맥은 우측으로 정상암벽을 돌아감.본대는 직진하는 능선으로 탈출함.
16 : 37. 광산아래의 갈림길.화장실과 이정표(방림면 4.1km→광산길 ←).좌측 광산길로 올라감.
16 : 43. 광산.광산위로 직등해 오름.
17 : 12.785m봉.된비얄을 올라서 좌로 꺽어감.
17 : 32. 754.4m. 풀속에 삼감점(415재설.77.6 건설부). 앞둔덕에서 우측으로 가야할 것을 길이 없어 좌측으로 내려감.


18 :09. 방학동아래 계곡의 외딴집앞.세멘길이 나오고 사방댐이 나옴.
18 : 29. 평창강을 만남.
18 : 37/44. 평창강의 미날교.강뚝을 따라 내려가다 길이 끊겨 다시 미날교로 옴.
18 :50. 424번도로의 우밀마을입구에서 산행종료하고 바로 방림면의 식당으로 이동.


22 :15. 잠실도착.
00 : 10. 천안도착.

◈ 산행후기.

◇ 덕수교-덕수산(德修山.1002m)-장미산(長美山.978.8m). 2시간 17분.

10 : 17.강원도 평창군 대화면 개화리 덕수교에 도착하여 산행시작.
10 : 34. 유등동 우측 지능선에서 덕수산 오름길로 듦.덕수산 1km(?) 봉황대 1.6km 이정표.
11 : 16. Y자 갈림길. 우측으로 감.
11 : 48. 1022m진짜 덕수산암봉.대미산조망.
11 : 59/12 : 21. 지도상의 덕수산(德修山.1002).묵은 헬기장에 이정표(봉황대 2.6km.장미산 2.2km)와 삼각점(판독불가).점심.
12 : 35. 퉁텡이재 안부.퉁텡이 0.7km.덕수산,장미산 0.9km 이정표.
12 :56. 장미산(長美山.979.8m).삼각점(303재설 77.6 건설부)과 이정표(덕수산 1.8km봉황대 2.8km).동쪽으로 봉황대 하산길.


10 : 17.강원도 평창군 대화면 개화리 덕수교.
오늘은 처음부터 3개조로 갈렸는데 마지막 하산도 3개조로 갈라졌다.
장군님과 요맥님이 속한 선두팀은 우측 덕수교를 건너 덕수산쪽으로 가고
회장님이 이끄는 본대는 둥텡이안부로 오르다 게마을에서 장미산으로 오르고
박성태선생님이 속한 또 한조는 덕수교에서직진해 바로 장미산으로 올랐다.


10 : 17.덕수교 아랫쪽 풍경.<요맥님사진>




10 : 22. 덕수교건너 유등동 가는길에 건너다 본 장미산.

10 : 23. 유등동.
좌측 파란지붕집앞에서 퉁텡이 안부는 좌측으로 가고 덕수산 오름길은 우측끝 능선으로 이어진다.


10 : 27. 유등동 갈림길.
퉁텡이 안부는 좌측으로 덕수산은 직진해 올라 저 앞집에서 앞쪽 능선이 아닌 우측 끝능선에서 시작된다.


10 : 27. 유등동 갈림길에서 뒤 돌아 본 덕수교쪽.


10 :34.덕수산 들머리의 이정표.
덕수산정상 1km는 안 맞는다.맵자로 재보면 덕수산 삼각점봉가지 3km 나오고 1시간 25분 걸렸다.


11 : 16. Y자 갈림봉. 우측으로 갔다.


11 : 42. 1022m 아래 전망대에서 뒤 돌아 본 모습.<여기서부터 퉁텡이 안부까지는 지난차에 다녀간곳이다>
사진 가운데봉 넘어 안부에서 올라왔고,가운데봉 우측능선이 Y자 갈림봉이다.

저뒤로있는 큰산들은금당산(1174m), 거문산(1173m)줄기같다.


11 : 42. 1022m 아래 전망대에서 뒤 돌아 본 덕수교방면(우측가운데).


11 : 42. 1022m 아래 전망대에 선 선두조.
우측부터 좌로 오세춘님.최성철님.홍완섭님.최평칠님.정영옥님(뒤).정한규닌(앞).고광의님.최덕조님.나.강형태님은 사진찍음.


11 : 48. 진짜 덕수산인 1022m 암봉에서 본 지난구간의 대미산(1232.4m).


11 ; 53. 1022m 암봉을 내려서서본 가야할 장미산(좌)과 퉁텡이안부(가운데안부).
우측뒤로 백덕산이 구름속에 감춰있다.


11 : 59/12 : 21. 지도상의 덕수산(德修山.1002).
묵은 헬기장에 이정표(봉황대 2.6km.장미산 2.2km)와 삼각점(판독불가).점심.


11 : 59/12 : 21. 지도상의 덕수산(德修山.1002)에서 다시한번.
좌로부터 홍완섭님. 최성철님.최평칠님.고광의님.최덕조님.정한규님.정여옥님..오세춘님.나.


11 : 59/12 : 21. 지도상의 덕수산(德修山.1002).<요맥님사진>
올라온쪽에 있는 이정표(봉황대 2.6km는 안맞는다).


12 : 35. 퉁텡이재 안부.퉁텡이 0.7km.덕수산,장미산 0.9km 이정표.
덕수산엔장미산 2.2km ...400m는 없어졌다.


12 : 46. 장미산(長美山.979.8m)앞봉.
좌로 꺽어 내려가고 네 개의 이런 걸침목 쉼터가 있다.


12 :56. 장미산(長美山.979.8m).
삼각점(303재설 77.6 건설부)과 이정표(덕수산 1.8km봉황대 2.8km).동쪽으로 봉황대 하산길이 있다.

◇ 장미산(長美山.978.8m)-965m-승두봉(僧頭峰.중대갈봉.1013.4m). 1시간 47분.

12 :56. 장미산(長美山.979.8m).삼각점(303재설 77.6 건설부)과 이정표(덕수산 1.8km봉황대 2.8km).동쪽으로 봉황대 하산길.
13 : 18/21. 947m봉.길잃은양을만남.
13 :51. 912m봉. 넘어쪽에 납작묘 있음.
14 : 05. 965m봉.우측능선으로 962m 갈림길.
14 : 10/13. 절벽바위위.조망좋고 우측으로 꺽어져감.
14 : 21. 채석장위.절개지를 내려서 우측으로 채석장을 건너서 사면길을 따라 올라감.
14 :49/54. 승두봉(僧頭峰.중대갈봉.1013.4m).산불감시카메라.삼각점(평창 21.1989복구)춘천깨바위산악회의 승두봉표찰.


13 : 18/21. 947m봉.
여기서 맥은 좌측으로 꺽어 내려가는데 직진하는 능선쪽에서 길잃은양을만나다.
길을 잃고 얼마나 놀랬으면 올라오라고 그렇게 불러대도 꼼작을 못하고 서있다.

신광복님 가던길을 멈추고 다시 되돌아와 길 잃은 양을 데리고 가느라고 수고 많으셨습니다.


13 : 27.덕수교에서 바로 장미산으로 오른팀을 만나고...
길잃은 양을 기다리고 있다.본대와같이 장미산에서 점심을 먹고 같이 출발했는데 멀쩡한곳에서 없어졌단다.
김포추장 오랫만에 얼굴보겟네.


13 :58. 965m 오름길.


14 : 05. 965m봉.
우측 962m쪽능선으로 하산길이 있고 맥은 좌측으로 꺽어 내려간다.


14 : 10/13. 절벽바위위에서 본 지나온 장미산과 덕수산.
조망좋고 우측으로 꺽어져 감.


14 : 10/13. 절벽바위위에서 본 금당산과 거문산.


14 : 21. 채석장위.
절개지를 내려서 우측으로 채석장을 건너서 사면길을 따라 올라감.


14 : 21. 채석장위.
절개지를 내려서 우측으로 채석장을 건너서 사면길을 따라 올라감.


14 : 24. 채석장.


14 : 27. 채석장.


14 : 33. 채석장끝에서 뒤 돌아 본 채석장.


14 :49/54. 승두봉(僧頭峰.중대갈봉.1013.4m).
산불감시카메라.삼각점(평창 21.1989복구)춘천깨바위산악회의 승두봉표찰.


승두봉(僧頭峰.중대갈봉.1013.4m)-보석봉(983m)-광산안부. 1시간 32분.

14 :49/54. 승두봉(僧頭峰.중대갈봉.1013.4m).산불감시카메라.삼각점(평창 21.1989복구)춘천깨바위산악회의 승두봉표찰.
15 :04. 승두봉(1013m)표찰(평창선거관리위원회).억새밭에서 좌측으로 내려감.
15 ; 17. 골미재안부 사거리.좌우로 하산길. 임도.
15 :32. 984m봉 갈림길. 우측 5분거리에 조망좋은 984m봉 전망대 있음.
15 :37/40. 984m봉 전망대 승두봉,백덕산조망.

15 : 48. 다시 984m봉 갈림길.
15 :56/16 : 01. 보섭봉(983m.보석봉,버섯봉) 전망대.가야할맥길과 주왕지맥,백덕산조망.보석봉안내판.

16 : 03/12. 갈림길.이정표(방림면 6.9km.방림면 6.5km). 맥은 우측으로 정상암벽을 돌아감.본대는 직진하는 능선으로 탈출함.
16 : 37. 광산아래의 갈림길.화장실과 이정표(방림면 4.1km→광산길 ←).좌측 광산길로 올라감.
16 : 43. 광산.광산위로 직등해 오름.


14 : 54. 승두봉(僧頭峰.중대갈봉.1013.4m)에서좌측으로 본 금당산,거문산쪽모습.


15 : 04. 이 부근의 민둥산 억새밭이 하얀미리쪽에서 보면 중의 머리같이 생겼다하여 중대갈봉이라 부르고
점잖은 표현으로 승두봉(僧頭峰)이라 부른단다.

평창선거관리위원회에서 건 승두봉(1013m)표찰이 떨어져 있다.억새밭에서 좌측으로 내려간다.


골미재 내림길에 큰 소나무뒤로 984m봉(우)과 보석봉(좌)이 올려다 보인다.


15 ; 17. 골미재안부 사거리.
좌측은 상안미리,우측은 방림리로 하산길이 있다.


15 ; 17. 골미재안부 사거리.


15 ; 17. 골미재안부위에서 뒤 돌아 본 승두봉.
우측이 정상이고 좌측이 억새밭이다.


15 :32. 984m봉 갈림길의 노선배님들.
좌측부터 최평칠님(71세).오세춘님(75세).홍기표님(73세).
우측 5분거리에 조망좋은 984m봉 전망대가 있다.


15 :37/40. 984m봉 전망대 승두봉,백덕산등이 조망된다.


15 :37/40. 984m봉 전망대에서 본승두봉.


15 :37/40. 984m봉 전망대에서 본백덕산(좌측 구름에가린봉)-사자산-문재-술이봉(우).


15 :37/40. 984m봉 전망대에서 본가야할 능선(앞)과 남병산(1149.7m.우),주왕지맥의 주왕산(1376.7m.좌측 구름속).
좌측소나무뒤가 오늘의 마지막봉인 754.4m삼각점봉이고 그앞쪽에 평창강의 구포교가 있다.


15 : 48. 다시984m봉 갈림길.
길잃은 양을 인도하는 후미조.
좌측부터 이성개님. 이명우 김포추장.곽병태님.신광복님.


15 : 50. 보석봉(983m) 가는길의 절리지대.
물먹은 바위들이 쩍쩍 입을 벌리고 있어 상당히 미끄러워 조심스럽다.


15 :56/16 : 01. 보섭봉(983m.보석봉,버섯봉)전망대.
가야할 맥길과 주왕지맥,백덕산이 조망되고 보석봉 안내판이 있다.


15 :56/16 : 01. 보섭봉(983m.보석봉,버섯봉)전망대에서 본 조망 1.
앞쪽 맨좌측봉이 오늘의 마지막봉인 754.4m삼각점봉이고 우측 바위아래 안부에 채석장이 있다.
뒷줄 골짜기끝 구름에 덮힌산이 주왕산,가리왕산쪽이고 우측 광산 뒷산이 남병산이다.


15 :56/16 : 01. 보섭봉(983m.보석봉,버섯봉)전망대에서 본 조망 2.
앞사진 좌측이다.평창강 건너로 하안미리마을이 보이고 들판을 가르는 우측 큰길끝에 미날교가 있다.
뒷줄 구름에 가린봉이 주왕산쪽이고 그앞 도로가 대화,장평IC로 이어지는 31번국도다.


15 :56/16 : 01. 보섭봉(983m.보석봉,버섯봉)전망대에서 본 조망 3.
북동쪽 금당산,거문산,백석산.본대가 탈출한 능선이다.


15 :56/16 : 01. 보섭봉 또는 보석봉,버섯봉으로도 불린다는안내판.
이명우님.이성개님.


16 : 03/12. 갈림길.이정표(방림면 6.9km.방림면 6.5km)에서 우측으로 들어선 주능선상의 큰바위.


16 : 18. 밑에서 본 큰 바위.
이쯤에서 좌측으로 맥길을 찾아봐야하는데 빨간 라일론끈만 하나 있고 족적이 안보인다.
앞쪽이 급경사에어떤 장애물이 나올지 모르는데 풀을베고 정비한 빤반한길은 우측 사면으로 돌아서 내려가고있다.
우회길인가싶어 따라가보면 이길은 방림면으로 내려가는길이다.


16 : 27.돌밭길을 내려간 중턱의기도처인가? 굴인가?


16 : 37. 광산아래의 갈림길.
기도처에서 좌측 아랫길로 내려오면 좌우로 가로지르는 수렛길을 만나고 수렛길을 건너 능선따라 조금 더 내려오면
화장실과 이정표(방림면 4.1km→광산길 ←)가 있는 큰길을 만난다.좌측 위로 광산길로 따라 올라가면 채석장이다.


16 : 43. 채석장(광산)에서 뒤 돌아 본 보섭봉.
좌측봉이 984m이고 우측봉이 보섭봉이다.
정상암벽을 좌에서 우로돌아 사진 우측능선으로 내려와야하는데 좌측 아래로 내려와서 다시 올라온 것이다.
.광산에서 안부쪽으로도 길이 제대로 없어 바로 앞봉으로로 직등해 올랐다.


광산안부-754.4m 삼각점봉-미날교. 1시간 54분.

16 : 43. 광산.광산위로 직등해 오름.
17 : 12.785m봉.된비얄을 올라서 좌로 꺽어감.
17 : 32. 754.4m. 풀속에 삼감점(415재설.77.6 건설부). 앞둔덕에서 우측으로 가야할 것을 길이 없어 좌측으로 내려감.
18 :09. 방학동아래 계곡의 외딴집앞.세멘길이 나오고 사방댐이 나옴.
18 : 29. 평창강을 만남.
18 : 37/44. 평창강의 미날교.강뚝을 따라 내려가다 길이 끊겨 다시 미날교로 옴.
18 :50. 424번도로의 우밀마을입구에서 산행종료하고 바로 방림면의 식당으로 이동.


17 :04. 785m봉 오름길.


17 :17. 785m봉 넘어에서 본 평창강과 남병산.


17 : 32. 754.4m. 풀속에 삼감점(415재설.77.6 건설부).
앞둔덕에서 우측으로 가야할 것을 길이 없어 좌측으로 내려가서 더 고생을했고 시간도 많이 걸렸다.


18 : 04.길도 없는 벼낭길을 내려와 묵은 개망초밭에서 건너다 본 보섭봉.


18 : 09. 계곡끝의 농가.
저뒷봉이 754.4m 삼각점봉이다.
수렛길따라 우측으로 조금 내려가면 세멘길이 나오고 이어서 사방땜이 나온다.


18 : 21.바로앞이 평강강인데 어디서 이런 큰 소나무들이 나왔을까?
역시 강원도 오지이긴 오지다.


18 : 24.저앞 다리가 평창강을 건너는 미날교이고 마을 이름이 미날이다.
원래 목적지는 저끝 구포교인데 강뚝을 따라 내려가보니 길이 끊기고 절벽지대라서
다시 올라와 마닐교를 건너 424번도로의 우밀마을입구에서 산행을 마쳤다.
강형태님.정영옥님.최덕조님.


18 : 24. 뒤 돌아 본 평창강.
가운데 뒤로 보이는산들이 오늘 지나온 장미산 능선이 되겠다.


18 : 46. 미날교를 건너서 뒤 돌아 본 남병산과 구포교쪽모습.



18 : 50. 424번도로의 우밀마을입구에서 뒤 돌아본 754.4m삼각점봉과 우측의 보섭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