ㄱ 기맥,지맥.

고흥지맥 1구간[적지봉(571m) 분기점-2번국도-장군봉(412.7m)-탄포삼거리 ].

산경표 2011. 9. 7. 08:44

고흥지맥 1구간[적지봉(571m) 분기점-2번국도-장군봉(412.7m)-탄포삼거리 ].

07 : 39/41. 모암재위에서 일출.
좌측 계곡끝쪽에 벌교읍과 순천만이 보이고 해뜨는 우측 바다는 득량만이고
가운데 산줄기가 고흥지맥이다.

07 : 53/08 :00. 고흥지맥분기점에서 뒤 돌아 본 존제산(尊帝山.703.8m).


◈ 산행코소와 거리 및 소요시간. 도상거리 18km + 2km. 9시간 22분.

전남 보성군 율어면 선암리 모암마을-모암재((유재.천치재)-적지봉 분기점(571m)-태봉(325.2m)-가마봉(258m)-열가재(2번국도.목포-광양 고속도로공사중)
-장군봉(412.7m)-송장굴(경전선철도위)-285m봉(봉두산 갈림봉)-송장고개-355m (두방산 갈림봉)-마륜리 20번군도-가드릿재 2차선도로-
상남리 온동마을도로-삼봉(107.3m)-채석장-92m봉-탄포삼거리(16번.27번.77번도로)
.

◈ 일시 : 2010. 1. 3(일).

◈ 날씨 : 몹시 추워 서울은 영하8도이나 고흥은 영하2도.산행 다음날 서울 25.2cm등 기상관측이래 최고의눈이내림.

◈ 인원 : 요맥팀 8명(강형태님 회장님.최평칠님.심용보님.문정남님.정한규님.정송자님.이수일님.박종율)

◈ 지도 :영진 5만지도 P545 보성. P555 순천 고흥. P 581. 고흥.1/25000. 지리원확대본.

고흥지맥 1구간[적지봉(571m) 분기점-2번국도-장군봉(412.7m)-탄포삼거리 ]지도 1.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고흥지맥 1구간[적지봉(571m) 분기점-2번국도-장군봉(412.7m)-탄포삼거리 ]지도 2.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고흥지맥 1구간[적지봉(571m) 분기점-2번국도-장군봉(412.7m)-탄포삼거리 ]지도 3.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 일정정리. 07:16~16 : 38.9시간 22분.

00 : 00.사당출발.
01 : 00.천안에서 합류함.
04 : 50. 율어면 도착 1시간여 취침.
06 : 00~07 :15. 라면으로 아침먹고 모암마을로 이동.


07 : 16. 모암마을위 포장도로끝에서 산행시작.임도따라 올라감.
07 : 21. 사방댐지남.
07 : 30. 존제산(尊帝山.703.8m)밑 모암재(일명 유재 또는 천치재).임도 삼거리.우측으로 오름.
07 : 39/41. 주능선과 임도가 만났다 헤어짐. 통신탑과 전신주. 일출.조망.
07 : 53/08 :00. 고흥지맥분기점에서 입산예를올림.좌측 40m거리에 적지봉(赤地峰.571m)이 있고 존제산과 초암산,주월산이 조망됨.


08 : 06. 안부 묘지에서 우측으로 득량만과 주월산조망.
08 : 11. 547m봉.
08 : 28. 431m봉.赤地峙.431m봉을 넘어서면 길이 사나워지기시작함.
08 : 48. 404m봉.태봉과 두방산쪽보임.
09 :06. 묘지2기있고 직진아닌 우측 넓은길을 따라내려감.
09 :10. 302m봉밑 안부.302m봉을 좌측 수렛길로 건너감.
09 : 17.좌측으로 존제산이 시원하게 조망됨.
09 : 31.중턱의 양천허씨묘를 지남.
09 : 34. 324m봉.성터(?)흔적.좌로 꺽어감.태봉,장군봉,병풍산,두방산,봉두산이 건너다보임.
09 : 42/46. 태봉(325.2m).삼각점(순천 448).좌측은 벌목하여 존제산과 분기봉이 잘 보임.


09 : 54. 가마봉(258m).소나무에 팻말 걸려있으나 봉같지 않은 둔덕이라 지나치기쉬움.
10 : 12. 열가재(열가치.열갓재.2번국도).2번국도위에 목포-광양고속도로 공사중.좌우측에 휴게소있음.
10 : 26. 터널윗봉.통신탑있고 보성선씨가족묘.우측으로 꺽어오르면 잠시후에 또 통신탑나옴.
10 : 43. 296m봉밑 경주김씨 晶淳등 가족묘지.두 번째 통신탑부터는 수렛길이 296m밑 묘지까지 이어짐.
11 :07/35. 장군봉(將軍峰.412.7m).삼각점(순천 318).잡목속임.우측으로 내려감.점심.


11 : 47. 능선갈림길. 직진아닌 우측으로 100여 m가서 다시 좌측으로 내려감.
11 : 59. 경전선송장굴(宋將窟)위.좌측 30여m에서 임도가 능선따라 올라가고있다.
12 : 07. 임도만남. 몇 m가다 좌측으로 붙음.
12 : 21/24. 285m봉.보성군과 고흥군경계봉.우측으로 봉두산 능선이 분기함.355m봉과 병풍산능선과별교쪽조망.
12 : 42/50. 355m봉.좌측으로 병풍산능선갈림봉. 우측으로 내려감.존제산,석거리재,가야할 지맥쪽조망.오름길이 사나움.


13 : 10. 310m봉. 좌로 꺽어지고 길사나움.묵은 산판길이 나옴.
13 : 20. 303m봉.선답자들이 두방산으로 표기하는봉인데 아무런표식없음.묵은 산판길이 여기까지이어짐.
13 : 46. 묵은 묘지있고 우측밑에 송전탑있음.
13 : 54/14 :02. 291m봉.직진능선길 흐릿하고 우측길이 더좋음.양쪽 어디도 표지기안보임.우측으로 내려감.
14 : 09. 송전탑에서 봉두산과 원등제와 99.3m봉과 득량만과 지맥능선보임.
14 : 25. 세멘트도로의 30번 송전탑.


14 : 30. 마륜리 원동마을앞 20번군도로.우측에 축내마을앞 버스정류장.
14 : 34. 우측 89.3m봉 갈림길에서 89.3m봉을 생략하고 세멘길따라 앞 주능선으로 직행함.
14 : 44. 좌측에 재실인듯한 집을보며 주능선에 올라 좌측으로 내려감.
14 : 46. 성안마을 뒷고개.원등마을쪽에서 온 세멘트길이 고개를 넘고송전탑있음.감나무,매실밭으로 오름.
13 :01. 106m봉. 측백나무숲.통정대부 창원박공묘를 지나 정점전에 우측으로 내려감.
15 : 06. 가드렛재 2차선도로.앞봉에서 좌로 꺽어가며 시누대숲과 잡목은 계속됨.


15 : 30. 온동마을뒷봉.
15 : 49. 상남리 온동마을고개.태양열판.효열부 김녕김씨비.2차선도로 확포장공사중.온길이조망.
16 : 00. 첫봉엔 통정랑청주양씨묘 있음.
16:02. 넘어가면 우측에서 올라온 세멘트길 있고 SK통신탑있음.
16 : 08/15.삼봉(107.3m).삼각점(순천 317).좌측으로 내려가면 채석장임.
16 : 23. 92m봉을 우측으로 오르다 잡목이 지겨워 우측도로로 내려가 도로따라감.
16 : 36. 92m봉에서 내려온 주능선을 만남.남양면,대서면경계.태양열판과 도로이정표.
16 : 38. 탄포삼거리.15번,27번,77번도로가 만나는 2차선 도로삼거리.검문소,정류장있음.

16 : 45~17 : 50.낙안읍성으로 이동하여 짬둥어탕으로 저녁먹고 출발.
21 : 00. 천안도착.


◈ 산행후기.

새해 첫 산행으로 고흥지맥을 시작하는 날인데 요 며칠동안 날씨가 몹시 추워 오늘아침도 서울이 영하 8도로 내려간단다.
사당에서 밤 12시에 출발하여새벽 1시쯤에 합류하여 중간에 여산에서 한번쉬고 밤새달려 보성땅 율여면에 도착하니 4시 50분.
가로등과 화장실이 있는 어느방범초소옆에 차를대놓고 1시간여 눈을붙이고 6시에 일어나서 이여사님이 준비해온 라면으로
아침을 먹고 선암리 모암마을을 조금 올라가니 포장길은 끝이나고 비포장길이다.
사륜구동차라면 충분히 고갯마루까지 오르겠자만 봉고차는 어려울듯싶어 차에서 내려 좌측 오름길로 5분쯤 올라가면
좌측골짜기에 2009년에 막은사방댐이 있고 길은 우측으로 꺽어 9분쯤 올라가면 호남정맥 주능선인 모암재에 닿는다.


모암재는 전에 호남정맥을 할땐천치재라 불렀던듯싶은데 요즘엔 모암재혹은 유재로 부르는모양이다.
좌측으로 있는 존제산은 전엔 공군부대가있어 이곳을 통과할 수 없어 예전에 호남정맥을 한 사람들은
이곳을 우회하여 지나면서 고생하던 추억이 한 보따리씩은 간직한 그런산이다.

모암재임도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난 임도길은 좀 돌아올라 주능선에서 다시 만나는데 임도보다는 능선길이 빠를듯싶고
다시만난 주능선위에 오니 지금 막 해가뜨고 있는데 겹겹이 물결치는 산능선위로 오르는 해가 멋이있다.
위치와 타이밍이 잘 맞았다.조금 더 일찍 올라왔거나 늦었어도 요렇게 멋진 모습은 보지 못햇겠다.

07 : 53/08 :00. 고흥지맥분기점인 571m 적지봉에서 고흥지맥시작.
일출을 보고 된비얄을 한턱 올라서면 고흥지맥분기봉인데 뒤로 존제산과 우측으로 모암마을이 보이고
앞쪽엔 철쭉지대가 시작되고 저앞에 무남이재 꺽임봉과 초암산이 건너다 보인다.

분기봉에서 간단한 고흥지맥 입산신고식인 예를 올리고 왼쪽길로 들어서며 고흥지맥을 시작한다.40여m쯤 올라가면 571m봉인 적지봉이다.
적지봉이라 이름붙인뜻은 바로 아래의 431m봉을 지도에 赤地峙라 적혀있는데 이 적지(赤地)에서 빌려온 이름같다.
赤地峙는 임진왜란 때 공신 이경남이 그의 아버지를 업고 피난하다 이 고개에서 왜적을 만나 아버지를 살리려다 적의 칼에 쓰러지고
아버지도 죽으니 피가 고개를 붉게 적시었다하여 유래된 이름이란다.

◇ 모암마을-모암재-적지봉 분기봉(571m). 07 :16~07 :53.

07 : 16. 모암마을위 포장도로끝에서 산행시작.임도따라 올라감.
07 : 21. 사방댐지남.
07 : 30. 존제산(703.8m)밑 모암재(일명 유재 또는 천치재).임도 삼거리.우측으로 오름.
07 : 39/41. 주능선과 임도가 만났다 헤어짐. 통신탑과 전신주. 일출.조망.
07 : 53/08 :00. 고흥지맥분기점에서 입산예를올림.좌측 40m거리에 적지봉(赤地峰.571m)이 있고 존제산과 초암산,주월산이 조망됨.



07 : 30. 존제산(703.8m)밑 모암재(일명 유재 또는 천치재).
임도는 우측으로 돌아올라서 잠시후 다시 만난다.주능선길이 빠르겠다.




07 : 30. 존제산(703.8m)밑 모암재(일명 유재 또는 천치재)에서 다함께.
좌측부터 박종율.정송자님.정한규님.최평칠님.이수일님.문정남님.심용보님.요맥 강형태 회장님은 사진찍음.

07 : 39/41. 모암재위에서 일출.
좌측 계곡끝쪽에 벌교읍과 순천만이 보이고 해뜨는 우측 바다는 득량만이고
가운데 산줄기가 고흥지맥이다.





07 : 39/41.땡겨 본 고흥지맥.
앞에서 두 번째줄 좌측봉이 태봉(325.2m),세번째줄 펑퍼짐한봉이 장군봉(412.7m)이고
맨뒷줄 해뜨는 우측봉은 두방산(斗傍山.486.5m), 장군봉뒤 가운데봉은 병풍산(屛風山.479m),장군봉뒤 좌측봉은 비조암(飛鳥岩.456m).

07 : 39/41 일출.

다시한번 더 보고.

07 : 53/08 :00. 고흥지맥분기점.
좌측으로 40여 m거리에 분기점보다 좀 더 높은 571m봉인 적지봉이다.
적지봉이라 이름붙인뜻은 바로 아래의 431m봉을 지도에 赤地峙라 적혀있는데 이 적지(赤地)에서 빌려온 이름같다.
赤地峙는 임진왜란 때 공신 이경남이 그의 아버지를 업고 피난하다 이 고개에서 왜적을 만나 아버지를 살리려다 적의 칼에 쓰러지고
아버지도 죽으니 피가 고개를 붉게 적시었다하여 유래된 이름이란다.

07 : 53/08 :00. 고흥지맥분기점에서 간단한 입산 신고식.<요맥님사진>

07 : 53/08 :00. 고흥지맥분기점에서 본 서쪽 모암마을.
모암마을-모암재- 옥전리를 잇는 길은 고개 양쪽밑은 포장이 돼있고 고갯마루만 비포장길이다.

07 : 53/08 :00. 고흥지맥분기점에서 뒤 돌아 본 존제산(尊帝山.703.8m).
존제산(尊帝山.703.8m)은 부근에서가장 높은 산이며,
산 기슭에 장군대좌의 혈이 있어, 옛날에는 현명한 사람들이 많이 태어났다 하여 존제산이라 부른단다.

지금은 공군부대가 철수를 하였지만 전엔 공군부대가있어 이곳을 통과할 수 없었기에
예전에 호남정맥을 종주한 사람들은 이곳을 우회하느라고생했던추억이 많은산이다.

07 : 53/08 :00. 고흥지맥분기점에서 본 호남정맥과 초암산(576m.우)
호남정맥은 앞봉에서 좌측으로 내려간다.

07 : 53/08 :00. 고흥지맥분기점에서 본 호남정맥의 주월산(556.9m.좌)과 방장산(535.9m.우)

◇ 적지봉 분기봉(571m)-431m-태봉(325.2m). 08 :00~09 :42.

07 : 53/08 :00. 고흥지맥분기점에서 입산예를올림.좌측 40m거리에 적지봉(571m)이 있고 존제산과 초암산,주월산이 조망됨.
08 : 06. 안부 묘지에서 우측으로 득량만과 주월산조망.
08 : 11. 547m봉.
08 : 28. 431m봉.赤地峙.431m봉을 넘어서면 길이 사나워지기시작함.
08 : 48. 404m봉.태봉과 두방산쪽보임.
09 :06. 묘지2기있고 직진아닌 우측 넓은길을 따라내려감.
09 :10. 302m봉밑 안부.302m봉을 좌측 수렛길로 건너감.
09 : 17.좌측으로 존제산이 시원하게 조망됨.
09 : 31.중턱의 양천허씨묘를 지남.
09 : 34. 324m봉.성터(?)흔적.좌로 꺽어감.태봉,장군봉,병풍산,두방산,봉두산이 건너다보임.
09 : 42/46. 태봉(325.2m).삼각점(순천 448).좌측은 벌목하여 존제산과 분기봉이 잘 보임.

08 : 06. 분기봉을 내려간 안부의 묘지에서 우측으로 득량만과 조성면.
앞 저수지는 대곡지이고 좌측봉은 547m봉.

08 : 06. 분기봉을 내려간 안부의 묘지에서 우측으로 본 무남이재와 주월산,방장산.

08 : 28. 431m봉에서 뒤 돌아 본 547m봉과 571m분기봉.
지도는 431m봉을 赤地峙로 표기하고 있고 이봉을 넘어서면 길이 사나워지기시작한다.

08 : 28. 431m봉에서 좌측으로 꺽어지며 본 태봉(325.2m. 앞)과 장군봉(412.7m 뒤).
두봉사이로 2번국도와 공사중인 목포-광양고속도로가 지난다.
우측 나무뒤로 흐릿하게 두방산이 보인다.

09 : 17.302m봉을 지나서 본 존제산과 모암재 오름길도로.1

09 : 17.302m봉을 지나서 본 존제산-모암재-분기봉.2.

09 : 17.302m봉을 지나서 본 분기봉-431-302m봉.3.

09 : 34. 324m봉.성터(?)흔적있는봉에서 좌로 꺽어지며 본 장군봉(좌),병풍산(장군봉우측뒷봉),두방산(가운데 맨뒤 뾰족봉).

09 : 34. 324m봉.성터(?)흔적있는봉에서 좌로 꺽어지며 우측으로 본 봉두산(425.9m.우)
사진 가운데 상단의 짤록한 마치고개 넘어쪽이 원동제이고 그 좌측산들이 355m에서 291m으로 간 산들이다.

09 : 42/46. 태봉(325.2m).삼각점(순천 448).
좌측은 벌목하여 존제산과 분기봉이 잘 보인다.

09 : 42/46. 태봉(325.2m)에서 좌측으로 본 존제산(尊帝山.703.8m)과 천치저수지.

09 : 42/46. 태봉(325.2m)에서 뒤 돌아 본 적지봉(赤地峰.571m)분기봉-모암재-존제산(尊帝山.703.8m).

09 : 42/46. 태봉(325.2m)에서 본 옥전리와 벌교쪽.
우측 앞쪽에 2번국도가 보이고 이골 끝이 벌교읍이다.
좌측뒤로 흐릿한 산줄기는 제석산,오봉산,금전산같다.

09 : 42/46. 태봉(325.2m)에서 본 가마봉(257.1m.맨앞),296m봉(가운데), 장군봉(412.7m.뒤).

◇ 태봉(325.2m)-열가재(2번국도)-장군봉(將軍峰.412.7m). 09 :46~11 : 07.

09 : 42/46. 태봉(325.2m).삼각점(순천 448).좌측은 벌목하여 존제산과 분기봉이 잘 보임.
09 : 54. 가마봉(258m).소나무에 팻말 걸려있으나 봉같지 않은 둔덕이라 지나치기쉬움.
10 : 12. 열가재(열가치.열갓재.2번국도).2번국도위에 목포-광양고속도로 공사중.좌우측에 휴게소있음.
10 : 26. 터널윗봉.통신탑있고 보성선씨가족묘.우측으로 꺽어오르면 잠시후에 또 통신탑나옴.
10 : 43. 296m봉밑 경주김씨 晶淳등 가족묘지.두 번째 통신탑부터는 수렛길이 296m밑 묘지까지 이어짐.
11 :07/35. 장군봉(將軍峰.412.7m).삼각점(순천 318).잡목속임.우측으로 내려감.점심.

09 : 54. 가마봉(258m).
소나무에 팻말 걸려있으나 봉같지 않은 둔덕이라 못보고 지나치기 쉬운곳이다.
옛날 장군이 말을 타고 행군하는 길터라하여 가마봉이라 부른단다.

10 : 12. 열가재(열가치.열갓재.2번국도).
2번국도위에 목포-광양고속도로 공사중이고 좌우측에 휴게소있다.
통신탑뒤로 보이는 봉이 296m봉이다.

열가재(열가치.열갓재.2번국도) 터널앞에서 뒤 돌아 본 공사중인 목포-광양 고속도로.
열녀가 많이 나왔다 하여 열가치 또는 열갓재라 부른단다.

열가재(열가치.열갓재.2번국도) 터널위에서 본 열가제 휴게소와 주유소.뒤로 존제산이 보인다.

두 번째 통신탑으로 오르는 수렛길에서 뒤 돌아 본 열가재와 태봉(두 번째봉)과 분기봉(가운데뒤).
좌측 뒷산은 호남정맥의 주월산.

10 : 43. 296m봉밑 경주김씨 晶淳등 가족묘지에서 본 장군봉.

11 :07/35. 장군봉(將軍峰.412.7m).
삼각점(순천 318) 있고 잡목속임.우측으로 내려감.

11 :07/35. 장군봉(將軍峰.412.7m)에서 점심.

11 :07/35. 장군봉(將軍峰.412.7m)에서 본 비조암-병풍산-두방산모습
잠시후에 지날 송장고개가 임진왜란 때 이곳에서 송모(宋某)장군이 왜적을 맞아 싸웠다고 하여 송장군 고개 또는 송장고개라 부른다하고
경전선이 지나는굴을 송장굴(宋將窟),좀전에 지나온 가마봉이 옛날 장군이 말을 타고 행군하는 길터라하여 가마봉이라 부른다는것등을
종합하여 볼때 이장군봉도 송장군에서 연유되지 않았을까 유추해본다.

◇ 장군봉(將軍峰.412.7m)-355m 병풍산갈림봉-291m봉. 11 : 35~13 : 54.

11 :07/35. 장군봉(將軍峰.412.7m).삼각점(순천 318).잡목속임.우측으로 내려감.점심.
11 : 47. 능선갈림길. 직진아닌 우측으로 100여 m가서 다시 좌측으로 내려감.
11 : 59. 경전선송장굴(宋將窟)위.좌측 30여m에서 임도가 능선따라 올라가고있다.
12 : 07. 임도만남. 몇 m가다 좌측으로 붙음.
12 : 21/24. 285m봉.보성군과 고흥군경계봉.우측으로 봉두산 능선이 분기함.355m봉과 병풍산능선과별교쪽조망.
12 : 42/50. 355m봉.좌측으로 병풍산능선갈림봉. 우측으로 내려감.존제산,석거리재,가야할 지맥쪽조망.오름길이 사나움.
13 : 10. 310m봉. 좌로 꺽어지고 길사나움.묵은 산판길이 나옴.
13 : 20. 303m봉.선답자들이 두방산으로 표기하는봉인데 아무런표식없음.묵은 산판길이 여기까지이어짐.
13 : 46. 묵은 묘지있고 우측밑에 송전탑있음.
13 : 54/14 :02. 291m봉.직진능선길 흐릿하고 우측길이 더좋음.양쪽 어디도 표지기안보임.우측으로 내려감.

11 : 59. 경전선 송장굴(宋將窟)위.
좌측 아래로 본 경전서철로와 안부모습.좌측 30여m에 보이는 임도는 잠시후 만난다.

285m봉오름길에 뒤 돌아 본 장군봉(우)과 존제산(좌측뒤)
좌측 가운데 안부가 송장굴.

12 : 21/24. 285m봉.
보성군과 고흥군경계봉으로 우측으로 봉두산 능선이 분기하고 355m봉과 병풍산능선과 별교쪽이 조망된다.

12 : 21/24. 285m봉에서 좌측으로 본 벌교읍과 금전산(좌667.9m),오봉산(591.5m),제석산모습(560.3m).1

12 : 21/24. 285m봉에서 본 비조암,병풍산,355m봉. 2.

12 : 21/24. 285m봉에서 본 310봉과 득량만.3
지맥은 앞봉인 310m봉에서 좌측(앞)으로 이어진다.

12 : 42/50. 355m봉에서 본 303m봉,291m봉으로 이어가는 지맥모습

영지지도는이봉을 송장고개로 적고 있고 지리원 1/25000은 이봉 좌측안부를 송장고개로 적고 있는데 지리원본이 맞을듯싶다


비끼문과 보성군 조성면 및 벌교읍 사이에 있는 고개, 임진왜란 때 이곳에서 송모(宋某)장군이 왜적을 맞아 싸웠다고 하여
송장군 고개 또는 송장고개라 부르며, 이곳에서 많은 사람이 죽어 시체가 쌓였으므로 송장치라 부른다고도 한다.

12 : 42/50. 355m봉에서 뒤 돌아 본 장군봉(앞봉)과 존제산(뒤).

12 : 42/50. 355m봉에서 좌측으로 본 호남정맥의 석거리재(가운데고개)와 백이산(582m.가운데 우측봉)과 조계산(백이산뒷쪽)

12 : 42/50. 355m봉에서 좌측으로 본 두방산(斗傍山.486.5m).

말의 명당자리가 있어 말봉산으로도 불린 두방산(斗傍山·489m)은 옛날 귀절암이 있었기에 귀절산으로도,
임진왜란 때는 낙안군수와 송득운 장군을 충절을 기리기 위해 서산으로도 불렸으며,
향토사에는 지내산으로도 기록돼 있고조선시대에는 모 방(方)자를 쓰던 산이름이 일제 때 곁 방(傍)자로 바뀌었단다.

13 : 54/14 :02. 291m봉.
직진능선길 흐릿하고 우측길이 더좋고 양쪽 어디도 표지기는 안보인다.
편한대로 우측으로 내려갔다.


여기서부터 원동마을앞 20번 군도로까지는 재검토가 필요하겠다.
다녀와서 보니 선답자들은 모두 291m봉에서 좀더 나가서 앞봉에서 우측 원등마을로 내려와서
도로따라 우측 축내마을로 올라왔다는데 30번철탑위의 물길이 철탑좌측 즉 원등마을으로 흐른다면 291m에서좌측으로 내려와야맞고
우측으로 흐른다면 좀더 나가서 다음봉에서 내려와야 맞는다.다음봉에서 내려온다해도 원등마을까지 들어가선 안되지 않나싶다.
다음에 확인해볼 일이다.

◇ 291m봉-89.3m봉-가드렛재. 14 : 02~15 : 06.

13 : 54/14 :02. 291m봉.직진능선길 흐릿하고 우측길이 더좋음.양쪽 어디도 표지기안보임.우측으로 내려감.
14 : 09. 송전탑에서 봉두산과 원등제와 89.3m봉과 득량만과 지맥능선보임.
14 : 25. 세멘트도로의 30번 송전탑.
14 : 30. 마륜리 원동마을앞 20번군도로.우측에 축내마을앞 버스정류장.
14 : 34. 우측 89.3m봉 갈림길에서 89.3m봉을 생략하고 세멘길따라 앞 주능선으로 직행함.
14 : 44. 좌측에 재실인듯한 집을보며 주능선에 올라 좌측으로 내려감.
14 : 46. 성안마을 뒷고개.원등마을쪽에서 온 세멘트길이 고개를 넘고송전탑있음.감나무,매실밭으로 오름.
13 :01. 106m봉. 측백나무숲.통정대부 창원박공묘를 지나 정점전에 우측으로 내려감.
15 : 06. 가드렛재 2차선도로.앞봉에서 좌로 꺽어가며 시누대숲과 잡목은 계속됨.

14 : 09. 송전탑에서 본 원등제(앞)와 봉두산(425.9m).

14 : 09. 송전탑에서 본 득량만과 89.3m봉(우측).
들판가운데 도로중 맨우측이 축내마을로 들어가는길이고
앞쪽 얕은줄기가 지맥능선이다.

14 : 25. 세멘트도로의 30번 송전탑에서 뒤 돌아 본 291m봉(가운데).
여기서 보면 도로끝의 솔밭물이 우측으로 갈듯싶은데 확인을 안해봤다. 다음차에 확인해야겠다.
이물이 좌측으로 흐르면 우측능선이 미루금이고 우측으로 흐르면 좌측능선이 마루금이 되겠다.
이부분을 영진 1/50000은 분명하게 골짜기 물이 좌측으로 흐르게 돼있어 일단 지맥 마루금은 우측능선으로 잡아 지도를 그렸다.

14 : 25. 세멘트도로의 30번 송전탑에서 본 89.3m봉(우측봉)과 20번군도(가운데 좌우로가는도로.축내로 들어가는 도로 입구에정류장이 보인다).

14 : 25. 세멘트도로의 30번 송전탑에서 본 106m봉(좌).

14 : 34. 89.3m봉 과 축내마을. 남쪽이라 마을이 이렇게 커있다.삥돌아오는형국이라 생략하고 앞 능선으로 올랐다.

축내마을앞에서 뒤 돌아 본 291m봉과 원등마을(우).
89.3m봉은 사람있는곳에서 좌측으로 가야하고 저뒤 30번철탑뒤 물길을 확인안하고 온 것이 후회된다.

좌측으로 제실인듯한 집도 보인다.

14 : 44.축내마을 남쪽 주능선에 올라서 뒤 돌아 본 원등제와 축내마을.
축내마을 좌측이 89.3m봉이고 보이는 길따라 올라왔다.

14 : 46. 성안마을 뒷고개에서 본 원등마을(좌)과 성안마을(우),앞에 뾰족봉은 첨산(313m)이고 원등마을뒤로 두방산이 보인다.
.원등마을쪽에서 온 세멘트길이 고개를 넘고잇고 송전탑뒤로 감나무,매실밭으로 오른다.

14 : 46. 성안마을 뒷고개에서 본 원등마을과 291m본(중),두방산(우).
좌측3번째 철탑이 30번 철탑이다.

106m봉 초입의 감나무,매실밭의 유자나무.
106m봉까지 가지 않고 정점전에 우측으로 내려간다.

15 : 06. 가드렛재 2차선도로.
앞봉에서시누대숲에서 좌로 꺽어가며 산행끝날때까지 잡목은 계속된다.

◇ 가드렛재-삼봉(107.6m)-탄포삼거리. 15 : 06~16 :38.

15 : 06. 가드렛재 2차선도로.앞봉에서 좌로 꺽어가며 시누대숲과 잡목은 계속됨.
15 : 30. 온동마을뒷봉.
15 : 49. 상남리 온동마을고개.태양열판.효열부 김녕김씨비.2차선도로 확포장공사중.온길이조망.
16 : 00. 첫봉엔 통정랑청주양씨묘 있음.
16:02. 넘어가면 우측에서 올라온 세멘트길 있고 SK통신탑있음.
16 : 08/15.삼봉(107.3m).삼각점(순천 317).좌측으로 내려가면 채석장임.
16 : 23. 92m봉을 우측으로 오르다 잡목이 지겨워 우측도로로 내려가 도로따라감.
16 : 36. 92m봉에서 내려온 주능선을 만남.남양면,대서면경계.태양열판과 도로이정표.
16 : 38. 탄포삼거리.15번,27번,77번도로가 만나는 2차선도로 삼거리.검문소,정류장있음.

15 : 49. 상남리 온동마을고개에서 삼봉쪽모습.

15 : 50. 상남리 온동마을고개에서 삼봉쪽으로 오르면서 뒤 돌아본 모습.
지맥능선은 잔등따라 좌측으로 돌아가고 우측 고갯마루에 탸양열판이 있고 길건너에 효열부 김녕김씨비가 있다.
좌측산이 291m봉이고 우측으로 있는산은앞봉이 두봉산,가운데가 병풍산 세 번째가 비조암이다.

15 : 50. 상남리 온동마을고개에서 삼봉쪽으로 오르면서 뒤 돌아본 첨산(313m.좌)과 월악산(183.7m.우)
우측마을은 동강면소재지이고 사진좌측에 효열부비가 보인다.

16 : 08/15.삼봉(107.3m).삼각점(순천 317).내려가면 채석장이다.

16 : 23. 92m봉이다.
우측으로 오르다 잡목이 지겨워 우측도로로 내려가 도로 따라갔다.

16 : 36. 92m봉에서 내려온 주능선을 만나는 남양면,대서면경계다.탄포삼거리가 100m앞에 있다.

16 : 36.면경계에서 뒤 돌아 본 92m봉모습이다.

16 : 38. 탄포삼거리.15번,27번,77번도로가 만나는 2차선도로 삼거리.검문소와 버스 정류장이 있다.

16 : 38. 탄포삼거리.15번,27번,77번도로가 만나는 2차선도로 삼거리.검문소와 버스정류장이 있다.
뒤로 92m봉과 두방산,병풍산이 보인다.

16 : 38. 탄포삼거리.
다음구간의 혼백산(180m)이 보인다.

고흥과 벌교방면 버스 시간표.

낙안읍성에서 짬둥어탕으로 저녁식사.<요맥님사진>.

사진 우측 아래의 슬라이드 쑈를 눌러 크게하여

좌측의 ▶ 버튼을 눌러 슬라이드 쇼로 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