ㅂ 기맥,지맥.

비슬지맥 3구간[잉어재-선의산(仙義山.756m)-남성현재-팔조령(30번국지도)]

산경표 2011. 9. 7. 08:20

비슬지맥 3구간[잉어재(925도로)-선의산(仙義山.756m)-남성현재-팔조령(30번국지도)].


상원산(上院山.673.4m)앞에서 뒤 돌아 본 선의산-용각산-상원산모습. 누르면 정지화면이 뜹니다.

◈ 산행코소와 거리 및 소요시간. 도상거리 21.5km.7시간 47분.

잉어재(이현.925번도로)-3.9km(66분)-선의산(仙義山.756.4m)-3.8km(74분)-용각산(龍角山.692.5m)-3km(49분)-보리고개-2.2km(53분)-
남성현재(25번국도)-5.4km(100분)-상원산(上院山.673.4m)-3.2km(55분)-팔조령(30번국지도)

◈ 일시 : 2009. 8. 2(일).

◈ 개요.

오늘구간은 거리가 다소 긴 21.5km에 달하나 전반적으로 등로가 좋고 숲이 좋아 한여름인데도 반팔산행이 가능했다.
전반부의 선의산,용각산은 주변에선 좀 알려진 산으로 조망이 좋고봉우리는 많이 지나나 엎다운이 심하지 않아서 힘든줄 모른다.
이정표도 잘돼있어 길잃을 염려는 없으니 선의산에서 자칫 방심하여 이정표를 제대로 안보면 직진해 도성사로 빠질수 있다.
중간에 지나는 팔조령엔 휴게소가 두 개나 있어 쉬어가기좋고 팔조령가는길은 임도를 많이 따라가서 시간을 줄일수있는데
몇군데는 특히 주의를 요한다.


경산공원묘지끝에선 원 마루금은 638m봉앞까지 올랐다가 좌측으로 내려와야하나 오름길이 가파라서 쉬운사면길로 건너갔다.
상원산정상부는 군부대 철조망이 이중으로 막고 있어 오를 수 없어 임도따라 사면길로 건너왔고
군부대정문입구에서 5분쯤 내려오면 도로가 120도로 좌측으로 꺽어지는 지점에선 특히 조심하여야하는데
직진하는 501m쪽 능선길이 좋아서 지칫하면 이능선으로 가기쉬운데 도로따라서 좌측으로 내려와야한다.(1)
두 번째 조심할곳은 이 꺽인지점에서 9분쯤 뚝 떨어져 내려오면 도로는 살짝 우틀하여 내려가며
우측숲속엔 변전소 건물이 보이면서지맥능선은 직진해 내려가는데 도로물막이턱 넘어에 NO1 기준점이 있다.(2)
세 번째는 이 기준점을 지나 3분쯤 내려가면 능선이 좌우로 갈라지고 양쪽에 송전탑이 보이는데 우측 송전탑쪽으로 가면 방목장이다(3)
네 번째는 지맥이 우측으로 꺽어 팔조령으로 내려서는지점인데 직진길이 좋치만 우측 지맥길에 표지기가 많이 걸려있다.(4)

◈ 인원 : 요맥회원 8명.
강형태회장님.최평칠님.최덕조님.현주환님.홍완섭섭님.정송자님.이수일님 그리고 나.

◈ 날씨 : 오전엔 안개끼고 흐렷으나 오후엔 쨍하고 햋빛이나 더움.

◈ 지도 :영진5만지도412 경산.411 청도 경산. 국토 지리원 확대본.

 

 

 

 

비슬지맥 3구간[잉어재(925도로)-선의산(仙義山.756m)-남성현재-팔조령(30번국지도)]지도 1.

누르면 확대됩니다.

 

 

 

비슬지맥 3구간[잉어재(925도로)-선의산(仙義山.756m)-남성현재-팔조령(30번국지도)]지도 2.

누르면 확대됩니다.

 

 

 

비슬지맥 3구간 남성현재-팔조령(30번국지도) 세밀도 1.

누르면 확대됩니다.

 

 

 

비슬지맥 3구간 남성현재-팔조령(30번국지도) 세밀도 2.

누르면 확대됩니다.

 

◈ 일정정리.10 :30~18 : 17. 7시간 47분.

06 : 40.사당출발.
07 : 35. 천안통과.


10 : 25/30. 잉어재.경북 청도군 매전면과 경상시 남천면경계.경산쪽 1m 옹벽을 오르면긴 로프있음.
10 : 37. 441m.좌틀하고 우측능선에서 올라온 길 만남.
11 : 00. 618m.좌측사면으로 건너감.
11 : 04. 640m봉을 우측 사면으로 건너감.통나무의자들 있음.
11 : 20/27. 704.8m 암봉.전망대.지나온 지맥과 용각산 조망.
11 : 29. 우측 금정골(도성사 3km)하산길 안부 이정표.
11 : 43/50. 선의산(仙義山.756.4m).전망데크.정상표석 2.삼각점.일제 쇠말뚝 뽑은표지석.
정상을 넘어서며 있는도성사 3.3km 용각산 5km이정표에서
길주의.


12 : 04. 약 710m봉을 우측 사면으로 길게 건너감.
12 : 16/37. 약 570m봉에서 점심.
12 : 59. 529m봉.우측 사면길로 건너가기전에 떨어진 이정표(선의산 1시간,용각산 30분)있음.
13 : 15. 용각산 갈림 삼거리.용각산 0.2km. 선의산 4.2km.남성현재 6.3km 이정표.용각산은 좌측으로 5분 올라가야함.
13 : 20/30. 용각산(龍角山.692.5m).표석. 삼각점(동곡301).
이정표(곰티재 3.9m.잉어재7.7km.선의산 4.4km.남성현재 6.5km).전망대.


13 : 33. 다시 돌아온 삼거리.
13 : 47/51. 530m 둔덕봉.소나무숲.
14 : 07. 좌측으로 용암온천,상설 투우장(3.7km) 갈림길.용각산 2.5km.남성현재 4km.
14 : 09. 482.1m.길가운데 삼각점(NO 045)있고 100m 쯤 나간 정점에 준희님 표찰있음.
14 : 21. 보리고개.수렛길에 이정표(남성현재 3.3km. 용각산 3.2km)
14 : 40/46. 492m 휴식.
14 : 52. 501.7m. 삼각점(청도 317)과 표찰.봉 같지 않은 둔덕.바로 내림길이 시작됨.
14 : 59. 안산(490m) 세멘트 헬기장.좌틀하여 큰 참나무숲길을 내려감.
15 : 20/31. 남성현재.청도 화양읍과 경산 남천면 경계.청도,남성현 휴게소 2개 있고 소싸움 조형물.휴식.


15 : 37. 324m 헬기장.이어서 수렛길나옴.
15 : 55. 472.4m.삼각점(청도 42?)과 준희님표찰.
15 : 57. 484m 헬기장.준희님표찰.
16 : 07. 송전탑.상원산조망. 넓은 임도길이 시작되어 경산 공원묘지끝까지 이어짐.
16 : 29/37. 경산공원묘지에서 휴식.
16 : 50. 공원묘지 세멘트길은 우측위로 올라가고
직진하는 지름길로 건너감.


16 : 57. 638m쪽에서 내려온 주능선을 만나는 안부.
17 : 08. 삼군경계봉.대구광역시,경산시,청도군 경계.바로전의 송전탑에서 경산공원과 선의산,용각산, 화악산조망됨.
17 : 16. 상원산앞 임도 삼거리.우측 위 상원산은 군부대가 있어 직진하는 사면 임도를 따라감.조망이 좋음.
17 : 22. 상원산에서 내려온 주능선의 군부대 입구.좌측으로 세멘트길따라 내려감.
17 : 27/30. 도로가 좌측으로 120도 꺽임지점.직진은 501m으로 가는 능선임.
길주의.
17 : 39. NO 1 기준점.우측에 변전소가 있고 도로는 우틀하여내려가고 지맥은 직진해 내려간다.
길주의.
17 : 42. 좌측에 묘지와 송전탑이 있으나 우측송전탑쪽으로 건너가면 방목장이 나온다.
17 : 45. 且園 이철우박사 추모비.
17 : 52/54. NO 5 송전탑.뒤로 내려온 능선과 공원묘지,용각산,화악산이 보임.앞 495m 좌측 사면으로 송전탑길이 이어짐.
18 : 01. 495m넘어의 송전탑.
18 : 07.우측으로 꺽임봉.직진길이 우측 지맥길보다 더 좋음. 길주의.
18 : 12. 헬기장.의자들 있음.
18 : 17. 팔조령(30번도로).북쪽은 대구시 남쪽은 청도군 이서면.
고개위엔팔조령 휴게소 있고발밑엔 팔조령 터널이 지남.옛날엔 영남대로였음.


19 : 00.팔조령에서 저녁먹고 출발.정송자님 저녁 자~알 먹었습니다.감사합니다.
19 : 28/35. 화양읍 유등리에 있는 연지에 들려 연꽃을 둘러봄.
20 : 20. 북대구근처 고속도로에서 내려 대구 북부 터미널근처의 모텔에 투숙.

◈ 산행후기.

잉어재(925도로).10:25/30.
좌로부터 강형태 회장님.나.현주환님.홍완섭님.최평칠님.최덕조총무님.정송자님. 이수일님.정한규님은 휴가감.

잉어재(925도로).10:25/30.
경북 청도군 매전면과 경상시 남천면 경계인데 경산쪽 으로 1m 옹벽을 오르면긴 로프가있고

누군가 이렇게 옹벽을 쉽게오를 수 있게 깔판을 대놨다.

잉어재 올라선 첫봉(441m)에선 우측능선으로 길이있고(10:37) 좌측으로 꺽어 내려갔다
한바탕 되비얄을 올라선봉인데 618m봉 같지만 아직 618m봉은 더가야하나 더 이상 급한오름은 없다.10 : 54.
618m봉은 좌측 사면으로 건너간다(11 :00)

640m봉에서 내려온 안부.(11 :04)
640m봉은 우측사면으로 우회길이 있고 안부엔 통나무의자가 몇 개 있고 640m봉에선 동쪽 소붓골산능선으로 길이 있다.

704.8m 암봉모습.
오름길에 로프가 양쪽으로 매여있다.

704.8m 암봉.11 :20/27.
날이 좋으면 전망이 좋아 용각산과 온길인 다 잘보일텐데 오늘은 박무로 흐릿하다.

704.8m 암봉.11 :20/27.

704.8m 암봉에서 본 좌측 매전면 상평리 방향 모습.11 :20/27.

704.8m 암봉에서 내려온 안부.11 :29.
우측으로 도성사(3.0)km 하산길이 있고 선의산 까진 0.7 km 남았다.

선의산(仙義山.756.4m)오름길. 최근에 계단과 전망대 데크를 만들었다.

선의산(仙義山.756.4m).11 :43/50.
좌로부터 홍완섭님. 정송자님. 강형태회장님. 최덕조 총무님. 최평칠님. 나. 이수일님은사진 찍음.

선의산(仙義山.756.4m) 표석. 11 :43/50.

선의산(仙義山.756.4m) 삼각점과 일제 쇠말뚝뽑은 표석. 11 :43/50.
쇠말뚝크기는 길이 150cm지름 1.5cm.

선의산(仙義山.756.4m) . 11 :43/50.

선의산(仙義山.756.4m) 전경. 11 :43/50.
일반산행 온 타 산악회원들.



선의산(仙義山.756.4m)에서 본 704.8m봉(우)과 618m봉(좌). 11 :43/50.

선의산(仙義山.756.4m)에서 계단을 내려가면 바로 좌측으로 돌아가야한다.
직진하는길은 도성사로 가는길이고 이정표도 있으나 그쪽길이 워낙 좋아 자칫 실수할 수 있다.

약 710m봉앞 안부.11 : 59.
선의산을 내려오면서부터 여기까지 10여분은 잡목들이 드세고 길상태도 시원찮으나조금가면 좋아진다.
우측사면으로 길게 건너가는 우회길로 가면 5분이면 건너편 안부에 닿는다.

570m봉근처에서 점심.12 :16/37.
소나무숲이 울창하다.

490m봉 밑 안부.12 :46.
좌측사면으로 우회길이 있다.

505m봉.12 : 54.
좌틀하며 소나무숲이 좋다.

529m봉밑 안부.12 : 59.
작은 그림같은 망가진 이정표가 나무에 기대있고 우측 사면으로 건너간다.
용각산이 30분거리이고 선의산이 1시간 거리라는데 이건 뽑혀있어 원래 어디에 있던건지 알 수 없다.

용각산 삼거리.13 :15.
안부에서 한차례 급 오름을한후 완만하게 길게 올라간 용각산 갈림길이다.
용각산정상은 좌측이고 남성현재는 우측길이다.이정표는 현위치를 선의산갈림길로 돼 있는데 용각산 삼거리라 부르는데 좋겠다.
용각산이 0.2km.곰티재 4.1km.남성현6.3km.선의산 4.2km.잉어재 7.5km.

용각산정상에서 13 :10/20.
용이 뿔이 있나 모르겠다.여의주나 수염은 많이 봤지만 뿔도 있었나?

용각산정상에서 가야할 남성현쪽모습. 13 :10/20.

용각산정상에서 선의산-용각산삼거리쪽모습. 13 :10/20.

용각산정상에서 본지난구간의 대왕산(우)과 잉어재(가운데)모습. 13 :10/20.

용각산정상에서 곰티재방향모습. 13 :10/20.

용각산삼거리에서 정상까진 빼곡한 철쭉터널길로 빨딱올라가야한다. 13 :10/20.

용각산정상의 삼각점(동곡301). 13 :10/20.
잉어재 7.7km. 용암온천 상설투우장 6.2km. 남성현재 6.5km. 곰티재 3.9km. 산불초소 0.4km. 선의산 4.4km

좌측으로 용암온천 상설투우장 갈림길.14 :07.
용암온천 상설투우장 3.7km. 선의산 5.9km.용각산 2.5km. 남성현재 4km 이정표.지맥길은 우측이다.

용각산 삼거리에서 소나무숲길을 밋밋하게 내려가다 급하게 한번 떨어졌다 오른 530m봉 둔덕봉은 빼곡한 소나무숲길이고 (13 :47/51)
좌틀하며 다음둔덕봉을 넘어가면 좌측은 낙엽송밭이고 간벌한 나무등걸들이 걸리적거리며 밋밋하게 올라가면

482.1m봉 못미쳐 중턱에 좌측으로 갈림길이 있다.

482.1m봉.14 :09.

길가운데에 NO 045 삼각점이 있고 정점은 100m 더가야 하고 정점엔 준희님 표찰이 있다.정점을 지나면 바로 내림길이 시작된다.

보리고개.14 :21.
482.1m봉에서 쭈욱 내려가면좌측에서 오는 수렛길을 만나고 수렛길을 따라 8분정도를 더 가야 보리고개다.
좀전보다 더 나은 수렛길이 되어 앞쪽으로 가고있으나 조금가면 점점 시원찮아진다.
좌측이 청도 송금리 숫골. 선의산정상 7.6km.용각산 3.2km. 남성현재 3.3km.
대구-부산을 잇는 중앙고속도로가 발밑을 지나고 있어 차소리가 요란하다.

492m봉.14 : 40/46.
무슨얘기냐구요? 오늘저녁은 정여사님이 내시겠다고 하고 다음구간엔 최평칠선배님이 칠순기념으로 한턱 거하게 쏘신단다.

501.7m봉.14 :52.
봉같지않은 둔덕위의 풀속에 청도 317 삼각점이 뭍혀있고 베어낸 나무둥걸에 준희님 정상표찰이 걸려있다.
정점을 지나면 바로 내림길이 쭈욱 이어지며 영지버섯등 식용버섯들이 많다.

490m봉 안산.14 : 59.
세멘트 헬기장이 가시덤불속에 있고 우측능선으로 길이 있다.
넘어서며 좌틀하여 내려가는길이 참나무숲길이다.

490m봉 안산에서 좌측으로 꺽어 내려가는 참나무숲길.

남성현재 .경산쪽에서 청도쪽으로 본 모습.15 : 16.
길은 마루금으로 바로 내려서지않고 우측 경산쪽으로 내려온다.
발밑으론 경부선 성현굴 철로가 지난다.

남성현재 청도쪽모습.15 :16.
청도휴게소가있고 바로 사진 좌측 아랫쪽에 남성현 쉼터가 하나 더 있다.

남성현재 15 :20/31.
남쪽은 청도군 화양읍,북쪽은 경산시 남천면경계로 25번국도가 지나고
발밑으로는 경부선 철로가 지난다.

남성현재 15 :20/31.
가던길을 멈추고 시원한 음료한잔.


남성현재 15 :20/31.
들머리는 쉼터뒤편에 등산로 이정표가 있다.

남성현재 15 :20/31.
청도군의 상징인 소싸움 조형물.

남성현재 15 :20/31.
들머리의 이런 임도길은 바로위에서 낙엽송밭으로 직진해가고 마루금은 우측인데 바로앞의 안부에서 다시 만난다.

324m 묵은 헬기장에서 본 가야할 지맥모습.15 : 37.

472.4m봉.15 :55.
묵은 임도길은 오름길 중간에 없어지고
등산로 안내판이 가르키는 우측봉이 472.4m봉이고 ,좌측 능선으로도 길이 있다.

484m봉의 헬기장.15 :57/8.
지리원 지도는 484m로 준희님 표찰은 485.5m로 된 헬기장이다.
베어낸 나무들로 길을막아 놓아 치우고 내려갔다.

송전탑.16 :07.
484m봉 내림길은 널부러닌 간벌목과 산초나무 가시들이 훈장을 달아주고
송전탑이 있는 안부를 지나면 바로 넓은 임도길이 우측에서 올라와서 마루금따라 공원묘지끝까지 가는데
오르내림없이 산책로같은 숲길이라 좋다.

지리원 세밀도는 484m부터 임도길이 있는것으로 돼있으나 송전탑에 와야 임도가 나온다.

송전탑에서 좌측으로 본 가야할 상원산.16 :07.

송전탑에서 우측으로 본 지나온 선의산.16 :07.

송전탑부터는 우측에서 올라온 이런 임도길이 마루금따라 공원묘지끝까지 이어진다.16 :07.

공원묘지로 내려가는 임도길.

공원묘지로 들어서며 본 경산공원묘지전경.16 :27.
사진 우측끝이 638m봉이고 마루금은 공원묘지 좌측 끝봉에서 좌측으로 이어져야하나 표시한 점선으로 우회길이 있다.
사진 좌측의 송전탑봉이 삼군경계봉이고 그 좌측에 상원산이 있다.

공원묘지에서 휴식.16 :29/37.

공원묘지와 작별하며 뒤 돌아 본 용각산(좌측맨뒤), 484m헬기장(우측), 489m(맨앞산)과 공원묘지.16 :46.

공원묘지와작별하고 앞의 세멘트길을 4분쯤 따라가서 세멘트길이 우측으로 꺽어 올라가는지점에서 직진하는숲길로 들어간다.16 :46.

638m봉에서 내려온 주능선복귀.16 :57.
건너가는길이 생각보다 좋게 잘나있고 오르내림도 없는게 시간도 불과 7분정도밖에 안걸린다.
마르금따라 올라갔다 내려올려면 아마도 시간꽤나 걸리고 기운좀 쏟아야 할 급경사다.

대구,청도,경산 삼군경계봉바로 밑에있는 송전탑에서 좌측으로 본 大谷池와 멀리 남산과 화악산모습이다.17 :04.
가야할 상원산쪽으로 송전탑이 연이어 3개가 보이고 송전탑길이 삼궁경계봉 좌측 사면으로 이어진다.

대구,청도,경산 삼군경계봉바로 밑에있는 송전탑에서 뒤 돌아 본 선의산(좌),용각산(우).17 :04.
맨앞 좌측의 긴 오름능선이 638m쪽으로 오르는 마루금 능선이다.

상원산(673.4m)앞.17 :16.
우측에서 올라온 넓은 임도길을 만나고 앞 상원산정상은 군부대가 있어 바로 좌측밑 사면으로 난 임도를 따라간다.

상원산(673.4m)앞 사면길에서 좌측으로 본 지나온 선의산-용각산-경산공원묘지.17 :19.


상원산(673.4m)에서 내려온 주능선 복귀.17 :22.
우측길이 건너온 사면길이고 좌측길이 상원산정상에서 내려오는 군부대길이다.거리가 짧아 5,6분 걸린다.
앞서가던 최선배님과 최총무 홍완섭가 상원상정상으로 진입해 왔는데 이중철조망에 옹벽이 있어 진입이 불가하단다.

상원산(673.4m) 군부대 진입도로 입구에서 5분쯤 내려온 지점으로 도로가 120도로 좌측으로 꺽어 내려가는데
직진능선으로 능선이 뚜렷하고 표지기까지 걸려있어 알바하기 딱 좋은 지점이다.
도로따라 좌측으로 120도 꺽어 뚝 떨어져 내려가야한다.원 마루금은 도로 좌측으로 조금전에 틀어졌다.
직진하는 501봉쪽 능선에 있는 표지기도 제거하고 상원산 정상으로 간 선두를 기다리며 잠시휴식.17 :27/30.

120도로 꺽인 지점에서 2,3분 내려오면 좌측으로 NO3번 송전탑이 있고 뒤로 경산공원묘지와 상원산정상부가 건너다 보인다.
여기서 도로는 원 지맥길과 합류하며 세멘트도로가 워낙 급경사라서 계곡으로 떨어지는느낌이다.이수일씨가 뒤로 걸어 내려가고있다.17 :32.

NO1 기준점.17 : 39.
세멘트도로가 살짝 우틀하여 내려가며 우측 나무숲 밑으로 변전소인듯 여러개의 송전탑 시설물이 있고
보이는 방지턱뒤 일행들이 지나는곳에 NO1 기준점을 보고 앞 능선으로 들어가야한다.도로와는 여기서 작별이다.

방목장초입의 송전탑. 17 :42.
NO1 기준점에서 3분쯤 내려오면 능선이 양쪽으로 갈라지며 좌측에 묘지가 있고 양쪽으로 송전탑이 있다.
우측 송전탑쪽으로 들어서면 방목장인듯 방목한 돼지들이 어슬렁거린다.

방목한 돼지와 염소들.

방목장을 들어서 2,3분 내려오면 자연과 예술을 사랑한 醫人 이철우박사 추모비가 있다.17 :45.


495m봉 앞의 NO5번 송전탑.17 : 52/54.
방목장을 지나 오른 앞 둔덕을 넘어서면 있는 NO5번 송전탑에서 뒤 돌아 본 상원산쪽과 공원묘지 상단부.

495m봉 앞의 NO5번 송전탑에서 본 가야할 495봉과 우측으로 꺽임봉.17 : 52/54.
앞 495m봉은 좌측 사면으로 우회길이 있고 건너편 송전탑을 지나 저 끝봉에서 우측으로 내려서면 팔조령이다.
좌측으로 용각산과 남산,화악산이 조망된다.


우측으로 꺽임봉에서(18 :07) 4분쯤 내려온 헬기장 바로위에서 좌측으로 본 남산과 화악산.18 :11.
앞들판이 청도군 화양읍(좌뒤) 이서면(앞) 풍각면(우)이고 가운데 맨뒤가 화악산으로 비슬지맥의 산이다.

팔조령 고개마루.18 : 17.
좌측 계단위에 휴게소 식당이 있고 발밑으론 30번 국지도의 팔조령 터널이 지나고 있다.

팔조령 고개마루의 식당.18 :17.
산에서 내려오는 사람들이 씻을수 있는 수도꼭지가 둘 있다.

팔조령 고개마루에서 지나온 상원산을 뒤 돌아 보며 저녁식사.
오늘은 정송자 여사님이 저녁을 사셨다. 정여사님!! 저녁 자~알 먹엇습니다.고맙습니다.
지대가 높아서인지 날씨가 이상한지 덧옷을 꺼내 입엇으면 할 정도로 써늘하다.

연지에서 본 상원산능선.19 : 28/35.
해는 꼴까닥 넘어갔지만 청도 IC로 나오기전에 들려본 화양읍 유등리의 연지.
연지못가엔 군자정(君子亭)과 일감문(一鑑門)이 있다.

오늘만난 광대버섯,계란버섯,밀버섯,영지버섯,청기와버섯들.

사진 우측 아래의 슬라이드 쑈를 눌러 크게하여

좌측의 ▶ 버튼을 눌러 슬라이드 쇼로 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