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산지맥 3구간[남포리(23번국도)-바드재-관음봉(433m)-대소고개].
변산지맥 3구간[남포리(23번국도)-바드재-관음봉(433m)-대소고개]. 13 : 23. 옥녀봉을 내려와 굴바위갈림 암릉위에서 뒤 돌아 본 바드재(좌)와 노승봉(우),상여봉(우측 맨 뒷봉) 13 : 49/51. 용각봉 북쪽 암릉 갈림길에서 본 가야할 지맥모습. 15 : 06. 조망좋은 암릉에서 뒤 돌아 본 지맥모습. 16 : 22/26. 관음봉(433m)정상 넘어쪽에서 본 지맥모습. 16 : 48/53. 관음봉삼거리 건너편 너럭바위에서 본 선녀탕,쌍선봉쪽모습. ◈ 산행코소와 거리 및 소요시간. 도상거리 14 km+1km.7시간 50분. 남포리 23번국도의 영성제-270m-사창재-상여봉(398m)-노승봉(352m)-바드재(2차선포장도로)-옥녀봉(432.7m)-
◈ 일시 : 2010. 6. 6(일). ◈ 날씨 : 한여름 날씨로 30도를 웃돌아 엄청더움. ◈ 인원 : 요맥회12명(강형태회장님.심용보님.최평칠님.김형식님.정영옥님. 김권봉님.최덕조님 정한규님.현주환님. ◈ 지도 :영진 5만지도 P422 부안 고창 .421 부안. 1/50000 부안. 1/25000.줄포.마포.석포.월간산 변산반도부록지도. 변산지맥 3구간[남포리(23번국도)-바드재-관음봉(433m)-대소고개].지도.
우측봉이 356m봉,가운데 허연바위가 있는봉이 성터가 있는봉이고 C자로 돌아서 올라간 봉이 283m봉이다.
가운데뒤로 뾰족봉이 관음봉이고 그 우측으로 높은 산들이 연이어 있는 관음봉앞봉이 세봉삼거리다.
좌측 뒷봉이 옥녀봉,우측 뒷봉은 용각봉이고 두봉사이의 가운데 제일높은봉은 356m봉이다.
우측 가운데 하얀 바위가 있는 뾰족봉이 성터있는 봉이고 맨 우측 둥근봉이 강씨묘가 있는 283m봉이다.
15 : 55/16 :00. 세봉(402m)정상에서 본 부안호와 내변산의 산군들.
좌측 맨 앞봉밑이 관음봉 삼거리이고 우측 허연 암릉에서 좌측으로 내려간 맨 밑 안부가 재백이고개이고
사진 가운데 통신탑이 있는봉이 277m봉이고 그우측마을이 대소마을이다.
사진 맨 우측 제일 높은봉이 신선봉이다.
용각봉(366m)-283m-세봉삼거리(390m)-세봉(403m)-관음봉(433m)-재백이고개(180m)-277m-대소고개-석포2리.
정송자님.김복희님. 나.)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 일정정리.
08 : 00. 천안에서 합류.
10 : 00/02.서해안고속도로 줄포 IC를나와 23번국도의 남포제앞 영성재(永誠齋)에서 산행시작.
10 : 11. 109.5m를 좌측사면길로 건너감.
10 : 30. 228m.
10 :34/37. 270m봉.폐막사와 안테나(?).좌측으로 내려감.
10 :44. 임도.만석동- 개암사를 잇는임도.
10 : 57. 333m.국립공원표석.좌로 꺽어가며 우측으로 학치,우금산능선분기.
11 :07/9. 조망바위.주변조망이 시원하게 펼쳐보임.
11 :14. 사창재.좌우로 넘는 고갯길.<월간산지도는 사창재 위치를 북쪽에 적고있다>
11 : 29/35. 상여봉(398m).국과연의 삼각점있고 북쪽엔 묘지가 있다.
11 : 42. 노승봉(352m).선산(先山)김씨묘있고 우측으로 꺽어간다.<좌직진길 조심>.
12 :05. 297m.세멘기둥. 좌로 꺽어 내려감.
12 :15/36. 바드재(2차선포장도로).절개지를 우측으로 내려감.안내판.점심.
12 : 56. 조망바위.갈길 과온길이 다 보임.
13 :03. 헬기장건너 옥녀봉 삼거리.
13 :05. 옥녀봉(432.7m)정상.산불경보시스템과 삼각점(부안 431).의상봉과 신선봉조망.
13 :08/10. 다시 옥녀봉 삼거리.
13 :23. 굴바위 갈림봉.조망좋음.주능선 암릉위로 올라야함.마루금 좌측길은 굴바위쪽으로 내려감.<주의>
13 : 28/36. 용각봉 삼거리안부.좌측은 우동제,우측은 가마소로 가는 계곡길임.직진해오름.<11시방향길주의>
13 : 49/51. 용각봉 북쪽암릉 갈림길.조망좋아 온길 갈길이 다보임.용각봉정상은 남쪽 암릉위임.
13 :54. 용각봉(366m).석포저수지와 세봉쪽조망.
13 : 59. 다시 용각봉갈림길.
14 : 06. 356m밑 갈림길. 좌측 사면길로 내려감.<주의.직등해 오르면 356m임>.
14 : 14. 뚝 떨어져 내려온 안부. 좌측은 석포저수지,우측은 가마소로가는 하신길 있음.
14 : 22/36. 성터같은 돌담이 있는봉.좌로 삥 돌아 오를 세봉이 보임.휴식.
14 : 47.남서에서 북서로 방향이 바뀌며 남쪽 석포저수지쪽에서 올라온 빤빤한길을 만남.
14 : 51. 283m봉. 강동수묘가 있고 좌로 꺽어감.
14 :58. 좌측 절벽 건너로 구룡댐이 보이고 관음봉쪽이 조망됨.
15 :12/25. 조망좋은 암릉 윗봉에서 휴식.
15 :39. 내소사 주차장에서 올라온 능선을 만남.
15 :42. 세봉삼거리(390m).이정표(가마소삼거리 1.9km,관음봉삼거리 1.7km).좌측으로감.
15 : 55/16 :00. 세봉(402m).이정표있고 조망좋아 의상봉,내소사,관음봉,신선봉등이 보임.
16 : 19. 관음봉앞 암봉.철사다리와 목책있음.
16 :22/26. 관음봉(433m).평상과 이정표(내소사 1.9km,원암 2.6km,직소폭포 2.9km.)맥은 직진이나 암벽이 있어 우측길로 돌아감.
16 : 42. 관음봉 삼거리.암벽을 돌아 올라간 다음봉 넘어.좌측은 내소사길이고우측 직소폭포길로 내려감.이정표있음.
16 :48/53. 건너편봉 너럭바위에서 휴식.관음봉과 의상봉,선녀탕쪽이 잘보임.
17 : 08. 재백이재(180m).이정표(원암통제소 1.2km,직소폭포 1.5km).우측 직소폭포쪽으로 내려서자마자 좌측 능선으로 붙음.
17 : 18. 한턱 올라선 조망좋은 암릉.
17 :30. 277m봉. 통신탑이 있고 직진해 넘어감.<좌측 능선길 조심>.
17 : 39/41. 대소고개.유인 남평문씨묘 있고 석포2리-대소를 잇는 수렛길 있음.좌측으로 내려감.
17 :52. 석포2리 마을긑.국립공원 안내판.
18 : 00~18 : 57. 곰소의 새로 개업한 식당에서 저녁먹고 출발.
20 :55. 곰소출발 2시간만에 천안도착.
◈ 산행후기.
변산지맥 두 번째 길이다.하는일이 없어도 그럭저럭 하다보니 아직 지난번 식장지맥 2구간 산행기도 정리를 못한터라
이번구간은 지도도 못 만들고 자료도 찾아보지 못한채 월간산에서 나온변산반도 지도 한 장들고 길을 나섰다.
2구간을 갈 순서지만 2구간은 도로가 대부분이라 도로는 차로가고 군데군데 산길만 걸어갈참이라
순서를 바꿔 3,4구간을 먼저할참인데 오늘은 바드재부터 대소고개로 계획을 세웠던 것을 좀더 늘려 23번국도부터 시작을 했다.
◇ 23번국도 남포리-상여봉-바드재. 2시간.
10 : 00/02.서해안고속도로 줄포 IC를나와 23번국도의 남포제앞 江陵劉氏 崇祖堂인 영성재(永誠齋)에서 산행시작.
10 : 11. 109.5m를 좌측사면길로 건너감.
10 : 30. 228m.
10 :34/37. 270m봉.폐막사와 안테나(?).좌측으로 내려감.
10 :44. 임도.만석동- 개암사를 잇는임도.
10 : 57. 333m.국립공원표석.좌로 꺽어가며 우측으로 학치,우금산능선분기.
11 :07/9. 조망바위.주변조망이 시원하게 펼쳐보임.
11 :14. 사창재.좌우로 넘는 고갯길.<월간산지도는 사창재 위치를 북쪽에 적고있다>
11 : 29/35. 상여봉(398m).국과연의 삼각점있고 북쪽엔 묘지가 있다.
11 : 42. 노승봉(352m).선산(先山)김씨묘있고 우측으로 꺽어간다.<좌직진길 조심>.
12 :05. 297m.세멘기둥. 좌로 꺽어 내려감.
12 :15/36. 바드재(2차선포장도로).절개지를 우측으로 내려감.안내판.점심.
부안군 보안면 남포리의 23번도로 현우주유소와 남포가든앞에서 하차하여 길건너 江陵劉氏 崇祖堂인 영성재(永誠齋)로 들어섰다.
규모가 상당히 크다. 숭조당건물뒤가 맥일듯싶으나 정확한 맥이 어딘가는 2구간을 하지 않아 알 수 없어
다음 2구간을 할 때 알아보기로하고 본당은 들리지 않고 본당우측에 있는 기적비각뒤로 이어지는 큰길을 따라 들어섰다.
기적비각은 강릉유씨가 부안땅에 입향한 내력은 적은 비인듯싶다.
엊그제 식장지맥 2구간 수리넘어고개에도 행정공(杏亭公) 해주오씨 오유종(吳有終)을 모신 묘소와 재실인 행모재(杏慕齋)가 있었는데
어느지도는 제로 쓰고 어느지도는 재로 써서 제가 맞는건지 재가 맞는건지 둘다 맞는건지?
결론은 재(齋)가 맞다.
齊 는 곡물(穀物)의 이삭이 가지런히 돋은 모양을 본떠서 만든글자로 가지런할 제, 재계할 재, 옷자락 자, 자를 전으로 읽는데
가지런할 제는 ㉠가지런하다 ㉡단정하다(端整--) ㉢질서정연하다.
재계할 재는ⓐ재계하다(齋戒--) (재) ⓑ공손하다(恭遜--) (재) ⓒ엄숙하다(嚴肅--) (재).
齋 는 재계할 재/집 재, 상복 자 로 읽는데
뜻을 나타내는 동시(同時)에 음(音)을 나타내는 가지런할제(齊)部와 神(신)을 모시는 일을 뜻하는 示(시)가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재계할 재는 ㉠재계하다(齋戒--: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다) ㉡정진하다 ㉢공경하다(恭敬--).
齊(제)는 몸을 정하게 하다의 뜻(淸청)을 나타내며, 신에게 제사지낼 때 몸을 정하게 하는 뜻이다.
남포제쪽에서 올라온 수렛길을 따라 좌측으로 올라가면 강릉유씨와 밀양박씨묘를 지나 109.5m봉은 넓은길따라 좌측으로 건너간다.
109.5m봉 우측능선은 유정재를 건너서한줄기는 매복재산,주산으로 가고 한줄기는 장지산으로 가는 산줄기다.
울창한 소나무숲이 좋다.수렛길은 109.5m봉 넘어 안부에서 우측으로 내려가고 128m둔덕을 넘어 쭈욱 내려가서
228m 잔솔밭 오름길에 땀에 젖은 티셔츠를 벗어 배낭에넣고 물 한 모금 축인다.
폐막사인듯한 블록집에 녹슨 안테나 서있는 270m봉에서 잠시쉬어 목들을 축이고 좌측으로 꺽어 내려간다.
270m봉다음봉을 좌측으로 길게 건너가면 좌측 만석동에서 우측 개암사를 잇는 수렛길임도가 있는데
월간산지도는 이곳을 사창재라 적고 있는데 지리원지도나 영진지도는 333m봉 넘어를 사창재라 적고 있다.
임도를 건너 앞 둔덕봉엔 납작묘가 있고 한턱 올라선 333m봉엔 국립공원 세멘말뚝이 있고
우측 학치와 우금산으로 이어지는 능선길건너로 상예봉과 의상봉을 건너다 보고 좌측으로 꺽어간다.
조망좋은 암봉위에서 상여봉과 노승봉,의상봉,지나온 남포리부터 270m으로 이어지는 지맥을 돌아보고
내려선 안부가 사창재인데 우측은 길이 좀넓은 수렛길이고 좌측은 소로길이다.
작은 둔덕을 넘어 오름길로 들면 산죽밭의 연속이고 비지땀을 흘리고 된비얄을 올라가면 정점 바로전에 좌측으로
비석있는 묘지가 있고 묘지앞으로 남포리 영성재에서 270m으로 올라온 능선이 내려다 보인다.
몇발짝 더 올라가면 상여봉(398m)정상인데 국과연이라쓴 삼각점이 있다.막걸리 한잔 돌리며 잠시 쉰다.
상여봉서 쭈~욱 내려와 살짝 올라서면 노승봉(352m)인데 善山이 아닌 先山김연섭의 묘지가 있고
여기서 직좌가 아닌 우측으로 내려가야 하는데 자칫하면 잘못간다.한명이 잘못 내려가서 불러 올렸다.
노승봉부터 바드재까지는 길이 나쁘다.초장엔 산죽밭이 나중엔 철쭉숲인데 허리 한 번 제대로 못펴고 요리저리 빠져나간다.
작은 둔덕을 우측 사면으로 건너가고 297m봉엔 세멘기둥이 있고 여기서 좌로꺽어 옥녀봉을 건너다보며 내려와
바드재 절개지위 묘지에선 우로 꺽어 절개지를우측으로 크게 돌아 내려온다.
10 : 00/02. 23번국도의 남포제앞 江陵劉氏 崇祖堂인 영성재(永誠齋)앞에서
좌로부터 요맥 강형태회장님.최평칠님.정한규님.심용보님.현주환님.김권봉님.김복희님.김형식님.최덕조님.정영옥님.심송자님.나.
江陵劉氏 崇祖堂인 영성재(永誠齋).
齊 는 곡물(穀物)의 이삭이 가지런히 돋은 모양을 본떠서 만든글자로 가지런할 제, 재계할 재, 옷자락 자, 자를 전으로 읽는데
가지런할 제는 ㉠가지런하다 ㉡단정하다(端整--) ㉢질서정연하다.
재계할 재는ⓐ재계하다(齋戒--) (재) ⓑ공손하다(恭遜--) (재) ⓒ엄숙하다(嚴肅--) (재).
齋 는 재계할 재/집 재, 상복 자 로 읽는데
뜻을 나타내는 동시(同時)에 음(音)을 나타내는 가지런할제(齊)部와 神(신)을 모시는 일을 뜻하는 示(시)가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재계할 재는 ㉠재계하다(齋戒--: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다) ㉡정진하다 ㉢공경하다(恭敬--).
齊(제)는 몸을 정하게 하다의 뜻(淸청)을 나타내며, 신에게 제사지낼 때 몸을 정하게 하는 뜻이다.
10 : 00/02. 23번국도의 남포리 남포제앞의 남포가든과 현우주유소.
본당 우측에 있는 기적비각뒤로 이어지는 큰길을 따라 들어섰다.
기적비각은 강릉유씨가 부안땅에 입향한 내력을 적은 비인듯싶다.
남포가든과 현우주유소뒤의 남포제 뒷산은 장지산(134m)이고 좌측뒷산은 매복재산(149.4m)이다.
10 : 11. 109.5m를 좌측사면길로 건너간다.
10 : 34/37. 270m봉.
폐막사와 안테나(?)있고 좌측으로 내려간다.
10 : 34/37. 270m봉.
폐막사와 안테나(?)
10 : 57. 333m.국립공원표석있고 좌로 꺽어가며 우측으로 학치,우금산으로 가는 능선이 분기한다.
심용보님(좌)과 강형태님(우).
심용보님은 지난달에 5000산 기록을 세우셨다.
10 : 57. 333m에서 우측으로 본 의상봉(우측뒤 통신탑있는봉)과 내변산모습.
11 : 04. 333m에서 내려서며 본 상여봉(398m.우)과 노승봉(352m.좌)
중앙에 전망대 바위가 보인다.
11 : 07/9. 조망바위에서 뒤 돌아 본 폐막사가 있는 270m봉(좌)과 228m봉9우)
11 : 07/9. 조망바위에서 뒤 돌아 본 영성재에서 270m봉오름능선.
가운데 사선능선 우측끝봉이 109.5m봉이고 그 우측 아래마을이 사창마을이다.
11 : 11. 뒤 돌아 본 조망바위.
11 : 29/35. 상여봉(398m).
국과연의 삼각점있고 북쪽엔 묘지가 있다.
최덕조님.강형태님.최평칠님.
11 : 42. 노승봉(352m).
선산(先山)김씨묘가 있고 우측으로 꺽어간다.<좌직진길 조심>.
11 : 42. 노승봉(352m).
선산(先山)김씨묘가 있고 우측으로 꺽어간다.<좌직진길 조심>.
12 : 15/36. 바드재(2차선포장도로)에서 본 옥녀봉.
12 : 15/36. 뒤 돌아 본 바드재(2차선포장도로) 절개지를 우측(사진 좌측)으로 내려왔다.
12 : 15/36. 바드재(2차선포장도로) .옥녀봉입구에서 점심.
◇ 바드재-옥녀봉-용각봉-세봉삼거리. 2시간 27분.
12 : 15/36. 바드재(2차선포장도로).절개지를 우측으로 내려감.안내판.점심.
12 : 56. 조망바위.갈길과 온길이 다 보임.
13 : 03. 헬기장건너 옥녀봉 삼거리.
13 : 05. 옥녀봉(432.7m)정상.산불경보시스템과 삼각점(부안 431).의상봉과 신선봉조망.
13 : 08/10. 다시 옥녀봉 삼거리.
13 : 23. 굴바위 갈림봉.조망좋음.주능선 암릉위로 올라야함.마루금 좌측길은 굴바위쪽으로 내려감.<주의>
13 : 28/36. 용각봉 삼거리안부.좌측은 우동제,우측은 가마소로 가는 계곡길임.직진해오름.<11시방향길주의>
13 : 49/51. 용각봉 북쪽암릉 갈림길.조망좋아 온길 갈길이 다보임.용각봉정상은 남쪽 암릉위임.
13 : 54. 용각봉(366m).석포저수지와 세봉쪽조망.
13 : 59. 다시 용각봉갈림길.
14 : 06. 356m밑 갈림길. 좌측 사면길로 내려감.<주의.직등해 오르면 356m임>.
14 : 14. 뚝 떨어져 내려온 안부. 좌측은 석포저수지,우측은 가마소로가는 하신길 있음.
14 : 22/36. 성터같은 돌담이 있는봉.좌로 삥 돌아 오를 세봉이 보임.휴식.
14 : 47.남서에서 북서로 방향이 바뀌며 남쪽 석포저수지쪽에서 올라온 빤빤한길을 만남.
14 : 51. 283m봉. 강동수묘가 있고 좌로 꺽어감.
14 : 58. 좌측 절벽 건너로 구룡댐이 보이고 관음봉쪽이 조망됨.
15 :12/25. 조망좋은 암릉 윗봉에서 휴식.
15 : 39. 내소사 주차장에서 올라온 능선을 만남.
15 : 42. 세봉삼거리(390m).이정표(가마소삼거리 1.9km,관음봉삼거리 1.7km). 좌측으로 감.
바드재에서 점심을 먹는데 한무리의 산객들이 옥녀봉에서 내려와 좌측 우동제쪽 샛길로 내려간다.
옥녀봉까진 0.8km에 40분이 소요된다는 안내판뒤로 급경사가 시작된다.
옥녀봉이 432.7m이고 바드재가 180m이니 표고 250m을 단번에 올려야한다.
10여분 올려채면 뒤로 상여봉과 바드재가 내려다 보이는 조망바위가 있고 다시 10여분을 더올라가면 다시 조망좋은 바위에서
뒤로는 상여봉과 노승봉,가야할 용각봉 능선을 짚어보고 안전로프가 쳐진 너럭바위를 지나면 작은 묘가있는 묵은 헬기장이 있고
5,6m 나가면 옥녀봉 삼거리인데 옥녀봉 432m 이정표가 있다(바드재 0.8km,용각봉 삼거리 1.1km).
여기서 맥은 좌측으로 내려가고 옥녀봉 정상은 우측으로 2분쯤 평지길을 가면 산불감시시설과 삼각점이 있는 옥녀봉정상이다.
정상 앞쪽으로 좀 나가면 의상봉과 세봉,관음봉,신선봉이 건너다 보인다.
다시 삼거리로 돌아와 숲길좋은 내림길로 내려와 첫 번째 암릉구간은 좌측으로 우회하고
길은 계속 능선 좌측으로 내려가는데 좋은길이 능선과 좀 멀어진다 싶을때 우측 암릉 마루금에 붙는다.
좋은길은 용각봉쪽으로 안가고 좌측 굴바위쪽 능선으로 내려간다.
조망이 좋은 능선갈림봉에서 옥녀봉과 상여봉,용각봉,회양골을 휘돌아보고 내려간 용각봉아래 안부가 용각봉 삼거리다.
좌측은 우동제 우측은 가마소로가는 사거리안부에서 커피와 과일을 먹으며 잠시 쉬어간다.
해발 250m되고 가마소삼거리 3.4km,옥녀봉 1.1km, 굴바위가 1.1km란다.
용각봉 오름길 초입은 산죽밭에 길도 흐릿해서 좌측 11시방향으로 있는길이 우횟길인가 했더니
우횟길이 아니고 좌측으로 내려간다.직등해 산죽밭길로 급경사를 올라가서
용각봉정상밑에서 바로 올라가는능선엔 바위가 있어길은 우측 지능선으로 건너간다.
우측능선에 오면 조망이 좋아 멀리가야할 세봉과 관음봉쪽이 보이고
우측으론 방금 지나온 옥녀봉과 상여봉쪽이 건너다 보인다.좌측암릉위가 용각봉인데 암릉이 꼭 용의 비늘같이 보인다.
용각봉을 다녀오기위해 좌측 암릉을 넘어 3분쯤 올라가면 용각봉정상이고 조망은 조금전에 본것과 비슷해서
석포저수지뒤로 곰소만을 건너다보고 바로 갈림길로 되돌아왔다.
안부를 지나 설짝 올라서며 너럭바위를 지나 356m봉오름길에 바로 좌측으로 내려서고
뚝떨어져 내려온 안부엔 좌우로 넘는 소로길이 있는데 양쪽다 깊은 계곡이다.
된비얄을 8분쯤 올라가면 성터였는지 돌들이 둘러쳐져있고 바로앞엔 큰 전망바위가 있다.
더위에 찬 물만 계속들이키니 머리가 어질어질한지 잠시 쉬며 언제 어디서 사라졋는지 없어진 대원을 찾는다.
내림길로들어 C자로 삥 돌아가며 용각봉과 매봉을 보고 석포저수지쪽에서 올라온길을 만나면 길은 좀 나아지고
283m봉엔 진주 강동수의묘가 있고 좌측으로 꺽어 7분쯤 가면 좌측이 절벽이라 조망이 좋은 암릉에서보는
좌측 석포저수지인 구룡땜이 예쁘게 내려다 보인다. 뒤로 경수산과 소요산이 흐릿하게 보인다.
조망좋은 암릉위에서 잠시쉬어 본격적인 세봉 오름길로 들어 10여분을 된비얄을 올라가면
길은 직등하지않고 좌측 내소사 주차장에서 올라온 능선으로 건너간다.건너가면 길은 주등산로라서 넓어진다.
우측으로 3,4분 더 올라가면 세봉삼거리로 이정표(390m.가마소삼거리 1.9km.관음봉 삼거리 1.7km내소사 3km)가 있다.
.
12 : 45.옥녀봉(432.7m) 오름길에 뒤 돌아 본 바드재와 상여봉.
12 : 45.옥녀봉(432.7m) 오름길에 좌측으로 본 우동제.
12 : 56. 조망바위에서 뒤 돌아 본 상여봉(가운데)과 노승봉(우측 낮은 둔덕봉).
12 : 56. 조망바위에서 봉 용각봉(우)과 매봉(좌측뒤 뾰족봉).
한가운데 허연바위봉이 굴바위 갈림봉이고 좌측아래의 바위가 굴바위인 모양이다.
용각봉아래 안부가 용각봉 삼거리다.
13 : 00.헬기장 못미쳐 너럭바위에서 좌측으로 본 용각봉 가는능선과 용각봉(중)
용각봉암릉이 보이고 맨우측봉(356m)앞에서 앞조쪽 넘어로 내려간다.
13 : 03. 옥녀봉 삼거리와 헬기장.
맥은 좌측으로 내려가고 정상은 앞쪽으로2분쯤 가면 나온다.
13 : 05. 옥녀봉(432.7m)정상.
산불경보시스템과 삼각점(부안 431)있고 의상봉과 신선봉이 조망된다.
13 : 05. 옥녀봉(432.7m)정상에서 건나다본 의상봉(508.6m.좌)
13 : 05. 옥녀봉(432.7m)정상에서 건너다본 관음봉(좌측 뾰족봉)과 신선봉(관음봉 우측뒤).
13 : 23. 굴바위 갈림 암릉위에서 뒤 돌아 본 옥녀봉.
13 : 23. 굴바위 갈림 암릉위에서 뒤 돌아 본 바드재(좌)와 노승봉(우),상여봉(우측 맨 뒷봉)
13 : 23. 굴바위 갈림 암릉위에서 본 가야할 용각봉.
우측 소나무뒤 안부가 용각봉 삼거리이고 빤빤하게 능선 좌측밑으로 나 있는길은 좌측 굴바위쪽으로 내려간다.
13 : 28/36. 용각봉 삼거리안부.
좌측은 우동제,우측은 가마소로 가는 계곡길임.직진해 오른다.<11시방향길주의>.
해발 250m되고 가마소삼거리 3.4km,옥녀봉 1.1km, 굴바위가 1.1km란다.
13 : 49/51. 용각봉 북쪽암릉 갈림길에서 본 용각봉(366m).
용각봉정상은 정상밑에서 바로 올라가는능선에 바위가 있어 우측 지능선으로 건너가서 좌측위로 오른다
13 : 49/51. 용각봉 북쪽 암릉 갈림길에서 본 가야할 지맥모습.
우측봉이 356m봉,가운데 허연바위가 있는봉이 성터가 있는봉이고 C자로 돌아서 올라간 봉이 283m봉이다.
가운데 뒤로 뾰족봉이 관음봉이고 그 우측으로 높은 산들이 연이어 있는 관음봉앞봉이 세봉삼거리다.
13 : 49/51. 용각봉 북쪽 암릉 갈림길에서 본 옥녀봉.
우측으로 올라와서 <같이 우측으로 내려왔다.
13 : 49/51. 용각봉 북쪽 암릉 갈림길에서 본 상여봉(가운데),노승봉.
13 : 49/51. 용각봉 북쪽 암릉 갈림길에서 본 우측 회양골과 의상봉(우측 통신탑봉).
13 : 54. 용각봉(366m)정상모습.
13 : 54. 용각봉(366m)에서 석포저수지.
13 : 54. 용각봉(366m)북쪽암릉.
14 : 09. 356m갈림길서 내려오다 본 가야할 성터봉(앞 뾰족봉)과 세봉삼거리봉(우측 뒤 멀리 뾰족한 관음봉앞봉).
성터봉 오름길에 뒤 돌아 본 용각봉(우)과 356m봉(좌)
왼쪽 소나무뒤 능선으로 내려왔다.
14 : 22/36. 성터같은 돌담이 있는봉의 전망바위위의 최덕조님.
14 : 22/36. 성터같은 돌담이 있는봉에서 휴식.
심송자님.최평칠님.심회장님,현사장님과 통화중인 강형태회장님.정영옥님.
14 : 51. 283m봉. 강동수묘가 있고 좌로 꺽어진다.
14 : 58. 좌측 절벽 건너로 구룡댐이 그림같이 아름답다.
저뒤로 희미한산은 올봄에에 종주를 마친 경수지맥의 끝인 경수산과 소요산인데 너무 흐리다.
14 : 58. 좌측이 절벽인 조망처에서 본 세봉삼거리봉(제일 높은봉).
15 : 06. 조망좋은 암릉에서 뒤 돌아 본 지맥모습.
좌측뒷봉이 옥녀봉,우측 뒷봉은 용각봉이고 두봉사이의 가운데 제일높은봉은 356m봉이다.
우측 가운데 하얀 바위가 있는 뾰족봉이 성터있는 봉이고 맨 우측 둥근봉이 강씨묘가 있는 283m봉이다.
15 : 06. 조망좋은 암릉에서 우측으로 본 가마소 삼거리쪽과 의상봉.
15 : 42. 세봉삼거리(390m).
이정표(가마소삼거리 1.9km,관음봉삼거리 1.7km). 좌측 내소사쪽으로 간다.
◇ 세봉삼거리-관음봉-대소고개-석포2리. 2시간.
15 : 42. 세봉삼거리(390m).이정표(가마소삼거리 1.9km,관음봉삼거리 1.7km). 좌측으로감.
15 : 55/16 :00. 세봉(402m).이정표있고 조망좋아 의상봉,내소사,관음봉,신선봉등이 보임.
16 : 19. 관음봉앞 암봉.철사다리와 목책있음.
16 : 22/26. 관음봉(433m).평상과 이정표(내소사 1.9km,원암 2.6km,직소폭포 2.9km.)맥은 직진이나 암벽이 있어 우측길로 돌아감.
16 : 42. 관음봉 삼거리.암벽을 돌아 올라간 다음봉 넘어.좌측은 내소사길이고 우측 직소폭포길로 내려감.이정표있음.
16 : 48/53. 건너편봉 너럭바위에서 휴식.관음봉과 의상봉,선녀탕쪽이 잘보임.
17 : 08. 재백이재(180m).이정표(원암통제소 1.2km,직소폭포 1.5km).우측 직소폭포쪽으로 내려서자마자 좌측 능선으로 붙음.
17 : 18. 한턱 올라선 조망좋은 암릉.
17 : 30. 277m봉. 통신탑이 있고 직진해 넘어감.<좌측 능선길 조심>.
17 : 39/41. 대소고개.유인 남평문씨묘 있고 석포2리-대소를 잇는 수렛길 있음.좌측으로 내려감.
17 : 52. 석포2리 마을긑.국립공원 안내판.
세봉삼거리에서 좌측으로 꺽어 뚝 떨어져 내려갔다 올라가면 세봉인데 뒤로는 세봉삼거리와 가마소로 내려가는 능선과
의상봉과 부안댐,신선봉과 쌍선봉 내소사등 내외변산의 산들이 거의다 보인다.
이곳저곳 짚어보고 관음봉 가는길에 청련암과 내소사를 다시 한번 더 보고 관음봉 오름길은 암릉의 연속이다.
관음봉엔 넓은 평상에 이정표가 있고 맥은 직진해 내려가야하나 앞쪽이 직벽이라 우측으로 있는 일반등산로를 따라
직벽밑을 지나 건너편 암봉을 우측밑으로 건너가면 관음봉삼거리인데 좌측은 내소사로 가고 우측 직소폭포쪽이 맥길이다.
표고 370m에 직소폭포 2.3km,내소사 1.3km,세봉 1.3km란다.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내려서며 좌측으로 조망이 트여 재백이고개로 내려가는능선과 그뒤 277m봉쪽 맥길을 짚어본다.
건너편 너럭바위에서 쉬며 남은 물들을 짜 마시고 관음봉,의상봉,선녀탕쪽의 그림같이 아름다운 풍경을 담아본다.
너럭바위 뒷봉에서 좌로 꺽어 곤두박질쳐 내려가는데 우측 지능선이 더 높게 보여 혹여 맥이 아닌가 의심이 들지만
내려와보면 실날같은 맥위로 길은 이어간다.
재백이재엔 이정표와 등산안내도가 있고 여기서 좌측길은 원암통제소 가는길로 1.2km에 45분이 소요된단다.
우측 직소폭포길로 들어서자마자 바로 길 좌측 숲길로 들어선다. 몇발짝 나가서는 오름길로 변한다.
10여분 올라가면 능선은 우측으로 휘어가며 암릉이 되고 저앞에 277m의 통신탑이 보인다.
좌측아래로 누렇게 익은 보리밭뒤로 마을과 바다가 보이고 뒤로는 관음봉과 세봉,매봉이 어림된다.
277m봉 오름길엔 좌측 지능선으로 가는길과 우측 내소마을로 가는길이 보이고
277m봉 정점에 올라서면 통신탑이 있고 직진해 넘어가면 좌우로 넘는 굵은 케이블선이 있고
둔덕을 하나 더 넘으면 유인 남평문씨묘가 있고 고개를 넘는 수렛길이 있다
여기가 대소고개로 우측엔 집이 몇 채 있는 대소마을이 있고 좌측 아래가 석포2리마을이다.
석포2리로 내려가는수렛길은 급경사에 비포장인 험한길이라 차량은 넘을 수 없다.
10여분 내려오면 국립공원안내판이 있는 입구이고 차가 들어 올 수 있는 세멘트포장길이 나오고
바로밑의 공터에 우리의 차가 기다리고 있다.
15 : 55/16 :00. 세봉(402m)정상모습.
이정표있고 조망좋아 의상봉,내소사,관음봉,신선봉등이 보인다.정한규님.심송자님.최덕조님.
15 : 55/16 :00. 세봉(402m)정상에서 본 의상봉.
15 : 55/16 :00. 세봉(402m)정상에서 본 부안호와 내변산의 산군들.
15 : 55/16 :00. 세봉(402m)정상에서 본 신선봉에서 쌍선봉으로 이어가는 산군모습.
15 : 55/16 :00. 세봉(402m)정상에서 본 내소사.
15 : 55/16 :00. 세봉(402m)정상에서 본 관음봉과 변산지맥의 끝자락인 봉화산쪽모습.
16 : 05. 세봉(402m)정상에서 내려온 안부에서 본 청련암.
16 : 15. 관음봉 오름길의 암릉에서 뒤 돌아 본 세봉(좌),442m봉(뒤),세봉삼거리(우).
16 : 19. 관음봉 앞 암봉과 우측으로 본 의상봉과 부안호.
16 : 22/26. 관음봉(433m)정상모습.
.평상과 이정표(내소사 1.9km,원암 2.6km,직소폭포 2.9km.)맥은 직진이나 암벽이 있어 우측길로 돌아간다.
16 : 22/26. 관음봉(433m)정상 넘어쪽에서 본 지맥모습.
좌측 맨 앞봉밑이 관음봉 삼거리이고 우측 허연 암릉에서 좌측으로 내려간 맨 밑 안부가 재백이고개이고
사진 가운데 통신탑이 있는 봉이 277m봉이고 그우측마을이 대소마을이다.
사진 맨 우측 제일 높은봉이 신선봉이다.
16 : 32.관음봉(433m)을 내려오며 우측으로 본 직소폭포아래의 선녀탕.
16 : 33. 관음봉(433m)넘어 직벽모습.
16 : 42. 관음봉 삼거리.
암벽을 돌아 올라가 다음봉 넘어에 있고 좌측은 내소사길이고 우측 직소폭포길로 내려간다.
표고 370m에 직소폭포 2.3km,내소사 1.3km,세봉 1.3km란다.
16 : 44. 관음봉 삼거리바로 밑에서 본 277m봉과 신선봉.
좌측밑이 재백이고개이고 통신탑이 있는 좌측봉이 277m봉이고 가운데 보이는 마을이 대소마을이다.
16 : 48/53. 관음봉삼거리 건너편봉 너럭바위에서 본 의상봉.
16 : 48/53. 관음봉삼거리 건너편봉 너럭바위에서 본 관음봉.
16 : 48/53. 관음봉삼거리 건너편봉 너럭바위에서 본 선녀탕과 쌍선봉쪽모습.
16 : 58. 재백이고개,277m,대소마을.
실날같이 이어가는 지맥모습.
17 : 08. 재백이재(180m)모습
.이정표(원암통제소 1.2km,직소폭포 1.5km).우측 직소폭포쪽으로 내려서자마자 좌측 능선으로 붙는다.
17 : 08. 재백이재(180m)이정표와 안내판.
.이정표(원암통제소 1.2km,직소폭포 1.5km).우측 직소폭포쪽으로 내려서자마자 좌측 능선으로 붙는다.
17 : 18. 한턱 올라선 조망좋은 암릉.
17 : 18. 한턱 올라선 조망좋은 암릉에서 뒤 돌아 본 관음봉과 세봉삼거리봉과 용각봉(우측맨뒤)
17 : 30. 277m봉.
통신탑이 있고 직진해 넘어간다.<좌측 능선길 조심>.
17 : 39/41. 대소고개.
유인 남평문씨 묘가 있고 석포2리-대소를 잇는 수렛길이 있다. 좌측석포2리로 내려갔다.
17 : 44.석포2리의 누렇게 익은 보리밭.
17 : 52. 석포2리 마을긑 국립공원 안내판이 있는 세멘길에 내려서며 오늘 산행을 마친다.
17 : 52. 석포2리 마을긑
무더위에 수고들 많으셨습니다.
◇ 그후.
바드재에서 시작한 단축조와 용각봉근처에서 증발한 대원도 와 있고 역시 용각봉 근처에서 매봉쪽으로 간 대원은
바드재아래 우봉재근처에서 기다리고 있어 바로 출발하여 픽업하여 곰소의 새로 개업했다는 식당에서 저녁을 먹고
출발하는데 하늘이 시커멓고 빗방울이 떨어진다.
귀경길은 시원하게 비를 뿌려 밭 가뭄이 해갈 될려나 했더니 공주땅에 들어서자 비가 안온다.
일기예보가 이럴때는 잘도 맞는다. 곰소를 떠난지 2시간만에 천안도착.오늘도 즐거운 하루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