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왕지맥 1구간(운두령-계방산-분기점-목골재)
주왕지맥 1구간(운두령-계방산(1577m)-분기점-목골재).
계방산(桂芳山.1577m)정상에서 본 한강기맥.
좌측도로가 운두령,가운데 보래령,흥정산,저멀리 귀목봉과 태기산도 어림된다.
계방산(桂芳山.1577m)정상에서 본 소 계방산과 오대산.
좌측봉이 소 계방산 앞봉이 1551m봉,우측 저뒤가 오대산.
계방산(桂芳山.1577m)정상에서 본 주왕지맥 분기봉.
앞에 뾰족봉이 1551m 소계방산 분기봉이고 우측봉이 1462m 삼각점봉,구름그늘이 진 한일자 능선이 지맥분기봉.
◈ 산행코소와 거리 및 소요시간. 도상거리 4.7km +7 .4km. 6시간 45분(널널하게).
운두령(1087m.31번국도)-1496m 전망대-계방산(1577.4m)-주목삼거리-1551m(소 계방산 갈림봉)-1462m 삼각점-주왕지맥 분기점(약 1430m)-
1134m-1101m삼각점-1109m(쓸어진고목)-1099m(국림공원표석)-목골재(기둥만 남은 이정표)-8번군도.
◈ 일시 : 2009. 9. 13(일).
◈ 날씨 : 하늘도 맑은 초가을날씨로 산행하긴 딱좋음.
◈ 인원 : 달인.낙원. 요맥회원 31명.
◈ 지도 : 영진 5만지도 P 83, 84 홍천. 1/25000. 노동,진부.
주왕지맥 1구간(운두령-계방산(1577m)-분기점-목골재).지도.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 개요(槪要).
오늘구간은 지맥 분기점에 진입하는 거리가 지맥능선을 가는 거리보다 더 길고 시간이 많이 걸리나
남한에서 다섯 번째로 높은 계방산을 오르는 것에 의미를 둬야겠다.
계방산은 일반산행으로도 많이 다니고 한강기맥을 하면서도 지나는구간으로 사방에 막힘이 없는 조망이 좋은산인데
운두령에서 표고 500m를 올려야하니 정상까진 1시간 반정도를 올라야하나 길이 좋고 중간에 쉼터와 전망데크도 있어
쉬엄쉬엄 오르면 어렵지 않게 오를수 있다.
계방산정상엔 돌탑과 정상표석과 1등삼각점(봉평11)과 이정표가 있고 조망이 좋아 사방팔방이 다 보인다.
직진해 넘어가 주목삼거리를 지나 소게방산 갈림봉인 1551m봉을 넘어 길에서 좌측으로 10여 m 떨어진 1462m봉 삼각점을 찍고
내려와 앞둔덕을 우측으로 살짝 돌아가면 주왕지맥이 갈라지는 지맥분기점 삼거리이다.
오대산가는 한강기맥은 좌측으로 꺽어져 조금 나가서는 급하게 떨어지는 내림길이 되고
주왕지맥은 우측으로 평지길을 4분쯤 나가서는 내림길로 되며 첫 번째로 우측에 이승복 생가터로 가는 흐릿한 갈림길을 지나고,
다시 3분쯤 내려가면 두 번째로 우측에 이승복 생가터로 가는 뚜렷한 하산길이 보이는데 나무를 걸쳐놨다.
두 번째 갈림길에서 좌측으로 산죽밭을 사면길로 건너와선 세 번째 우측으로 하산길이 보이는데 두 번째 지점에서 9분거리다.
3개의 우측으로 난 이승복 생가터로 가는 하산길은 지맥길보다 더 길이 흐릿하여 넓은길만 따라가면 되는데
주능선이 확실하게 살아 있지 않고 우측으로 살짝 건너가기 때문에 조금은 진가민가 해진다.
분기점을 지나서는 계속 울창한 숲속이라 조망은 전혀없고 한두군데서만 좌측으로 한강기맥의 1359m봉에서 방아다리로 가는 능선과
우측으로 계방산정상부가 한 두 번 보인다.
1101m 삼각점을 만날때까진 5,6개의 봉을 넘지만 오르내림이 심하지 않으나 고만고만한 봉들이라 정확한 위치파악은 어렵다.
1109m엔 큰 고목이 쓰러져 있고 1099m봉부터는 국림공원표석이 연달아 나오고
목골재 안부엔 기둥만있는 옛이정표와 국림공원표석이 있고 좌우로 흐릿한 옛길이 있다.
목골재에서 좌측 방아다리로 들어가는 8번군도까지 내려오는 계곡길은 지금은 사람들이 다니지 않아 돌밭길에 가시잡목길로
사납고 8번군도에 나오면 넓은밭과 높은 나무색을 입힌 전신주가 있다.
목골재에서 30여분 걸리는데 어지간하면 1시간 남짓걸리는 가라치까지 가는것이 좋겠다.
◈ 일정정리.
06 : 10. 천안에서 동서울행 버스 탐.
07 : 40. 잠실 출발.
10 : 40/42. 운두령(雲頭嶺.1087m.31번국도).간이상점.표석.평창군과 홍천군경계.
11 : 25/30. 쉼터.이정표(계방산 1.9km.운두령 2.2km).오름길중턱.
11 : 58/12 :05. 1496m 전망데크 전망대.계방산정상과 오대산,방태산,맹헌봉,한강기맥조망
12 : 22/13 :09. 계방산(桂芳山.1577m).돌탑과 정상표석.삼각점(봉평11).사방이 막힘없는 조망처.점심.
13 : 18. 주묵 삼거리.우측으로 야영장,이승복생가터 하산길.직진함.야영장 4.9km.정상0.5km.
13 : 30. 1551m 소계방산 갈림봉.
14 : 00/02. 1462m.삼각점(봉평 424).큰 바위 몇 개.소계방산과 계방산정상조망.
14 : 09/37. 주왕지맥 분기점.Y자갈림길.우측은 주왕지맥,좌측은 한강기맥 오대산가는길.후미기다림.
14 : 41. 우측으로 흐릿한 이승복생가터가는 하산길보임.좌측 뚜렷한 길로 감.
14 : 44. 직진하는 이승복생가터가는 하산길이 좀전보다는 확실함.좌로 꺽어 산죽밭을 감.
14 : 53. 직진하는 이승복생가터가는 하산길있음.좌측 사면길로 급하게 떨어져감.
15 : 02. 급경사길을 다 내려온 안부.좌우하산길없음.
15 :10/17. 쭉 올라온 약 1130m쯤되는봉.단풍나무군락임.살짝우틀함.후미 기다림.
15 : 27. 한 봉 넘어안부. 큰 참나무가 베어져 쓸어져 잇음.좌로 방아다리로가는 큰능선보임.
15 : 36/48. 돌길을 올라선봉 살짝 우틀함.후미 기다림.
16 : 05. 우로 크게 꺽임봉.앞에 1101m봉과 좌측 건너로 1109m봉보임.
16 : 16. 1101m 삼각점(봉평 425).빼곡한 잡목숲임.
16 : 29/39. 1109m봉. 쓰러진 큰 고목. 낙원강회장님과 곽고문님팀 만남.후미 기다림.
16 : 47. 1099m.국림공원표석나옴.(옛날에 세운 세멘트기둥으로 국립이 아니고 국림임)
16 : 52/17 :00). 목골재.이정표(목골재정상 1000m,이승복생가1.5km.방아다리 2.5km 표지판은 다 없애고 기둥만 남았다).좌우로 흐릿한길.
17 : 29. 8번군도.큰 전신주.큰밭.
18 : 20. 출발하여 이승복기념관에서 탈출조 픽업하여 귀경길은 벌초 갔다오는 차량들로 막힘.
23 : 00.모란역에서 전철탐.
24 : 10. 교대역에서 강남 터미널을 포기하고 동서울로 자러가다 거기도 못가고 삼성역에서 잠.
◈ 산행후기.
운두령(雲頭嶺.1087m.31번국도)에서 계방산들머리. 10 : 40/42.
운두령(雲頭嶺.1087m.31번국도)의 등산안내도. 0 : 40/42.
운두령(雲頭嶺.1087m) 절개지위에서 뒤 돌아 본 한강기맥.10 :45.
쉼터와 이정표(계방산 1.9km.운두령 2.2km). 11 : 25/30.
헬기장에서 뒤 돌아 본 한강기맥.11 : 56.
1496m 전망대 11 : 58/12 :05.
1496m 전망대에서 본 계방산. 11 : 58/12 :05.
1496m 전망대에서 본 소계방산(좌)과 오대산(가운데 멀리). 11 : 58/12 :05.
1496m 전망대에서 본 문암산(우측바위산)과 춘천지맥의 응봉산 (좌측뒤). 11 : 58/12 :05.
1496m 전망대에서 360도 돌려 본 동영상.
계방산(桂芳山.1577m).12 : 22/13 :09.
계방산(桂芳山.1577m).12 : 22/13 :09.
계방산(桂芳山.1577m)정상에서 본 한강기맥.12 : 22/13 :09. 서쪽.
좌측도로가 운두령,가운데 보래령,흥정산,저멀리 귀목봉과 태기산도 어림된다.
계방산(桂芳山.1577m)정상에서 본 소 계방산과 오대산.12 : 22/13 :09. 북쪽.
좌측봉이 소 계방산 앞봉이 1551m봉,우측 저뒤가 오대산.
계방산(桂芳山.1577m)정상에서 본 주왕지맥 분기봉.12 : 22/13 :09.동쪽
앞에 뾰족봉이 1551m 소계방산 분기봉이고 우측봉이 1462m 삼각점봉,구름그늘이 진 한일자 능선이 지맥분기봉.
계방산(桂芳山.1577m)정상에서 본 주왕지맥.동남쪽.
한가운데봉이 1101m삼각점봉,그우측봉이 1109m봉,맨우측봉이 1185.1m봉.
계방산(桂芳山.1577m)정상에서 본 노동리 삼거리로 내려가는 남릉.남쪽.
맨좌측능선이 목골재,1185.1m에서 가리치,속사리재로가는 주왕지맥.
계방산(桂芳山.1577m)정상에서 점심.
오늘은 정아씨가 신경써서 고기에 쌈에 푸짐한 점심상을 차렸다.
떡에 점심에 자~알 먹었습니다.
계방산(桂芳山.1577m)정상에서 땡겨본 주왕지맥.
가운데 뾰족봉이 1462m삼각점봉이고 그우측의 한일자로 그은 능선이 지맥마루금이다.
주의해야할 우측 이승복생가로 내려가는 갈림능선이 두 세 개 선명하게 보인다.
계방산(桂芳山.1577m)정상에서 땡겨본 주왕지맥.
다시한번 땡겨본 갈림능선이다.뒤에 큰줄기는 한강기맥 1359m봉에서 방아다리로 내려가는 능선이다.
맨뒤로 하얀 것은 백두 대간 대관령의 풍력발전기들이다..
좌측봉이 소 계방산,우측멀리가 오대산,우측봉이 1551m봉 우측 안부가 주목삼거리다.13 :09.
주묵 삼거리.13 : 18.
사람들이 내려가는길이 제2 야영장으로 내려가는 계방산 메인등산로이고
오대산이나 주왕지맥을 갈려면 직진한다.
아직 단풍철은 아니지만 고산이라 성질 급한것은 벌써 단풍이 들었다.13 : 26.
한생명은 가고 그 밑거름은 다른 생명을 키우고 있다.13 : 39.
나이 만큼이나 주름진 주목얼굴. 13 : 40.
1426m봉. 14 : 00.
1426m봉에서 본 소 계방산과 삼각점. 14 : 00.
1426m봉에서 본 계방산과 1551m봉. 14 : 00.
주왕지맥 분기점. 약 1430m. 14 :09/37.
좌측은 오대산가는 한강기맥길이고 우측이 주왕지맥이다.
주왕지맥 분기점에서 지맥초입모습. 14 :09/37.
두 번째 직진하는 이승복생가터 하산길옆 산죽밭. 14 : 44.
두 번째 이승복생가터 하산길에서 좌측으로 급한 사면길을 건너가고있다.14 :50.
세 번째 이승복생가터 하산길에서 좌측으로 꺽어 가고 있다.14 :53.
쭉 올라온 약 1130m쯤되는봉.단풍나무군락임.살짝 우틀한다. 15 :10/17.
다음봉.15 : 24.
우측꺽임봉.16 : 01
.
1101m봉의 삼각점.16 : 16.
.
1109m봉의 쓰러진 큰고목나무16 : 29/39.
여기서 앞서가던 낙원 강회장님과 곽고문님팀을 만났다.
1099m봉의 국림공원표석.16 : 47.
목골재.이정표(목골재정상 1000m,이승복생가1.5km.방아다리 2.5km 표지판은 다 없애고 기둥만 남았다).16 : 52/17 :00.
작은 그림은 몇 년전까지 있었던 이정표모습을 빌려왔다.
목골재.표고 1000m이고 좌우로 흐릿한 하산길이 있다. 16 : 52/17 :00.
목골재에서 좌측 계곡으로 하산길은 사람이 다니지 않아서 족적만 겨우 남았다.17 :22.
계곡을 빠져나오니 나무 무늬를 한 큰 이동통신탑이 있고 양배추를 심은 넓은 밭이 수확을 포기하고 버려져 있다.
선두로 일찍 내려오신 장군님과 정영옥님,정한규씨가 기다리기 지루하셨는지 마중을 오셨다.17 :27
속사에서 방아다리 가는 8번군도.17 :29.
앞 산줄기는 오대산에서 내려온 한강기맥의 1359m봉에서 방아다리로 내려온 산줄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