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암지맥 4구간[양곡재(914번도로)-약산(583m)- 길안천/반변천 합수점]終.
구암지맥 4구간[양곡재(914번도로)-약산(583m)- 길안천/반변천 합수점]終.
◈ 산행코소와 거리 및 소요시간 : 도상거리 15km . 6시간 14분.
양곡재(914도로.천지휴게소)-397.2m삼각점봉-천지암고개임도-444m봉-388.5 삼각점봉-약산(583m)-
389.8m삼각점봉-401m봉-269.4m삼각점-임하추월마을-신덕제방. 길안천/반변천 합수점.
◈ 일시 : 2013. 3. 31(일).
◈ 날씨 : 아침엔 영하로 쌀쌀하나 낮엔 봄날씨로 덥고 생강나무와 진달래 핌.
.
◈ 동행인 : 요맥회 11명. 강형태회장님.이한원님.최평칠님. 박성태님.정영옥님.이선우님.정환규님.최덕조님. 권순창님.김정옥님.나.
◈ 지도.
구암지맥 4구간[양곡재(914번도로)-약산(583m)- 길안천/반변천 합수점]終. 지도.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구암지맥 4구간[양곡재(914번도로)-약산(583m)- 길안천/반변천 합수점]終. 지도 1.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구암지맥 4구간[양곡재(914번도로)-약산(583m)- 길안천/반변천 합수점]終. 지도 2.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 일정정리.
06 ; 20. 천안에서 승용차로 출발.
07 : 15/25. 일죽 대송휴게소에서 합류. 장호원-제천-서안동-안동에서 이선우님이 합류하고
10 : 05/6. 임하-길안-양곡재 도착하여 천지주유소앞 절개지 우측 방호 철책옆 절개지를 오름.
1 0 : 11. 330m봉에서 직진해 묘를 지나 내려서고
10 : 16. ㅗ 세멘도로 삼거리. 안부 건너 능선위로 난 세멘길따라 올라감.
10 : 19. 세멘임도는 우측으로 돌아가고 직진해 묘들을 지나며 뒤로 봉알산과 지나온 능선이 조망됨.
10 ; 20. 묘뒤 Y 능선에서 좌측으로 감.우측은 오음실 방향.수렛길이 이어짐.
10 : 26. 유인 울진 임씨묘를 지나 내려선 안부. 올라서면 뒤로 양곡재의 천지휴게소가 보이고 오름길로
10 : 32. 둔덕봉.우측에서 올라온 능선길 만나 살짝 좌틀하며 저앞에 삼각점봉이 보이고
10 : 40/3. 398.5m.길안 22 삼각점과 준희님 표찰(395.7m).우측(북)으로 내려감.진달래꽃이 핌.
10 : 50. 수렛길 안부 삼거리.좌측으로 건너가면 쉬우나 직등해 390m봉으로 오름.
10 : 51. 살짝 올라서면 뒤로 삼각점봉과 길안면이 조망되고
10 : 57. 묘지들을 지나오른 T능선. 우측은 422m. 좌측으로 휘어가며 앞쪽에 약산이 보임.
10 : 58. 390m봉. 솔숲에서 좌측으로, 이어 다시 좌측으로 내려감.
11 ; 03. 천지암 북쪽고개.세멘 임도.좌측은 천지암,우측은 건방우못.큰 느티나무. 약산이 보임.산불조심 안내방송 차량이 지나감.
11 : 18. 넓은 수렛길따라 오른 444m봉.울진임공묘 3에서 우측으로 . 주변은 간벌목 소나무들을 지나면 벌목지로 훤함.
11 : 21. 우측을 벌목해 지나온능선이 조망.멀리 노래산도 보이고
11 : 33. 388.5m 삼각점(길안 418). 좌로 꺽어가며 저앞쪽에 좀더 높은 봉들이. 준희님 표찰.
11 ; 38/9. 세봉중 제일높은 400m봉.앞쪽에서 약산조망.우측,뒷쪽조망.
11 : 47. 360m봉에서 좌측으로. 우측은 약계정, 용계은행나무쪽. 약산 2.6km. 배씨묘 1.3km이정표.뒤로 온길조망.
이정표 말뚝엔 400.2m봉으로 표기
11 : 56. 370m봉에서 좌측으로 뚝 떨어져 내려감.
12 ; 05. 안부 지나 절충장군 배씨묘등 묘3기.좌측으로 홍은산 하산길 이정표(홍은사 0.9km.약산 1.3km).약산 오름길이 시작됨
12 : 07/27. 통훈대부 사헌부 감찰 예천임공묘에서 점심.
12 : 42. 된비얄 오른 약산 우측 안부.삼각점봉은 우측.약산은 좌측봉임. 약산 0.2km.522.5m봉 이정표.
안부 우측 둔덕이 맥이나 경사가 급해서 스텐기둥 로프 사면길로 건너옴.
12 : 46/8. 맥에서 우측으로 좀 떨어진 552.8m 삼각점봉.418재설 삼각점과 준희님 표찰.
12 : 52. 다시 돌아 온 안부. 약산 0.2km.522.5m봉 이정표.
12 ; 56. 된비얄 올라선 약산정상 바로앞 삼거리.좌측은 홍은사 갈림길. 온길은 배씨묘 1.3km.
12 : 57/03. 약산정상.약산봉 표석과 전망테크와 약산 안내판.좌측 금소리방향으로 내려감. 임하호조망.
13 : 04. 1분쯤 내려가 갈림능선에서 좌측으로 내려간다.
13 ; 07. 좌측으로 444m봉부터 약산까지 지나온 능선이 보이고
13 : 08. 벌거벗은 묘가 있는곳에서 좌측 임하면 오대리쪽으로 표지기 보이나 우측으로 꺽어 평지능선을 간다.
13 : 15. 쭈욱 내려가 480m을 지나며 좌측으로 꺽어 솔밭을 가고
13 ; 21. 살짝 올라선 447m봉. 우측으로 꺽어가고
13 ; 28. 좌측으로 꺽어지며 우측으로 임하호와 영등지맥의 끝자락이 그림같이 보이며 산불지대가 시작된다.
13 ; 31. 산불봉에서 뒤로 약산과 저앞에 삼각점봉이 보이고 산불지대를 간다.
13 ; 38/45. 389.8m봉.길안 303. 2004복구.묘. 임하댐과 약산,지맥의 끝자라도 보이는 사방 막힘없는 조망.
13 : 52. 둔덕봉을 넘어가면 충의참봉 김공묘를 지나고
13 : 54. 345m.철 파이프 뼈대만 남은 비닐하우스 둔덕을 지나며 저앞에 빨딱선 401봉이 보이고,뒤론 멀리 약산이 보임.
14 ; 04/6. 빨딱 올라선 401m봉. 준희님 표찰.약산을 뒤돌아 보며 잠시 숨을 돌리고 길안천을 좌측에 보며
14 : 10. 좌측으로 신기천이 길안천에 합류하는 新基(새터)마을이 빤히 내려다 보이고 그 뒤로 갈라지맥이 어서오라 한다.
14 : 15/7. 382m봉.다 타 버린 산정엔 산불조심 현수막이.지맥의 끝자락이 멀리 보임. 내림길은 급경사 모래길.
좌론 길안천, 우론 임하댐 조망이 그림같다.
14 ; 27/9. 우로 꺽임봉. 불탄지역끝. 뒤로 401m과 382m를 보고 우로 꺽어 내려가는데 길사나움.직진이 아님.<주의>
14 : 35. 이장한 석축묘 구덩이 들이 있는 도상 임하공동묘지를 지남.
14 : 40. 우측으로 임하댐가는 능선 갈림점. 골이 3군데로 갈리는 안부.좌로 꺽어감.
14 : 45. 도상 287m. 칡덩굴 잡목봉.우측으로 꺽어감.
14 : 49/55. 앞 둔덕에선 좌측능선이 아닌 직진해 넘어가며 솔밭에서 휴식하고 좌측으로 꺽어감.
15 : 03. 좌측 금소각과 우측 임하동부초교(폐교)를 잇는 소로길 안부.건너엔 묘3에서 갈라지맥보임.
15 : 06. 약 280m봉.제일 높은봉.좌측으로 사면길 있음. 삼각봉인가 싶어 올라보나 없다
15 : 09. 269.4m삼각점봉. 얕은 평지에 269.4m 소삼적점이. 우측으로 감. 준희님표찰.<주의>
15 : 13.삼각점봉보다 높은 봉을 좌측으로 우회해가며 좌측에 통덕랑 울진임공묘.
15 : 22. 통정대부 승정원비서 예천임공묘
15 : 25. 266m봉에서 우측으로 가고. 솔잎혹파리 훈제목들.좌측능선분기
15 : 30/5.갈림봉에서 우측으로 내려감. 좌측 긴능선은 신덕교쪽 180m으로.패트병이 걸려있음.<주의>내려가면 의성김성수묘.
15 ; 46. 처사 괴와愧窩김점운漸運묘.괴와는 부끄러운 움막이란뜻인데 ...
15 ; 52. 묘있는 Y능선갈림에서 좌,우측이 아닌 묘앞쪽 계곡같은 곳으로 내려감.<주의>
15 : 57. 159m잡목봉. 조은산님의 159m 표지기.솔잎혹파리 훈연목들.우측에 도로가 보임.
16 : 04. 추월리 산자락끝. 큰 소나무.정면에 길안천과 반변천 합수점. 신덕제방과 뒤로 터널공사중
16 : 08/12. 하우스밭 건너 신덕제방. 좌측은 길안천,우측은 반변천과 임하보조댐.반변천 건너는 덕산지맥.
16 : 20/38. 임하2리 마을회관과 경로당.리모델링한 임하중교(폐교)에서 씻고 안동으로
16 ; 53/17 ; 50. 안동병원앞 한식부페집에서 저녁먹고 출발.
19 ; 58. 안성일죽 대송휴게소 도착.
20 ; 45. 천안도착.
◈ 산행후기.
※ 양곡재(914도로)-444m봉-약산(583m). 6.6km. 2시간 31분.
06 ; 20. 천안에서 승용차로 출발.
07 : 15/25. 일죽 대송휴게소에서 합류. 장호원-제천-서안동-안동에서 이선우님이 합류하고
10 : 05/6. 임하-길안-양곡재 도착하여 천지주유소앞 절개지 우측 방호 철책옆 절개지를 오름.
1 0 : 11. 330m봉에서 직진해 묘를 지나 내려서고
10 : 16. ㅗ 세멘도로 삼거리. 안부 건너 능선위로 난 세멘길따라 올라감.
10 : 19. 세멘임도는 우측으로 돌아가고 직진해 묘들을 지나며 뒤로 봉알산과 지나온 능선이 조망됨.
10 ; 20. 묘뒤 Y 능선에서 좌측으로 감.우측은 오음실 방향.수렛길이 이어짐.
10 : 26. 유인 울진 임씨묘를 지나 내려선 안부. 올라서면 뒤로 양곡재의 천지휴게소가 보이고 오름길로
10 : 32. 둔덕봉.우측에서 올라온 능선길 만나 살짝 좌틀하며 저앞에 삼각점봉이 보이고
10 : 40/3. 398.5m.길안 22 삼각점과 준희님 표찰(395.7m).우측(북)으로 내려감.진달래꽃이 핌.
10 : 50. 수렛길 안부 삼거리.좌측으로 건너가면 쉬우나 직등해 390m봉으로 오름.
10 : 51. 살짝 올라서면 뒤로 삼각점봉과 길안면이 조망되고
10 : 57. 묘지들을 지나오른 T능선. 우측은 422m. 좌측으로 휘어가며 앞쪽에 약산이 보임.
10 : 58. 390m봉. 솔숲에서 좌측으로, 이어 다시 좌측으로 내려감.
11 ; 03. 천지암 북쪽고개.세멘 임도.좌측은 천지암,우측은 건방우못.큰 느티나무. 약산이 보임.산불조심 안내방송 차량이 지나감.
11 : 18. 넓은 수렛길따라 오른 444m봉.울진임공묘 3에서 우측으로 . 주변은 간벌목 소나무들을 지나면 벌목지로 훤함.
11 : 21. 우측을 벌목해 지나온능선이 조망.멀리 노래산도 보이고
11 : 33. 388.5m 삼각점(길안 418). 좌로 꺽어가며 저앞쪽에 좀더 높은 봉들이. 준희님 표찰.
11 ; 38/9. 세봉중 제일높은 400m봉.앞쪽에서 약산조망.우측,뒷쪽조망.
11 : 47. 360m봉에서 좌측으로. 우측은 약계정, 용계은행나무쪽. 약산 2.6km. 배씨묘 1.3km이정표.뒤로 온길조망.
이정표 말뚝엔 400.2m봉으로 표기
11 : 56. 370m봉에서 좌측으로 뚝 떨어져 내려감.
12 ; 05. 안부 지나 절충장군 배씨묘등 묘3기.좌측으로 홍은산 하산길 이정표(홍은사 0.9km.약산 1.3km).약산 오름길이 시작됨
12 : 07/27. 통훈대부 사헌부 감찰 예천임공묘에서 점심.
12 : 42. 된비얄 오른 약산 우측 안부.삼각점봉은 우측.약산은 좌측봉임. 약산 0.2km.522.5m봉 이정표.
안부 우측 둔덕이 맥이나 경사가 급해서 스텐기둥 로프 사면길로 건너옴.
12 : 46/8. 맥에서 우측으로 좀 떨어진 552.8m 삼각점봉.418재설 삼각점과 준희님 표찰.
12 : 52. 다시 돌아 온 안부. 약산 0.2km.522.5m봉 이정표.
12 ; 56. 된비얄 올라선 약산정상 바로앞 삼거리.좌측은 홍은사 갈림길. 온길은 배씨묘 1.3km.
12 : 57/03. 약산정상.약산봉 표석과 전망테크와 약산 안내판.좌측 금소리방향으로 내려감. 임하호조망.
10 : 05/6. 장호원-제천-서안동-안동-임하-길안-양곡재 도착한 천지 휴게소.
천지주유소앞 절개지 우측 방호 철책옆 절개지를 오르고.
10 : 16. 330m봉에서 직진해 묘를 지나 내려선 ㅗ 세멘도로 삼거리.
안부 건너 능선위로 난 세멘길따라 올라감.
10 : 19. 세멘임도는 우측으로 돌아가고 직진해 묘뒷봉에서 뒤로 봉알산과 지나온 능선을 조망하고 좌측 능선으로.
10 : 40/3. 398.5m.길안 22 삼각점과 준희님 표찰(395.7m).
우측(북)으로 내려간다.진달래꽃이 더러더러 피었다.
좌측부터 박종율.박성태님. 정환규님. 이선우님. 최덕조님. 정영옥님.
이한원님. 김정옥님. 최평칠님. 권순창님. 간형태 회장님은 사진찍고.
11 ; 03. 천지암 북쪽고개에서 본 444m봉.
세멘 임도.좌측은 천지암,우측은 건방우못.큰 느티나무. 약산이 보임.산불조심 안내방송 차량이 지나감.
11 ; 03. 천지암 북쪽고개에서 본 388.5m삼각점봉과 뒤로 뾰족한 약산(583m).
벌목한 앞봉에 388.5m삼각점이 있고 가운데봉엔 묘지가 있고 맨뒷봉이 400m봉으로 제일높다.
때마침 산불감시 차량이 산불조심 안내방송을 하며 지나가는데 혹시나 제지를하면 어쩌나 마음 조리고.
444m봉 오름길인데 때마침 또 겔로퍼 한대가 내려온다.
이친구도 산불감시원인가? 위에 올라가보니 주변을 벌목한걸보니 벌목하는 사람들인 모야이다.
11 : 18. 넓은 수렛길따라 오른 444m봉.
울진임공묘 3에서 우측으로 . 주변은 간벌목 소나무들을 지나면 벌목지로 훤함.
444m봉을 내려오며 우측으로 본 천지암 북쪽고개(우)와 398.5m삼각점봉.
11 : 33. 388.5m 삼각점(길안 418). 좌로 꺽어가며 앞쪽에 좀더 높은 봉들이 2개 더 있다. 준희님 표찰.
11 ; 38/9. 세봉중 제일높은 400m봉에서 뒤 돌아 본 444m봉(우)과 390m봉과 천지암북쪽고개(가운데).
11 ; 38/9. 세봉중 제일높은 400m봉에서 우측 약계정쪽 계곡모습.
11 ; 38/9. 세봉중 제일높은 400m봉에서 본 약산(좌)과 552.8m삼각점봉(가운데 소나무뒤).
앞쪽 우측 벌목지끝에 약산 2.6km 이정표가 있고 좌측으로 간다.
11 : 47. 360m봉에서 좌측으로.
우측은 약계정, 용계은행나무쪽. 약산 2.6km. 배씨묘 1.3km이정표.뒤로 온길조망.
이정표 말뚝엔 400.2m봉으로 표기하고 있다.
11 : 47. 360m봉에서 뒤 돌아 본 400m봉(우).
12 ; 05. 안부 지나 절충장군 배씨묘등 묘 3기.
묘3기가 모두 관리가 안되고 있어 큰 나무들이 봉분위에 있고 묘비도 반은 땅에 묻혀있다.
가운데 양쪽에 문인석이 있는묘가 절충장군 용양위 부호군 배씨묘인데
절충장군은 정3품 上階로 무관으로선 최고의 품계로 현 사단장급이며
용양위는 중앙5위의 하나이고 앞에 行자가 붙고 부호군인걸보니 품계는 사단장급인 절충장군인데
직책은 그보다 낮은 종4급이다.
좌측으로 홍은산 하산길이 있고 이정표(홍은사 0.9km.약산 1.3km)가 있으며 바로위에통훈대부 사헌부 감찰 예천임공묘가 있다.
12 : 07/27. 통훈대부 사헌부 감찰 예천임공묘에서 점심.
통훈대부는 문관 정3품의 하계이며 당하관이 오를수있는 가장높은 자리로 기술관이나 서얼출신관리는 더오르수없다.
직등하는능선이 맥이나 경사가 급해서 스텐기둥 로프가 있는 사면길로 건너 안부로 간다.
좌측은 약산정상,우측은 552.8m 삼각점봉
12 : 46/8. 맥에서 우측으로 좀 떨어진 552.8m 삼각점봉.
418재설 삼각점과 준희님 표찰.
12 ; 56. 된비얄 올라선 약산정상 바로앞 삼거리.좌측은 홍은사 갈림길. 온길은 배씨묘 1.3km.
저앞이 약산정상이다.
12 : 57/03. 약산정상.약산봉 표석과 전망테크와 약산 안내판.
좌측 금소리방향으로 내려감. 데큭에서 임하호조망.
약산 안내판.
천지개벽시...는 없느나만 못하다.
약산정상에서 본 임하호.
약산정상에서
※ 약산(583m)-389.8m봉-추월마을앞 길안천/반변천 합수점. 8.2km. 3시간 18분.
12 : 57/03. 약산정상.약산봉 표석과 전망테크와 약산 안내판.좌측 금소리방향으로 내려감. 임하호조망.
13 : 04. 1분쯤 내려가 갈림능선에서 좌측으로 내려간다.
13 ; 07. 좌측으로 444m봉부터 약산까지 지나온 능선이 보이고
13 : 08. 벌거벗은 묘가 있는곳에서 좌측 임하면 오대리쪽으로 표지기 보이나 우측으로 꺽어 평지능선을 간다.
13 : 15. 쭈욱 내려가 480m을 지나며 좌측으로 꺽어 솔밭을 가고
13 ; 21. 살짝 올라선 447m봉. 우측으로 꺽어가고
13 ; 28. 좌측으로 꺽어지며 우측으로 임하호와 영등지맥의 끝자락이 그림같이 보이며 산불지대가 시작된다.
13 ; 31. 산불봉에서 뒤로 약산과 저앞에 삼각점봉이 보이고 산불지대를 간다.
13 ; 38/45. 389.8m봉.길안 303. 2004복구.묘. 임하댐과 약산,지맥의 끝자라도 보이는 사방 막힘없는 조망.
13 : 52. 둔덕봉을 넘어가면 충의참봉 김공묘를 지나고
13 : 54. 345m.철 파이프 뼈대만 남은 비닐하우스 둔덕을 지나며 저앞에 빨딱선 401봉이 보이고,뒤론 멀리 약산이 보임.
14 ; 04/6. 빨딱 올라선 401m봉. 준희님 표찰.약산을 뒤돌아 보며 잠시 숨을 돌리고 길안천을 좌측에 보며
14 : 10. 좌측으로 신기천이 길안천에 합류하는 新基(새터)마을이 빤히 내려다 보이고 그 뒤로 갈라지맥이 어서오라 한다.
14 : 15/7. 382m봉.다 타 버린 산정엔 산불조심 현수막이.지맥의 끝자락이 멀리 보임. 내림길은 급경사 모래길.
좌론 길안천, 우론 임하댐 조망이 그림같다.
14 ; 27/9. 우로 꺽임봉. 불탄지역끝. 뒤로 401m과 382m를 보고 우로 꺽어 내려가는데 길사나움.직진이 아님.<주의>
14 : 35. 이장한 석축묘 구덩이 들이 있는 도상 임하공동묘지를 지남.
14 : 40. 우측으로 임하댐가는 능선 갈림점. 골이 3군데로 갈리는 안부.좌로 꺽어감.
14 : 45. 도상 287m. 칡덩굴 잡목봉.우측으로 꺽어감.
14 : 49/55. 앞 둔덕에선 좌측능선이 아닌 직진해 넘어가며 솔밭에서 휴식하고 좌측으로 꺽어감.
15 : 03. 좌측 금소각과 우측 임하동부초교(폐교)를 잇는 소로길 안부.건너엔 묘3에서 갈라지맥보임.
15 : 06. 약 280m봉.제일 높은봉.좌측으로 사면길 있음. 삼각봉인가 싶어 올라보나 없다
15 : 09. 269.4m삼각점봉. 얕은 평지에 269.4m 소삼적점이. 우측으로 감. 준희님표찰.<주의>
15 : 13.삼각점봉보다 높은 봉을 좌측으로 우회해가며 좌측에 통덕랑 울진임공묘.
15 : 22. 통정대부 승정원비서 예천임공묘
15 : 25. 266m봉에서 우측으로 가고. 솔잎혹파리 훈제목들.좌측능선분기
15 : 30/5.갈림봉에서 우측으로 내려감. 좌측 긴능선은 신덕교쪽 180m으로.패트병이 걸려있음.<주의>내려가면 의성김성수묘.
15 ; 46. 처사 괴와愧窩김점운漸運묘.괴와는 부끄러운 움막이란뜻인데 ...
15 ; 52. 묘있는 Y능선갈림에서 좌,우측이 아닌 묘앞쪽 계곡같은 곳으로 내려감.<주의>
15 : 57. 159m잡목봉. 조은산님의 159m 표지기.솔잎혹파리 훈연목들.우측에 도로가 보임.
16 : 04. 추월리 산자락끝. 큰 소나무.정면에 길안천과 반변천 합수점. 신덕제방과 뒤로 터널공사중
16 : 08/12. 하우스밭 건너 신덕제방. 좌측은 길안천,우측은 반변천과 임하보조댐.반변천 건너는 덕산지맥.
16 : 20/38. 임하2리 마을회관과 경로당.리모델링한 임하중교(폐교)에서 씻고 안동으로
16 ; 53/17 ; 50. 안동병원앞 한식부페집에서 저녁먹고 출발.
19 ; 58. 안성일죽 대송휴게소 도착.
20 ; 45. 천안도착.
13 : 08. 벌거벗은 묘가 있는곳에서 좌측 임하면 오대리쪽으로 표지기 보이나 우측으로 꺽어 평지능선을 간다.
13 ; 28. 447m을 지나 좌측으로 꺽어지며 우측으로 임하호와 영등지맥의 끝자락이 그림같이 보이며 산불지대가 시작된다.
13 ; 31. 산불봉에서 뒤로 본 약산.
13 ; 31. 산불봉에서 본 저앞의 389.8m 삼각점봉.
13 ; 38/45. 389.8m봉.
길안 303. 2004복구.묘. 임하댐과 약산,지맥의 끝자라도 보이는 사방 막힘없는 조망.
13 ; 38/45. 389.8m봉에서 가야할 401m봉과 382m봉.
13 ; 38/45. 389.8m봉에서 본 우측 임하호와 영등지맥.
13 ; 38/45. 389.8m봉에서 본 우측 임하댐과 영등지맥의 끝자락모습.
13 : 54. 345m.
철 파이프 뼈대만 남은 비닐하우스 둔덕을 지나며 저앞에 빨딱선 401봉이 보이고.
좀전에도 있더니 여기도 타고남은 부스타가 .
14 ; 04/6. 빨딱 올라선 401m봉. 준희님 표찰.약산을 뒤돌아 보며 잠시 숨을 돌리고 길안천을 좌측에 보며
14 ; 04/6. 빨딱 올라선 401m봉에서 뒤돌아 본 약산.
14 : 10. 좌측으로 신기천이 길안천에 합류하는 新基(새터)마을이 빤히 내려다 보이고 그 뒤로 갈라지맥이 어서오라 한다.
14 : 15/7. 382m봉.다 타 버린 산정엔 산불조심 현수막이.
지맥의 끝자락이 멀리 보임. 내림길은 급경사 모래길.
좌론 길안천, 우론 임하댐 조망이 그림같다.
14 : 15/7. 382m봉에서 뒤 돌아 본 약산과 401m봉.
14 : 15/7. 382m봉에서 본 가야할 마루금.
저앞 벌거숭이 봉에서 우측으로 꺽어가고 우측끝에 합수점이 어림된다.
좌측은 길안천
14 : 15/7. 382m봉에서 본 가야할 마루금 우측 반변천과 임하리.
우측 파란물길끝에 보조댐이 있으리라.
14 : 15/7. 382m봉에서 본 임하호와 임하댐.
14 ; 27/9. 우로 꺽임봉에서 401m봉과 382m봉을 뒤돌아보고.
14 ; 27/9. 우로 꺽임봉. 불탄지역끝. 우로 꺽어 내려가는데 길사나움.직진이 아님.<주의>
우측능선이 가야할 맥이다.
우로 꺽어 내려가는데 길이 사납다.
15 : 09. 269.4m삼각점봉.
앞뒤로 이보다 높은봉이 있고 얕은 평지에 269.4m 소삼적점이 있다. 우측으로 감. 준희님표찰.<주의>
현재의 1.2.3.4등 삼각점이 생기기 이전엔 대.소 삼각점이 있었고
대삼각점은 1.2등 삼각점이 되고 ,소삼각점은 3.4등 삼각점이 됐단다.
그러니까 이 소삼각점은 설치된지가 오래됐고 지금은 관리를 안하는 모양이다.
15 : 22. 통정대부 승정원비서 예천임공묘
통정대부는 정삼품 상계로 절충장군과 같은 품계의 문관으로
퉁훈대부보단 높은 품계다.오늘 높은양반 많이 만난다.
15 : 25. 266m봉에서 우측으로 가고. 솔잎혹파리 훈제목들.좌측능선분기
15 : 30/5.갈림봉에서 우측으로 내려감.
좌측 긴능선은 신덕교쪽 180m으로.패트병이 걸려있음.<주의>내려가면 의성김성수묘가 있다.
15 ; 46. 처사 괴와愧窩김점운漸運묘.괴와는 부끄러운 움막이란뜻인데 ...
처사묘가 망주석에 큼직한 비석이 부끄러우면 ? .
15 : 57. 159m잡목봉. 조은산님의 159m 표지기.솔잎혹파리 훈연목들.우측에 도로가 보임.
16 : 04. 지맥의 끝자락에서 좌측으로 본 추월리.
우측 큰 건물이 리모델링한 임하중교(폐교).
16 : 04. 지맥의 끝자락에서 본 합수점(가운데)의 신덕제방.
좌측이 길안천,우측이 반변천.
신덕제방에서 뒤 돌아 본 추월마을과 지맥능선(좌).
신덕제방에서 우측으로 본 반변천과 임하보조댐.
신덕제방에서 본 합수점.좌측이 길안천.
신덕제방에서 구암지맥을 마치며.
좌측부터 이한원님. 최덕조님.정영옥님.박성태님. 이선우님. 김정옥님. 권순창님. 정환규님. 박종율. 최평칠님.
강형태회장님은 사진찍고.
16 : 20/38. 임하2리 마을회관과 경로당.리모델링한 임하중교(폐교)에서 씻고 안동으로.
< 구암지맥 終>.
요맥회는 다음 4월 7일부터 홀수 주에
태청지맥을 이어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