ㄱ 기맥,지맥.

금대지맥 1구간[두문동재(싸리재)-백두 금대봉(1418.1m)-대덕산-배재(412번도로)].

산경표 2013. 8. 28. 18:09

 

 

금대지맥 1구간[두문동재(싸리재)-백두 금대봉(1418.1m)-대덕산-배재(412번도로)].

 

◈ 산행코소와 거리 및 소요시간 : 도상거리 12km.  5시간 25분.

강원도 정선.태백경계인 두문동재(1268m.구 38번도로)-금대봉( 金峰.1418.1m)-1332m-1347m(우암산.노목지맥분기봉)-
1271m-분주령(약 1050m)-
1259m-대덕간(大德山.1307.1m)-1275m(핏대봉)-고냉지밭-1161m-울둔고개(2차선도로)-
1127m(매봉산)-배재(약 1020m. 412번도로).

 

◈ 일시 : 2013. 8. 25(일).

 

◈ 날씨 :  폭염은 한풀 꺽이고 시종 1000m이상의 고지대라 가을이 온 듯 시원하고  하늘도 높아짐.

 

동행인 : 달인클럽 21명. 김형식회장님.최평칠님.이한원님.고광의님.정영옥님 부부.곽병태님.이선우님.강경복님.강형태님.김권봉님.
                                          정환규님.최덕조님.김정옥님. 이승희님부부.홍기표님.김숙희님.안수영님.김병한님.박종율.

 

◈ 지도.

 

 

금대지맥 1구간[두문동재(싸리재)-백두 금대봉(1418.1m)-대덕산-배재(412번도로)]. 지도 1.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금대지맥 1구간[두문동재(싸리재)-백두 금대봉(1418.1m)-대덕산-배재(412번도로)]. 지도 1.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일정정리. 10 ; 40 ~ 16 ; 24.

 

06 : 30. 천안출발.
07 : 30/08 : 00. 일죽 대송휴게소에서 합류하여 박달령휴게소 들려
10 : 25/40. 두문동재(싸리재)도착하여 예약확인하고 주의사항 듣고 명패받아 금대봉으로.두문동재 표석.대덕산-금대봉안내판.
10 : 48/9. 임도 갈림길. 임도는 금대봉 좌측사면으로 건너가고 직진해 금대봉으로 오름.생태보전지역.백두대간 안내판.
10 : 58/11 : 03. 금
대봉(峰.1418.1m). 삼각점.정상석.한강발원봉 표지목.서쪽만 트여 두위봉.백운산 노목산보임.
11 ; 08. 내림길에 두위봉,노목분기봉,분주령,대덕산조망.
11 : 11. 안부.좌측 두문동재에서 온 임도만나 우측으로
11 : 13. 약간 오른 둔덕의 근무자 초소(?)에서 금대봉과 싸리재,은대봉,조망.
11 : 15/6. 1332m 얕으막한 둔덕봉.금대봉,은대봉, 함백산.백운.두위봉.노목분기봉,대덕산. 멀리 청옥,두타산조망.다시  임도로
11 : 18. 능선,사면길에서 노목분기봉(1347m.우암산)가는 능선길은 다음 노목지맥때 가기로 하고 우측 사면길로 감.
11 ; 22/4. 한강 발원지인 고목나무샘에서 물 한모금 마시고.시원한 그늘 사면길로
11 : 28. 건너편 능선위.좌측  노목지맥분기봉인 1347m 우암산)쪽은 길이 안보임.우측으로 내려감.원시자연림이라 시원하고 걷기편함
11 : 37. 1271m봉. 쭈욱 내려가서 살짝 올라선 둔덕봉. 다시 내림길로
11 : 46. 평퍼짐한 평지능선에 가지가 휜 큰나무.여기를 지나면서 부터는 길은 마루금 우측으로  좀 떨어져  사면길로 내려감
12 : 04. 분주령 바로전 묘지에서 앞쪽으로 1259m봉과 대덕산이 보임.
12 : 05. 분주령.우측으로 검용소 하산길.안내판.좌측으로 내려가면 남한에서 제일 오래된 백전 물레방아가 있음.
12 : 09. 좀 올라간 쑥밭에서 금대봉부터 지나온 길을 뒤돌아 보고 숲길로 듦.
12 : 28. 1259m봉을 우측 사면으로 건너온 안부.쑥밭지대.앞에 대덕산과 우측으로 금대봉-우암산조망.
12 : 29/34.대덕산 오름길 초입. 우측으로 검용소 하산길에 근무자에게 명패를 전달하고.
12 : 43/ 13 : 05.대덕산(大德山.1310.6m).큰나무가 없는 넓은 평탄지.정상석과 2등삼각점. 안내판.우측으로 검용소하산길. 좌측으로 내려감. 
                       매봉산 뒤로 육백산, 백병산이 보이고  금대봉,함백산과 그 우측으로  백운산, 두위봉등 조망이 좋다.
13 ; 20. 핏대봉(1275m). 좌측으로 꺽어 평지능선을 가고
13 : 24. 우측으로 청옥두타쪽이 보이고
13 : 27. 고랭지채소밭. 전선넘어 밭안으로 들어가 밭 우측 갓으로 내려감.수확하고 버린 배추들을 챙기고 조망트임.
13 : 36. 밭끝.우측에 높은 철주 안테나. 임도.여기서 전선줄넘어 숲으로 들어 약간 좌틀해서 내려가야하나
                 .족적없고 능선이 두리뭉실해 애매함.우측 능선으로 내려가기 쉬움<주의>
13 ; 38/9.우리는 밭끝에서 임도따라 좌측으로 조금 내려가서 우측으로 붙어 좌틀해 내려감
13 ; 55. 안부. 키를 넘는 목초지. 뒤로 내려온 능선조망.
13 ; 59. 살짝 올라선 둔덕엔 층층으로 된 시루바위.바위 우측으로 잡초해치고
14 : 10/23. 1161m봉. 잡목봉에서 좌측으로 내려감<주의>길은 좀 나아짐.
14 ; 37/39. 송전철탑과 이동통신탑.우측으로 철탑길따라 내려감.
14 ; 46. 철탑길따라 마루금 우측으로 내려갔다 마루금 좌측으로 넘어가 마루금을 우측에 끼고 내려가며 내봉산과 좌측골조망.

14 : 49. 2차선도로에 떨여져 도로따라  앞 고개로 오르고
14 : 51.2차선도로 울둔고개 .좌측 매봉산은 생략하고 앞에 보이는 배재로 감.
        여기서 앞서간 일행중 3 명은 매봉산으로 갔고 3 명은 배재로 가서 1133m봉까지 진행해서 골짜기 따라 내려오고
14 : 57. 골끝 도로삼거리.우측은 태백 원동.직진은사북 판문. 우측에서 올라온  412번도로 만나 배재고개로 오름.판문리 산채나라미을안내판.
15 : 07/27. 배재. 2차선 412번도로. 절개자기 높다. 표고는 약 1020m. 여기서 산행접고 잘라먹고 온 1127m봉을 다시 오름
                        .매봉산으로 간 선두 3명을  만나고.
15 : 46.벌목하고 낙엽송을 심은 조림지끝봉(녹슨 TV 안테나)에서1184.9m봉과  다음구간의 산들을 둘러보고.
                    다음구간엔 1000m가 넘는고지대의 고랭지밭이 무진 넓게 건너다 보인다.
15 : 50/52. 평지능선을 쭈욱간 매봉산(1127m). 우측 건너편 내봉산(1089m)은 뚝 떨어졌다 다시 오른다.내봉산쪽은 철조망이 쳐져있고.
15 : 54/16 : 08.좌로 꺽임점.내림길이 전혀  안보이고 좀 내려가면 길이 나온다.직진해 내려가다 다시 올라왔다,
16 : 18. 맨밑 안부. 좌측으로 내려가 보나 낙석방지 철망이다. 다시 올라와 앞 둔덕을 넘어간다.
16 : 24. 다시 돌아온 울든고개.2차선도로.도로따라 좌측으로 내려가니
16 : 28.도로삼거리에 차가 기다리고 있다.
16 ; 35/50. 다시 배재를 넘어 골짜기 삼거리에서 선두조 3명 태우고  골짜기 물로 대충 세수만하고출발.
17 : 20/55. 정선군 고한면 상갈래 정암사입구의 송암정(松岩鼎)에서 산채비빔밥으로저녁먹고출발.
19 : 55. 안성 일죽의 대송휴게소에 도착하여 차량회수
21 : 00. 천안도착.



◈ 산행후기.

※ 두문동재(싸리재)-백두 금대봉(1418.1m)-대덕산(1310.6m). 2시간.

 

06 : 30. 천안출발.
07 : 30/08 : 00. 일죽 대송휴게소에서 합류하여 박달령휴게소 들려
10 : 25/40. 두문동재(싸리재)도착하여 예약확인하고 주의사항 듣고 명패받아 금대봉으로.두문동재 표석.대덕산-금대봉안내판.
10 : 48/9. 임도 갈림길. 임도는 금대봉 좌측사면으로 건너가고 직진해 금대봉으로 오름.생태보전지역.백두대간 안내판.
10 : 58/11 : 03. 금
대봉(峰.1418.1m). 삼각점.정상석.한강발원봉 표지목.서쪽만 트여 두위봉.백운산 노목산보임.
11 ; 08. 내림길에 두위봉,노목분기봉,분주령,대덕산조망.
11 : 11. 안부.좌측 두문동재에서 온 임도만나 우측으로
11 : 13. 약간 오른 둔덕의 근무자 초소(?)에서 금대봉과 싸리재,은대봉,조망.
11 : 15/6. 1332m 얕으막한 둔덕봉.금대봉,은대봉, 함백산.백운.두위봉.노목분기봉,대덕산. 멀리 청옥,두타산조망.다시  임도로
11 : 18. 능선,사면길에서 노목분기봉(1347m.우암산)가는 능선길은 다음 노목지맥때 가기로 하고 우측 사면길로 감.
11 ; 22/4. 한강 발원지인 고목나무샘에서 물 한모금 마시고.시원한 그늘 사면길로
11 : 28. 건너편 능선위.좌측  노목지맥분기봉인 1347m 우암산)쪽은 길이 안보임.우측으로 내려감.원시자연림이라 시원하고 걷기편함
11 : 37. 1271m봉. 쭈욱 내려가서 살짝 올라선 둔덕봉. 다시 내림길로
11 : 46. 평퍼짐한 평지능선에 가지가 휜 큰나무.여기를 지나면서 부터는 길은 마루금 우측으로  좀 떨어져  사면길로 내려감
12 : 04. 분주령 바로전 묘지에서 앞쪽으로 1259m봉과 대덕산이 보임.
12 : 05. 분주령.우측으로 검용소 하산길.안내판.좌측으로 내려가면 남한에서 제일 오래된 백전 물레방아가 있음.
12 : 09. 좀 올라간 쑥밭에서 금대봉부터 지나온 길을 뒤돌아 보고 숲길로 듦.
12 : 28. 1259m봉을 우측 사면으로 건너온 안부.쑥밭지대.앞에 대덕산과 우측으로 금대봉-우암산조망.
12 : 29/34.대덕산 오름길 초입. 우측으로 검용소 하산길에 근무자에게 명패를 전달하고.
12 : 43/ 13 : 05.대덕산(大德山.1310.6m).큰나무가 없는 넓은 평탄지.정상석과 2등삼각점. 안내판.우측으로 검용소하산길. 좌측으로 내려감. 
                       매봉산 뒤로 육백산, 백병산이 보이고  금대봉,함백산과 그 우측으로  백운산, 두위봉등 조망이 좋다.

 

 

10 : 25/40. 두문동재(싸리재).
지금은 발밑으로 38번도로 두문동터널과 싸릿재터널이  뚫려 한적한 도로가 됐지만
산꾼들에겐 누구나 추억 한자락씩을 가지고 있는  추억속의 백두대간 길로 고개 높이가 1268m로
만항재에 이어 두번짼가 세번째에 드는 높은 고개다.

 

 

 

10 : 25/40. 두문동재(싸리재) 생태보전지역 감시초소.
금대봉-분주령-대덕산-검용소일대 4.2㎢를 1993년   환경부가  생태계 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하여
이곳을 갈려면 사전에 예약을 하여야 하는데 5월 16일부터 10월말일까지 갈수있고
 매월 20일에  인터넷으로만 예약을 받는다.
1일 300명 이내이고  단체예약이나 전화로는 예약이 안된다.
1인 5명까지 예약이 가능하고 대표예약자는 신분증을 지참하여야하며
검용소구간(주차장-검용소)및 백두대간구간(두문동재-금대봉-매봉산)은  사전예약없이 탐방이 가능하다.

 

 


 

생태보전지역 안내도.

 

 

 

예약확인하고 주의사항 듣고 명패받아 금대봉으로 출발하며 뒤 돌아 본 은대봉.

 

 

 

10 : 48/9. 임도 갈림길.
임도는 금대봉 좌측사면으로 건너가고 직진해 금대봉으로 오름.생태보전지역.백두대간 안내판.


 

 

임도 갈림길의 백두대간 안내도.
백두대간!!  어머니와 같은 단어로 말만 들어도 가슴이 찡해지는 단어다.
처음 백두대간 이 길을 걸을때가 96년 초 봄이었는데  쌓인 눈이  녹아내리며 생긴 고드름이 지금도 눈에 선하다.

 

 

10 : 58/11 : 03. 금대봉(峰.1418.1m).
2등 삼각점.정상석.한강발원봉 표지목.서쪽만 트여 두위봉.백운산 노목산이 보임.

 

台란  " 검대" 로 신이사는곳이란 뜻이란다.
이봉 북쪽엔 한강의 발원지인 검용소가 있고 남쪽에선 낙동강이 발원한다.

 

 


 

10 : 58/11 : 03. 금대봉(峰.1418.1m)에서 본  두위지맥의 백운산(좌)-두위봉(우).

 

 

10 : 58/11 : 03. 금대봉(峰.1418.1m)에서 후미그룹.
좌측부터 김권봉님. 김형식 달인클럽 회장님.이선우님. 이승희님부부. 김정옥님. 곽병태님. 김숙희님. 강형태님. 나.

 

 

 

11 ; 08. 금대봉(峰.1418.1m) 내림길에 본  두위봉,노목분기봉(우암산).
원안은 감시초소.

 

 

 

11 ; 08. 금대봉(峰.1418.1m) 내림길에 본  노목분기봉(우암산).1271m.

 

 

 

11 ; 08. 금대봉(峰.1418.1m) 내림길에 본 분주령,대덕산.

 

 

11 : 13. 약간 오른 둔덕의 근무자 초소(?)에서 뒤 돌아 본 금대봉.

 

 

 

11 : 15/6. 1332m 얕으막한 둔덕봉에서 본 함백산-만항재-백운산. 1

 

 

 

11 : 15/6. 1332m 얕으막한 둔덕봉에서 본 백운산-두위봉. 2

 

.

 

11 : 15/6. 1332m 얕으막한 둔덕봉에서 본 노목지맥 분기봉인 1347m(우암산). 3

 

 

 

11 : 15/6. 1332m 얕으막한 둔덕봉에서 본 노목지맥 분기봉인 1347m(우암산)-분주령-대덕산(우). 4

 

 

 

11 ; 22/4. 한강 발원지인 고목나무샘에서 물 한모금 마시고.
96년 초 대간할때 여길왔다 갔는데 그때 프라스틱  물 바기지를 깨먹은게 영 마음에 걸려
이번엔 곡 스텐 물바가지를 가지고 온다는것이 또 못가지고 왔다.
다음 10월에 노목지맥할땐 잊지말로 꼭 가지고와야지...

 

 

 

11 : 37. 1271m봉. 쭈욱 내려가서 살짝 올라선 둔덕봉.
다시 내림길로

 

 

 

11 : 46. 평퍼짐한 평지능선에 가지가 휜 큰나무.
여기를 지나면서 부터는 길은 마루금 우측으로  좀 떨어져  사면길로 편백숲을  내려간다.

 

 


 

12 : 05. 분주령.
우측으로 검용소 하산길.안내판.좌측으로 내려가면 남한에서 제일 오래된 백전 물레방아가 있음.


 

 

 

12 : 09. 좀 올라간 쑥밭에서 금대봉부터 지나온 길을 뒤돌아 보고 숲길로 듦.

 

 

 

12 : 28. 1259m봉을 우측 사면으로 건너온 안부의 쑥밭지대에서 본 대덕산. 1

 

 

 

12 : 28. 1259m봉을 우측 사면으로 건너온 안부의 쑥밭지대에서 본 금대봉(좌)-노목분기봉인 우암산(우)과 분주령 (우측중간). 2

 

 

 

12 : 29/34.대덕산 오름길 초입. 우측으로 검용소 하산길에 근무자에게 명패를 전달하고.

 

 

 

12 : 43/ 13 : 05.대덕산(大德山.1310.6m).큰나무가 없는 넓은 평탄지.정상석과 2등삼각점. 안내판.우측으로 검용소하산길. 좌측으로 내려감. 
                       매봉산 뒤로 육백산, 백병산이 보이고  금대봉,함백산과 그 우측으로  백운산, 두위봉등 조망이 좋다. 1

 

 

 

12 : 43/ 13 : 05.대덕산(大德山.1310.6m)에서 본 갈 핏대봉(맨 좌측 앞봉)과 멀리 청옥두타(우). 2

 

 

 

12 : 43/ 13 : 05.대덕산(大德山.1310.6m)에서 본 금대봉(맨우측),함백산(가운데 통신탑봉)과 태백산(함배산우측뒤).
비단봉(좌측아래). 3

 

 

 

12 : 43/ 13 : 05.대덕산(大德山.1310.6m)에서 본 매봉산의 풍차들과 뒤는 낙동 백병산. 4

 

 

 

12 : 43/ 13 : 05.대덕산(大德山.1310.6m)에서 본 육백산과 응봉.사금산.
맨좌측끝이 육백지맥의 긑인 삼척항앞. 5

 

 

 

12 : 43/ 13 : 05.대덕산(大德山.1310.6m)에서 본 노목분기봉인 우암산(좌)-분주령(우측아래)
가눈데 뒤는 두위지맥의 백운산. 6

 

 

 

12 : 43/ 13 : 05.대덕산(大德山.1310.6m)에서 본 두위봉과 노목산(우중). 7

 

 

 

12 : 43/ 13 : 05.대덕산(大德山.1310.6m)의 생태보전지역 안내도.

 

 

 

 

※ 대덕산(1310.6m)-매봉산(1127m)-배재(412번도로). 2시간 50분.

 

12 : 43/ 13 : 05.대덕산(大德山.1310.6m).큰나무가 없는 넓은 평탄지.정상석과 2등삼각점. 안내판.우측으로 검용소하산길. 좌측으로 내려감. 
                       매봉산 뒤로 육백산, 백병산이 보이고  금대봉,함백산과 그 우측으로  백운산, 두위봉등 조망이 좋다.
13 ; 20. 핏대봉(1275m). 좌측으로 꺽어 평지능선을 가고
13 : 24. 우측으로 청옥두타쪽이 보이고
13 : 27. 고랭지채소밭. 전선넘어 밭안으로 들어가 밭 우측 갓으로 내려감.수확하고 버린 배추들을 챙기고 조망트임.
13 : 36. 밭끝.우측에 높은 철주 안테나. 임도.여기서 전선줄넘어 숲으로 들어 약간 좌틀해서 내려가야하나
                 .족적없고 능선이 두리뭉실해 애매함.우측 능선으로 내려가기 쉬움<주의>
13 ; 38/9.우리는 밭끝에서 임도따라 좌측으로 조금 내려가서 우측으로 붙어 좌틀해 내려감
13 ; 55. 안부. 키를 넘는 목초지. 뒤로 내려온 능선조망.
13 ; 59. 살짝 올라선 둔덕엔 층층으로 된 시루바위.바위 우측으로 잡초해치고
14 : 10/23. 1161m봉. 잡목봉에서 좌측으로 내려감<주의>길은 좀 나아짐.
14 ; 37/39. 송전철탑과 이동통신탑.우측으로 철탑길따라 내려감.
14 ; 46. 철탑길따라 마루금 우측으로 내려갔다 마루금 좌측으로 넘어가 마루금을 우측에 끼고 내려가며 내봉산과 좌측골조망.

14 : 49. 2차선도로에 떨여져 도로따라  앞 고개로 오르고
14 : 51.2차선도로 울둔고개 .좌측 매봉산은 생략하고 앞에 보이는 배재로 감.
        여기서 앞서간 일행중 3 명은 매봉산으로 갔고 3 명은 배재로 가서 1133m봉까지 진행해서 골짜기 따라 내려오고
14 : 57. 골끝 도로삼거리.우측은 태백 원동.직진은사북 판문. 우측에서 올라온  412번도로 만나 배재고개로 오름.판문리 산채나라미을안내판.
15 : 07/27. 배재. 2차선 412번도로. 절개자기 높다. 표고는 약 1020m. 여기서 산행접고 잘라먹고 온 1127m봉을 다시 오름
                        .매봉산으로 간 선두 3명을  만나고.
15 : 46.벌목하고 낙엽송을 심은 조림지끝봉(녹슨 TV 안테나)에서1184.9m봉과  다음구간의 산들을 둘러보고.
                    다음구간엔 1000m가 넘는고지대의 고랭지밭이 무진 넓게 건너다 보인다.
15 : 50/52. 평지능선을 쭈욱간 매봉산(1127m). 우측 건너편 내봉산(1089m)은 뚝 떨어졌다 다시 오른다.내봉산쪽은 철조망이 쳐져있고.
15 : 54/16 : 08.좌로 꺽임점.내림길이 전혀  안보이고 좀 내려가면 길이 나온다.직진해 내려가다 다시 올라왔다,
16 : 18. 맨밑 안부. 좌측으로 내려가 보나 낙석방지 철망이다. 다시 올라와 앞 둔덕을 넘어간다.
16 : 24. 다시 돌아온 울든고개.2차선도로.도로따라 좌측으로 내려가니
16 : 28.도로삼거리에 차가 기다리고 있다.
16 ; 35/50. 다시 배재를 넘어 골짜기 삼거리에서 선두조 3명 태우고  골짜기 물로 대충 세수만하고출발.
17 : 20/55. 정선군 고한면 상갈래 정암사입구의 송암정(松岩鼎)에서 산채비빔밥으로저녁먹고출발.
19 : 55. 안성 일죽의 대송휴게소에 도착하여 차량회수
21 : 00. 천안도착.



13 ; 20. 핏대봉(1275m). 좌측으로 꺽어 평지능선을 가고

 

 

13 : 24. 우측으로 광동댐 이주단와  청옥두타쪽이 보이고

 

 


13 : 27. 고랭지채소밭.1200m에 있는 고냉지밭이다.
전선넘어 밭안으로 들어가 밭 우측 갓으로 내려감.수확하고 버린 배추들을 챙기고 조망트임.

 

 

13 : 27. 1200m 고랭지 채소밭에서 본 갈 지맥모습.1

 

 

 

13 : 27. 1200m 고랭지 채소밭에서 본 갈 지맥모습.2

 

 

 

 

13 : 27. 1200m 고랭지 채소밭에서 본 청옥두타와 광동댐 이주단지의 풍차들모습. 3

 

 

13 : 36. 밭끝에서 뒤돌아 본 고냉지밭.
우측에 높은 철주 안테나. 임도.여기서 전선줄넘어 숲으로 들어 약간 좌틀해서 내려가야하나
                 .족적없고 능선이 두리뭉실해 애매함.우측 능선으로 내려가기 쉬움<주의>

 

 

 

13 ; 55. 안부.
키를 넘는 목초지에서 본 1161m봉.

 

 

 

 

 13 : 58. 키를 넘는 목초지 안부에서 뒤 돌아 본  고냉지밭과 철기둥 안테나.
작은 그림은 시루바위.

 

 

 

14 : 10/23. 1161m봉.

 잡목봉에서 좌측으로 내려감<주의>길은 좀 나아짐.

 

 


14 : 10/23. 1161m봉에서 헤매고 오는 후미를 기다리고.

 

 

14 ; 37/39. 송전철탑과 이동통신탑.
우측으로 철탑길따라 내려감.

 

 


14 ; 37/39. 송전철탑과 이동통신탑.

우측으로 철탑길따라 내려감.

 

 


14 ; 46. 철탑길따라 마루금 우측으로 내려갔다 마루금 좌측으로 넘어가 마루금을 우측에 끼고 내려가며 본 내봉산(뾰족봉)과 매봉산(우측 두리붕실봉).

 

 

14 : 49. 2차선도로에 떨여져 도로따라  앞 고개로 오르고

 

 

14 : 51.2차선도로 울둔고개 .
좌측 매봉산은 생략하고 앞에 보이는 배재로 감.
        여기서 앞서간 일행중 3 명은 매봉산으로 갔고 3 명은 배재로 가서 1133m봉까지 진행해서 골짜기 따라 내려오고

 

 


14 : 51.2차선도로 울둔고개를 내려가며 본 배재와 1184 .9m봉.

 

 


14 : 51.2차선도로 울둔고개를 내려가며 본 매봉산(1127m).

 

 

14 : 57. 골끝 도로삼거리.

우측은 태백 원동.직진은사북 판문. 우측에서 올라온  412번도로 만나 배재고개로 오름.판문리 산채나라 마을 안내판.

15 : 00.   배재 오름길에 뒤 돌아 본 울둔고개와 고냉지 채소밭-1161m-철탑.

 

 

15 : 07/27. 배재. 2차선 412번도로. 절개자기 높다. 표고는 약 1020m.
여기서 산행접고 잘라먹고 온 1127m봉을 다시 오름
                        .매봉산으로 간 선두 3명을  만나고.

 

 


15 : 07/27. 배재에서 뒤 돌아 본 대덕산-고냉지밭-울둔고개-배재.
온통 고냉지 배추밭이다.

 

 

 

15 : 07/27. 배재.
원 계획은 좀더 가서 1120m봉에서 내려와 전체를 4구간으로 끊어볼까 했는데
좀더 가봐야 내림길이 길고 다음차에 올라갈때 힘들것같아 여기서 산행을 접는단다.

이미 이곳을 통과한 선두가 내려올려면 시간이 걸릴듯싶어 빼먹고 온 매봉산을 역으로 올라갔다.

 

 

 

15 : 42.벌목하고 낙엽송을 심은 벌목지끝에서 본 다음구간의 고혈치-오두재.

 

 

15 : 46.벌목하고 낙엽송을 심은 조림지끝봉(녹슨 TV 안테나)에서 배재와 1184.9m봉과  다음구간의 산들을 둘러보고.1

 

 


 

15 : 46.벌목하고 낙엽송을 심은 조림지끝봉(녹슨 TV 안테나)에서 삼봉산-고혈치등 다음구간의 산들을 둘러보고 2.

 

 

15 : 50/52. 평지능선을 쭈욱간 매봉산(1127m).
우측 건너편 내봉산(1089m)은 뚝 떨어졌다 다시 오른다.내봉산쪽은 철조망이 쳐져있고.

 

 


15 ; 54. 내림길에 본 우측 건너편 내봉산(1089m).

 

 

16 : 24. 다시 돌아온 울든고개.2차선도로.도로따라 좌측으로 내려가니

 

 

 

16 : 28.도로삼거리에 차가 기다리고 있다.

 

 

17 : 20/55. 정선군 고한면 상갈래 정암사입구의 송암정(松岩鼎)에서 산채비빔밥으로저녁먹고.

 

 


17 : 20/55. 정선군 고한면 상갈래 정암사입구의 송암정(松岩鼎)에서 산채비빔밥으로저녁먹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