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 기맥,지맥.

일월지맥 2구간(911도로-흥림산(766.7m)-작약봉(728m)-행곡령-동천/반변천 합수점)終.

산경표 2013. 9. 6. 23:10

 

일월지맥 2구간(911도로-흥림산(766.7m)-작약봉(728m)-행곡령-동천/반변천 합수점)終.

 

◈ 산행코소와 거리 및 소요시간 : 도상거리 20km.  10시간 30분.

경북 영양군 청기면 산운리와 일월면  가곡리 경계인 911도로 -449.4m봉-임도-718m봉-흥림산(766.7m)-작약봉(728m)-서부리고개 임도 삼거리-
행곡령(920번도로)-표대산(579.5m)-이중산(430m)-무이산(433m)-451.3m-장군놀이터-소원봉-다시 장군놀이터-석문교-남이정 (동천/반변천합수점).
 

 

◈ 일시 : 2013. 9. 2(월). 어제 1구간에 이어

 

◈ 날씨 :   가을이 성큼 다가온 듯 시원하고  하늘도 높아 산행하기 좋음.

 

동행인 : 이선우님과 둘이서.

 

◈ 지도.

 

 

일월지맥 2구간(911도로-흥림산(766.7m)-작약봉(728m)-행곡령-동천/반변천 합수점)終. 지도1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일월지맥 2구간(911도로-흥림산(766.7m)-작약봉(728m)-행곡령-동천/반변천 합수점)終. 지도1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 일정정리.

 

04 : 00. 영양읍 목화장여관에서 일찌감치 기상하여 떡으로 아침을 먹고.
06 : 20. 터미널에서 토곡.청기가는 마을 버스를 타고 일월면,조지훈 생가가  있는 주실마을을 지나
06 : 37/40. 폐초교가 있는 가곡삼거리에서 좌회전해서 청기면과 일월면경계인 고갯마루에 도착.
06 ; 45. 벌초해 잘 깍은 묘지길따라 오른 쌍묘.바로 윗봉이 431m봉.
06 : 48. 431m봉에서 좌측으로 내려가고 → 앞 둔덕봉을 넘어서
06 : 55. 경주이씨묘지를 지나 ㅏ길 둔덕에서 우측으로 꺽어 내려간다.짙은 안개로 보이는건 없고 이슬은 바짓가랭을 적신다.<직진아님>
07 : 07/10. 449.4m. 안부지나 둔덕에서 우측으로 꺽어  쭈욱 올라간 두번째봉.둥근 군 참호와  ROKAMC 군삼각점.처음으로 표지기 보임. 
07 : 16/19. 소나무많은 430m봉. 넘어에 묘가 있고 건너편에 482m봉이 보이나 좌측으로 삥 돌아간다.
07 ; 29/34. 482m봉. 묘뒤에 녹슨 TV 안테나.오름길 좌측은 벌목했고 묘에서 흥림산을 보며 좌측으로 내려감 .<직진아님>.
07 : 39. 내림길에 살짝 좌틀해 내려선 칡덩쿨로 덮힌 큰 묵밭안부.→묵밭 좌측으로 돌아가서 → 잣밭으로 올라 →둔덕봉을 넘어 좌측으로 내려감.
07 : 52. 임도. 우측은 주현,좌측은 서편.앞 둔덕 오름길은 길도 표지기도 없다.쭈욱  올라가서 우측으로  좀더 오른다.
08 ; 07/15. 483m. 큰 소나무들 .잠시 숨돌리고
08 : 16 . 100여m 내려가선  좌측으로 꺽어 좌측에 낙엽송조림지를 끼고 솔밭능선을 간다 < 직진아님>
08 : 21. 안부건너 좌측능선에서 올라온 빤빤한 길만나 우측으로 꺽어 오르며 길은 좋아진다.
08 : 23/25. 상태좋은 임도.임도가 U자로 돌아가는곳 건너편 능선초입 나무엔 24번 명찰.
08 ; 29. 앞능선에 붙어 둔덕을 넘어거면 벌목지가 나오고 다시 임도로 내려선다.직진한다..임도따라 좌측으로 내려가면 대명사.

08 ; 40. 한턱 올라선 묵은 임도.임도따라 우측으로 조금 올라가선 임도 우측능선으로 붙음.
08 ; 53/9. 우측이  빼곡한 춘양목 소나무밭을 쭈욱 올라간 간벌목끝에서 잠시 숨돌리고 .된비얄에 길도 시원찮아 기운뺀다.이후는 길이 더 나쁘다.
09 : 07. 718m. 묵은묘지가 있고 길은 최악이라 온통 가시밭뿐.좌측으로 꺽어 753mn을 보며 가고
09 ; 20. 753m봉. 빼곡한 철쭉잡목.넘어쪽 묵은  묘지에서 앞에 흥림산이 보이고
09 : 36/41. 흥림산(興霖山.766.7m). 정상부가 펑퍼짐한 잡목봉 좌측에 2층 산불초소와 묵은 묘.영양 21 삼각점 안내판.대삼각점은 풀속 어디에?
09 ; 47. 쭈욱 내려가 안부 건너 묘위에 나무들이 잔뜩 난 둔덕봉에 올라  우로 꺽어 내려가며 소독해 덮은 훈증목들
09 : 55. 사정없이 뚝 떨어져 내려간 안부. 울창한 소나무숲.
10 : 02. 둔덕을 우측 사면으로 건너간 629봉밑 안부.우측으로 사면길 있으나  우측 계곡으로 내려가는 길인듯싶어 직진해 오르고
10 : 09/`15. 빨딱 올라선 629m봉. 역시 봉분에 나무들이 난 목묘 우측으로 내려가며 우측에서 건너온 길은 안보인다.
 10 ; 34. 작은 둔덕을 넘어 된비얄을 치고 오른봉. 작약봉이 건너다 보이고 .살짝 내려섰다 다시 된비얄을 치고 오를듯
10 : 42. 작약봉 오름길은 된비얄에 잡목도 가세해 네발로 기어 오르다 뒤돌아 보니 흥림산이 우뚝하다.
10 : 51. 작약봉(芍藥峰.726m).잡목으로 조망없고 묵묘1기. 아무런 표식없음.좌측 건너편에 정상석이 있고 우측 아래에 삼각점.
10 ; 54/5. 좌측 건너편 얕은 둔덕에 작약봉 정상표석에서 영양읍내조망.남쪽지능선에 양호한 하산길.
10 ; 57. 다시 돌아온 작약봉.
10 : 58. 평지능선을  내려가  내무부 1981.6 삼각점.여기서부터 내림길이 된다.
11 : 00. 흥림산과 그 좌측 아래로 나방동마을을 뒤돌아 보고
11 : 07. 솔밭길을 쭈욱 내려간 664m봉전 안부. 좌측으로 사면길 있나 살펴봐도 길은  안보인다.
11 ; 10. 664m봉에서 좌측으로 내려서고
11 : 12. 문패없는 묘지에서 살짝 우틀해 쭈욱 내려간다.<좌측 좀 높은 능선아님>
11 : 18. 계곡같은 안부를 건너 둔덕에 올라서서 능선따라 밋밋하게 가고
11 ; 21. 우측에 시야가 탁트이며 밭이 나오면  밭 좌측갓을 따라 내려간다.조망좋다.
11 : 24/25. 밭 갓에 높은  산불초소와 기상관측장치통신탑.우측에 집이 보이는 밭을 떠나 좌측 임도로  내려서고
11 : 31. 임도따라 내려간 임도삼거리.임도 안내판.임도따라 계속내려가고 .동부리.서부리.정족리 이정표.
11 : 41/12 : 11. 행곡령(行哭領).팔수골재.920번도로.표고 약 470m.영양읍과 청기면 경계.우측밑에 쉼터. 좌측 고갯마루에 의자들. 점심.
              좌측 새마을촌뒤로  작약산 조망이 좋고 여기서부터는 길이 정비됐고 오르 내림길엔 기둥있는 로프가 설치됐고 이정표도 있다.
             165억원을 들여  이번달에 길이 780m되는  팔수골재 터널공사가 시작된단다.
12 : 22. 로프따라 빨딱 올라서 558m봉은 촟대석 묘지가 있는 좌사면으로 건너간다.
12 ; 31. 다시 로프따라  된비얄을 올라서면 좌측은 약초재배지 입산금지 현수막이 있고   하얀 비닐끈이 능선따라 이어진다.
12 ; 38. 밋밋한 둔덕을 지나며  월삼사 2.5km,팔수골정상 1.0km이정표.
12 : 39. 바로 앞엔 또 석문교 6.25km,표대봉 0.05km 이정표가 있고 우측 사면으로 석문교가는길.바로앞이 표대산정상
12 ; 40/1. 표대산(579.5m). 글자를 알 수 없는 삼각점(영양 301이란다).선유봉 -1.2k-푯대봉 (580m)-1.2k- 행곡령이정표.
12 ; 44. 표대봉 0.05km 이정표가 있어 혹시나 싶어 다시 빽하여 밋밋한 둔덕봉에 가보나 아무것도 없다.
12 : 46. 표대봉 정상직전 우사면으로 내려가고.<정상넘어 직진 아님>
12 ; 52. 쭈욱 내려가 안부를 지나면 낙안오공묘가 있고
12 ; 57/13 : 00. 505m(500m)봉에서 좌틀해 보기좋은 솔밭길을 내려간다.
13 ; 02. 둔덕봉. 우측 능선에 뾰족봉이 있어 그쪽이 맥같지만 좌측으로 간다.<주의>
13 : 05. 살짝 내려섰다 오른 둔덕에서 좌측으로 꺽어가는데 표대봉 0.1km석문교 6.20km.얼마를 왔는데 표대봉이 0.1km라니?

13 : 16. 쭈욱 내려가며 우측으로 동천이 휘 돌아가는 모습과 창평동마을이 보인다.
13 : 28. 좌우가 급경사인 잘록이를 지나 오른 도상 400m봉.넘어서면 벌초한 묘가 있고
13 : 33. 봉에서 우측으로 꺽어가며 우측밑에서 동천이 한반도 모양을 그리며 휘돌아가는 모습과 창평동마을이 선명하게 보인다.
13 ; 38. 399m봉을 우측 로프있는 사면길로 건너가며  우측으로 한반도지형을 보고
13 ; 41. 441m봉을 좌측 지능선으로 건너가 오르며 이정표(석문교 3.65km. 표대봉 2.65km)
13 ; 50/7. 로프따라 된비얄 올라선 441m봉에서 잠시 쉬어가고. 조금 내려서면 갈 톱날능선이 줄줄이 보인다.
14 ; 12. 447m봉. 넘어서면 잣나무 조림지뒤로  바로 앞에 430m 이중산이 보인다.
14 : 15. 옛성터였는지 폭 2 ~3 m정도의 돌길이 나오고
14 ; 18/22. 도상 430m 이중산. 좌로 꺽어가며 좌측으로 반변천과 뒤로 흥림산부터 -447m봉까지 지나온 능선이 보인다.
                         우측으로  뚝 떨어져 내려가 너름산(303.4m) 능선이 분기한다.
14 : 26. 쭈욱 내려간 안부.좌측 7시방향 사면으로 오일도생가쪽 하산길이  있다.
14 ; 30. 로프따라 오른 388m봉. 뒤로 이중산이 뾰족하게 올려다 보이고 바로앞엔  석문교 2.58km 표대봉 3.72km 이정표 나오고
              벌목지가 시작되며  433m 무이산이 보이고 벌목능선은 무이산에서 우측 면계따라 부연공원쪽으로 이어지는게 보인다.
14 : 34. 앞봉에 오르면 조망이 시원하게 트이고 433m 무이산과 뒤로 451.3m봉까지 톱날능선이 건너다 보인다.
14 ; 38. 로프오름길 초입에서 좌측으로 오일도 생가마을인 감천마을과 반변천 건너로  곳대봉(604.3m)이 보이고
14 ; 42. 로프잡고 오른 409m봉에서 우측으로 덕산지맥이 보이고 뒤로는 이중산과 447m 봉, 멀리는 작약봉이 보임.
15 ; 00/06. 봉을 넘고 다시 로프타고 오른  433(427)m 무이산. 표대봉부터 온길과 그 뒤로  일월산이 보이고
             벌목구간은 우측 면경계따라 내려가고 맥은 직진해 소나무숲으로 듦.
15 ; 12. 451.3m봉. 칡덩쿨만 무성하고 삼각점은 안 보인다.
15 ; 26. 쭈욱 내려갔다 길게 소나무숲길을 올라간 426(417)m 봉인데 우측으로 능선분기하고 밋밋하게 가는데 바테리가 디 돼간다.
15 ; 35. 묘뒤에 범상찮은 방굿돌이 있는 묘앞으로 내려간다.
15 ; 41. 녹슨 TV안테나가 있는 봉에서 우측으로 내려간다.카메라가 바테리가 다돼서 작동이 멈춘다.
15 : 47. ㅓ 갈림길인 장군놀이터. 좌측으로 석문교 하산길 . 산책로 0.3km.제1 전망대0.5km.  이정표 .직진해 내려간다.
15 ; 56. 좌측 아래로 제1 전망대 하산길.제2전망대는 직진.
16 : 00. 제 1 전망대. 조망은 별로인 절벽위.다시 올라가 좌측 제 2전망대쪽으로 내려감.
16 ; 05. 묘3기앞을 지나고
16 : 07. 좌측 아래에 제2전망대. 조망은 시원찮음.
16 ; 08. 소원봉. →애기선바위. ← 제 2전망대 이정표와 소원봉 안내판.날등따라  로프사이로 내려감.
16 : 12/15. 더 갈 수 없는 일월지맥의 긑 절벽위.동천과 사시천이 반변천에 드는 합수점과 부용산 끝자락과  입암면이 내려다 보임.
16 : 33. 다시 올라온 장군놀이터. 왕복 46분이 걸림.우측 산책로따라  급경사로 내려감.
16 ; 43. 뚝 떨어져  내려간 산촌생활박물관입구 삼거리.선바위관광지 0.3km.박물관 0.6km.장군놀이터 0.4km.우측으로 산책로따라 내려간다.
16 ; 48/9. 좌측에 반변천을 건너는 석문교.선바위와 남이포안내판.직진해 반변천따라  합수점으로.
16 ; 54. 남이장군 형상유래안내판.우측 절벽바위벽형상
16 ; 55/8. 지맥의긑인 남이정 정자.현판은 전두환 전대통령 친필 이란다.동천과 사시천/ 반변천 합수점  선바위가 우뚝하다.
17 ; 04. 다시 돌아와  석문교를 건너서
17 ; 09. 선바위유원지에서 다시 한번 지맥의 끝자락과 남이정,부용산.선바위와 합수점을 보고
17 : 11/30. 영양고추 홍보전시관앞 화장실에서 씻고.입암택시를 부르나 전화는 안되고 <나중에 알았지만 입암엔 택시가 없다>
17 ; 48. 진보에서 온 어린이집 차를 얻어타고 진보도착.
17 ; 49. 가까스로 동서울행 버스를 타고 안동에 잠깐쉬고 무정차로 동서울로(21500원).
21 ; 45/22 : 00.. 약 4시간걸려 동서울 도착하여 천안으로(6000원)
23 : 20 . 천안도착.

 

◈ 산행후기.

 

※ 911도로-흥림산(766.7m)-작약봉-행곡령(920도로). 5시간.

 

04 : 00. 영양읍 목화장여관에서 일찌감치 기상하여 떡으로 아침을 먹고.
06 : 20. 터미널에서 토곡.청기가는 마을 버스를 타고 일월면,조지훈 생가가  있는 주실마을을 지나
06 : 37/40. 폐초교가 있는 가곡삼거리에서 좌회전해서 청기면과 일월면경계인 고갯마루에 도착.
06 ; 45. 벌초해 잘 깍은 묘지길따라 오른 쌍묘.바로 윗봉이 431m봉.
06 : 48. 431m봉에서 좌측으로 내려가고 → 앞 둔덕봉을 넘어서
06 : 55. 경주이씨묘지를 지나 ㅏ길 둔덕에서 우측으로 꺽어 내려간다.짙은 안개로 보이는건 없고 이슬은 바짓가랭을 적신다.<직진아님>
07 : 07/10. 449.4m. 안부지나 둔덕에서 우측으로 꺽어  쭈욱 올라간 두번째봉.둥근 군 참호와  ROKAMC 군삼각점.처음으로 표지기 보임. 
07 : 16/19. 소나무많은 430m봉. 넘어에 묘가 있고 건너편에 482m봉이 보이나 좌측으로 삥 돌아간다.
07 ; 29/34. 482m봉. 묘뒤에 녹슨 TV 안테나.오름길 좌측은 벌목했고 묘에서 흥림산을 보며 좌측으로 내려감 .<직진아님>.
07 : 39. 내림길에 살짝 좌틀해 내려선 칡덩쿨로 덮힌 큰 묵밭안부.→묵밭 좌측으로 돌아가서 → 잣밭으로 올라 →둔덕봉을 넘어 좌측으로 내려감.
07 : 52. 임도. 우측은 주현,좌측은 서편.앞 둔덕 오름길은 길도 표지기도 없다.쭈욱  올라가서 우측으로  좀더 오른다.
08 ; 07/15. 483m. 큰 소나무들 .잠시 숨돌리고
08 : 16 . 100여m 내려가선  좌측으로 꺽어 좌측에 낙엽송조림지를 끼고 솔밭능선을 간다 < 직진아님>
08 : 21. 안부건너 좌측능선에서 올라온 빤빤한 길만나 우측으로 꺽어 오르며 길은 좋아진다.
08 : 23/25. 상태좋은 임도.임도가 U자로 돌아가는곳 건너편 능선초입 나무엔 24번 명찰.
08 ; 29. 앞능선에 붙어 둔덕을 넘어거면 벌목지가 나오고 다시 임도로 내려선다.직진한다..임도따라 좌측으로 내려가면 대명사.

08 ; 40. 한턱 올라선 묵은 임도.임도따라 우측으로 조금 올라가선 임도 우측능선으로 붙음.
08 ; 53/9. 우측이  빼곡한 춘양목 소나무밭을 쭈욱 올라간 간벌목끝에서 잠시 숨돌리고 .된비얄에 길도 시원찮아 기운뺀다.이후는 길이 더 나쁘다.
09 : 07. 718m. 묵은묘지가 있고 길은 최악이라 온통 가시밭뿐.좌측으로 꺽어 753mn을 보며 가고
09 ; 20. 753m봉. 빼곡한 철쭉잡목.넘어쪽 묵은  묘지에서 앞에 흥림산이 보이고
09 : 36/41. 흥림산(興霖山.766.7m). 정상부가 펑퍼짐한 잡목봉 좌측에 2층 산불초소와 묵은 묘.영양 21 삼각점 안내판.대삼각점은 풀속 어디에?
09 ; 47. 쭈욱 내려가 안부 건너 묘위에 나무들이 잔뜩 난 둔덕봉에 올라  우로 꺽어 내려가며 소독해 덮은 훈증목들
09 : 55. 사정없이 뚝 떨어져 내려간 안부. 울창한 소나무숲.
10 : 02. 둔덕을 우측 사면으로 건너간 629봉밑 안부.우측으로 사면길 있으나  우측 계곡으로 내려가는 길인듯싶어 직진해 오르고
10 : 09/`15. 빨딱 올라선 629m봉. 역시 봉분에 나무들이 난 목묘 우측으로 내려가며 우측에서 건너온 길은 안보인다.
 10 ; 34. 작은 둔덕을 넘어 된비얄을 치고 오른봉. 작약봉이 건너다 보이고 .살짝 내려섰다 다시 된비얄을 치고 오를듯
10 : 42. 작약봉 오름길은 된비얄에 잡목도 가세해 네발로 기어 오르다 뒤돌아 보니 흥림산이 우뚝하다.
10 : 51. 작약봉(芍藥峰.726m).잡목으로 조망없고 묵묘1기. 아무런 표식없음.좌측 건너편에 정상석이 있고 우측 아래에 삼각점.
10 ; 54/5. 좌측 건너편 얕은 둔덕에 작약봉 정상표석에서 영양읍내조망.남쪽지능선에 양호한 하산길.
10 ; 57. 다시 돌아온 작약봉.
10 : 58. 평지능선을  내려가  내무부 1981.6 삼각점.여기서부터 내림길이 된다.
11 : 00. 흥림산과 그 좌측 아래로 나방동마을을 뒤돌아 보고
11 : 07. 솔밭길을 쭈욱 내려간 664m봉전 안부. 좌측으로 사면길 있나 살펴봐도 길은  안보인다.
11 ; 10. 664m봉에서 좌측으로 내려서고
11 : 12. 문패없는 묘지에서 살짝 우틀해 쭈욱 내려간다.<좌측 좀 높은 능선아님>
11 : 18. 계곡같은 안부를 건너 둔덕에 올라서서 능선따라 밋밋하게 가고
11 ; 21. 우측에 시야가 탁트이며 밭이 나오면  밭 좌측갓을 따라 내려간다.조망좋다.
11 : 24/25. 밭 갓에 높은  산불초소와 기상관측장치통신탑.우측에 집이 보이는 밭을 떠나 좌측 임도로  내려서고
11 : 31. 임도따라 내려간 임도삼거리.임도 안내판.임도따라 계속내려가고 .동부리.서부리.정족리 이정표.
11 : 41/12 : 11. 행곡령(行哭領).920번도로.표고 약 470m.영양읍과 청기면 경계.우측밑에 쉼터. 좌측 고갯마루에 의자들. 점심.
              좌측 새마을촌뒤로  작약산 조망이 좋고 여기서부터는 길이 정비됐고 오르 내림길엔 기둥있는 로프 설치됐고 이정표도.

              165억원을 들여  이번달에 길이 780m되는  팔수골재 터널공사가 시작된단다.

 

 

 

영양  터미널에서 안동 서울  버스 시간표. 
입암.진보를 거쳐가니 산행긑나고  입암에서 타면 되겠다.

 

진보에서 안동.서울 시간표.

진보 → 안동.40분. 16 ; 57. 17 ; 15.46.49. 18 : 10.40. 19 : 05.30.
진보 → 동서울 3시간 30분. 16 ; 37. 17 : 49. 21500원.

안동 → 동서울 3시간. 19 : 30.16500
        → 강남.3시간 19 ; 20. 20:10.

 

 

영양택시 054 682 0053.  054 682 0011

입암버스 054 682 4111
영양버스 054 683 2213
.

 

 

 

06 : 20. 터미널에서 가곡 토곡.청기가는 마을 버스를 타고 일월면,조지훈 생가가  있는 주실마을을 지나  911번도로 고갯마루까지 바로간다.

손님은 단 셋인데 주실마을에서 한분 내리고 우리 둘 뿐.

 

 

 

 

벌초해 잘 깍은 묘지길따라 약초밭갓으로 오르며 뒤 돌아 본 고개.

 

 

06 : 55. 경주이씨묘지를 지나 ㅏ길 둔덕에서 우측으로 꺽어 내려간다.
짙은 안개로 보이는건 없고 이슬은 바짓가랭을 적신다.<직진아님>

 

 

07 : 07/10. 449.4m.
안부지나 둔덕에서 우측으로 꺽어  쭈욱 올라간 두번째봉.둥근 군 참호와  ROKAMC 군삼각점.처음으로 표지기가 보인다. 

 

 

07 ; 29/34. 482m봉.
묘뒤에 녹슨 TV 안테나.오름길 좌측은 벌목했고 묘에서 흥림산을 보며 좌측으로 내려감 .<직진아님>.

 

 

 

07 : 39. 내림길에 살짝 좌틀해 내려선 칡덩쿨로 덮힌 큰 묵밭안부에서 우측으로 본 흥림산.
묵밭 좌측으로 돌아가서 → 잣밭으로 올라 →둔덕봉을 넘어 좌측으로 내려간다.

 

 

07 : 52. 임도.
우측은 주현,좌측은 서편.앞 둔덕 오름길은 길도 표지기도 없다.쭈욱  올라가서 우측으로  좀더 오른다.

 

 

08 : 16 . 큰 소나무들 있는 483m에서 잠시 숨돌리고
100여m 내려가선  좌측으로 꺽어  좌측에 낙엽송조림지를 끼고 솔밭능선을 간다 < 직진아님>

 

 

08 : 23/25. 상태좋은 임도.임도가 U자로 돌아가는곳 건너편 능선초입 나무엔 24번 명찰.
앞능선에 붙어 둔덕을 넘어가면 벌목지가 나오고 다시 임도로 내려서니 그냥 임도따라 좌측으로 간다

 

 

여기서 앞 능선으로 붙고 좌측봉이 흥림산이다.
임도따라 좌측으로 내려가면 대명사다.


 

 

08 ; 41. 한턱 올라선 묵은 임도에서 임도따라 우측으로 조금 올라가선 임도 우측능선으로 붙으며 본 흥림산.

 

 

우측이  빼곡한 춘양목 소나무밭을 쭈욱 올라가는데된비얄에 길도 시원찮아 기운뺀다.이후는 길이 더 나쁘다.

 

 

 

09 : 07. 718m.
묵은묘지가 있고 길은 최악이라 온통 가시밭뿐.좌측으로 꺽어 753mn을 보며 가고

 

 

09 : 36/41. 흥림산(興霖山.766.7m).
정상부가 펑퍼짐한 잡목봉 좌측에 2층 산불초소와 묵은 묘가 있고 영양 21 삼각점 안내판.대삼각점은 풀속 어디에?

 

 

10 : 02. 둔덕을 우측 사면으로 건너간 629봉밑 안부.
우측으로 사면길 있으나  우측 계곡으로 내려가는 길인듯싶어 직진해 오르고.
이 우측길은 건너편 안부로 오르지 않는듯.

 

 

10 : 09/`15. 빨딱 올라선 629m봉.

역시 봉분에 나무들이 난 목묘 우측으로 내려가며 우측에서 건너온 길은 안보인다.

 

 

작약봉(芍藥峰.726m)오름길에 땡겨본 흥림산과 뒤로 일월산.

 

 

 

작약봉 오름길은 된비얄에 잡목도 가세해 네발로 기어 오르고

 

 

 

10 : 51. 작약봉(芍藥峰.726m).
잡목으로 조망없고 묵묘1기. 아무런 표식없고 좌측 건너편에 정상석이 있고
맥은 우측으로 꺽어가며  우측 조금 아래에 삼각점이 있다.


 

 

좌측 건너편둔덕봉에 있는 작약봉(芍藥峰.726m) 표석.
정상석은 정상에 있어야 하는게 아닌가?


 

 

작약봉(芍藥峰.726m) 표석에서 본 영양읍.

 

 

 

10 : 58. 다시 돌아와 평지능선을  내려가  내무부 1981.6 삼각점에서 본 흥림산과 일월산.
여기서부터 내림길이 된다.

 

 

 

11 : 12.  664m봉에서 좌측으로 내려서 문패없는 묘지에서 살짝 우틀해 쭈욱 내려간다.<좌측 좀 높은 능선아님>

 

 

시야가 탁트이는 밭이 나오면  밭 좌측갓을 따라 내려간다.조망좋다.


 

 

시야가 탁트이는 밭에서 본 청기면과 뒤로 덕산지맥.

 

 

 

11 : 24/25. 밭 갓에 높은  산불초소와 기상관측장치통신탑.

 

 

 

11 : 24. 우측에 집이 보이는 쪽이 아니고  좌측 임도로  내려서고

 

 

11 : 31. 임도따라 내려간 임도삼거리.
임도 안내판.임도따라 계속내려가고 .동부리.서부리.정족리 이정표.도로따라 아래로 내려간다.
뒤 작약봉쪽이 동부리,앞 쪽이 서부리 팔수골,우측이 정족리.

 

 

 

도로따라 아래 행곡령으로 내려간다.


 

 

행곡령으로 내려가며 좌측 영양읍쪽으로 본 팔수골.

 

 

 

11 : 41/12 : 11. 행곡령(行哭領).920번도로.표고 약 470m.영양읍과 청기면 경계.우측밑에 쉼터. 좌측 고갯마루에 의자들. 점심.
              좌측 새마을촌뒤로  작약산 조망이 좋고 여기서부터는 길이 정비됐고 오르 내림길엔 기둥있는 로프가 설치됐고 이정표도 있다.

 

 

좌측 고갯마루에 의자들. 여기서 점심을 먹었다.

 

 

좌측 고갯마루에서 본 작약봉.
고개를 오르는 차들이 헉헉대고 있는데  165억원을 들여  이번달에 길이 780m되는  팔수골재 터널공사가 시작된단다.

 


 
※ 행곡령(920도로)-표대산(579.5m)-이중산(430m)-합수점(남이정). 5시간.

 

11 : 41/12 : 11. 행곡령(行哭領).920번도로.표고 약 470m.영양읍과 청기면 경계.우측밑에 쉼터. 좌측 고갯마루에 의자들. 점심.
              좌측 새마을촌뒤로  작약산 조망이 좋고 여기서부터는 길이 정비됐고 오르 내림길엔 기둥있는 로프가 설치됐고 이정표도 있다.
               165억원을 들여  이번달에 길이 780m되는  팔수골재 터널공사가 시작된단다.
12 : 22. 로프따라 빨딱 올라서 558m봉은 촟대석 묘지가 있는 좌사면으로 건너간다.
12 ; 31. 다시 로프따라  된비얄을 올라서면 좌측은 약초재배지 입산금지 현수막이 있고   하얀 비닐끈이 능선따라 이어진다.
12 ; 38. 밋밋한 둔덕을 지나며  월삼사 2.5km,팔수골정상 1.0km이정표.
12 : 39. 바로 앞엔 또 석문교 6.25km,표대봉 0.05km 이정표가 있고 우측 사면으로 석문교가는길.바로앞이 표대산정상
12 ; 40/1. 표대산(579.5m). 글자를 알 수 없는 삼각점(영양 301이란다).선유봉 -1.2k-푯대봉 (580m)-1.2k- 행곡령이정표.
12 ; 44. 표대봉 0.05km 이정표가 있어 혹시나 싶어 다시 빽하여 밋밋한 둔덕봉에 가보나 아무것도 없다.
12 : 46. 표대봉 정상직전 우사면으로 내려가고.<정상넘어 직진 아님>
12 ; 52. 쭈욱 내려가 안부를 지나면 낙안오공묘가 있고
12 ; 57/13 : 00. 505m(500m)봉에서 좌틀해 보기좋은 솔밭길을 내려간다.
13 ; 02. 둔덕봉. 우측 능선에 뾰족봉이 있어 그쪽이 맥같지만 좌측으로 간다.<주의>
13 : 05. 살짝 내려섰다 오른 둔덕에서 좌측으로 꺽어가는데 표대봉 0.1km석문교 6.20km.얼마를 왔는데 표대봉이 0.1km라니?

13 : 16. 쭈욱 내려가며 우측으로 동천이 휘 돌아가는 모습과 창평동마을이 보인다.
13 : 28. 좌우가 급경사인 잘록이를 지나 오른 도상 400m봉.넘어서면 벌초한 묘가 있고
13 : 33. 봉에서 우측으로 꺽어가며 우측밑에서 동천이 한반도 모양을 그리며 휘돌아가는 모습과 창평동마을이 선명하게 보인다.
13 ; 38. 399m봉을 우측 로프있는 사면길로 건너가며  우측으로 한반도지형을 보고
13 ; 41. 441m봉을 좌측 지능선으로 건너가 오르며 이정표(석문교 3.65km. 표대봉 2.65km)
13 ; 50/7. 로프따라 된비얄 올라선 441m봉에서 잠시 쉬어가고. 조금 내려서면 갈 톱날능선이 줄줄이 보인다.
14 ; 12. 447m봉. 넘어서면 잣나무 조림지뒤로  바로 앞에 430m 이중산이 보인다.
14 : 15. 옛성터였는지 폭 2 ~3 m정도의 돌길이 나오고
14 ; 18/22. 도상 430m 이중산. 좌로 꺽어가며 좌측으로 반변천과 뒤로 흥림산부터 -447m봉까지 지나온 능선이 보인다.
                         우측으로  뚝 떨어져 내려가 너름산(303.4m) 능선이 분기한다.
14 : 26. 쭈욱 내려간 안부.좌측 7시방향 사면으로 오일도생가쪽 하산길이  있다.
14 ; 30. 로프따라 오른 388m봉. 뒤로 이중산이 뾰족하게 올려다 보이고 바로앞엔  석문교 2.58km 표대봉 3.72km 이정표 나오고
              벌목지가 시작되며  433m 무이산이 보이고 벌목능선은 무이산에서 우측 면계따라 부연공원쪽으로 이어지는게 보인다.
14 : 34. 앞봉에 오르면 조망이 시원하게 트이고 433m 무이산과 뒤로 451.3m봉까지 톱날능선이 건너다 보인다.
14 ; 38. 로프오름길 초입에서 좌측으로 오일도 생가마을인 감천마을과 반변천 건너로  곳대봉(604.3m)이 보이고
14 ; 42. 로프잡고 오른 409m봉에서 우측으로 덕산지맥이 보이고 뒤로는 이중산과 447m 봉, 멀리는 작약봉이 보임.
15 ; 00/06. 봉을 넘고 다시 로프타고 오른  433(427)m 무이산. 표대봉부터 온길과 그 뒤로  일월산이 보이고
             벌목구간은 우측 면경계따라 내려가고 맥은 직진해 소나무숲으로 듦.
15 ; 12. 451.3m봉. 칡덩쿨만 무성하고 삼각점은 안 보인다.
15 ; 26. 쭈욱 내려갔다 길게 소나무숲길을 올라간 426(417)m 봉인데 우측으로 능선분기하고 밋밋하게 가는데 바테리가 디 돼간다.
15 ; 35. 묘뒤에 범상찮은 방굿돌이 있는 묘앞으로 내려간다.
15 ; 41. 녹슨 TV안테나가 있는 봉에서 우측으로 내려간다.카메라가 바테리가 다돼서 작동이 멈춘다.
15 : 47. ㅓ 갈림길인 장군놀이터. 좌측으로 석문교 하산길 . 산책로 0.3km.제1 전망대0.5km.  이정표 .직진해 내려간다.
15 ; 56. 좌측 아래로 제1 전망대 하산길.제2전망대는 직진.
16 : 00. 제 1 전망대. 조망은 별로인 절벽위.다시 올라가 좌측 제 2전망대쪽으로 내려감.
16 ; 05. 묘3기앞을 지나고
16 : 07. 좌측 아래에 제2전망대. 조망은 시원찮음.
16 ; 08.소원봉. →애기선바위. ← 제 2전망대 이정표와 소원봉 안내판.날등따라  로프사이로 내려감.
16 : 12/15. 더 갈 수 없는 일월지맥의 긑 절벽위.동천과 사시천이 반변천에 드는 합수점과 부용산 끝자락의 선바위와 입암면이 내려다 보임.
16 : 33. 다시 올라온 장군놀이터. 왕복 46분이 걸림.우측 산책로따라  급경사로 내려감.
16 ; 43. 뚝 떨어져  내려간 산촌생활박물관입구 삼거리.선바위관광지 0.3km.박물관 0.6km.장군놀이터 0.4km.우측으로 산책로따라 내려간다.
16 ; 48/9. 좌측에 반변천을 건너는 석문교.선바위와 남이포안내판.직진해 반변천따라  합수점으로.
16 ; 54. 남이장군 형상유래안내판.우측 절벽바위벽형상
16 ; 55/8. 지맥의긑인 남이정 정자.현판은 전두환 전대통령 친필 이란다.동천과 사시천/ 반변천 합수점 건너편엔 선바위가 우뚝하다.
17 ; 04. 다시 돌아와  석문교를 건너서
17 ; 09. 선바위유원지에서 다시 한번 지맥의 끝자락과 남이정,부용산.선바위와 합수점을 보고
17 : 11/30. 영양고추 홍보전시관앞 화장실에서 씻고.입암택시를 부르나 전화는 안되고 <나중에 알았지만 입암엔 택시가 없다>
17 ; 48. 진보에서 온 어린이집 차를 얻어타고 진보도착.
17 ; 49. 가까스로 동서울행 버스를 타고 안동에 잠깐쉬고 무정차로 동서울로(21500원).
21 ; 45/22 : 00.. 약 4시간걸려 동서울 도착하여 천안으로(6000원)
23 : 20 . 천안도착.

 

 

 표대산(579.5m)앞에서 우측 사면길로 가는데 바로전에 있는 이정표는 뒷쪽 50m가 표대봉,1km가 팔수골정상이라 표기했는데
표대산은 뒷봉이 아니라 바로앞봉으로  봐야할것같고 팔수골정상은 행곡령 고갯마루를 말하는듯싶다 .

 

 

 

12 ; 40/1. 표대산(579.5m). 글자를 알 수 없는 삼각점(지리원등록이 영양 301이란다).
선유봉 -1.2k-푯대봉 (580m)-1.2k- 행곡령이정표.


 

 

13 : 05. 살짝 내려섰다 오른 둔덕에서 좌측으로 꺽어가는데 표대봉 0.1km석문교 6.20km.
표대봉에서 얼마를 왔는데 표대봉이 0.1km라니?

 

 

 

13 : 16. 쭈욱 내려가며 우측으로 동천이 휘 돌아가는 모습과 창평동마을이 보인다.

 

 

13 : 33. 봉에서 우측으로 꺽어가며 우측밑에서 동천이 한반도 모양을 그리며 휘돌아가는 모습과 창평동마을이 선명하게 보인다.
작은 그림은 400m봉모습.

 

 

 

13 : 33. 봉에서 우측으로 꺽어가며 우측밑에서 동천이 한반도 모양을 그리며 휘돌아가는 모습과 창평동마을이 선명하게 보인다.

 

 

13 ; 50/7. 로프따라 된비얄 올라선 441m봉에서 잠시 쉬어가고. 
조금 내려서면 갈 톱날능선이 줄줄이 보인다.

 

 

14 ; 18/22. 도상 430m 이중산. 좌로 꺽어가며 좌측으로 반변천과 뒤로 흥림산부터 -447m봉까지 지나온 능선이 보인다.
                         우측으로  뚝 떨어져 내려가 너름산(303.4m) 능선이 분기한다.

 

 

 도상 430m 이중산에서 뒤 돌아 본 흥림산부터 -447m봉까지 지나온 능선.

 

 

14 ; 30. 로프따라 오른 388m봉.
뒤로 이중산이 뾰족하게 올려다 보이고 바로앞엔  석문교 2.58km 표대봉 3.72km 이정표 나오고
              벌목지가 시작되며  433m 무이산이 보이고 벌목능선은 무이산에서 우측 면계따라 부연공원쪽으로 이어지는게 보인다.


 

 

14 : 34. 앞봉에 오르면 조망이 시원하게 트이고 433m 무이산(우측 벌목끝봉)과 뒤로 451.3m봉까지 톱날능선이 건너다 보인다.

 

 


 

15 ; 00/06. 봉을 넘고 다시 로프타고 오른  433(427)m 무이산.

 

 

 

무이산에서 뒤 돌아 본 흥림산부터 온길과 그 뒤로  일월산이 보이고
             벌목구간은 우측 면경계따라 내려가고 맥은 직진해 소나무숲으로 듦.

 

 

땡겨본  흥림산부터 온 지맥과 뒤로 일월산.

 

 

 

451.3m봉가는길과  칡덩쿨만 무성한 451.3m 봉.

 

 

 

 

15 ; 26. 쭈욱 내려갔다 길게 소나무숲길을 올라간 426(417)m 봉인데
우측으로 능선분기하고 밋밋하게 가는데 바테리가 디 돼간다.

 

 

15 : 47. ㅓ 갈림길인 장군놀이터. 좌측으로 석문교 하산길 . <여기서 부터는 이선우님 카메라로 찍었다>
산책로 0.3km.제1 전망대0.5km.  이정표 .직진해 내려간다.
행곡령부터 계속 로프 설치하고 이정표 세워 놓고  여기와선 그쪽에 길이 없다니 뭔소리여?

 

 

16 : 00. 제 1 전망대.
밑은 반변천인데 조망은 별로인 절벽위.다시 올라가 좌측 제 2전망대쪽으로 내려감.

 

 

16 : 07. 좌측 아래에 제2전망대. 밑은 반변천인데 조망은 시원찮음.

 

 

 

16 ; 08. 16 ; 08. 소원봉.
→ 애기선바위. ← 제 2전망대 이정표와 소원봉 안내판.날등따라  로프사이로 내려감.


 

 

16 : 12/15. 더 갈 수 없는 일월지맥의 긑 절벽위.
동천과 사시천이 반변천에 드는 합수점과 부용산 끝자락의 선바위과와 입암면이 내려다 보임.

 

 

16 : 12/15. 더 갈 수 없는 일월지맥의 긑 절벽위에서 우측으로 본 영등산쪽과 연당마을.

 

 

 

16 : 12/15. 더 갈 수 없는 일월지맥의 긑 절벽위에서 본  선바위와 동천과 사시천이 반변천에 드는 합수점모습.

 

 

 

다시  장군놀이터로 올라와 우측으로 내려가선
산촌생활박물관입구에서 산책로 따라 석문교가는길. 좌측에 석문교가 보인다.

 

 

 

16 ; 48/9. 석문교.
선바위와 남이포안내판.직진해 반변천따라  합수점으로.남이포산책로란다.

 

 


 

 반변천따라  합수점으로. 남이포산책로란다.

 

 

 

16 ; 54. 남이장군 형상과 유래안내판.

 

 

 

 

16 ; 55/8. 지맥의긑인 남이정 정자.현판은 전두환 전대통령 친필 이란다.
동천과 사시천/ 반변천 합수점 건너편엔 선바위가 우뚝하다.

 

 

16 ; 55/8. 남이정 정자에서 본 지맥의 끝모습.

 

 

 

 

16 ; 55/8. 남이정 정자에서 본  동천.반변천 합수점모습.
좌측 저앞마을은 입압면소재지.

하얀 표지판 좌측에 길게 서잇는 저바위가 선바위로 입암이란 지명을 낳은 바위다.

 

 

 

16 ; 55/8. 남이정 정자에서 본 반변천의 석문교와 동천모습(작은 그림).

 

 

 

17 : 09. 석문교에서 본 남이정과 선바위와 뒤로 부용산.

 

 

 

반변천

 

 

 

17 ; 09. 선바위유원지에서  본 지맥의 끝자락과 남이정. 앞봉이 소원봉.

 

 


 

17 ; 09. 선바위유원지에서 본 남이정. 합수점.  선바위, 부용산.

 

 

 

17 : 11/30. 영양고추 홍보전시관앞 .

 

<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