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천지맥 3구간(쌍다리재-산성-장산(634m)-봉대산(간비오산)-동백역)終
용천지맥 3구간(쌍다리재-산성-장산(634m)-봉대산(간비오산)-동백역)終
◈ 산행코소와 거리 및 소요시간 : 도상거리 15.4km. 5시간 40 분.
기장군 철마면과 기장면 경계인 쌍다리재(2차선 14번국도)-산성(369.2m)-남나기고개-안적사입구-492.4m어깨-장산(634m)-
중봉(403m)-옥녀봉(369.2m)-장산 제1터널위-170.8m봉-봉대산(간비오산 147.7m)-92.3m봉-동백역-해운대한회리조트앞 등대.
◈ 일시 : 2014. 1. 17(금). 산행 둘째날.
◈ 날씨 : 어제보단 날이 풀려 푹하나 미세 먼지로 시계는 불량.
◈ 동행인 : 6명. 한상훈님.이선우님. 강형태님.이성모님. 장희익님.박종율.
◈ 경비 ; 1박2일 공동 33500원.교통비 46000원.
◈ 지도.
용천지맥 3구간(쌍다리재-산성-장산(634m)-봉대산(간비오산)-동백역)終지도 1.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용천지맥 3구간(쌍다리재-산성-장산(634m)-봉대산(간비오산)-동백역)終지도 2.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용천지맥 3구간(쌍다리재-산성-장산(634m)-봉대산(간비오산)-동백역)終지도 1.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 트랙.
◈ 일정정리. 07 ; 20 ~ 13 : 00.
06 ; 20. 기장읍 모텔을 나와 24시 청진동해장국집에서 국밥으로 아침먹고 시내버스로 쌍다리재로 오름.
07 ; 20. 쌍다리재 4차선 14번국도.만화리 영락공원 시내버스정류소.길 건너 영락공원묘지 세멘길을 오르며 산행시작.
07 ; 25, 공원묘역끝에서 어제 내려온 산길을 뒤돌아 보고
07 : 38. 쭈욱 올라간 332m봉에서 좌측으로 꺽어가며 산성산이 저만치 올려다 보이고.준희님 폿찰.
07 ; 40. 삼거리.좌측 용소저수지0.8km.직 산성산0.7km.뒤 안평저수지 1.2km. 해가뜬다.
07 ; 47.쉼터를 지나면 좌측으로 기장읍과 고속도로가 내려다 보이고
07 ; 49/54. 산성(369.2m).삼각점(307재설.부산 306).기장산성안내판. 쉼터와 웅덩이 처럼 파진 기장산성 발굴지는 록색 철책으로.
미세먼지로 조망은 시원찮고 넓은 수렛길이 시작되고 수렛길은 안적사입구의 도로까지 계속된다. →철탑 →철조망
07 ; 58. 쭈욱 내려가 좌측에서 온 임도 만나는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가고. 기장산성 300m,안적사,기장고등학교 이정표.
08 : 10. 직진능선이 맥같이 보이나 도로따라 좌측으로 내려서고
08 ; 12/15. 만나기고개 세멘길 사거리. 산성산 1km, 해운대4.4km.안평리 2km.
맥은 좌측능선이나 사유지로 제지를 당해 뒤돌아 내려와 우측 아래 안적사방향 수렛길을 따라 가고
08 ; 30. 270.8m. 7,8번철탑에서 산성과 만나기고개를 뒤돌아 보고 ,앞쪽엔 또다른 철탑과 장산이 높게 보이고 우측으론 안평역이 보임.
08 : 36. 8,9번철탑봉을 넘어가며 장산쪽이 좀더 가까이 보이고
08 : 44. 211m봉 두 번째 철탑(10,11번)을 지나며 뒤로 270.8m봉을 돌아보고
08 ; 46. 좌측으로 규모가 꽤큰 안적사가 살짝 잡히고
08 ; 48. 안적사로 들어가는 포장도로를 건넌다.산성산 4km,안평역 2.4km. 안적사 600m.장산 5km.
08 : 56. 살짝 올라선 앞봉은 바위무더기이고 수령산 4.2km푯말. 여기서 수령산은 산성을 가르키는듯.
09 ; 00. 묘. 좌측으로 안적사가는 길이 보이고
09 ; 04. 쭈욱 올라간 삼면경계봉. 우측 반송2,3동.영산대쪽에서 올라온 넓은길을 만나서 좌측으로 가고.이정표.
09 ; 05. 전망대데크.492.4m봉과 우측아래로 반송동쪽이 보이고
09 ; 09/11. 돌탑과 운동기구들. 좌측으로 안적사 세멘길. 장산숲길안내도.정상 3.9km, 헬기장 1.3km.우측 보경사,관음사.
09 ; 17. 좌 장산마을(구곡산),우 억새밭 갈림길에서 우측으로 오르고
09 : 20. 약수터 - 운동기구들
09 ; 31. 쭈욱 올라간 480m봉 억새밭에서 구곡산을 건너다보고
09 ; 34. 넓직한 헬기장으로 내려서고
09 ; 36/7. 구곡산 (좌)/장산(우) 길림길 포장도로.산불초소.장산의 군부대가 보이고.장산안내도.정상 2.6km.우측으로 내려간다.
09 : 40. 안부. 포장도로는 좌측으로 휘어가고 우측 수색정찰 팻말 억새밭능선으로 → 세멘십자가기둥 묘
09 : 42. 492.4m봉 어께에서 좌측으로 꺽어 내려서
09 : 47. . 둔덕봉에서 빤빤하길은 직진하고 맥은 좌측으로 꺽어 내려서면
09 ; 49. 장산오르는 군부대도로로 다시 내려서 도로따라 오르고.
09 ; 51. 506m봉을 사이에 두고 Y 도로에서 우측 도로를 따르고(일방통행길).지뢰경고판.
09 ; 57/9. 506m봉 넘어 도로 합류점. 억새밭 1000m,장산마을 1000m, 정상1752m 우측 이정표 뒤로 우회시작.
10 ; 05. 우측 지능선에서 좌측으로 꺽어가고. 우측은 초록공원 2.3km 정상 1.8km. 좀전 이정표과는 거리가 안맞는다.원형철조망은 계속.
10 : 23. 주능선 복귀. 군부대를 관통해온 도로를 다시 만나고. 다시 도로따라 올라 장산정상밑 정문에서 좌측으로 도는게 빠른것을
우린 도로를 떠나 정상을 좌측에 끼고 철조망따라 우측으로 돌았다.
10 ; 38. 장산 정상넘어 철조망이 좌측으로 휘는곳에서 우측으로 반여초교(1.4km)하산길.폭포사 3km 등산안내도.좌측으로 더 돌아가면
10 ; 42/49. 통신탑밑 정산(634m)표석.산불초소.중봉, 폭포사 억새밭이정표. 산불초소앞으로 내려가고. 미세먼지로 조망은 없고 형체만
11 : 04. 급하게 뚝 떨어져 내려간 통신탑에서 장산을 뒤 돌아 보고 옥녀봉과 갈 맥을 짚어보고 급한 계단길로 내려감
11 ; 07. 안부에서 직진해 오르고.장산 1.1km,우측 반송3동, 좌측 대천공원.직 옥녀봉 0.6km
11 ; 10. 중봉(403m)바위봉에서 뒤로 장산과 장산마을을 둘러본다. <좌측 사면길로 건너가면 조망을 노친다>
11 ; 18. 안부. 운동기구들.우측으로 간비오산봉수대 2.5km 하산길.
11 ; 24/27. 옥녀봉(369.2m). 바위봉.갈 지맥과 해운대조망 . 앞족 맥능선은 출입통제로 안부로 되돌아감.<좌측 폭포사 하산길 주의>
11 ; 33. 다시 돌아온 안부에서 옥녀봉 우측 허릿길로 건너가고
11 ; 40. 옥녀봉에서 내려온 주능선을 만나고
11 ; 51. 237.9m봉은 군부대 통제구역이라 우측 사면길로 내려간다.→ 유격장을 지나고
11 ; 59. 안부. 군부대 철조망을 바짝끼고. 이쯤이 장산 제1터널위가 되겠고
12 ; 04. 170.8m봉.정상 좌측으로 살짝 비껴가며 앞쪽에 간비오산과 동백섬이 보이고
12 : 08. 돌탑들이 여럿있는 안부를 지난다.
12 : 11/3. 산불초소와 전망데크가 있는 160m봉에서 좌측으로 꺽어 내려가고. 데크에서 장산부터 온 능선이 한눈에 보이고 지적삼각점.
12 ; 24/32. 도상 봉대산(147.7m. 간비오산 干飛烏山 ). 복원한 봉수대와 삼각점. 봉수대 안내판. 장산부터 온길과 장안대교와 지맥의 끝이
12 ; 36. 92.3m봉은 출입금지로 좌측으로 우회하여 돌아가고
12 : 45. 운촌당사(雲村堂祠). 정상 4.5km.간비오산봉수대 0.6km.바로앞은 구철로와 운촌 노인정
12 ; 47. 6차선 대로.좌측은 알뜰주유소, 우측엔 운촌버스정류장.길건너는 한신아파트.도로건너 동백역쪽인 우측으로 가서
12 ; 52. 동백역 못미쳐에서 좌측 대우 마리나 아파트 큰길로 들어 → 마리나 병원앞을지나
12 ; 59. 등대가 앞에 보이는 방파제 해안도로에서 동백섬끝과 등대를 바라보며 산행종료하고 점심먹을곳을 찾아 좌측 동백섬쪽으로
13 : 26/14 : 08. 동백섬입구 좌측의 시가지에서 늦은 점심을 먹고
14 : 18/56. 해운대 해수욕장- 동백섬을 둘러보고
15 ; 06/16 :10.. 동백역으로 가서 지하철 2호선을 타고 서면역에서 1호선으로 갈아타고 부산역도착.
16 : 40~18 : 50 . KTX 타고 2시간 10분걸려 천안아산역 도착(경로 29300원.일반 41800원)
◈ 산행후기.
※ 쌍다리재-산성-장산(634m). 9.8km. 3시간 20분.
06 ; 20. 기장읍 모텔을 나와 24시 청진동해장국집에서 국밥으로 아침먹고 시내버스로 쌍다리재로 오름.
07 ; 20. 쌍다리재 4차선 14번국도.만화리 영락공원 시내버스정류소.길 건너 영락공원묘지 세멘길을 오르며 산행시작.
07 ; 25, 공원묘역끝에서 어제 내려온 산길을 뒤돌아 보고
07 : 38. 쭈욱 올라간 332m봉에서 좌측으로 꺽어가며 산성산이 저만치 올려다 보이고.준희님 폿찰.
07 ; 40. 삼거리.좌측 용소저수지0.8km.직 산성산0.7km.뒤 안평저수지 1.2km. 해가뜬다.
07 ; 47.쉼터를 지나면 좌측으로 기장읍과 고속도로가 내려다 보이고
07 ; 49/54. 산성(369.2m).삼각점(307재설.부산 306).기장산성안내판. 쉼터와 웅덩이 처럼 파진 기장산성 발굴지는 록색 철책으로.
미세먼지로 조망은 시원찮고 넓은 수렛길이 시작되고 수렛길은 안적사입구의 도로까지 계속된다. →철탑 →철조망
07 ; 58. 쭈욱 내려가 좌측에서 온 임도 만나는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가고. 기장산성 300m,안적사,기장고등학교 이정표.
08 : 10. 직진능선이 맥같이 보이나 도로따라 좌측으로 내려서고
08 ; 12/15. 만나기고개 세멘길 사거리. 산성산 1km, 해운대4.4km.안평리 2km.
맥은 좌측능선이나 사유지로 제지를 당해 뒤돌아 내려와 우측 아래 안적사방향 수렛길을 따라 가고
08 ; 30. 270.8m. 7,8번철탑에서 산성과 만나기고개를 뒤돌아 보고 ,앞쪽엔 또다른 철탑과 장산이 높게 보이고 우측으론 안평역이 보임.
08 : 36. 8,9번철탑봉을 넘어가며 장산쪽이 좀더 가까이 보이고
08 : 44. 211m봉 두 번째 철탑(10,11번)을 지나며 뒤로 270.8m봉을 돌아보고
08 ; 46. 좌측으로 규모가 꽤큰 안적사가 살짝 잡히고
08 ; 48. 안적사로 들어가는 포장도로를 건넌다.산성산 4km,안평역 2.4km. 안적사 600m.장산 5km.
08 : 56. 살짝 올라선 앞봉은 바위무더기이고 수령산 4.2km푯말. 여기서 수령산은 산성을 가르키는듯.
09 ; 00. 묘. 좌측으로 안적사가는 길이 보이고
09 ; 04. 쭈욱 올라간 삼면경계봉. 우측 반송2,3동.영산대쪽에서 올라온 넓은길을 만나서 좌측으로 가고.이정표.
09 ; 05. 전망대데크.492.4m봉과 우측아래로 반송동쪽이 보이고
09 ; 09/11. 돌탑과 운동기구들. 좌측으로 안적사 세멘길. 장산숲길안내도.정상 3.9km, 헬기장 1.3km.우측 보경사,관음사.
09 ; 17. 좌 장산마을(구곡산),우 억새밭 갈림길에서 우측으로 오르고
09 : 20. 약수터 - 운동기구들
09 ; 31. 쭈욱 올라간 480m봉 억새밭에서 구곡산을 건너다보고
09 ; 34. 넓직한 헬기장으로 내려서고
09 ; 36/7. 구곡산 (좌)/장산(우) 길림길 포장도로.산불초소.장산의 군부대가 보이고.장산안내도.정상 2.6km.우측으로 내려간다.
09 : 40. 안부. 포장도로는 좌측으로 휘어가고 우측 수색정찰 팻말 억새밭능선으로 → 세멘십자가기둥 묘
09 : 42. 492.4m봉 어께에서 좌측으로 꺽어 내려서
09 : 47. . 둔덕봉에서 빤빤하길은 직진하고 맥은 좌측으로 꺽어 내려서면
09 ; 49. 장산오르는 군부대도로로 다시 내려서 도로따라 오르고.
09 ; 51. 506m봉을 사이에 두고 Y 도로에서 우측 도로를 따르고(일방통행길).지뢰경고판.
09 ; 57/9. 506m봉 넘어 도로 합류점. 억새밭 1000m,장산마을 1000m, 정상1752m 우측 이정표 뒤로 우회시작.
10 ; 05. 우측 지능선에서 좌측으로 꺽어가고. 우측은 초록공원 2.3km 정상 1.8km. 좀전 이정표과는 거리가 안맞는다.원형철조망은 계속.
10 : 23. 주능선 복귀. 군부대를 관통해온 도로를 다시 만나고. 다시 도로따라 올라 장산정상밑 정문에서 좌측으로 도는게 빠른것을
우린 도로를 떠나 정상을 좌측에 끼고 철조망따라 우측으로 돌았다.
10 ; 38. 장산 정상넘어 철조망이 좌측으로 휘는곳에서 우측으로 반여초교(1.4km)하산길.폭포사 3km 등산안내도.좌측으로 더 돌아가면
10 ; 42/49. 통신탑밑 정산(634m)표석.산불초소.중봉, 폭포사 억새밭이정표. 산불초소앞으로 내려가고. 미세먼지로 조망은 없고 형체만
07 ; 20. 쌍다리재 4차선 14번국도.만화리 영락공원 시내버스정류소.
길건너 영락공원묘지 세멘길을 오르며 산행시작.
07 ; 25, 공원묘역끝에서 쌍다리재 건너 어제 내려온 산길을 뒤돌아 보고.
07 : 38. 쭈욱 올라간 332m봉에서 좌측으로 꺽어가며 산성산이 저만치 올려다 보이고.준희님 폿찰.
07 ; 46.쉼터를 지나며 방금 올라온 일출을 보고
07 ; 49/54. 펑퍼짐한 산성(369.2m)모습.
07 ; 49/54. 산성(369.2m).삼각점(307재설.부산 306).기장산성안내판. 쉼터와 웅덩이 처럼 파진 기장산성 발굴지는 록색 철책으로.
미세먼지로 조망은 시원찮고 넓은 수렛길이 시작되고 수렛길은 안적사입구의 도로까지 계속된다. →철탑 →철조망
기장산성.
기장산성.
07 ; 58. 쭈욱 내려가 좌측에서 온 임도 만나는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가고. 기장산성 300m,안적사,기장고등학교 이정표.
08 ; 12/15. 만나기고개 세멘길 사거리. 산성산 1km, 해운대4.4km.안평리 2km.
맥은 좌측능선이나 사유지로 제지를 당해 뒤돌아 내려와 우측 아래 안적사방향 수렛길을 따라 가고
08 ; 30. 270.8m의 7,8번철탑에서 산성과 만나기고개를 뒤돌아 보고.
08 ; 30. 270.8m의 7,8번철탑에서 우측으로 본 안평역.
08 : 36. 8,9번철탑봉을 넘어가며 장산쪽이 좀더 가까이 보이고
08 ; 46. 좌측으로 규모가 꽤큰 안적사가 살짝 잡히고
08 ; 48. 안적사로 들어가는 포장도로를 건넌다.
산성산 4km,안평역 2.4km. 안적사 600m.장산 5km.
09 ; 04. 쭈욱 올라간 삼면경계봉.
우측 반송2,3동.영산대쪽에서 올라온 넓은길을 만나서 좌측으로 가고 바로앞에 전망대데크.이정표.
09 ; 05. 전망대데크에서 본 480m봉과 우측아래로 반송동쪽이 보이고
09 ; 09/11. 돌탑과 운동기구들. 좌측으로 안적사 세멘길. 장산숲길안내도.정상 3.9km, 헬기장 1.3km.우측 보경사,관음사.
좌측으로 안적사 세멘길rhk 장산숲길안내도
09 ; 17. 좌 장산마을(구곡산),우 억새밭 갈림길에서 우측으로 오르고
09 ; 17. 좌 장산마을(구곡산),우 억새밭 갈림길에서 우측으로 오르며 본 반송동쪽
09 ; 31. 쭈욱 올라간 480m봉 억새밭에서 구곡산을 건너다보고
09 ; 36/7. 구곡산 (좌)/장산(우) 길림길 포장도로.
산불초소.장산의 군부대가 보이고.장산안내도.정상 2.6km.우측으로 내려간다.
09 ; 36/7. 구곡산 (좌)/장산(우) 길림길 포장도로에서 본 장산(634m).
09 ; 36/7. 구곡산 (좌)/장산(우) 길림길 포장도로에서 본 492.4m봉(우).
09 : 42. 세멘십자가기둥 묘뒤492.4m봉 어께에서 좌측으로 꺽어 내려선다.
09 ; 49. 장산오르는 군부대도로로 다시 내려서 도로따라 오르고.
09 ; 51. 506m봉을 사이에 두고 Y 도로에서 우측 도로를 따르고(일방통행길).지뢰경고판.
09 ; 57/9. 506m봉 넘어 도로 합류점.
억새밭 1000m,장산마을 1000m, 정상1752m 우측 현수막 이정표 뒤로 우회시작.
09 ; 57/9. 506m봉 넘어 도로 합류점의 우회로 안내판.
10 : 23. 주능선 복귀해서 뒤 돌아 본 마루금.
. 군부대를 관통해온 도로를 다시 만나고. 다시 도로따라 올라 장산정상밑 정문에서 좌측으로 도는게 빠른것을
우린 도로를 떠나 정상을 좌측에 끼고 철조망따라 우측으로 돌았다.
우측으로 돌아가며 뒤 돌아 본 길게 우회한 우횟길과 뒤로 492.4m봉(좌)과 480m억새밭(우 뒷봉).
좌측 벌건 안부에 초록공원 2.3km이정표.
장산정상을 우측으로 돌아가며 우측으로 본 부산시 재송동쪽풍경.
장산정상을 우측으로 돌아가며 본 장산정상(634m).
10 ; 38. 장산 정상넘어 철조망이 좌측으로 휘는곳에서 우측으로 반여초교(1.4km)하산길.
폭포사 3km 등산안내도.좌측으로 더 돌아가면 저앞 사람서있는곳에 장산 표석
10 ; 42/49. 통신탑밑 정산(634m)표석.산불초소.중봉, 폭포사 억새밭이정표.
산불초소앞으로 내려가고. 미세먼지로 조망은 없고 형체만 겨우 보인다.
※ 장산(634m)-옥녀봉-동백역.5.6km. 2시간 10분.
10 ; 42/49. 통신탑밑 정산(634m)표석.산불초소.중봉, 폭포사 억새밭이정표. 산불초소앞으로 내려가고. 미세먼지로 조망은 없고 형체만
11 : 04. 급하게 뚝 떨어져 내려간 통신탑에서 장산을 뒤 돌아 보고 옥녀봉과 갈 맥을 짚어보고 급한 계단길로 내려감
11 ; 07. 안부에서 직진해 오르고.장산 1.1km,우측 반송3동, 좌측 대천공원.직 옥녀봉 0.6km
11 ; 10. 중봉(403m)바위봉에서 뒤로 장산과 장산마을을 둘러본다. <좌측 사면길로 건너가면 조망을 노친다>
11 ; 18. 안부. 운동기구들.우측으로 간비오산봉수대 2.5km 하산길.
11 ; 24/27. 옥녀봉(369.2m). 바위봉.갈 지맥과 해운대조망 . 앞족 맥능선은 출입통제로 안부로 되돌아감.<좌측 폭포사 하산길 주의>
11 ; 33. 다시 돌아온 안부에서 옥녀봉 우측 허릿길로 건너가고
11 ; 40. 옥녀봉에서 내려온 주능선을 만나고
11 ; 51. 237.9m봉은 군부대 통제구역이라 우측 사면길로 내려간다.→ 유격장을 지나고
11 ; 59. 안부. 군부대 철조망을 바짝끼고. 이쯤이 장산 제1터널위가 되겠고
12 ; 04. 170.8m봉.정상 좌측으로 살짝 비껴가며 앞쪽에 간비오산과 동백섬이 보이고
12 : 08. 돌탑들이 여럿있는 안부를 지난다.
12 : 11/3. 산불초소와 전망데크가 있는 160m봉에서 좌측으로 꺽어 내려가고. 데크에서 장산부터 온 능선이 한눈에 보이고 지적삼각점.
12 ; 24/32. 도상 봉대산(147.7m. 간비오산 干飛烏山 ). 복원한 봉수대와 삼각점. 봉수대 안내판. 장산부터 온길과 장안대교와 지맥의 끝이
12 ; 36. 92.3m봉은 출입금지로 좌측으로 우회하여 돌아가고
12 : 45. 운촌당사(雲村堂祠). 정상 4.5km.간비오산봉수대 0.6km.바로앞은 구철로와 운촌 노인정
12 ; 47. 6차선 대로.좌측은 알뜰주유소, 우측엔 운촌버스정류장.길건너는 한신아파트.도로건너 동백역쪽인 우측으로 가서
12 ; 52. 동백역 못미쳐에서 좌측 대우 마리나 아파트 큰길로 들어 → 마리나 병원앞을지나
12 ; 59. 등대가 앞에 보이는 방파제 해안도로에서 동백섬끝과 등대를 바라보며 산행종료하고 점심먹을곳을 찾아 좌측 동백섬쪽으로
13 : 26/14 : 08. 동백섬입구 좌측의 시가지에서 늦은 점심을 먹고
14 : 18/56. 해운대 해수욕장- 동백섬을 둘러보고
15 ; 06/16 :10.. 동백역으로 가서 지하철 2호선을 타고 서면역에서 1호선으로 갈아타고 부산역도착.
16 : 40~18 : 50 . KTX 타고 2시간 10분걸려 천안아산역 도착(경로 29300원.일반 41800원)
10 ; 42/49. 통신탑밑 정산(634m)표석에서.
삼태,남암, 용천지맥을 함께한 산우님들.
좌측부터 수강산 이선우님. 산곡 이성모님. 토마스 장희익님. 강화사부 한상훈님. 그리고 나 박종율.요맥 강현태님은 사진찍고
산불초소앞으로 내려가는데 미세먼지로 조망은 없고 부산시내가 형체만 겨우겨우보인다.
11 : 04. 급하게 뚝 떨어져 내려간 통신탑과 중봉.
통신탑에서 장산을 뒤 돌아 보고 .
통신탑에서 중봉(우)과 옥녀봉(좌)을 보고 급한 계단길로 내려간다.
11 ; 10. 중봉(403m)바위봉 에서 뒤 돌아 본 장산과 통신탑.
11 ; 10. 중봉(403m)바위봉에서 본 장산마을.
11 ; 10. 중봉(403m)바위봉 모습.
11 ; 18. 안부. 운동기구들.우측으로 간비오산봉수대 2.5km 하산길.
직진해 옥녀봉에 올랐다 되돌아와서 간비오산으로 갔다.
11 ; 24/27. 옥녀봉(369.2m).
바위봉.갈 지맥과 해운대조망 . 앞족 맥능선은 출입통제로 안부로 되돌아감.<좌측 폭포사 하산길 주의>
11 ; 24/27. 옥녀봉(369.2m)에서 본 갈 지맥능선.
연이은 봉들끝에 있는 빌딩숲뒤가 용천지맥의 끝이다.
11 ; 51. 237.9m봉은 군부대 통제구역이라 우측 사면길로 내려간다.→ 유격장을 지나고
12 ; 04. 170.8m봉.
정상 좌측으로 살짝 비껴가며 뒤돌아 본 중봉(좌)-옥녀봉(중)-237.9m봉(맨우측).
12 ; 04. 170.8m봉에서 본 간비오산과 동백섬(높은 빌딩숲 좌측 낮은 봉).
12 : 08. 돌탑들이 여럿있는 안부를 지난다.
12 : 11/3. 산불초소와 전망데크가 있는 160m봉에서 좌측으로 꺽어 내려가고.
데크에서 장산부터 온 능선이 한눈에 보이고 지적삼각점.
12 ; 12. 160m봉데크에서 뒤 돌아 본 장산(좌측 제일높은봉)-중봉-옥녀봉-237.9m봉-170m봉(우측맨앞봉).
12 ; 24/32. 도상 봉대산(147.7m. 간비오산 干飛烏山 ).
복원한 봉수대와 뒤로 높직한 삼각점.
간비오산 干飛烏山 )봉수대 안내판.
12 ; 24/32. 도상 봉대산(147.7m. 간비오산 干飛烏山 )에서 뒤 돌아 본 용천지맥.
12 ; 24/32. 도상 봉대산(147.7m. 간비오산 干飛烏山 )에서 본 장안대교.
12 ; 24/32. 도상 봉대산(147.7m. 간비오산 干飛烏山 )에서 본 92.3m봉과 뒤로 동맥섬.
12 ; 24/32. 도상 봉대산(147.7m. 간비오산 干飛烏山 )에서 장산을 배경으로 다시 한 컷.
12 ; 24/32. 도상 봉대산(147.7m. 간비오산 干飛烏山 )에서 장안대교를 배경으로 한 컷.
12 ; 36. 92.3m봉은 출입금지로 좌측으로 우회하여 돌아가고
12 : 45. 운촌당사(雲村堂祠).
정상 4.5km.간비오산봉수대 0.6km.바로앞은 구철로와 운촌 노인정
12 : 45. 운촌당산(雲村堂산).
12 ; 47. 6차선 대로.
좌측은 알뜰주유소, 우측엔 운촌버스정류장.길건너는 한신아파트.도로건너 동백역쪽인 우측으로 가서.
12 ; 52. 동백역 못미쳐에서 좌측 대우 마리나 아파트 큰길로 들어서고
12 ; 53. 동백역 못미쳐에서 우측으로 본 지맥의 마지막봉인 92.3m봉.
12 ; 59. 등대가 앞에 보이는 방파제 해안도로에서 동백섬끝과 등대를 바라보며 산행종료하고 점심먹을곳을 찾아 좌측 동백섬쪽으로
용천지맥의 끝을 저 등대로 봐야겠지만 92.3m봉을 내려서며 부터는 평지 시가지 이니 별 의미가 없겠다.
동백섬끝과 등대를 바라보며 용천지맥을 마치고.
좌측 동백섬.
동백섬입구 좌측의 시가지에서 늦은 점심을 먹고 찾아간 해운대 해수욕장.
뒤 돌아 본 해운대 해수욕장.
해운대 해수욕장에서 해안선을 따라 동백섬으로
동백섬.
인어 공주상.
동백섬 등대.
최치원선생이 썼다는 해운대 석각.
해운대 석각.
동백섬 등대앞에서 본 오륙도(우측).
년전에 APEC 2차 회장으로 썼던 누리마루 하우스.
누리마루는 세계(누리) 정상(마루)들이 모여 회의 하는곳이란 뜻으로
지상3층 연면적 905평 규모로 12개의 기둥이 건물을 지탱하는 한국 전통 정자를 본떠 건축 했단다.
.
동백섬 등대.
동백섬 53.2m 정상의 최치원동상.
2호선 동백역에서 다시 본 92.3m봉.
동백역으로 가서 지하철 2호선을 타고 서면역에서 1호선으로 갈아타고 부산역으로.
<용천지맥을 마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