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각지맥 2구간( 회남령-보해산(911.5m)-큰재-살피재).
양각지맥 2구간( 회남령-보해산(911.5m)-큰재-살피재).
◈ 산행코소와 거리 및 소요시간 : GPS 거리 14.3km. 6시간 14 분.
거창군 가북면과 주상면 경계인 회남령(2차선도로)-보해산(普海山.911.5m)-857m-834.1m-큰재(2차선포장도로)-
659.6m 금귀산분기점- 금귀산(金貴山.838.6m)왕복-528.4m-485.8m-살피재(1084도로. 88고속도로)
◈ 일시 : 2014. 2. 9(일).
◈ 날씨 : 거창 -2/5. 어제 내린눈이 좀 있고 하늘은 맑고 시계도 좋고 날은 푸근함.
◈ 동행인 : 달인클럽 23명. 김형식회장님. 한상훈님.오세춘님.고광의님.정영옥님.이선우님.강형태님.정환규님.이인표님.이정세님.
권순창님.배병율님. 주기현님.김병한님.김홍천님.왕언니님. 맑음님.이덕희님.김정옥님. 이승기님 부부님.강성일님.박종율.
◈ 회비 : 4만원.
◈ 지도.
양각지맥 2구간( 회남령-보해산(911.5m)-큰재-살피재).지도1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양각지맥 2구간( 회남령-보해산(911.5m)-큰재-살피재).지도2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양각지맥 2구간( 회남령-보해산(911.5m)-큰재-살피재).지도3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 트랙.
◈ 일정정리. 11 ; 04 ~ 17 ; 18.
08 : 05. 천안에서 합류하여 경부 옥산휴게소 들려
11 : 03/04. 거창군 가북면과 주상면 경계인 회남령에 도착하여 준희님의 "회남령" 푯찰뒤로 오르며 산행시작.
11 : 08. 절개위에서 지난구간을 뒤돌아 보고 → 좌측으로 회남령 오르는 도로뒤로 단지봉쪽이 보이고 길은 솔밭길로 좋다
11 ; 27. 쭈욱 올라간 약 820m봉에서 회남령과 흰대미산을 뒤돌아 보고 우측으로 내려서다. GPS는 823m을 가르킨다.
11 ; 32.잔봉을 넘어 내림길 중턱의 솔밭에서 우측으로 원보광 하산길 이정표. 보해산 4.5km,회남재 1km.
11 ; 36/9. 760m 둔덕을 넘어서며 좌측 사면길로 가고.맥은 앞쪽으로 조금 더 나가서 좌측으로 꺽어지나 간벌목들로 어지럽다.
721.1m삼각점이 여기서 가나 싶어 몇 발짝 내려서다 되돌아옴.
11 ; 41. 2분쯤 내려간 마루금 능선의 평퍼짐한 안부. 녹슨 송이재배 입산금지 경고판. 길은 다시 좌측 사면길로 건너가고 .
마루금은 앞쪽으로 좀 올라선 730m봉에서 좌측으로 내려간다. 721.1m 삼각점 찍으러 730m봉 아래로 쭈욱 내려감
11 ; 45. 721.1m 삼각점(무풍 465.1983 복구). 보해산과 금귀산이 제대로 보이고 뒤로 회남령과 흰대미산이 어림됨.
11 ; 51. 다시 돌아 온 녹슨경고판 갈림길.마루금 능선은 역시 간벌목들로 어지러워 길 좋은 사면길따라 내려감
11 : 53. 건너편 마루금에서 내려온 능선엔 역시 녹슨입산금지 경고판이 있고 → 송이막 텐트를 쳤던 천막이 있고
11 ; 59. 안부. 우측으로 남산 2구 하산길. 회남재 2km,보해산 3.5km.좌측 묘뒤로 지나온 820m봉이 보임.
12 ; 08.잔봉을 넘어 쭈욱 올라간 680m봉. 정점은 좌측 30여m위에 있고 우측으로 솔밭을 내려가며 GPS는 683m을 가르킨다.
12 ; 13. 670m 둔덕봉에서 좌측으로 꺽어가며 철조망이 잠시 나오고 험악한 입산금지표지판들이 연이어 있다.
12 ; 16. 철조망은 우측으로 가고 바로밑에서 우측으로 원남산 하산길. 원남산 1.7km,보해산 2.6km,회남재 2.9km.바로앞 둔덕엔 묵은 헬기장.
12 ; 19. 안부 위의 경주최공묘에서 보해산 정상부가 올려다 보인다. 점심먹을 시간인데 통 소식은 없고 배고파 죽겠다.
12 ; 21. 맨밑안부. 좌우로 흐힛한 옛길이 있고 살짝 올라선다.
12 ; 26. 650m봉에서 우측으로 꺽어가며 처음으로 좌측으로 의상봉능선이 보이고 보해산 정상과 700m봉이 올려다 보인다.
12 ; 30. 700m봉 된비얄 오름길전 안부에서 좌측으로 의상봉 능선과 우측으로 덕유산 줄기를 보고
12 ; 38. 미끄러운 눈길을 빨딱 올라선 700m봉에서 온길을 뒤돌아 보고 살짝 좌틀해서 밋밋하게 오른다.
12 ; 46. 730m봉을 지나 살짝 내려선 안부. 우측으로 거기마을 하산길(2.5km), 보해산 1.2km,회남재 4.3km.
12 ; 50. 740m봉.좌로 꺽어 내려서며 보해산-금귀산 능선이 올려다 보인다.
12 ; 53. 안부에서 좌측으로 해평마을과 수도산쪽이 조망되고 된비얄 오름길이 시작된다.
13 ; 03. 바위들이 나와 암릉구간이 시작되며 큰 바위를 좌측밑으로 돌아오른다.
13 ; 09. 조망바위위에서 양각산부터 지나온 지맥능선이 한눈에 보이고 수도산-우두산으로 가는 수도지맥이 조망된다.
13 ; 11. 급경사 암릉구간 오름길끝에 우측으로 외장포 하산길(2.9km). 보해산 0.3km,회남재 5.2km. 정상은 좀더 가야
12 ; 12. 정점의 큰 바위는 우측에 로프가 있지만 우측 아래 우횟길로 건너간다.
13 ; 16. 북쪽이 절벽지대인 큰바위위 조망처에서 양각산부터 지나온 지맥능선과 수도지맥과 금귀산으로 가는 능선을 조망하고.
13 ; 20/39. 보해산(普海山.911.5m).정성석과 삼각점(무풍25.1988복구).금귀봉 4km,회남재 5.5km,양암1.6km.늦은 점심을 먹다.
13 ; 43/45. 건너편 900m봉.눈이 제법많이 쌓였다.보해산 정상부와 의상봉,오도산쪽조망.우측으로 내려가고
13 ; 50. 절벽위암봉에서 보해산-금귀산-살피재-박유산이 한눈에 들어온다..
13 ; 56. 건너편 슬랩바위봉. 금귀산과 857m봉을 건너다보고 미끄러운 급경사 내림길을 엉금엉금 기어서 내려가다.
14 ; 04. 조망을 즐기며 눈덮힌 암릉능선을 조심스럽게 건너가고
14 ; 09. 857m봉. 834m봉과 금귀산이 건너다 보인다.
14 ; 24/30. 보해산의 마지막봉인 834.1m봉. 준희님의 837m 푯찰.쉬며 막힘없는 조망을 즐기고 계단길로 뚝뚝 떨어져 내려감.
14 ; 41. 뚝 떨어져 내려가 중턱에서 우측으로 고대마을 하산길(1.7km).금귀봉 2.4km,보해산 1.6km.
14 ; 47. 710m봉 넘어 안부. 우측으로 고대마을 1.7km,금귀봉 2km 이정표.
14 ; 49. 우측으로 고대마을,보림사쪽이 내려다 보이고
14 ; 55. 큰재.동물이동통로.거기-용산간 2차선포장도로.금귀봉과 659.6m봉,의상봉능선,보해산능선조망.금귀봉 1.3km.보해산 2.7km.
15 ; 04. 659.6m 금귀봉 분기점.좌측 살피재 3.5km,우측 금귀봉 0.9km,뒤족 보해산 3.1km.금귀봉 따먹으러 우측으로 오르고
15 ; 08. 안부. 좌우로 뚜렷한길. 이제부터 금귀봉까진 된비얄 오름길.→ 계단 →돌길 →로프 →계단 →정상.
15 ; 17. 계단중간에서 보해산,큰재를 뒤돌아 보고
15 ; 26. 돌길을 지나 긴 로프구간을 오르고
15 ; 30/39. 금귀산(金貴山.838.6m).정상석과 산불초소. 돌탑. 진양기맥, 백두대간,양각지맥,수도지맥을 두루보고.서둘러 하산.
우측 거기삼거리 4.1km, 좌측 당동 3.1km, 보해산 4km
15 ; 59. 다시 659.6m 금귀봉 분기점. 산그리움의 666m 푯찰.금귀봉 왕복 50분 걸렸다.살피재 3.5km.금귀봉 0.9km.
16 ; 08. 609m봉에서 우틀해 내려가 임도를 건너고.
16 ; 12. 두 번의 갈림길에서 두 번 다 좌측으로 가고 다음엔 우측이다.
16 ; 19. 박유산과 다음에 갈 지맥능선인 까까머리 능선이 보이고
16 ; 21. 묘뒤에서 528.4m봉과 그 우측봉을 보고 묘 우측이 맥인데 좌측 능선으로 잘못 내려가보니 마루금 좌측으로 몇십미터 벗어났다.
16 ; 26.우측 다시 맥능선에 복귀하여 잡목능선을 오르며
16 ; 30. 좌측으로 휘어가며 금귀산과 잠깐 알바한구간을 뒤돌아 보고 우측으로 다시 휘어 오른다.
16 ; 40. 528.4m 삼각점(거창 423.1981복구). 조망없는 잡목봉.준희님의 528.2m 푯찰.→허름한 묘→앞 둔덕에서 우측으로 꺽어 오른다.
16 ; 48. 530m쯤 되는봉을 넘어서고
16 ; 51. 좌측으로 꺽어 내려가며 뾰족한 박유산과 살피재 오르는 도로가 보이고
16 ; 53. 거창읍과 진양기맥 춘전치와 망실봉능선이 보이고 내림길은 계속된다.
16 ; 56. 우로 꺽어져 150여m 가선 ㅓ길에서 좌측으로 뚝 떨어져 내려가는데 직진길이 좋아 주의할곳이다.
16 ; 58. 날등을 좌측으로 건너가며 바우틈새에 긴 뿌리를 내리고 큰 노송이 있고
17 ; 06. 485.8m봉.앞뒤에서 뒤로 보해산과 금귀봉과 530m봉.앞쪽엔 박유산과 다음구간산들과 의상봉과 오도산쪽이 조망된다.
17 ; 13. 묘지에서 우측으로 거창쪽을 보고 맥은 직진해 살피재 절개지로 내려가나 길이 안좋은지 길은 좌측능선으로 돌아가고 있다.
17 ; 15. 의상봉 뒷모습을 마지막으로 건너다 보고 우측으로 내려서면 → 방씨 가족묘 3기가 있고
17 ; 18. 살피재.2차선 1084번도로.남하면 경계판. 앞쪽은 88고속도로 철망 울타리.버스는 우측 거창쪽 저 아래에 있다.
17 ; 22. 거창쪽 산모랭이에 버스가 있고 살피재가 건너다 보인다.근처에 358.5 m 수준점이 있을텐데 미쳐 못 찾아봤다.
17 ; 28. 살피재 출발하여 거창읍내로.
19 ; 05.거창읍내 재래시장에서 청죽장or 국밥으로 저녁먹고 출발.
21 ; 30. 천안삼거리 휴게소 들려 천안도착.
◈ 산행후기.
※ 회남령-보해산(普海山.911.5m).6km.2시간 16분.
08 : 05. 천안에서 합류하여 경부 옥산휴게소 들려
11 : 03/04. 거창군 가북면과 주상면 경계인 회남령에 도착하여 준희님의 "회남령" 푯찰뒤로 오르며 산행시작.
11 : 08. 절개위에서 지난구간을 뒤돌아 보고 → 좌측으로 회남령 오르는 도로뒤로 단지봉쪽이 보이고 길은 솔밭길로 좋다
11 ; 27. 쭈욱 올라간 약 820m봉에서 회남령과 흰대미산을 뒤돌아 보고 우측으로 내려서다. GPS는 823m을 가르킨다.
11 ; 32.잔봉을 넘어 내림길 중턱의 솔밭에서 우측으로 원보광 하산길 이정표. 보해산 4.5km,회남재 1km.
11 ; 36/9. 760m 둔덕을 넘어서며 좌측 사면길로 가고.맥은 앞쪽으로 조금 더 나가서 좌측으로 꺽어지나 간벌목들로 어지럽다.
721.1m삼각점이 여기서 가나 싶어 몇 발짝 내려서다 되돌아옴.
11 ; 41. 2분쯤 내려간 마루금 능선의 평퍼짐한 안부. 녹슨 송이재배 입산금지 경고판. 길은 다시 좌측 사면길로 건너가고 .
마루금은 앞쪽으로 좀 올라선 730m봉에서 좌측으로 내려간다. 721.1m 삼각점 찍으러 730m봉 아래로 쭈욱 내려감
11 ; 45. 721.1m 삼각점(무풍 465.1983 복구). 보해산과 금귀산이 제대로 보이고 뒤로 회남령과 흰대미산이 어림됨.
11 ; 51. 다시 돌아 온 녹슨경고판 갈림길.마루금 능선은 역시 간벌목들로 어지러워 길 좋은 사면길따라 내려감
11 : 53. 건너편 마루금에서 내려온 능선엔 역시 녹슨입산금지 경고판이 있고 → 송이막 텐트를 쳤던 천막이 있고
11 ; 59. 안부. 우측으로 남산 2구 하산길. 회남재 2km,보해산 3.5km.좌측 묘뒤로 지나온 820m봉이 보임.
12 ; 08.잔봉을 넘어 쭈욱 올라간 680m봉. 정점은 좌측 30여m위에 있고 우측으로 솔밭을 내려가며 GPS는 683m을 가르킨다.
12 ; 13. 670m 둔덕봉에서 좌측으로 꺽어가며 철조망이 잠시 나오고 험악한 입산금지표지판들이 연이어 있다.
12 ; 16. 철조망은 우측으로 가고 바로밑에서 우측으로 원남산 하산길. 원남산 1.7km,보해산 2.6km,회남재 2.9km.바로앞 둔덕엔 묵은 헬기장.
12 ; 19. 안부 위의 경주최공묘에서 보해산 정상부가 올려다 보인다. 점심먹을 시간인데 통 소식은 없고 배고파 죽겠다.
12 ; 21. 맨밑안부. 좌우로 흐힛한 옛길이 있고 살짝 올라선다.
12 ; 26. 650m봉에서 우측으로 꺽어가며 처음으로 좌측으로 의상봉능선이 보이고 보해산 정상과 700m봉이 올려다 보인다.
12 ; 30. 700m봉 된비얄 오름길전 안부에서 좌측으로 의상봉 능선과 우측으로 덕유산 줄기를 보고
12 ; 38. 미끄러운 눈길을 빨딱 올라선 700m봉에서 온길을 뒤돌아 보고 살짝 좌틀해서 밋밋하게 오른다.
12 ; 46. 730m봉을 지나 살짝 내려선 안부. 우측으로 거기마을 하산길(2.5km), 보해산 1.2km,회남재 4.3km.
12 ; 50. 740m봉.좌로 꺽어 내려서며 보해산-금귀산 능선이 올려다 보인다.
12 ; 53. 안부에서 좌측으로 해평마을과 수도산쪽이 조망되고 된비얄 오름길이 시작된다.
13 ; 03. 바위들이 나와 암릉구간이 시작되며 큰 바위를 좌측밑으로 돌아오른다.
13 ; 09. 조망바위위에서 양각산부터 지나온 지맥능선이 한눈에 보이고 수도산-우두산으로 가는 수도지맥이 조망된다.
13 ; 11. 급경사 암릉구간 오름길끝에 우측으로 외장포 하산길(2.9km). 보해산 0.3km,회남재 5.2km. 정상은 좀더 가야
12 ; 12. 정점의 큰 바위는 우측에 로프가 있지만 우측 아래 우횟길로 건너간다.
13 ; 16. 북쪽이 절벽지대인 큰바위위 조망처에서 양각산부터 지나온 지맥능선과 수도지맥과 금귀산으로 가는 능선을 조망하고.
13 ; 20/39. 보해산(普海山.911.5m).정성석과 삼각점(무풍25.1988복구).금귀봉 4km,회남재 5.5km,양암1.6km.늦은 점심을 먹다.
11 : 03/04. 거창군 가북면과 주상면 경계인 회남령에 도착하여 준희님의 "회남령" 푯찰뒤로 오르며 산행시작.
절개지를 올라서면 솔밭길로 길은 좋다.
11 ; 32.820m봉에서 우측으로 내려가 잔봉을 넘어 내림길 중턱의 솔밭에서 우측으로 원보광 하산길 이정표. 보해산 4.5km,회남재 1km.
11 ; 41. 좌측 사면길로 2분쯤 내려간 마루금 능선의 평퍼짐한 안부.
녹슨 송이재배 입산금지 경고판. 길은 다시 좌측 사면길로 건너가고 .
마루금은 앞쪽으로 좀 올라선 730m봉에서 좌측으로 내려간다. 721.1m 삼각점 찍으러 730m봉 아래로 쭈욱 내려감
11 ; 45. 721.1m 삼각점(무풍 465.1983 복구)에서 본 보해산과 금귀산(우측 뾰족봉).
11 ; 59. 안부.
우측으로 남산 2구 하산길. 회남재 2km,보해산 3.5km.좌측 묘뒤로 지나온 820m봉이 보임.
12 ; 08.잔봉을 넘어 쭈욱 올라간 680m봉.
정점은 좌측 30여m위에 있고 우측으로 솔밭을 내려가며 GPS는 683m을 가르킨다.
12 ; 13. 670m 둔덕봉에서 좌측으로 꺽어가며 철조망이 잠시 나오고 험악한 입산금지표지판들이 연이어 있다.
12 ; 16. 철조망은 우측으로 가고 바로밑에서 우측으로 원남산 하산길. 원남산 1.7km,보해산 2.6km,회남재 2.9km.바로앞 둔덕엔 묵은 헬기장.
12 ; 19. 안부 위의 경주최공묘에서 보해산 정상부가 올려다 보인다.
점심먹을 시간인데 앞서간 일행들은 통 소식이 없고 배고파 죽겠다.
12 ; 30. 700m봉 된비얄 오름길전 안부에서 좌측으로 본 남산-의상봉 능선.
미끄러운 눈길로 700m봉을 빨딱 올라가며 뒤 돌아 본 지맥모습.
12 ; 46. 730m봉을 지나 살짝 내려선 안부.
우측으로 거기마을 하산길(2.5km), 보해산 1.2km,회남재 4.3km.
12 ; 50. 740m봉.
좌로 꺽어 내려서며 보해산이 올려다 보인다.
바위들이 나와 암릉구간을 오르고
13 ; 09. 암릉을 올라 조망바위위에서 양각산부터 지나온 지맥능선(좌측능선)이 한눈에 보이고 수도산-우두산으로 가는 수도지맥(우측뒤)이 조망된다.
13 ; 11. 급경사 암릉구간 오름길끝에 우측으로 외장포 하산길(2.9km).
보해산 0.3km,회남재 5.2km. 정상은 좀더 가야
12 ; 12. 정점의 큰 바위는 우측에 로프가 있지만 우측 아래 우횟길로 건너간다.
13 ; 16. 북쪽이 절벽지대인 큰바위위 조망처에서 양각산부터 지나온 지맥능선을 돌아보고
우측뒤 m 능선뒤가 회남령이고 그뒤 뾰족한봉이 흰대미산, 그뒤 하얀곳이 양각산.
보해산에서 금귀산으로 가는 능선을 조망하고.
13 ; 20/39. 보해산(普海山.911.5m)에서 후미그룹.
13 ; 20/39. 보해산(普海山.911.5m).정성석과 삼각점(무풍25.1988복구).안내도.
금귀봉 4km,회남재 5.5km,양암1.6km.늦은 점심을 먹다.
13 ; 20/39. 보해산(普海山.911.5m)에서 본 양암 하산길과 남산-우두산으로 이어가는 수도지맥.
13 ; 20/39. 보해산(普海山.911.5m)에서 본 갈 857m봉과 뒤로 뾰족한 금귀산(838.6m로 이봉부다 낮은데 더 높아 보인다)
※ 보해산(普海山.911.5m)-금귀산왕복- 살피재.8.3km.3시간 40분.
13 ; 20/39. 보해산(普海山.911.5m).정성석과 삼각점(무풍25.1988복구).금귀봉 4km,회남재 5.5km,양암1.6km.늦은 점심을 먹다.
13 ; 43/45. 건너편 900m봉.눈이 제법많이 쌓였다.보해산 정상부와 의상봉,오도산쪽조망.우측으로 내려가고
13 ; 50. 절벽위암봉에서 보해산-금귀산-살피재-박유산이 한눈에 들어온다..
13 ; 56. 건너편 슬랩바위봉. 금귀산과 857m봉을 건너다보고 미끄러운 급경사 내림길을 엉금엉금 기어서 내려가다.
14 ; 04. 조망을 즐기며 눈덮힌 암릉능선을 조심스럽게 건너가고
14 ; 09. 857m봉. 834m봉과 금귀산이 건너다 보인다.
14 ; 24/30. 보해산의 마지막봉인 834.1m봉. 준희님의 837m 푯찰.쉬며 막힘없는 조망을 즐기고 계단길로 뚝뚝 떨어져 내려감.
14 ; 41. 뚝 떨어져 내려가 중턱에서 우측으로 고대마을 하산길(1.7km).금귀봉 2.4km,보해산 1.6km.
14 ; 47. 710m봉 넘어 안부. 우측으로 고대마을 1.7km,금귀봉 2km 이정표.
14 ; 49. 우측으로 고대마을,보림사쪽이 내려다 보이고
14 ; 55. 큰재.동물이동통로.거기-용산간 2차선포장도로.금귀봉과 659.6m봉,의상봉능선,보해산능선조망.금귀봉 1.3km.보해산 2.7km.
15 ; 04. 659.6m 금귀봉 분기점.좌측 살피재 3.5km,우측 금귀봉 0.9km,뒤족 보해산 3.1km.금귀봉 따먹으러 우측으로 오르고
15 ; 08. 안부. 좌우로 뚜렷한길. 이제부터 금귀봉까진 된비얄 오름길.→ 계단 →돌길 →로프 →계단 →정상.
15 ; 17. 계단중간에서 보해산,큰재를 뒤돌아 보고
15 ; 26. 돌길을 지나 긴 로프구간을 오르고
15 ; 30/39. 금귀산(金貴山.838.6m).정상석과 산불초소. 돌탑. 진양기맥, 백두대간,양각지맥,수도지맥을 두루보고.서둘러 하산.
우측 거기삼거리 4.1km, 좌측 당동 3.1km, 보해산 4km
15 ; 59. 다시 659.6m 금귀봉 분기점. 산그리움의 666m 푯찰.금귀봉 왕복 50분 걸렸다.살피재 3.5km.금귀봉 0.9km.
16 ; 08. 609m봉에서 우틀해 내려가 임도를 건너고.
16 ; 12. 두 번의 갈림길에서 두 번 다 좌측으로 가고 다음엔 우측이다.
16 ; 19. 박유산과 다음에 갈 지맥능선인 까까머리 능선이 보이고
16 ; 21. 묘뒤에서 528.4m봉과 그 우측봉을 보고 묘 우측이 맥인데 좌측 능선으로 잘못 내려가보니 마루금 좌측으로 몇십미터 벗어났다.
16 ; 26.우측 다시 맥능선에 복귀하여 잡목능선을 오르며
16 ; 30. 좌측으로 휘어가며 금귀산과 잠깐 알바한구간을 뒤돌아 보고 우측으로 다시 휘어 오른다.
16 ; 40. 528.4m 삼각점(거창 423.1981복구). 조망없는 잡목봉.준희님의 528.2m 푯찰.→허름한 묘→앞 둔덕에서 우측으로 꺽어 오른다.
16 ; 48. 530m쯤 되는봉을 넘어서고
16 ; 51. 좌측으로 꺽어 내려가며 뾰족한 박유산과 살피재 오르는 도로가 보이고
16 ; 53. 거창읍과 진양기맥 춘전치와 망실봉능선이 보이고 내림길은 계속된다.
16 ; 56. 우로 꺽어져 150여m 가선 ㅓ길에서 좌측으로 뚝 떨어져 내려가는데 직진길이 좋아 주의할곳이다.
16 ; 58. 날등을 좌측으로 건너가며 바우틈새에 긴 뿌리를 내리고 큰 노송이 있고
17 ; 06. 485.8m봉.앞뒤에서 뒤로 보해산과 금귀봉과 530m봉.앞쪽엔 박유산과 다음구간산들과 의상봉과 오도산쪽이 조망된다.
17 ; 13. 묘지에서 우측으로 거창쪽을 보고 맥은 직진해 살피재 절개지로 내려가나 길이 안좋은지 길은 좌측능선으로 돌아가고 있다.
17 ; 15. 의상봉 뒷모습을 마지막으로 건너다 보고 우측으로 내려서면 → 방씨 가족묘 3기가 있고
17 ; 18. 살피재.2차선 1084번도로.남하면 경계판. 앞쪽은 88고속도로 철망 울타리.버스는 우측 거창쪽 저 아래에 있다.
17 ; 22. 거창쪽 산모랭이에 버스가 있고 살피재가 건너다 보인다.근처에 358.5 m 수준점이 있을텐데 미쳐 못 찾아봤다.
17 ; 28. 살피재 출발하여 거창읍내로.
19 ; 05.거창읍내 재래시장에서 청죽장or 국밥으로 저녁먹고 출발.
21 ; 30. 천안삼거리 휴게소 들려 천안도착.
13 ; 43/45. 건너편 900m봉에서 본 해평리와 뒤로 남산- 마령-우두산-의상봉능선.
13 ; 43/45. 건너편 900m봉에서
오선배님은 오늘 배탈이 나서 초반에 고생좀 하셨다.
13 ; 43/45. 건너편 900m봉에서 본 우두산(1046m. 좌측맨뒤) 의상봉(좌측 가운데 뾰족봉),비계산(1132m. 우측 구름속 ),두무산(1136m.맨우측).
13 ; 43/45. 건너편 900m봉에서 본 오도산(1120m.좌측 통신탑 있는 하얀 뾰족봉)과 숙성산(907m. 맨우측 임신부가 누운형상 ).
13 ; 50. 절벽위 암봉에서 본 금귀산과 857m봉.
13 ; 56. 건너편 슬랩바위봉에서 뒤 돌아 본 절벽봉과 뒤로 의상봉-비계산-두무산.
13 ; 56. 건너편 슬랩바위봉에서 금귀산.
14 ; 04. 857m봉앞에서 조망을 즐기며 눈덮힌 암릉능선을 조심스럽게 건너가고
14 ; 09. 857m봉에서 뒤 돌아 본 보해산(맨 좌측봉)과 900m봉, 슬렙바위봉(우).
857m봉에서 본 우두산 -오도산으로 가는 수도지맥.
857m봉에서 본 오도산.숙성산과 가북면.
857m봉에서 본 834.1m봉.
14 ; 24/30. 보해산의 마지막봉인 834.1m봉. 준희님의 837m 푯찰.
쉬며 막힘없는 조망을 즐기고 계단길로 뚝뚝 떨어져 내려감.
14 ; 24/30. 보해산의 마지막봉인 834.1m봉에서 우측으로 본 금원산과 뒤로 덕유산.
14 ; 24/30. 보해산의 마지막봉인 834.1m봉에서 뒤 돌아 본 보해산과 좌측 뒤로 지나온 양각지맥.
14 ; 24/30. 보해산의 마지막봉인 834.1m봉에서 좌측으로 본 남산,남산제일봉.마령,우두산.
14 ; 24/30. 보해산의 마지막봉인 834.1m봉에서 좌측으로 본 두무산.오도산, 숙성산.
14 ; 24/30. 보해산의 마지막봉인 834.1m봉에서 본 금귀산과 큰재(가운데 하얀곳)
지맥은 큰재 윗봉(나뭇가지뒤)에서 좌측으로 내려간다.
14 ; 24/30. 보해산의 마지막봉인 834.1m봉에서 보해산을 뒤돌아 보고
14 ; 24/30. 보해산의 마지막봉인 834.1m봉에서 본 오늘의 종착점인 살피재(좌측 둔덕넘어 안부)와 박유산(좌측 뾰족봉) 우측으로 이어갈 다음구간의 산들.
땡겨 본 금귀산. 갈까 말까.
834.1m봉 넘어 내림길을 걱정했는데 계단이 잘돼 있어 안심이다.
14 ; 41. 뚝 떨어져 내려가 중턱에서 우측으로 고대마을 하산길(1.7km).금귀봉 2.4km,보해산 1.6km.
14 ; 55. 큰재.동물이동통로.
거기-용산간 2차선포장도로.금귀봉과 659.6m봉,의상봉능선,보해산능선조망.금귀봉 1.3km.보해산 2.7km.
14 ; 55. 큰재.동물이동통로에서 좌측으로 본 의상봉과 비계산.
14 ; 55. 큰재.동물이동통로에서 뒤 돌아 본 보해산.
저뾰족봉들은 우회길이 없고 다 넘어야 한다.
15 ; 04. 659.6m 금귀봉 분기점.좌측 살피재 3.5km,우측 금귀봉 0.9km,뒤쪽 보해산 3.1km.금귀봉 따먹으러 우측으로 오르고
금귀봉까진 된비얄 오름길.→ 계단 →돌길 →로프 →계단 →정상.
계단위에서 보해산과 큰재 659.6m 금귀봉 분기점봉을 뒤돌아 보고.
15 ; 30/39. 금귀산(金貴山.838.6m).정상석과 산불초소.
돌탑. 진양기맥, 백두대간,양각지맥,수도지맥을 두루보고.서둘러 하산.
우측 거기삼거리 4.1km, 좌측 당동 3.1km, 보해산 4km
15 ; 30/39. 금귀산(金貴山.838.6m)에서 본 양각산-흰대미산-보해산으로 온 양각지맥.
15 ; 30/39. 금귀산(金貴山.838.6m)에서 본 남산-마령-우두산으로 이어가는 수도지맥.
15 ; 30/39. 금귀산(金貴山.838.6m)정상에서 본 두무산-오도산으로 이어가는 수도지맥과 곁가지인 숙성산.
앞쪽 우측으로 오를의 종점인 살피재 도로가 보인다.
15 ; 30/39. 금귀산(金貴山.838.6m)정상에서
15 ; 30/39. 금귀산(金貴山.838.6m)정상에서 본 거창읍과 춘전치(맨좌측)-망실봉(가운데)을 이어가는 진양기맥.
15 ; 59. 다시 659.6m 금귀봉 분기점.
산그리움의 666m 푯찰.금귀봉 왕복 50분 걸렸다.살피재 3.5km.금귀봉 0.9km.
609m봉전에 좌측으로 본 보해산의 암봉들.
16 ; 08. 609m봉에서 우틀해 내려가 임도를 건너고.
16 ; 19. 박유산과 다음에 갈 지맥능선인 까까머리 능선이 보이고
16 ; 21. 묘뒤에서 528.4m봉과 그 우측봉을 보고
묘 우측이 맥인데 좌측 능선으로 잘못 내려가보니 마루금 좌측으로 몇십미터 벗어났다.
16 ; 26.우측 다시 맥능선에 복귀하여 잡목능선을 오르며 뒤돌아 본 금귀산과 알바하기 쉬운 묘지 좌우능선(가운데 우측 좀 붉은곳).
16 ; 40. 528.4m 삼각점(거창 423.1981복구).
조망없는 잡목봉.준희님의 528.2m 푯찰.→허름한 묘→앞 둔덕에서 우측으로 꺽어 오른다.
16 ; 53. 거창읍과 진양기맥 춘전치와 망실봉능선이 보이고 내림길은 계속된다.
16 ; 58. 날등을 좌측으로 건너가며 바우틈새에 긴 뿌리를 내리고 큰 노송이 있고
17 ; 04. 485.8m앞봉에서 본 박유산.
17 ; 04. 485.8m앞봉에서 본 오도산(좌측 통신탑봉)과 숙성산 (우).
485.8m봉에서 본 금귀산과 우측 뒤로 보해산.
485.8m봉에서 본 530m봉과 뒤로 보해산.
의상봉(좌)과 비계산(우)뒷모습.
17 ; 15. 의상봉 뒷모습을 마지막으로 건너다 보고 우측으로 내려서면 → 방씨 가족묘 3기가 있고
17 ; 18. 살피재.2차선 1084번도로.
남하면 경계판. 앞쪽은 88고속도로 철망 울타리.버스는 우측 거창쪽 저 아래에 있다.
17 ; 22. 거창쪽 산모랭이에 버스가 있고 살피재가 건너다 보인다.
근처에 358.5 m 수준점이 있을텐데 미쳐 못 찾아봤다.
19 ; 05.거창읍내 재래시장에서 청죽장or 국밥으로 저녁먹고
19 ; 05.거창읍내 재래시장에서 청죽장or 국밥으로 저녁먹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