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암지맥 3구간(오두재-봉화령(375.8m)-덕산-황해)終.
장암지맥 3구간(오두재-봉화령(375.8m)-덕산-황해)終.
◈ 산행코소와 거리 및 소요시간 : 도상거리 10.5 km 4시간 30분.
전남 영광읍 백수읍 천마리 산 71-11 오두재-갓봉(343.9m)-모재-353m-봉화령(375.8m 삼각점)-257.3m-228.6m-
덕산(2차선도로)-133.7m-158.3m-136.1m-백수읍 대신리 해안도로-황해.
GPS 거리 오두재.00km-갓봉(343.9m) 0.82km-봉화령(375.8m 삼각점) 3km-228.6m삼각점 6.16km -
덕산리도로 7.48km-136.1m 삼각점 9.97km- 백수읍대신리 해안도로 .
◈ 일시 : 2014. 2. 16(일).
◈ 날씨 : 백수읍,법성포 0/12 봄이 온 듯 푹하고 미세 먼지로 시계는 불량.
◈ 동행인 : 요맥회원 8명 요맥 강형태회장님.이선우님.정영옥님 정환규님. 최덕조님. 이덕희님.정송자님.깁정옥님. 박종율.
◈ 경비 ; 5만원.
◈ 지도.
장암지맥 3구간(오두재-봉화령(375.8m)-덕산-황해)終.지도1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장암지맥 3구간(오두재-봉화령(375.8m)-덕산-황해)終.지도2.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 트랙.
◈ 일정정리.
07 : 30. 천안에서 합류하여 천안-논산 고속도로 ,당진-고속도로-이어 바로 서천-공주 고속도로 타고,부여백제휴게소들려.
10 ; 15/25. 서해안고속도로-영광IC에서 나가 백수읍 오두재(비포장도로.190m).갓봉0.5km, 수리봉 0.8km 이정표.
10 : 32. 안부. 넓은길은 끝나고 급 오름길로 오르고 → 좌측 능선으로 건너감.
10 ; 39. 중턱에서 오두재와 수리봉을 뒤돌아 보고
10 : 42. 좌측능선위. 좌측에서 올라온 좋은길을 만나 우측으로 가고 → 잠시후에 조망바위. 갓봉은 좀더가야
10 ; 48/50. 갓봉.정상표석. 우측에 조망바위.모재봉 0.5km,삽촌 2.3km 이정표.수리봉과 오두재. 백수읍.구수산. 길용저수지등 주변조망.
10 ; 54. 성터같은 곳을 지나 내림길에 맥은 직진이나 좌측으로 일반등산로를 따라 돌아가고
11 ; 04. 316m봉. 현위치 모재봉(봉화령 1.5km,갓봉 0.5km)이정표. 좌측으로 내려감
11 : 10. 모재. 좌측에서 올라온 임도끝. 운동기구와 등산안내도. 묘들.봉화령 1.5km갓봉 0.5km이정표(모재봉의 이정표와 똑같다)
11 : 13. 살짝 올라선 첫 조망바위.온길 갈길을 돌아보고
11 ; 18. 두 번째 조망바위. 갓봉,모재, 길용저수지,구수산, 갈 산들을 둘러보고
11 ; 23. 353m. 정상이 움푹파임.우로 꺽어가며 봉화령과 구수산줄기와 조금 내려서면 좌측으로 황해가 조망되고
11 ; 37/40. 평지능선을 쭈욱간 375.8m 삼각점(법성428. 1984재설).우측으로 구수산,원불교 영산성지 하산길.
현위치 봉화령(열부순절지(덕산에 있다) 4.3km. 갓봉 1.5km.구수산 1.5km)이정표.GPS는 378m을 가르킨다.
11 ; 42. 도상 580.1m 인 봉화령 갈림길.지맥은 좌측으로 뚝 떨어져 내려가고 우측에 봉긋한 580m봉. 등산로 →표지판.
11 : 54. 쭈욱 내려간 285m봉 전 안부.좌측 산허리로 허우재, 하산길.땅에 쓰러진 등산안내판.
11 : 57. 살짝 올라선 중턱에서 뒤로 온길과 좌측으로 답동,석금등 해안마을을 돌아 보고
11 ; 59/12 ; 21.약 285m봉. 돌축대로 쌓은 봉화대터. 좌측능선으로 어우재,장두산(125.2m) 하산길. 이정표.GPS는 289m. 점심.
11 ; 23. 조금 나가면 넓은 조망바위에서 갈 지맥능선과 그 우측으로 대신저수지가 쭈욱 보인다.
12 ; 30.건너편 평지능선의 273m을 지나고
12 ; 34. 살짝 내려선 안부.좌측으로 가자골( 해안공원 0.5km).뱀골봉(228.6m 삼각점봉을 말한다.1.1km).가자봉 이정표.앞쪽엔 큼직한 바위들.
12 ; 36. 조망바위에서 좌측 해안도로와 가자골마을이 그림같다.
12 ; 39. 257.3m봉. 바위들. 좌측 해안도로와 가자골조망.GPS는 269m를 가르키며 다시 쭈욱 내려가며 길은 계속좋다.
12 ; 47. 안부를 지나며 잠깐 벌목지가 나오고 앞 둔덕에서 좌측으로 교동마을과 섬이 조망되며 우측으로 틀어 오르고
12 ; 49/51. 220m앞 묘 4기에서 갓봉부터 온길을 뒤돌아 보고 바로앞 220m봉은 좌측사면으로 건너간다.
13 ; 01. 228.5m 삼각점봉(법성 425.198?복구).
13 ; 03. 226.5m.뱀골봉 이정표(덕산 1km,가자봉 1.1km).우측 아랫마을이 뱀골이다.
13 ; 19. 덕산 삼거리. 좌측은 해안도로.우측에 마을과 77번 2차선도로. 좌측 바닷가에 영광정유재란 열부순절지.맥은 우측마을쪽으로.
13 ; 23. 영광정유재란 열부순절지.모열사(慕烈祠).정유재란때 동래정씨와 진주정씨 부녀자들이 절개를 지켜 철산앞바다에 몸을 던졌다.
13 ; 30/8. 덕산마을 수퍼에서 잠시 목을 축이고 세멘길따라 앞 통신탑봉으로
13 ; 47. 초입은 길이 시원찮으나 좀 오르면 좌측에서 올라온 수렛길을 만나고 전봇대따라 통신탑봉을 오른다.
15 ; 50. SK 백수대신 기지국. KT,산불감시탑.좌측 30m가 133.7m봉인데 GPS는 147m을 가르킨다.. 좋은길은 끝나고
13 ; 54. 평지능선을 쭈욱나가 능선끝에서 좌측으로 내려간다.GPS는 137m을 가르킨다.
13 ; 58. 살짝 내려서면 불탄지역이 나오고 앞 둔덕에서 우측으로 꺽어가며 좌측엔 물탱크가 있고 저앞에 158.3m봉이 보인다.
14 ; 12. 120m봉. 가시잡목봉. GPS 밧테리 갈아 끼우고 우로 꺽어 가시밭을 헤치고 내려가고
14 ; 22. 안부건너 한턱 올라서면 묵은 헬기장터가 있고 저앞이 158.3m봉.
14 ; 27. 158.3m봉. 타이어와 돌축대로 쌓은 교통호. 지저분한 잡목봉.GPS는 179m를 가르킨다.
14 : 36. 136.1m삼각점봉(법성 421. 1984복구).잡목덩쿨속에.Y 능선에서 우측으로 내려서 지독한 가시밭을 헤치며 내려간다.
14 ; 53/8. 해안도로.남도 갯길 6000리 노을길 표지판. 앞 좌측 황해 바다엔 돔배섬과 괭이섬. 앞 바다 건너 산봉우리엔 항월등대.우측엔 다리공사중.
15 : 23./35. 우측으로 내려가다 차를 불러 법성포로 나오는길에 원불교 영상성지를 둘러보고
15 ; 51/16 : 15. 법성포에 있는 백제불교 최초도래지를 둘러본다.
16 : 25/ 17 ; 25. 법성포 토우본점(061 356 8424)에서 저녁.강추다. 돌솥밥굴비정식(10000원)인데 잘 먹었다. 이선우님 감사합니다.
18 ; 04/15. 고창군 부안면 선운리에 있는 미당 서정주 생가를 둘러보고
18 ; 22/30. 가까이에 있는 2대 부통령을 지낸 인촌 김성수와 아우 수당 김연수 형제의 생가를 둘러보다.
20 : 45. 천안삼거리 휴게소 들려 천안도착.
◈ 삼행후기.
※ 오두재-갓봉-375.8m 구수산분기봉-285m (허우재,장두산 분기봉). 1시간 34분.
07 : 30. 천안에서 합류하여 천안-논산 고속도로 ,당진-고속도로-이어 바로 서천-공주 고속도로 타고,부여백제휴게소들려.
10 ; 15/25. 서해안고속도로-영광IC에서 나가 백수읍 오두재(비포장도로.190m).갓봉0.5km, 수리봉 0.8km 이정표.
10 : 32. 안부. 넓은길은 끝나고 급 오름길로 오르고 → 좌측 능선으로 건너감.
10 ; 39. 중턱에서 오두재와 수리봉을 뒤돌아 보고
10 : 42. 좌측능선위. 좌측에서 올라온 좋은길을 만나 우측으로 가고 → 잠시후에 조망바위. 갓봉은 좀더가야
10 ; 48/50. 갓봉.정상표석. 우측에 조망바위.모재봉 0.5km,삽촌 2.3km 이정표.수리봉과 오두재. 백수읍.구수산. 길용저수지등 주변조망.
10 ; 54. 성터같은 곳을 지나 내림길에 맥은 직진이나 좌측으로 일반등산로를 따라 돌아가고
11 ; 04. 316m봉. 현위치 모재봉(봉화령 1.5km,갓봉 0.5km)이정표. 좌측으로 내려감
11 : 10. 모재. 좌측에서 올라온 임도끝. 운동기구와 등산안내도. 묘들.봉화령 1.5km갓봉 0.5km이정표(모재봉의 이정표와 똑같다)
11 : 13. 살짝 올라선 첫 조망바위.온길 갈길을 돌아보고
11 ; 18. 두 번째 조망바위. 갓봉,모재, 길용저수지,구수산, 갈 산들을 둘러보고
11 ; 23. 353m. 정상이 움푹파임.우로 꺽어가며 봉화령과 구수산줄기와 조금 내려서면 좌측으로 황해가 조망되고
11 ; 37/40. 평지능선을 쭈욱간 375.8m 삼각점(법성428. 1984재설).우측으로 구수산,원불교 영산성지 하산길.
현위치 봉화령(열부순절지(덕산에 있다) 4.3km. 갓봉 1.5km.구수산 1.5km)이정표.GPS는 378m을 가르킨다.
11 ; 42. 도상 580.1m 인 봉화령 갈림길.지맥은 좌측으로 뚝 떨어져 내려가고 우측에 봉긋한 580m봉. 등산로 →표지판.
11 : 54. 쭈욱 내려간 285m봉 전 안부.좌측 산허리로 허우재, 하산길.땅에 쓰러진 등산안내판.
11 : 57. 살짝 올라선 중턱에서 뒤로 온길과 좌측으로 답동,석금등 해안마을을 돌아 보고
11 ; 59/12 ; 21.약 285m봉. 돌축대로 쌓은 봉화대터. 좌측능선으로 어우재,장두산(125.2m) 하산길. 이정표.GPS는 289m. 점심.
영광군 백수읍 오두재(비포장도로.190m).
좌측부터 이선우님. 정송자님. 김정옥님. 최덕조님. 정환규님.이덕희님. 정영옥님. 박종율. 강형태님은 사진찍고.
영광군 백수읍 오두재(비포장도로.190m).갓봉0.5km, 수리봉 0.8km 이정표.
10 ; 39. 갓봉 오름길 중턱에서 오두재와 수리봉을 뒤돌아 보고.
10 : 42. 좌측능선위.
좌측에서 올라온 좋은길을 만나 우측으로 가고 → 잠시후에 조망바위. 갓봉은 좀더가야.
10 ; 48/50. 갓봉 조망바위.
10 ; 48/50. 갓봉 조망바위에서 본 오두재와 지난번에 내려온 수리봉(우)-286.4m봉(좌).
10 ; 48/50. 갓봉 조망바위에서 본 길용저수지(우측골)와 봉화령에서 우측으로 가지친 불묵재,구수봉능선.
우측 맨뒷산이 대덕산(240.3m)이고 그앞에 흐릿하게 보이는
낮은봉이 원불교영상성지앞에 있는 옥녀봉(152m)으로 절벽바위에 원불교 상징인 O 마크가 그려있다.
10 ; 48/50. 갓봉 조망바위에서 본 백수읍.
10 ; 48/50. 갓봉.
정상표석. 우측에 조망바위.모재봉 0.5km,삽촌 2.3km 이정표.
10 ; 54. 성터같은 곳을 지나 내림길에 맥은 직진이나 좌측으로 일반등산로를 따라 돌아간다.
우측봉이 316m봉. 가운데가 모재 임도. 좌측봉이 353m봉.그 우측 뒷봉이 375.8m 삼각점봉.
11 ; 04. 316m봉. 현위치 모재봉(봉화령 1.5km,갓봉 0.5km)이정표. 좌측으로 내려감
전엔 산불초소가 있었던 모양인데 지금은 철거했고 산 이름은 지형도엔없고 동네사람들이 붙인 이름인듯
316m봉에서 내림길에 본 353m봉(좌)과 375.8m 삼각점(우).
11 : 10. 모재.
좌측에서 올라온 임도끝. 운동기구와 등산안내도. 묘들.봉화령 1.5km갓봉 0.5km이정표(모재봉의 이정표와 똑같다).
11 : 10. 모재에서 좌측으로 본 홍곡(虹谷)저수지, 장두산(獐頭山.125.2m)과 우측에 풍력발전기.
11 : 10. 모재에 있는 구수산 등산안내도.
11 : 13. 살짝 올라선 조망바위.
조망바위에서 뒤 돌아 본 316m(좌앞0,수리봉(좌뒤),갓봉(우).
조망바위에서 우측으로 본 구수산(좌)능선과 길용저수지,옥녀봉,대덕산.
조망바위에서 우측으로 본 375.8m 삼각점봉(좌)-불목재와 그밑의 수두암(우 중턱).
11 ; 23. 정상이 움푹파인 353m에서 우로 꺽어 내려서며 본 375.8m 삼각점봉과 바로앞에 둥그런 380.1m 봉.
11 ; 37/40. 평지능선을 쭈욱간 375.8m 삼각점(법성428. 1984재설)봉.
11 ; 37/40. 평지능선을 쭈욱간 375.8m 삼각점(법성428. 1984재설)봉.
우측으로 구수산,원불교 영산성지 하산길.
현위치 봉화령, (열부순절지(덕산에 있다) 4.3km. 갓봉 1.5km.구수산 1.5km)이정표.GPS는 378m을 가르킨다.
375.8m 삼각점(법성428. 1984재설)에서 뒤 돌아 본 수리봉(좌).갓봉(가운데 우측봉),316m(가운데 좌측봉), 353m(맨 우측봉).
11 : 54. 쭈욱 내려간 285m봉 전 안부.
좌측 산허리로 허우재, 하산길.땅에 쓰러진 등산안내판.앞에 보이는 봉이 봉화대터가 있는 285m봉.
11 : 57. 285m봉 오름길 중턱에서 좌측으로 본 답동,석금등 해안마을과 황해바다와 염전들.
11 ; 59/12 ; 21.약 285m봉.
돌축대로 쌓은 봉화대터. 좌측능선으로 어우재,장두산(125.2m) 하산길에 이정표가 있고 GPS는 289m을 가르킨다.
넘어쪽에서 점심.
※ 285m (허우재,장두산 분기봉)-덕산-136.1m- 황해. 2시간 32분.
11 ; 59/12 ; 21.약 285m봉. 돌축대로 쌓은 봉화대터. 좌측능선으로 어우재,장두산(125.2m) 하산길. 이정표.GPS는 289m. 점심.
11 ; 23. 조금 나가면 넓은 조망바위에서 갈 지맥능선과 그 우측으로 대신저수지가 쭈욱 보인다.
12 ; 30.건너편 평지능선의 273m을 지나고
12 ; 34. 살짝 내려선 안부.좌측으로 가자골( 해안공원 0.5km).뱀골봉(228.6m 삼각점봉을 말한다.1.1km).가자봉 이정표.앞쪽엔 큼직한 바위들.
12 ; 36. 조망바위에서 좌측 해안도로와 가자골마을이 그림같다.
12 ; 39. 257.3m봉. 바위들. 좌측 해안도로와 가자골조망.GPS는 269m를 가르키며 다시 쭈욱 내려가며 길은 계속좋다.
12 ; 47. 안부를 지나며 잠깐 벌목지가 나오고 앞 둔덕에서 좌측으로 교동마을과 섬이 조망되며 우측으로 틀어 오르고
12 ; 49/51. 220m앞 묘 4기에서 갓봉부터 온길을 뒤돌아 보고 바로앞 220m봉은 좌측사면으로 건너간다.
13 ; 01/03. 228.5m 삼각점봉(법성 425.198?복구).
13 ; 03. 226.5m. 뱀골봉 이정표(덕산 1km,가자봉 1.1km).우측 아랫마을이 뱀골이다.
13 ; 19. 덕산 삼거리. 좌측은 해안도로.우측에 마을과 77번 2차선 도로. 좌측 바닷가에 영광정유재란 열부순절지.맥은 우측마을쪽으로.
13 ; 23. 영광정유재란 열부순절지.모열사(慕烈祠).정유재란때 동래정씨와 진주정씨 부녀자들이 절개를 지켜 철산앞바다에 몸을 던졌다.
13 ; 30/8. 덕산마을 수퍼에서 잠시 목을 축이고 세멘길따라 앞 통신탑봉으로
13 ; 47. 초입은 길이 시원찮으나 좀 오르면 좌측에서 올라온 수렛길을 만나고 전봇대따라 통신탑봉을 오른다.
15 ; 50. SK 백수대신 기지국. KT,산불감시탑.좌측 30m가 133.7m봉인데 GPS는 147m을 가르킨다.. 좋은길은 끝나고
13 ; 54. 평지능선을 쭈욱나가 능선끝에서 좌측으로 내려간다.GPS는 137m을 가르킨다.
13 ; 58. 살짝 내려서면 불탄지역이 나오고 앞 둔덕에서 우측으로 꺽어가며 좌측엔 물탱크가 있고 저앞에 158.3m봉이 보인다.
14 ; 12. 120m봉. 가시잡목봉. GPS 밧테리 갈아 끼우고 우로 꺽어 가시밭을 헤치고 내려가고
14 ; 22. 안부건너 한턱 올라서면 묵은 헬기장터가 있고 저앞이 158.3m봉.
14 ; 27. 158.3m봉. 타이어와 돌축대로 쌓은 교통호. 지저분한 잡목봉.GPS는 179m를 가르킨다.
14 : 36. 136.1m삼각점봉(법성 421. 1984복구).잡목덩쿨속에.Y 능선에서 우측으로 내려서 지독한 가시밭을 헤치며 내려간다.
14 ; 53/8. 해안도로.남도 갯길 6000리 노을길 표지판. 앞 좌측 황해 바다엔 돔배섬과 괭이섬. 앞 바다 건너 산봉우리엔 항월등대.우측엔 다리공사중.
15 : 23./35. 우측으로 내려가다 차를 불러 법성포로 나오는길에 원불교 영상성지를 둘러보고
15 ; 51/16 : 15. 법성포에 있는 백제불교 최초도래를 둘러본다.
16 : 25/ 17 ; 25. 법성포 토우본점(061 356 8424)에서 저녁.강추다. 돌솥밥굴비정식(10000원)인데 잘 먹었다. 이선우님 감사합니다.
18 ; 04/15. 고창군 부안면 선운리에 있는 미당 서정주 생가를 둘러보고
18 ; 22/30. 가까이에 있는 2대 부통령을 지낸 인촌 김성수와 아우 수당 김연수 형제의 생가를 둘러보다.
20 : 45. 천안삼거리 휴게소 들려 천안도착.
.
11 ; 23. 285m봉에서 조금 나가면 넓은 조망바위에서 갈 지맥능선과 그 우측으로 대신저수지가 쭈욱 보인다.
12 ; 34. 살짝 내려선 안부.
좌측으로 가자골( 해안공원 0.5km).뱀골봉(228.6m 삼각점봉을 말한다.1.1km).현위치 가자봉 이정표.앞쪽엔 큼직한 바위들이 나온다.
가자자봉이란 산이름은 모재봉과 마찬가지로 좌측 아랫 마을이 가자골이라 동네사람들이 붙인 산이름이라 인용하긴 뭣하다.
12 ; 36. 살작 올라선 조망바위에서 좌측 해안도로와 가자골마을이 내려다 보이는데 바다는 미세먼지로 바다같지않게 보인다.
12 ; 39. 257.3m봉. 바위들.
좌측 해안도로와 가자골조망.GPS는 269m를 가르키며 다시 쭈욱 내려가며 길은 계속좋다.
12 ; 39. 257.3m봉에서 좌측으로 본 황해와 해안도로.
12 ; 53. 220m봉은 좌측사면으로 건너간다.
13 ; 01/03. 228.5m 삼각점봉(법성 425.198?복구).
13 ; 03. 삼각점봉 바로앞의 226.5m.
뱀골봉 이정표(덕산 1km,가자봉 1.1km).우측 아랫마을이 뱀골이라 뱀골봉이라 써 붙였는데
지형도에 있는 산만해도 만개라는데 이렇게 동네뒷동산마다 산 이름을 붙인다면 대한민국산 몇 개나 될까?
이봉들 다 따먹자면 봉꾼들 대를 이어가야 가능 할 것같다.
13 ; 19. 덕산 삼거리. 우측 마루금쪽. 입구의 파란지붕이 구멍가게다.1
13 ; 19. 덕산 삼거리. 좌측은 해안도로.우측에 마을과 77번 2차선도로. 좌측 바닷가에 영광정유재란 열부순절지.맥은 우측마을쪽으로.
13 ; 19. 덕산 삼거리. 2
좌측 해안도로와 우측 133.7m봉의 통신탑.
13 ; 19. 덕산 삼거리. 3.
좌측 해안도로와 영광정유재란 순절한 동래정씨와 진주정씨 사당인 모열사(慕烈祠).
열부순절지는 사당 좌측아래 바닷가에 있다.
영광정유재란 순절한 동래정씨와 진주정씨 사당인 모열사(慕烈祠).
열부순절지.
동래정씨와 진주정씨 문중 9부인들이 절개를 지켜 순정한곳이다.
13 ; 30/8. 대신2리 덕산마을 수퍼에서 잠시 목을 축이고
수퍼간판은 헌 냉장고에 썻고.
수퍼 좌측 세멘길따라 앞 통신탑봉으로
15 ; 50. SK 백수대신 기지국. KT,산불감시탑.
좌측 30m가 133.7m봉인데 GPS는 147m을 가르킨다.. 좋은길은 끝나고
13 ; 58. 살짝 내려서면 불탄지역이 나오고 앞 둔덕에서 우측으로 꺽어가며 좌측엔 물탱크가 있고 저앞에 158.3m봉이 보인다.
저 물탱크는 주민들이 쓰는 상수도용이 아니고 산불때 쓸려는 용도인듯.
14 ; 27. 158.3m봉.
타이어와 돌축대로 쌓은 교통호. 지저분한 잡목봉.GPS는 179m를 가르킨다.
14 : 36. 136.1m삼각점봉(법성 421. 1984복구).
잡목덩쿨속에.Y 능선에서 우측으로 내려서 지독한 가시밭을 헤치며 내려간다.
14 ; 53/8. 지맥의 긑인 해안도로.법성포쪽.1
남도 갯길 6000리 노을길 표지판. 앞 좌측 황해 바다엔 돔배섬과 괭이섬. 앞 바다 건너 산봉우리엔 항월등대.우측엔 다리공사중.
14 ; 53/8. 지맥의 긑인 해안도로.서쪽 황해쪽.2
남도 갯길 6000리 노을길 표지판
14 ; 53/8. 지맥의 긑인 해안도로에서 본 정면의 항월등대
여기는 등대가 바다에 있지않고 70m쯤되는 산꼭대기에 있다.
14 ; 53/8. 지맥의 긑인 해안도로에서 본 돔배(좌)와 괭이섬(우).
14 ; 53/8. 지맥의 긑인 해안도로에서 본 우측 법성포쪽.
저 공사중인 다리는 우측 모래미에서 좌측 홍농읍 칠곡리를 잇는 다리다.
장암지맥을 마치며.
좌측부터 박종율. 정영옥님. 정환규님. 김정옥님. 최덕조님. 정송자님. 이덕희님. 이선우님. 강형태 요맥회장님.
수고들 많으셧습니다.
※ 원불교영상성지.
원불교는 영광군 백수읍 길룡리 영촌마을에서 태어난 소태산 박중빈 (1891-1943)이 창시한 종교로 세계에 500여개의 교당과 100만 신도가 있다고 한다.
원불교에서 일컫는 성지는 소태산 대종사가 탄생하여 개교한 영광의 영산성지인 이곳과,
교화의 장을 연 익산성지(익산시 신룡동), 교리를 초안하고 교강을 발표한 벽산성지 등이 있다.
개법 성지인 이곳에는 대종사의 생가, 기도터인 삼밭재, 마당바위, 대각을 이룬 노루목,
제자들과 함께 바다를 막아 이룬 정관평 방언답 등이 있어 성지 순례차 전국의 많은 교도뿐만 아니라 관광객이 많이 찾아 온다.
이곳에는 구호동 집터, 대종사 탄생가, 산신령을 만나기 위해 기도드렸다는 바위, 대종사가 한나절이나 서서 입정에 들었던 진포,
최초의 법어를 설파한 범현동 이씨 제각, 최초 교당인 구간도실터, 큰 깨달음을 얻은 노루목 대각지,
제자들과 함께 바다를 막아 이룬 정관평, 구인 기도봉 등과 영산선원이 있다.
원불교영상성지 주차장앞.
원불교창립관안 .
원불교창립관안 .
원불교영상성지.
원불교영상성지 주차장에서 본 옥녀봉(맨우측봉)의 원마크.
※ 백제불교최초도래지.
법성포 좌우두는 인도승 마라난타가 A.D 384년에 중국 동진을 거쳐 백제에 불교를 전하면서 최초로 발을 디딘곳으로
법성포의 법(法)은 불교를 성(聖)은 성인인 마라난타를 뜻하며, 이를 기념하기 위해 부용루, 탑원, 간다라 유물전시관, 4면 대불상을 건립하였고
특히 부용루의 벽면에 석가모니의 출생에서 고행까지의 전 과정을 23개의 원석에 간다라 조각기법으로 음각 되어 있는 등 관광명소로 개발하였다.
백제불교최초도래지 정문 입구의 상징문.
일주문으로 간다라양식.
부용루(芙蓉樓)와 4면 대불상.
간다라 유뮬관.
데승불교의 본고장 간다라의 2C~5C의 불전도,부조및불상등 진품 유물을 전시.
간다라 유뮬관앞.
간다라 유뮬관과 탑원 사이에 있는 설법도.
탑원(塔園).
간다라 사원양식을 본떠서 조성한 탑원 .
부용루(芙蓉樓).
1층석벽엔 간다라 양식의 불전도,부조 조각이 23면이 걸쳐 부처님의 전생 인연담과 일대기가 조각되어 있다.
4면 대불상.
아래층은 마라난타기념관 공사중.
4면 대불상앞에서 내려다 본 부용루와 백제불교최초도래지 전경.
4면 대불상뒤에서 내려다 본 법성포.
16 : 25/ 17 ; 25. 법성포 토우본점(061 356 8424)에서 저녁.강추다.
돌솥밥굴비정식(10000원)인데 잘 먹었다. 이선우님 감사합니다.
※ 미당 서정주 시문학관과 생가.
미당 서정주 생가.
생가앞.
고창군 부안면 선운리 진마 (선운분교폐교부지)에 있는 미당문학관과 뒤로 소요산.
※ 인촌 김성수,김연수 생가.
2대 부통령을 지낸 인촌 김성수와 동생 수당 김연수가 태어난 생가다.
생가
생가
< 장암지맥을 마친다>.
요맥회는 다음 3월 2일부터는
1.3.5주 홀 수 주 일요일에 봉대지맥을 이어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