ㅂ 기맥,지맥.

백하지맥 1구간(도마령-천만산(960.1m.분기봉)-천마령-진삼령 ).

산경표 2014. 4. 14. 16:03

 

백하지맥 1구간(도마령-천만산(960.1m.분기봉)-천마령-진삼령 ).

 

◈ 산행코소와 거리 및 소요시간 : GPS 거리 14.3km(지맥  12.8km + 진입1.5km ).  6시간 10 분.

 

충북 영동군 상촌면과 용화면 경계인 도마령(49번 국지도)-973m-천만산(960.1m. 백하지맥분기봉)-천마령(925.2m 삼각점)-
임도-936.9m갈림봉-
808.7m암봉-871.8m-820m(삼면경계봉)-463.2 삼각점-608.5m-진삼령(450m.도덕재.581도로).

 

◈ 일시 : 2014. 4. 13.

 

◈ 날씨 :    천안 11/22도. 영동10/22. 바람이 불고 미세먼지로 시계는 안좋음.

 

동행인 : 달인클럽 19명. 김형식회장님. 강화사부님. 이한원님.고광의님.곽병태님.이선우님.강형태님.이인표님.정환규님. 
                       김정옥님.맑음님.최상진님.왕언니.김홍천님. 앵두님. 이정세님. 배병율님.주기현님. 박종율.

 

◈ 회비 : 4만원.

 

◈ 지도.

 

 

백하지맥 1구간(도마령-천만산(960.1m.분기봉)-천마령-진삼령 ).지도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 트랙.

 

 

 

종율백하1.gpx

 

 

 

◈ 일정정리.

 

06 ; 30. 영등포 소방서앞.
07 : 00. 양재역 서초구민회관앞.
08 : 10. 천안에서 합류하여 옥산휴게소들려 → 경부고속도로 황강IC→상촌면소제지
10 ; 19/27.도마령(都馬領.800m). 고개 좌우측에 민주지산 등산로.무주쪽에 전망데크.
          절개지를 바로 오를 수 없어 일부는 바로 오르고 ,일부는  무주쪽 아래로 내려가서 된비얄을 오름.
10 ; 50. 된비얄 올라선 973m봉. 오늘 구간중 최고봉. 여기까지 오르기가 제일 힘들다.
11 ; 07/13. 백하지맥 분기봉인 천만산(960.1m). 천만산, 삼면경계 푯찰.묵은 헬기장. 각호지맥은 우측으로 백하지맥은 좌측으로 내려감.
11 : 27. 쭈욱 내려간 안부. 앞에 바위봉은 좌측으로 건너가고 저앞에 천마령 삼각점봉이 보인다.
11 : 33. 878.1m. 천마령 삼각점봉과 그 우측뒤로 930m봉과 갈맥을 짚어보고.
11 : 43/45. 급경사 올라선 천마령(天摩嶺. 925.2m 삼각점). 정점을 바로앞에 둔 급경사 날등위에 삼각점이.天馬가 아니고 天摩다.
            모두들 한마디씩. 비오면 쓸려 내려가겠다,지고가다 힘들어서 중간에 두고 갔다는등...뒤로 분기봉이 보인다.
12 ; 02. 쭈욱 내려간 경주최공묘지.알바하기쉬운 936.9m봉이 올려다 보이고 바로 아래는 임도.
12 : 04/24. 임도. 우측은 세멘포장. 좌측은 비포장이나 차량통행가능.점심 먹는동안 승용차 한 대가 넘어간다.
12 ; 32. 한턱 올라선 둔덕봉에서 천마령을 뒤돌아보고
12 ; 48. 약 930m봉. 오름길이 이리저리 희미하다. 좌측 사면길을 따라 가면 936.9m로 간다. 우측으로 내려간다.<주의. 후미가 여기서 알바>
12 ; 54. 뒤로 930m과 936.9m봉이 뒤돌아 보이고
13 : 05/7. 약 900m되는 바위봉.저앞에 뾰족한 808.7m봉과 871.8m봉이 보이고 뒤론 천마령과 930m이 보임.
13 ; 14. 840m봉을 넘어서며 808.7m봉과  871.1m봉이 다시 멀리 보인다.
13 : 22. 바위봉인 808.7m봉. 우측 사면길이 있고 정상에서 우측으로  내려서는 길은 나쁘다. 온길을 뒤돌아보고.
13 ; 34.  좌로 꺽어가는 둔덕봉에서 천마령부터 온길을 뒤돌아보고 좌측 사면길로 건너간다.
13 ; 57. 진달래 나무가 빼곡한 871.8m앞봉. 이봉이 871.8m봉 같이 보이나 좌측 건너편봉이  871.8m봉이다.
14 ; 02. 살짝 내려선 성돌들이 있는 옛성터같은 둔덕봉을 지나고
14 ; 06. 뾰족한 871.8m봉. 별특징없는 둔덕봉.온길을 뒤돌아보고. 임도에서 뒤에 출발한 후미를 만났는데 어째 3명만 오나?
14 ; 10. 다시 성돌들이 쌓여 있는 봉이고 좌측으로 휘여 내림길이 된다.
14 : 12. 820m 삼면경계봉과 오늘의 목적지인 진삼령이 보이고
14 ; 22. 봉에서 좌측으로 내려선 안부근처에서 좌측으로 계곡쪽이 잠시 보이고
14 ; 33. 살짝 올라선 헬기장.바로앞이 820m봉이다.
14 ; 36/50. 820m 삼면경계봉. 영동군 학산면. 상촌면. 용화면경계. 후미 기다려 시진찍고  좌측으로 간다.
15 ; 13. 뚝 뚝 떨어져 쭈욱 내려온 안부. 벌목하여 좌측이 시원하게 조망됨.
15 : 23/31. 664.8m.뒤로 930m부터 온길과 좌측조망. 고사리밭 임도 우측봉.가다가 다시 돌아와서 664.8m봉을 확인차 올라가고

15 : 37. 안터나 뒹구는봉을 넘어 뚝 떨어져 내려간다.
15 ; 43. 쭈욱 내려가 안부건너 우측으로 마도마을가는 능선에서 좌측으로 내려가고
15 ; 49. 608.5m봉을 보며 사정없이 둑 떨어져 내려간 안부.큰소나무밑에 칡뿌리들.표지기들은 좌측에 있으나 직진해 가시밭으로 몇발짝 가면
15 ; 50/51. 463.2m삼각점(이원 474).두릅밭속에. 지칫하면 지나치기 쉽다.
15 ; 54. 맨밑 성황당 안부.거목있고 608.5m봉까진 다시 된비얄 오름길이다.
16 ; 13/8. 608.5m봉. 좌측능선에도 뚜렷한길 있으나  배낭털이 하고 우측으로 내려간다.
16 : 28. 절개지위 마지막봉.제주 고창근묘에서  건너편봉의 철탑을 보며 살짝 우측으로 내려가야 하는데
16 ; 33/36. 진삼령(鎭三嶺).2차선 581번도로. 학산면과 용화면 경계판. 도덕재 450m 표지판.우측에 주차공간.
16 ; 42. 진삼령을 출발하여 영동읍내거쳐 경부고속도로로 들어가
17 : 37/18 ; 12.옥천휴게소에서 한방 닭곰탕으로 저녁먹고 출발.
19 : 00. 천안도착.




◈ 산행후기.

 

※ 도마령-천만산(960m.백하지맥분기봉)-임도. 4.1km. 1시간 37분

 

06 ; 30. 영등포 소방서앞.
07 : 00. 양재역 서초구민회관앞.
08 : 10. 천안에서 합류하여 옥산휴게소들려 → 경부고속도로 황강IC→상촌면소제지
10 ; 19/27.도마령(都馬領.800m). 고개 좌우측에 민주지산 등산로.무주쪽에 전망데크.
          절개지를 바로 오를 수 없어 일부는 바로 오르고 ,일부는  무주쪽 아래로 내려가서 된비얄을 오름.
10 ; 50. 된비얄 올라선 973m봉. 오늘 구간중 최고봉. 여기까지 오르기가 제일 힘들다.
11 ; 07/13. 백하지맥 분기봉인 천만산(960.1m). 천만산, 삼면경계 푯찰.묵은 헬기장. 각호지맥은 우측으로 백하지맥은 좌측으로 내려감.
11 : 27. 쭈욱 내려간 안부. 앞에 바위봉은 좌측으로 건너가고 저앞에 천마령 삼각점봉이 보인다.
11 : 33. 878.1m. 천마령 삼각점봉과 그 우측뒤로 930m봉과 갈맥을 짚어보고.
11 : 43/45. 급경사 올라선 천마령(天摩嶺. 925.2m 삼각점). 정점을 바로앞에 둔 급경사 날등위에 삼각점이.天馬가 아니고 天摩다.
            모두들 한마디씩. 비오면 쓸려 내려가겠다,지고가다 힘들어서 중간에 두고 갔다는등...뒤로 분기봉이 보인다.
12 ; 02. 쭈욱 내려간 경주최공묘지.알바하기쉬운 936.9m봉이 올려다 보이고 바로 아래는 임도.
12 : 04/24. 임도. 우측은 세멘포장. 좌측은 비포장이나 차량통행가능.점심 먹는동안 승용차 한 대가 넘어간다.

 

 

10 ; 19/27.도마령(都馬領.800m). 고개  좌측모습.
고개 좌우측에 민주지산 등산로.무주쪽에 전망데크.
          절개지를 바로 오를 수 없어 일부는 바로 오르고 ,일부는  무주쪽 아래로 내려가서 된비얄을 오름.

 

 


 

10 ; 19/27.도마령(都馬領.800m). 고개  우측에서 각호산쪽으로 올려다 본 상용정정자와 민주지산 등산안내도.

 

 

 


 

10 ; 19/27.도마령(都馬領.800m). 무주쪽에서 올라오는 도로.

 

 

 

 

10 ; 19/27.도마령(都馬領.800m) 무주쪽에서 본 천마령(天摩嶺. 925.2m).

 

 

 

 

   절개지를 바로 오를 수 없어 일부는  무주쪽 아래로 내려가서 우측  된비얄을 오르고... 저봉이 973m봉.

 

 

 

 

일부는 일부는 바로 오른다.

 

 

 

도마령(都馬領.800m)절개지위에서 본 상용정과 각호산.

 

 

 

 

10 ; 50. 된비얄 올라선 973m봉. 우측으로 큰 능선이 분기하고 좌측으로 내려선다.
오늘 구간중 최고봉으로  여기까지 오르기가 제일 힘들다.

 

 

 


 

11 ; 07/13. 백하지맥 분기봉인 천만산(960.1m)에서 뒤 돌아 본 973m봉과 각호산(우측 뒤로 흐릿한 뾰족봉).
 천만산, 삼면경계 푯찰.묵은 헬기장. 각호지맥은 우측으로 백하지맥은 좌측으로 내려간다.

 

 


 

11 ; 07/13. 백하지맥 분기봉인 천만산(960.1m)에서
좌측 뒷줄부터 수강산 이선우님. 이정세님. 김정옥님. 앵두님. 최상진님. 강화사부 한상훈님. 곽병태님. 김형식 달인클럽 회장님. 나 박종율
앞줄 김홍천님. 왕언니. 태백산 이한원님. 강형태님은 사진찍고.

장군님, 정환규님.배병율님. 주기현님.맑음님  5명은 먼저가고,이인표님은 진심령에서 역으로

 

 

 

 

11 : 33. 쭈욱 내려가 바위봉을 좌측 사면으로 건너가서 본 878.1m. 천마령 삼각점봉과 그 우측뒤로 930m봉과 갈맥을 짚어보고.

 

 

 

11 : 43/45. 급경사 올라선 천마령(天摩嶺. 925.2m 삼각점)에서 뒤 돌아 본 분기봉과 973m봉.
 정점을 바로앞에 둔 급경사 날등위에 삼각점이 있다. 天馬가 아니고 天摩다.
            모두들 한마디씩. 비오면 쓸려 내려가겠다느니 지고가다 힘들어서 중간에 두고 갔다는등...

 

 

 

 

12 ; 02. 쭈욱 내려간 경주최공묘지.
알바하기쉬운 936.9m봉이  저앞쪽에 올려다 보이고 바로 아래는 임도.

 

 


 

12 : 04/24. 임도.
우측은 세멘포장. 좌측은 비포장이나 차량통행가능.점심 먹는동안 승용차 한 대가 넘어간다.

 

 

 

12 : 04/24. 임도.
우측에서 올라오는 골바람이 차가워 바람을피해 좌측에서 점심.
저앞에 보이는봉이 936.9m봉.

 

 

 

 

※ 임도-820m(삼면봉)-진삼령(도덕재.581도로). 10km.  4시간 9분.

 

12 : 04/24. 임도. 우측은 세멘포장. 좌측은 비포장이나 차량통행가능.점심 먹는동안 승용차 한 대가 넘어간다.
12 ; 32. 한턱 올라선 둔덕봉에서 천마령을 뒤돌아보고
12 ; 48. 약 930m봉. 오름길이 이리저리 희미하다. 좌측 사면길을 따라 가면 936.9m로 간다. 우측으로 내려간다.<주의. 후미가 여기서 알바>
12 ; 54. 뒤로 930m과 936.9m봉이 뒤돌아 보이고
13 : 05/7. 약 900m되는 바위봉.저앞에 뾰족한 808.7m봉과 871.8m봉이 보이고 뒤론 천마령과 930m이 보임.
13 ; 14. 840m봉을 넘어서며 808.7m봉과  871.1m봉이 다시 멀리 보인다.
13 : 22. 바위봉인 808.7m봉. 우측 사면길이 있고 정상에서 우측으로  내려서는 길은 나쁘다. 온길을 뒤돌아보고.
13 ; 34.  좌로 꺽어가는 둔덕봉에서 천마령부터 온길을 뒤돌아보고 좌측 사면길로 건너간다.
13 ; 57. 진달래 나무가 빼곡한 871.8m앞봉. 이봉이 871.8m봉 같이 보이나 좌측 건너편봉이  871.8m봉이다.
14 ; 02. 살짝 내려선 성돌들이 있는 옛성터같은 둔덕봉을 지나고
14 ; 06. 뾰족한 871.8m봉. 별특징없는 둔덕봉.온길을 뒤돌아보고. 임도에서 뒤에 출발한 후미를 만났는데 어째 3명만 오나?
14 ; 10. 다시 성돌들이 쌓여 있는 봉이고 좌측으로 휘여 내림길이 된다.
14 : 12. 820m 삼면경계봉과 오늘의 목적지인 진삼령이 보이고
14 ; 22. 봉에서 좌측으로 내려선 안부근처에서 좌측으로 계곡쪽이 잠시 보이고
14 ; 33. 살짝 올라선 헬기장.바로앞이 820m봉이다.
14 ; 36/50. 820m 삼면경계봉. 영동군 학산면. 상촌면. 용화면경계. 후미 기다려 시진찍고  좌측으로 간다.
15 ; 13. 뚝 뚝 떨어져 쭈욱 내려온 안부. 벌목하여 좌측이 시원하게 조망됨.
15 : 23/31. 664.8m.뒤로 930m부터 온길과 좌측조망. 고사리밭 임도 우측봉.가다가 다시 돌아와서 664.8m봉을 확인차 올라가고

15 : 37. 안터나 뒹구는봉을 넘어 뚝 떨어져 내려간다.
15 ; 43. 쭈욱 내려가 안부건너 우측으로 마도마을가는 능선에서 좌측으로 내려가고
15 ; 49. 608.5m봉을 보며 사정없이 둑 떨어져 내려간 안부.큰소나무밑에 칡뿌리들.표지기들은 좌측에 있으나 직진해 가시밭으로 몇발짝 가면
15 ; 50/51. 463.2m삼각점(이원 474).두릅밭속에. 지칫하면 지나치기 쉽다.
15 ; 54. 맨밑 성황당 안부.거목있고 608.5m봉까진 다시 된비얄 오름길이다.
16 ; 13/8. 608.5m봉. 좌측능선에도 뚜렷한길 있으나  배낭털이 하고 우측으로 내려간다.
16 : 28. 절개지위 마지막봉.제주 고창근묘에서  건너편봉의 철탑을 보며 살짝 우측으로 내려가야 하는데
16 ; 33/36. 진삼령(鎭三嶺).2차선 581번도로. 학산면과 용화면 경계판. 도덕재 450m 표지판.우측에 주차공간.
16 ; 42. 진삼령을 출발하여 영동읍내거쳐 경부고속도로로 들어가
17 : 37/18 ; 12.옥천휴게소에서 한방 닭곰탕으로 저녁먹고 출발.
19 : 00. 천안도착.

 

 

12 ; 32. 한턱 올라선 둔덕봉에서 천마령을 뒤돌아보고
우측 낮은곳에 삼각점.

 

 

 

 

12 ; 54.  930m(좌)과 936.9m봉(우)을  뒤돌아 보고.

 

 

 


 

13 : 05/7. 약 900m되는 바위봉.

 

 

 

 

13 : 05/7. 약 900m되는 바위봉에서 뒤 돌아 본 천마령과 우측아래가 임도.

 

 

 

13 : 22. 바위봉인 808.7m봉.
우측 사면길이 있고 정상에서 우측으로  내려서는 길은 나쁘다.

 


 

13 : 22. 바위봉인 808.7m봉에서 온길을 뒤돌아보고.

우측끝이 936.9m봉.

 

 

 

바위봉인 808.7m봉을 내려와서 본 871.1m봉 가는길.

 

 

 

13 ; 34.  좌로 꺽어가는 둔덕봉에서 천마령부터 온길을 뒤돌아보고 좌측 사면길로 건너간다.

 

 

 

13 ; 57. 진달래 나무가 빼곡한 871.8m앞봉에서 건너다 본  871.8m봉.

 

 

 

 

14 ; 06. 뾰족한 871.8m봉과 앞뒤로 있는 성터(?). 별특징없는 둔덕봉이고 온길을 뒤돌아보고.
임도에서 뒤에 출발한 후미를 만났는데 어째 3명만 오나?
나중에 보니 930m봉에서 알바했단다.

 

 


 

14 ; 06. 뾰족한 871.8m봉에서 뒤 돌아 본 모습.

 

 

 

871.8m봉을 내려가며 본  820m 삼면경계봉.

 

 

 

 

871.8m봉을 내려가며 본  820m 삼면경계봉 좌측  아래의 오늘의 목적지인 진삼령이 보이고

 

 

 


 

14 ; 33. 안부에서 살짝 올라선 헬기장.바로앞이 820m봉이다.

 

 


 

14 ; 36/50. 820m 삼면경계봉. 영동군 학산면. 상촌면. 용화면경계.
후미 기다려 시진찍고  좌측으로 간다.

 

 


 

15 ; 13. 뚝 뚝 떨어져 쭈욱 내려온 안부.
벌목하여 좌측이 시원하게 조망되고 저 앞봉은 664.8m봉이고 벌목지는 고사리밭이다.

 

 

 


 

15 ; 13. 뚝 뚝 떨어져 쭈욱 내려온 안부에서 본 좌측 자계리쪽 모습.

 

 


 

 664.8m밑에서 뒤 돌아 본 820m삼면경계봉(좌)과 우측멀리 930m봉.

 

 

 

 664.8m 좌측 벌목지.

 

 

 

가다가 다시 돌아와서 오른 664.8m봉.

 

 

 

15 ; 48. 608.5m봉을 보며 사정없이 둑 떨어져 내려간 안부 근처에서 본   608.5m봉.

 

 

 

 

15 ; 50/51. 463.2m삼각점(이원 474).두릅밭속에.
지칫하면 지나치기 쉽다.

 

 

15 ; 54. 맨밑 성황당 안부.

거목있고 608.5m봉까진 다시 된비얄 오름길이다.

 

 

 

16 ; 13/8. 608.5m봉.
좌측능선에도 뚜렷한길 있으나  배낭털이 하고 우측으로 내려간다.

 

 

 

16 : 28. 절개지위 마지막봉.
제주 고창근묘에서  건너편봉의 철탑을 보며 살짝 우측으로 내려가야 한다.

 

 

 

 

16 ; 33/36. 진삼령(鎭三嶺.).
2차선 581번도로. 학산면과 용화면 경계판. 도덕재 450m 표지판.우측에 주차공간.

 

 


 

16 ; 33/36. 진삼령(鎭三嶺).
2차선 581번도로. 학산면과 용화면 경계판. 도덕재 450m 표지판.우측에 주차공간.

 

 

 

16 ; 33/36. 진삼령(鎭三嶺)에서 우측(북)모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