ㅈ 기맥,지맥.

죽렴지맥 1구간(문곡재-분기점-죽렴산(1061.9m)-마차재).

산경표 2014. 10. 2. 17:55

죽렴지맥 1구간(문곡재-죽렴지맥 분기점-죽렴산(1061.9m)-마차재).

 

◈ 산행코소와 거리 및 소요시간 : GPS 거리 18.3km.  8시간 03분.

문곡재(421도로)-1342m-죽렴지맥분기점-두위봉(1473m)-다시 문곡재-1038.6m 삼각점봉-수리재-
죽렴산(竹簾山.1061.9m)-1008.6m-976.8m-마차재(38.59도로)

 

 

◈ 일시 : 2014. 9. 28(일).

 

◈ 날씨 :   전형적인 가을날씨로 하늘은 높고 시계도 좋음.

 

동행인 : 달인클럽 16명. 김형식회장님.한상훈님. 이한원님.고광의님.정영옥님.곽병태님.이선우님.  
                     강형태님.선우국진님.장희익님.  정환규님. 신광복님.안수영님.이덕희님 . 김정옥님. 박종율.

 

◈ 회비 : 5만원.

 

◈ 지도.

 

 

 죽렴지맥 1구간(문곡재-죽렴지맥 분기점-죽렴산(1061.9m)-마차재).지도1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죽렴지맥 1구간(문곡재-죽렴지맥 분기점-죽렴산(1061.9m)-마차재).지도1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죽렴지맥 1구간(문곡재-죽렴지맥 분기점-죽렴산(1061.9m)-마차재).지도1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 트랙.

 

 

죽렴1.gpx

 

◈ 일정정리.

 

06 ; 50. 천안출발. 일죽 대송휴게소로 .
08 ; 05. 일죽 대송휴게소에서 합류하여 제천휴게소 들려

10 : 43/48     문곡재( 약980m).421번도로.고개 동쪽 아래에서  두위봉쪽을 보며 오르며 자미원쪽 조망

10 : 57  첮봉 올라 

11 : 17  1152.6봉 찍고
11 : 29. 1195m 되는 봉을 넘고
11 ; 36. 바위봉을 지나고
11 ; 48. 봉에서 1342.2m봉이 건너다 보고
11 ; 54   1342.2봉을 넘는다.
12 ; 03. 산마루길 이정표 안부. 우측으로 타임캡슬 공원.단곡 계곡 하산길.좌측으로 남면방향 하산로.
12 ; 11.  죽렴지맥 분기점   표고 약  1416m.철쪽밭 중턱.우 두위지맥. 정선군 신동.중동면 직동리 이정표.
12 ; 17. 철쭉숲을 쭈욱 올라간 두위봉 철쭉축제 기념비.두위봉 정상을 건너다 보고.표고 1473m.
12 ; 25. 두위봉(1476m). 건너편 삼각점봉과 철쭉축제기념비봉등 주변을 돌아보고 다시 되돌아 감.단풍이 들었다.
12 ; 30/42. 다시 철쭉축제기념비로 돌아와 점심먹고 출발.
12 ; 48. 다시 죽렴지맥분기점에서 우측길로 내려가고
13 : 46. 온길을 다시 되돌아 내려간  문곡재 421번도로. 점심시간 포함해서 왕복 2시간 가까이 걸렸다.절개지를 오른다.
13 : 51. 절개지위에서 분기점부터 온 지맥과 질운산을 뒤돌아 보고
13 : 57. 1061.3m 산불초소.수리봉 푯찰이 걸려있다.
14 ; 03. 안부. 쓰러진 전봇대.
14 : 08. 1038. 6m봉. 삼각점(예미419).옆엔 파낸 대리석 삼각점.우측으로 90도 꺽어 내려간다.
14 : 23. 수리재.발밑으론 수리재터널이 지나감.  철쭉밭 → 둔덕을 넘어 →낙엽송밭을 지나 내려간 안부.
14 : 30. 봉에서 죽렴산과 갈 맥을 짚어보고
14 ; 38. 두 개의 잔봉을 넘어 내려간 맨밑 안부. 쌍전봇대.
14 ; 54. 쭈욱 올라가 좌측에 얕은 둔덕봉은 우측 으로 오르고
15 ; 01/09. 잣나무밭을 지나 오른 죽렴산(竹簾山.1061.9m). 삼각점(예미306.2004재설). 잠시쉬고 좌로 꺽어 내려감. 
15 : 16. 잡목안부를 건너 오른 1056.3m. 좌측은 잣나무밭.잣밭을 좌측으로 끼고 내려가는데 길이 거칠다.
15 ; 23. 묵은 헬기장터는 싸리나무와 칡덩굴로 덮혔다.
15 ; 30  1008.6m봉. 넘어서며 바로 좌로 꺾는데 녹슨 철사줄이   발밑에 걸린다.<직진주의>
15 ; 38. 마루금 우측의 임도로 내려서 임도따라 봉을 우측으로 돌아가고
15 : 42. 봉넘어 안부.앞봉 오름길은 우측이 벌목으로 시원한데 길은 않좋다.
15 ; 45. 우측 신동쪽과 죽렴산부터 온길을 뒤돌아 보고
15 ; 51. 약 945m둔덕에서 좌측으로 꺽어가며 묵밭 건너로 983.5m봉과 그앞봉이 보이는데 우측은 벌목됐다.
15 ; 53. 능선 좌측 넘어로 죽렴산부터 지나온 산들이 보이고 이제부터는 좁은 날등에 녹슨 철사줄이 있어 조심.
16 ; 02. 983.5m봉.잡목이고 철사줄은 계속.
16 ; 12. 안부. 길은 사나운데 들꽃 넘어로 우측 문고리쪽이 내려다 보이고
16 ; 15. 약 965m봉. 앞쪽에 좀더 높은봉이 있으나 맥은 좌측으로 꺽어 내려간다.철사줄끝<앞봉쪽 주의>.
16 ; 25. 오름길의 전망바위에서 온길을 뒤돌아 보고. 매화동마을이 내려다 보인다.
16 ; 36. 바위턱을 넘으며 급경사를 오른 958m봉.→빼곡한 철쭉밭을 빠져나간다.
16 ; 41. 간벌목들이 널려있는 둔덕봉을 넘어가고
16 : 52. 별 기복없는 평지능선을 가다 969.5n오름길이 되고
17 ; 02. 우측이 낙엽송밭인 봉에서 우측으로 꺽어간다. 좌측 건너편에 952.2m 삼각점봉이  있으나  지나쳤다.
17 : 06. 작은 돌탑이 있는 969.5m를 넘어간다.좌측으로 873.5m능선 분기봉.
17 ; 08/15. 큰 바위를 좌측으로 내려가 쉬며 후미를 기다리나 소식 없다.
17 : 31. 참나무 잡목봉인 976.8m에서 좌측으로 내려서는데 철사줄이 있어 조심해야하고
17 : 36. 약 959m되는 봉에선 우측으로 내려간다.좌측은 903.3m봉 가는길.일부는 여기서 알바.<주의>
17 : 44. 쭈욱 내려가다 살짝 올라선 909m 둔덕봉.Y 능선인데 좌측이 맥인걸 직진해 내려가 알바.
17 ; 51. 7분 알바후 좌측으로 건너가긴 경사가 급해 다시 올라옴. 그냥 내려가면 바로 마차재로 가는 임도가 나온다.
18 ; 02. 다시 올라온 약 909m봉. 18분 알바 했다. 날이 어두어진다.
18 ; 08. 헬기장 표고 855m를 가르킨다.살짝 좌틀해 내려가야 하는데 길은 안보이고 직진해서  잠시 알바하고
18 ; 18. 제주 고공묘.마루금이다.
18 : 20. 날은 어두워졌는데  억새밭에서 직진하는 능선에 길이 없어 헤매다.
          살짝 좌틀해 묘지길로  내려가다 되돌아 왔는데 이길이 맥이다. 우측 밭으로 내려서 밭경계따라가
18 : 26. 우측 임도에 내려섰는데 임도가 우측 멀리 가는 듯이 보여 다시 좌측 철탑능선으로 가서
           우측 아래로 내려갔는데 이 임도가 마차재 암거로 바로 가는걸  몰라서 다시 헤맸다.
18 ; 40. 세멘길따라 내려간 마차재.표고 721m을 가르킨다. 
18 : 48.   4차선도로 절개지위에서 우측으로 세멘길따라 내려가 암거를 건너 우측 잿말랑 휴게소도착.
19 : 37. 소고기 전골로 저녁먹고 출발.
21 ; 32. 일죽 대송휴게소
22 ; 30. 천안도착.

 

◈ 산행후기.

 

※ 문곡재-죽렴지맥분기점-죽렴산(1061.9m). 4시간 13분.

 

10 : 43/48     문곡재( 약980m).421번도로.고개 동쪽 아래에서  두위봉쪽을 보며 오르며 자미원쪽 조망
10 : 57  첮봉 올라 

11 : 17  1152.6봉 찍고
11 : 29. 1195m 되는 봉을 넘고
11 ; 36. 바위봉을 지나고
11 ; 48. 봉에서 1342.2m봉이 건너다 보고
11 ; 54   1342.2봉을 넘는다.
12 ; 03. 산마루길 이정표 안부. 우측으로 타임캡슬 공원.단곡 계곡 하산길.좌측으로 남면방향 하산로.
12 ; 11.  죽렴지맥 분기점   표고 약  1416m.철쪽밭 중턱.우 두위지맥. 정선군 신동.중동면 직동리 이정표.
12 ; 17. 철쭉숲을 쭈욱 올라간 두위봉 철쭉축제 기념비.두위봉 정상을 건너다 보고.표고 1473m.
12 ; 25. 두위봉(1476m). 건너편 삼각점봉과 철쭉축제기념비봉등 주변을 돌아보고 다시 되돌아 감.단풍이 들었다.
12 ; 30/42. 다시 철쭉축제기념비로 돌아와 점심먹고 출발.
12 ; 48. 다시 죽렴지맥분기점에서 우측길로 내려가고
13 : 46. 온길을 다시 되돌아 내려간  문곡재 421번도로. 점심시간 포함해서 왕복 2시간 가까이 걸렸다.절개지를 오른다.
13 : 51. 절개지위에서 분기점부터 온 지맥과 질운산을 뒤돌아 보고
13 : 57. 1061.3m 산불초소.수리봉 푯찰이 걸려있다.
14 ; 03. 안부. 쓰러진 전봇대.
14 : 08. 1038. 6m봉. 삼각점(예미419).옆엔 파낸 대리석 삼각점.우측으로 90도 꺽어 내려간다.
14 : 23. 수리재.발밑으론 수리재터널이 지나감.  철쭉밭 → 둔덕을 넘어 →낙엽송밭을 지나 내려간 안부.
14 : 30. 봉에서 죽렴산과 갈 맥을 짚어보고
14 ; 38. 두 개의 잔봉을 넘어 내려간 맨밑 안부. 쌍전봇대.
14 ; 54. 쭈욱 올라가 좌측에 얕은 둔덕봉은 우측 으로 오르고
15 ; 01/09. 잣나무밭을 지나 오른 죽렴산(竹簾山.1061.9m). 삼각점(예미306.2004재설). 잠시쉬고 좌로 꺽어 내려감. 

 

 

 

10 : 43/48     문곡재( 약980m).421번도로 고갯마루.
고개 동쪽(자마원쪽) 아래에서  두위봉 오르는 길이 있다.

 

 

 

10 : 43/48     문곡재( 약980m).421번도로 .
고개 동쪽(자마원쪽) 아래에서  두위봉쪽을 보며 오르면

 

 

자미원쪽 조망

 

 

뒤 돌아 본 문곡재( 약980m)과 1061.3m 산불초소봉.

 

 

 

11 : 17  1152.6봉 찍고

 

 

 

12 ; 03. 산마루길 이정표 안부.
우측으로 타임캡슬 공원.단곡 계곡 하산길.좌측으로 남면방향 하산로.

다시 된비얄 오름길이 된다.

 

 

 

12 ; 11.  죽렴지맥 분기점   표고 약  1416m.
철쪽밭 중턱.우 두위지맥. 정선군 신동.중동면 직동리 이정표.

 

 

 

12 ; 17. 철쭉숲을 쭈욱 올라간 두위봉 철쭉축제 기념비봉에서 본 두위봉정상.

 

 

 

12 ; 25. 두위봉(1476m) 정상에서 본 건너편 삼각점봉.
단풍이 붉게 물들기 시작했다.철쭉축제기념비봉.

 

 

 

12 ; 25. 두위봉(1476m) 정상에서 본  철쭉축제기념비봉.


 

 

12 ; 30/42. 다시 철쭉축제기념비로 돌아와 점심먹고 출발.
1999년 함백JC에서 주관한 두위봉 철쭉축제를 기념하여 세운비가 있다.


 

 

죽렴지맥분기점에서 본 죽렴지맥.

 

 

 

죽렴지맥분기점에서 본 두위지맥 질운산.

 

 

 

12 ; 48. 다시 죽렴지맥분기점에서 우측길로 내려가고

 

 

산마루길 이정표 안부를 지나고.

 

 

 

 

13 : 46. 온길을 다시 되돌아 내려온  문곡재 421번도로.
점심시간 12분 포함해서 왕복 2시간 가까이 걸렸다.절개지 우측으로 오른다.

 

 


 

13 : 51. 절개지위에서 두위봉(좌맨뒤)부터 지나 온 지맥.
우측 뒤 능선은 두위지맥 질운산가는길.

 

 

 

 

13 : 57. 1061.3m 산불초소.수리봉 푯찰이 걸려있다.
문은 잠겨있다.

 

 

 

14 : 08. 1038. 6m봉.
삼각점(예미419).옆엔 파낸 대리석 삼각점.우측으로 90도 꺽어 내려간다.

 

 

 

14 : 23. 도상 수리재.
발밑으론 수리재터널이 지나감.  철쭉밭 → 둔덕을 넘어 →낙엽송밭을 지나 내려간 안부.

 

 


 

14 : 30. 봉에서 죽렴산(우)과 갈 맥을 짚어보고

 

 


 

14 ; 38. 두 개의 잔봉을 넘어 내려간 맨밑 안부의 쌍전봇대.

 

 

15 ; 01/09. 잣나무밭을 지나 오른 죽렴산(竹簾山.1061.9m).
삼각점(예미306.2004재설). 잠시쉬고 좌로 꺽어 내려감. 

 

 

※ 죽렴산(1061.9m)-969.5m-마차재(38도로). 3시간 39분.

 

15 ; 01/09. 잣나무밭을 지나 오른 죽렴산(竹簾山.1061.9m). 삼각점(예미306.2004재설). 잠시쉬고 좌로 꺽어 내려감. 
15 : 16. 잡목안부를 건너 오른 1056.3m. 좌측은 잣나무밭.잣밭을 좌측으로 끼고 내려가는데 길이 거칠다.
15 ; 23. 묵은 헬기장터는 싸리나무와 칡덩굴로 덮혔다.
15 ; 30  1008.6m봉. 넘어서며 바로 좌로 꺾는데 녹슨 철사줄이   발밑에 걸린다.<직진주의>
15 ; 38. 마루금 우측의 임도로 내려서 임도따라 봉을 우측으로 돌아가고
15 : 42. 봉넘어 안부.앞봉 오름길은 우측이 벌목으로 시원한데 길은 않좋다.
15 ; 45. 우측 신동쪽과 죽렴산부터 온길을 뒤돌아 보고
15 ; 51. 약 945m둔덕에서 좌측으로 꺽어가며 묵밭 건너로 983.5m봉과 그앞봉이 보이는데 우측은 벌목됐다.
15 ; 53. 능선 좌측 넘어로 죽렴산부터 지나온 산들이 보이고 이제부터는 좁은 날등에 녹슨 철사줄이 있어 조심.
16 ; 02. 983.5m봉.잡목이고 철사줄은 계속.
16 ; 12. 안부. 길은 사나운데 들꽃 넘어로 우측 문고리쪽이 내려다 보이고
16 ; 15. 약 965m봉. 앞쪽에 좀더 높은봉이 있으나 맥은 좌측으로 꺽어 내려간다.철사줄끝<앞봉쪽 주의>.
16 ; 25. 오름길의 전망바위에서 온길을 뒤돌아 보고. 매화동마을이 내려다 보인다.
16 ; 36. 바위턱을 넘으며 급경사를 오른 958m봉.→빼곡한 철쭉밭을 빠져나간다.
16 ; 41. 간벌목들이 널려있는 둔덕봉을 넘어가고
16 : 52. 별 기복없는 평지능선을 가다 969.5n오름길이 되고
17 ; 02. 우측이 낙엽송밭인 봉에서 우측으로 꺽어간다. 좌측 건너편에 952.2m 삼각점봉이  있으나  지나쳤다.
17 : 06. 작은 돌탑이 있는 969.5m를 넘어간다.좌측으로 873.5m능선 분기봉.
17 ; 08/15. 큰 바위를 좌측으로 내려가 쉬며 후미를 기다리나 소식 없다.
17 : 31. 참나무 잡목봉인 976.8m에서 좌측으로 내려서는데 철사줄이 있어 조심해야하고
17 : 36. 약 959m되는 봉에선 우측으로 내려간다.좌측은 903.3m봉 가는길.일부는 여기서 알바.<주의>
17 : 44. 쭈욱 내려가다 살짝 올라선 909m 둔덕봉.Y 능선인데 좌측이 맥인걸 직진해 내려가 알바.
17 ; 51. 7분 알바후 좌측으로 건너가긴 경사가 급해 다시 올라옴. 그냥 내려가면 바로 마차재로 가는 임도가 나온다.
18 ; 02. 다시 올라온 약 909m봉. 18분 알바 했다. 날이 어두어진다.
18 ; 08. 헬기장 표고 855m를 가르킨다.살짝 좌틀해 내려가야 하는데 길은 안보이고 직진해서  잠시 알바하고
18 ; 18. 제주 고공묘.마루금이다.
18 : 20. 날은 어두워졌는데  억새밭에서 직진하는 능선에 길이 없어 헤매다.
          살짝 좌틀해 묘지길로  내려가다 되돌아 왔는데 이길이 맥이다. 우측 밭으로 내려서 밭경계따라가
18 : 26. 우측 임도에 내려섰는데 임도가 우측 멀리 가는 듯이 보여 다시 좌측 철탑능선으로 가서
           우측 아래로 내려갔는데 이 임도가 마차재 암거로 바로 가는걸  몰라서 다시 헤맸다.
18 ; 40. 세멘길따라 내려간 마차재.표고 721m을 가르킨다. 
18 : 48.   4차선도로 절개지위에서 우측으로 세멘길따라 내려가 암거를 건너 우측 잿말랑 휴게소도착.

 

 

1056.3m 내림길.

 

 

 

15 ; 23. 묵은 헬기장터는 싸리나무와 칡덩굴로 덮혔다.

 

 

 

15 ; 30  1008.6m봉. 
넘어서며 바로 좌로 꺾는데 녹슨 철사줄이   발밑에 걸린다.<직진주의>

 

 

 

15 ; 38. 마루금 우측의 임도로 내려서 임도따라 봉을 우측으로 돌아가고

 

 

15 : 42. 봉넘어 안부.
앞봉 오름길은 우측이 벌목으로 시원한데 길은 않좋다.

 

 


 

15 ; 45. 벌목능선을 오르며 우측으로 본  신동쪽 광산(?)

 

 

 

15 ; 45. 벌목능선을 오르며 뒤 돌아 본 죽렴산.

 

 

 

15 ; 51. 약 945m둔덕에서 좌측으로 꺽어가며 묵밭 건너로 983.5m봉과 그앞봉이 보이는데 우측은 벌목됐다.

 

 

 

15 ; 53. 능선 좌측 넘어로 죽렴산부터 지나온 산들이 보이고 이제부터는 좁은 날등에 녹슨 철사줄이 있어 조심.

 

 

983.5m봉 오름길의 녹슨 철사줄.

 

 

 

16 ; 12. 983.5m 넘어 안부.
길은 사나운데 들꽃 넘어로 우측 문고리쪽이 내려다 보이고

 

 


 

16 ; 15. 약 965m봉.
앞쪽에 좀더 높은봉이 있으나 맥은 좌측으로 꺽어 내려간다.철사줄끝<앞봉쪽 주의>.

 

 

16 ; 25. 오름길의 전망바위에서 지나온길을 뒤돌아 보고.
좌측 ㅍ평평한봉은 가지않고 그 우측 965m봉에서 내려왔다.

 

 

 

16 ; 25. 오름길의 전망바위에서 앞쪽으로 매화동마을과 골긑 우측봉이 돌탑이 있는 969.5m봉이고
좌측 줄기는 돌탑봉앞에서 좌측으로 가지를 친  952.2m봉 능선이다.

 

 

 

17 ; 00. 우측이 낙엽송밭인  저앞봉에서 우측으로 꺽어간다.
저기서 좌측 건너편에 952.2m 삼각점봉이  있으나  지나쳤다.

 

 


 

17 : 06. 작은 돌탑이 있는 969.5m를 넘어간다.
좌측으로 873.5m능선 분기봉.

 

 

17 : 31. 참나무 잡목봉인 976.8m에서 좌측으로 내려서는데 철사줄이 있어 조심해야하고

 

 

 

17 : 36. 약 959m되는 봉에선 우측으로 내려간다.좌측은 903.3m봉 가는길.일부는 여기서 알바.<주의>

 

 

 

18 ; 02. 다시 올라온 약 909m봉.
.Y 능선인데 좌측이 맥인걸 직진해 내려가 18분 알바하고 올라왔다. 날이 어두어진다.


 

 

 

18 ; 18. 제주 고공묘.마루금이다.
조금  내려간 억새밭에서 직진하는 능선에 길이 없어 헤맸는데
          살짝 좌틀해 묘지길로  내려가는길이 맥이다.

 

이후 사진은 어두워서 시원찮다.

 

 

18 : 48.   4차선도로 절개지위에서 우측으로 세멘길따라 내려가 암거를 건너 우측 잿말랑 휴게소도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