ㅈ 기맥,지맥.

죽렴지맥 3구간(미구교-미구치-고고산(852.9m)-능암덕산-진탄나루-덕산교)終.

산경표 2014. 12. 1. 20:03

 

죽렴지맥 3구간(미구교-미구치-고고산(852.9m)-능암덕산-진탄나루-덕산교)終.

 

◈ 산행코소와 거리 및 소요시간 : GPS 거리 18.44km.  6시간 42분.

미구교(31구도로)-미구치(味邱峙)-고고산(高古山.852.9m)-828m(神屛山.687.2m 분기봉)-팔운재-
떼재-806.2m-813.2m(능암덕산)-진탄나루-문산1리 문산교(文山橋).

 

 

◈ 일시 : 2014. 10. 26(일).  

 

◈ 날씨 :    서울 11.6/20. 영월 5.5/21.9.  가을날씨에  단풍산행.

 

동행인 : 달인클럽 14명. 김형식회장님.한상훈님. 이한원님.고광의님.정영옥님.곽병태님.이선우님.  
                     강형태님.장희익님.  안수영님.정환규님. 이덕희님 . 김정옥님. 박종율.

 

◈ 회비 : 5만원.

 

◈ 지도.

 

 

죽렴지맥 3구간(미구교-미구치-고고산(852.9m)-능암덕산-진탄나루-덕산교)終. 지도1.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죽렴지맥 3구간(미구교-미구치-고고산(852.9m)-능암덕산-진탄나루-덕산교)終. 지도2.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죽렴지맥 3구간(미구교-미구치-고고산(852.9m)-능암덕산-진탄나루-덕산교)終. 지도3.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죽렴지맥 3구간(미구교-미구치-고고산(852.9m)-능암덕산-진탄나루-덕산교)終. 지도4.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 트랙.

 

 

죽렴3.gpx

 

◈ 일정정리.

 

06 ;50. 천안출발
08 : 05. 일죽 대송휴게소에서 합류하여 제천휴게소 들려

10 ; 00 /08. 미구교(味邱橋) 다리 건너에서 트럭타고
10 ; 15/17. 세멘길긑에서 하차하여 칠백농장길따라 오름(40000원).
10 ; 27. 목장끝 철선. 고고산과 완택산 가는 능선의 935.9m봉과 올라온 길을 둘러본다.
10 ; 29. 바로위의 미구치(味邱峙.705m)에 올라 좌측으로 가고
10 ; 42. 잔봉 두 어 개를 넘어오른 746.7m. 좌틀해 내려서다.
10 ; 49. 헬기장.고고산과 935.9m봉과 지나온 지맥이  보인다.
11 : 02. 고고산정상 바로 전에 미구치와 올라온 농장들이 뒤돌아 보인다.
11 : 03/06. 고고산(高古山. 852.9m). 고고산표석과 삼각점(예미 407). 고고산 푯찰.좌측으로 완택산 능선분기. 우로 감.<주의>
11 : 15. 석축쌓은 파묘봉을 지남.
11 ; 20. 855m봉. 근처에서 제일높은 봉이다 .좌측으로 완택산능선이,앞쪽으로 갈 능선이 보인다.
11 : 26. 849.7m. 우측으로 솔봉(589.7m)능선이 분기하고 좌측으로 내려간다.
11 ; 40. 828m턱밑 조망처에서 828m-고고산-935.9m-완택산능선이 조망된다.
11 ; 44. 바위봉인 828m을 직진해 내려간다.
11 : 47. 조망처에서 갈길과 두위봉부터 온길을 조망하고
11 ; 52. 약 828m되는 신병산갈림봉.좌측으로 절벽길을 뚝 떨어져 내려감.
12 : 07. 751.3m.
12 ; 09. 바위벽을 만나  좌측으로 돌았는데(우측으로 돌거나 직등해 넘어가도 된다)
12 ; 21/39. 702.5m에서 점심먹고 좌측으로 꺽어 가고
12 : 51.바위벽을 직등해 오르면
12 ; 55. 우측으로 백운산과 동강주변이 내려다 보인다.
12 ; 58. 765.6m.잡목봉.
13 ; 11. 714.5m.
13 ; 16. 바윗길  조망처에서 동강주변을 돌아본다.
13 ; 27. 716.1m에서 잠시 숨돌리고
13 ; 44. 팔운재.표고 618m을 가르킨다.좌우길은 안 보인다.
13 ; 52. 699.5m 삼각점은 안보이고 고원습지같은 물이 있고 우측으로 동강이 내려다 보인다.
14 ; 01. 된미얄 오른 743.9m.
14 ; 06/8. 길우측 조망처에서 동강주변조망이 좋다.
14 ; 18/23. 760.1m.휴식
14 ; 31. 762.3m.민둥봉.70여m 내려가서 좌측으로 내려간다.
14 ; 37. 떼재.표고 710m..잡목안부.
14 ; 49. 806.2m (헬기장. 정선 314삼각점). 좌측으로 문산교 하산 길.등산로를 정비해서 길이 좋다.
14 ; 56. 813.2m .능암덕산표석.장골다리 2.6km.산촌생태마을 3km.좌측 문산교 쪽은 탐방로 아님 이정표.
15 ; 04. 쭈욱 내려온 도상 능암덕산(517.2m)분기점.아무런표식없고 우측으론 길 안 보인다.
15 ; 08. 능암덕산정상 0.9km,장골다리 1.7km 이정표.
15 ; 25. 쭈욱 내려와 돌담을 지나고
15 ; 31. 마루금은 좌측능선이나 좋은 길따라 우측으로 돌아 내려간다.
15 : 39. 마루금복귀. 마루금은 우측으로 내려가나 이정표의 장골다리가 어딘가싶어 길따라 내려서니
15 ; 41. 장골다리.작은 계류를 건너는 2X3m쯤되는 데크다리가 장골다리란다.
              능암덕산안내도와 이정표(능암덕산 2.6km.산촌생태마을(덕산리) 2.9km
15 ; 43. 등산로는 직진해 동강으로 가서  지맥끝과 멀어져 우측 폐가가 있는 계곡으로 내려가 진탄나루로 갔다.
15 : 53. 지맥의 긑인 진탄나루터.나루는 없어졌고 갈대만 무성하다. 앞은 창리천이 동강에 드는 합수점.
             다시뚝으로 올라와  우측 문산리쪽으로 묵은 수렛길따라  제방을 따라 간다.
16 ; 07. 장골다리에서 온 일반 등산로를 만나며 좌측엔 폐가가 있다.수렛길따라 강가를 따라 간다.
16 ; 17. 강가에서 좌측 언덕위로 올라선 쉼터.문산나루터 1.3km,진탄나루터1.5km. 문산교-진탄나루터 중간지점이다.
16 ; 20. 강가는 절벽이라 데크계단 따라 좌측 위로 올라가면 다시 쉼터가 니온다.
16 ; 35. 문산리 세멘길시작. 좌측으로 능암덕산정상의 등산로 아님쪽으로 오르는 길엔인데 이정표 대신 동강알림 표지판이 있다.
16 ; 39. 보령사입구 표석이 나오고
16 ; 43. 능암덕산등산로입구. 동강바이크앞이다.
16 ; 50. 문산교. 문산1리 버스종점. 대형주차장. 동강레프팅.228.7m수준점.능암덕산 등산안내도.
17 ; 10. 문산교출발하여
17 ; 34/18 ; 10. 영월역앞 동강다슬기집에서 다슬기탕으로 저녁먹고 출발
20 : 00. 일죽 대송휴게소
21 : 00. 천안도착.

 

 

◈ 산행후기.

 

※ 미구교-미구치-고고산(852.9m)-팔운재. 9.48km. 3시간 36분.

 

06 ;50. 천안출발
08 : 05. 일죽 대송휴게소에서 합류하여 제천휴게소 들려

10 ; 00 /08. 미구교(味邱橋) 다리 건너에서 트럭타고
10 ; 15/17. 세멘길긑에서 하차하여 칠백농장길따라 오름(40000원).
10 ; 27. 목장끝 철선. 고고산과 완택산 가는 능선의 935.9m봉과 올라온 길을 둘러본다.
10 ; 29. 바로위의 미구치(味邱峙.705m)에 올라 좌측으로 가고
10 ; 42. 잔봉 두 어 개를 넘어오른 746.7m. 좌틀해 내려서다.
10 ; 49. 헬기장.고고산과 935.9m봉과 지나온 지맥이  보인다.
11 : 02. 고고산정상 바로 전에 미구치와 올라온 농장들이 뒤돌아 보인다.
11 : 03/06. 고고산(高古山. 852.9m). 고고산표석과 삼각점(예미 407). 고고산 푯찰.좌측으로 완택산 능선분기. 우로 감.<주의>
11 : 15. 석축쌓은 파묘봉을 지남.
11 ; 20. 855m봉. 근처에서 제일높은 봉이다 .좌측으로 완택산능선이,앞쪽으로 갈 능선이 보인다.
11 : 26. 849.7m. 우측으로 솔봉(589.7m)능선이 분기하고 좌측으로 내려간다.
11 ; 40. 828m턱밑 조망처에서 828m-고고산-935.9m-완택산능선이 조망된다.
11 ; 44. 바위봉인 828m을 직진해 내려간다.
11 : 47. 조망처에서 갈길과 두위봉부터 온길을 조망하고
11 ; 52. 약 828m되는 신병산갈림봉.좌측으로 절벽길을 뚝 떨어져 내려감.
12 : 07. 751.3m.
12 ; 09. 바위벽을 만나  좌측으로 돌았는데(우측으로 돌거나 직등해 넘어가도 된다)
12 ; 21/39. 702.5m에서 점심먹고 좌측으로 꺽어 가고
12 : 51.바위벽을 직등해 오르면
12 ; 55. 우측으로 백운산과 동강주변이 내려다 보인다.
12 ; 58. 765.6m.잡목봉.
13 ; 11. 714.5m.
13 ; 16. 바윗길  조망처에서 동강주변을 돌아본다.
13 ; 27. 716.1m에서 잠시 숨돌리고
13 ; 44. 팔운재.표고 618m을 가르킨다.좌우길은 안 보인다.

 

 

10 ; 00 /08. 미구교(味邱橋)앞.

 

 

 

 

10 ; 00 /08. 미구교(味邱橋).
다리 건너에서 트럭타고

 

 


 

미구(味邱)마을 안내도
한우를 키우는 축산농가들이다.

 

 

 

트럭타고 우측 저위 미구치 아래까지 간다.

 

 

 

 

10 ; 15/17. 세멘길긑에서 하차하여 칠백농장길따라 오름(40000원).
걸어서 올라왔으면 1시간이 가까이 힘들게 올라왔을것을 쉽게 올라왔다.

 

 

 

 


10 ; 15/17. 세멘길긑에서 하차하여 칠백농장길따라 오름.
지금보니 차바닥에 앉아와서 엉덩이들이...

 

 

 

 미구치(味邱峙.705m)오르며 뒤 돌아 본 미국교쪽.

 

 

 

목장끝에서 좌측으로 본 고고산(852.9m.우측봉)과 고고산에서 완택산 가는 능선의 935.9m봉(좌).

 

 

 

10 ; 29. 미구치(味邱峙.705m)에 올라 좌측으로 가고

 

 


 

10 ; 49. 헬기장에서 본 고고산과 935.9m봉.

 

 

 

 

10 ; 49. 헬기장에서 뒤 돌아 본 미구치(좌 안부)와 목장초지.

 

 

 

11 : 03/06. 고고산(高古山. 852.9m).
고고산표석과 삼각점(예미 407). 고고산 푯찰.좌측으로 완택산 능선분기. 우로 감.<주의>

 

 


 

11 ; 20. 855m봉(근처에서 제일높은 봉이다) 에서 좌측으로 본 완택산.

 

 

 

 

11 ; 20. 855m봉(근처에서 제일높은 봉이다) 에서 본 갈 지맥.
우측 나무뒤가 806.2M봉인 능암덕산.

 

 

 

11 : 26. 849.7m 솔봉분기봉에서 본 앞의 두 828m봉들.

 

 

 

849.7m은 내려가며 좌측으로 본 935.9m봉(좌)과 완택산(우).

 

 

 

828m턱밑 조망처에서 우측으로 본 솔봉(589.7m.좌측아래 뾰족봉).

 

 

 

11 ; 40. 828m턱밑 조망처에서 뒤 돌아 본 935.9m(좌)-완택산(우).
뒤로 멀리 보이는 산은 두위지맥의 계족산.

 

 

 

 

11 ; 40. 828m턱밑 조망처에서 뒤 돌아 본 고고산(좌)- 935.9m(우).

 

 

 

11 ; 40. 828m턱밑 조망처에서 뒤 돌아 본 고고산-855-849.7m.

 

 

 

11 ; 44. 바위봉인 828m을 직진해 내려간다.

 

 

 

11 : 47. 828m넘어 조망처에서 본 신병산 본기봉인 828m봉과 그 우측으로 동강가의 백운산.
사진 가운데 우측이 동강가의 연포.

 

 

11 : 47. 828m넘어 조망처에서 본 828 신병산분기봉(우)에서 능암덕산까지 갈 지맥이 한눈에 보인다.
좌측 제일높은 뾰족봉이 765.6m이고 우측 한일자능선이 능암덕산

 

 

 

 

 

11 ; 52. 약 828m되는 신병산갈림봉.
좌측으로 절벽길을 뚝 떨어져 내려감.

 

 

12 : 07. 751.3m.

 

 

 

12 ; 09. 바위벽을 만나  좌측으로 돌았는데(우측으로 돌거나 직등해 넘어가도 된다)

 

 

12 ; 21/39. 702.5m에서 점심먹고 좌측으로 꺽어 가고

 

 

702.5m에서 점심먹고 좌측으로 꺽어 가며 뒤 돌아본 828m봉과 우회한 바위구간.

 

 

 

 

12 : 51.바위벽을 직등해 오르고

 

12 ; 55. 우측으로 백운산과 동강주변이 내려다 보인다.

 

 

 

13 ; 11. 714.5m 오름길.

 

 

 

13 ; 16. 바윗를 돌아가고

 

  

 

13 ; 27. 716.1m에서 잠시 숨돌리고

 

 

 

팔운재 내려가는길에 본 동강과 능암덕산(좌) .

 

 

 

13 ; 44. 팔운재.표고 618m을 가르킨다.좌우길은 안 보인다.

 

 

※팔운재-능암덕산(813.2m)-진탄나루-문산교. 8.96km. 3시간 6분.

 

13 ; 44. 팔운재.표고 618m을 가르킨다.좌우길은 안 보인다.
13 ; 52. 699.5m 삼각점은 안보이고 고원습지같은 물이 있고 우측으로 동강이 내려다 보인다.
14 ; 01. 된미얄 오른 743.9m.
14 ; 06/8. 길우측 조망처에서 동강주변조망이 좋다.
14 ; 18/23. 760.1m.휴식
14 ; 31. 762.3m.민둥봉.70여m 내려가서 좌측으로 내려간다.
14 ; 37. 떼재.표고 710m..잡목안부.
14 ; 49. 806.2m (헬기장. 정선 314삼각점).  좌측으로 문산교 하산 길.등산로를 정비해서 길이 좋다.
14 ; 56. 813.2m .능암덕산표석.장골다리 2.6km.산촌생태마을 3km.좌측 문산교 쪽은 탐방로 아님 이정표.
15 ; 04. 쭈욱 내려온 도상 능암덕산(517.2m)분기점.아무런표식없고 우측으론 길 안 보인다.
15 ; 08. 능암덕산정상 0.9km,장골다리 1.7km 이정표.
15 ; 25. 쭈욱 내려와 돌담을 지나고
15 ; 31. 마루금은 좌측능선이나 좋은 길따라 우측으로 돌아 내려간다.
15 : 39. 마루금복귀. 마루금은 우측으로 내려가나 이정표의 장골다리가 어딘가싶어 길따라 내려서니
15 ; 41. 장골다리.작은 계류를 건너는 2X3m쯤되는 데크다리가 장골다리란다.
              능암덕산안내도와 이정표(능암덕산 2.6km.산촌생태마을(덕산리) 2.9km
15 ; 43. 등산로는 직진해 동강으로 가서  지맥끝과 멀어져 우측 폐가가 있는 계곡으로 내려가 진탄나루로 갔다.
15 : 53. 지맥의 긑인 진탄나루터.나루는 없어졌고 갈대만 무성하다. 앞은 창리천이 동강에 드는 합수점.
             다시뚝으로 올라와  우측 문산리쪽으로 묵은 수렛길따라  제방을 따라 간다.
16 ; 07. 장골다리에서 온 일반 등산로를 만나며 좌측엔 폐가가 있다.수렛길따라 강가를 따라 간다.
16 ; 17. 강가에서 좌측 언덕위로 올라선 쉼터.문산나루터 1.3km,진탄나루터1.5km. 문산교-진탄나루터 중간지점이다.
16 ; 20. 강가는 절벽이라 데크계단 따라 좌측 위로 올라가면 다시 쉼터가 니온다.
16 ; 35. 문산리 세멘길시작. 좌측으로 능암덕산정상의 등산로 아님쪽으로 오르는 길엔인데 이정표 대신 동강알림 표지판이 있다.
16 ; 39. 보령사입구 표석이 나오고
16 ; 43. 능암덕산등산로입구. 동강바이크앞이다.
16 ; 50. 문산교. 문산1리 버스종점. 대형주차장. 동강레프팅.228.7m수준점.능암덕산 등산안내도.
17 ; 10. 문산교출발하여
17 ; 34/18 ; 10. 영월역앞 동강다슬기집에서 다슬기탕으로 저녁먹고 출발
20 : 00. 일죽 대송휴게소
21 : 00. 천안도착.

 

 

13 ; 52. 699.5m 삼각점은 안보이고 고원습지같은 물이 있고 우측으로 동강이 내려다 보인다.
사진 앞쪽이  연포,우측 중간이 소사쪽이고 맨우측 맨위로 곰봉쪽이 보인다.

 

 

 

 

13 ; 52. 699.5m 삼각점은 안보이고 고원습지같은 물이 있고 우측으로 동강이 내려다 보인다.
우측 위로 백운산,좌측이 가정나루쪽이고 백운산아래 허연바위쪽에 백룡동굴이 있다.

 

 

 

14 ; 06/8. 743.9m을 넘어가
길우측 조망처에서 동강주변 조망이 좋다.
좌측산이 백운산,아래 하얀 암벽있는곳이천연기념물 260호인  백룡동굴인데 1990년대 초에 가보니 철문으로 막아놨고 영구 미공개지역이다.
. 우측 아래가 소사나루.

1990년대초 정선주변산들을 섭렵할때 노목지맥끝인 가수리부터 만지나루를 거쳐 거운리까지
   트래킹을 했고  저  백운산은 3번중 갔는데  2번은 맨발로 넘은 추억이 있다.

 


 

 


역암.

 

 

 

연포.

 

 

 

 

14 ; 31. 762.3m.

민둥봉.70여m 내려가서 좌측으로 내려간다.

 

 

14 ; 37. 떼재.
표고 710m..잡목안부.

 

 

14 ; 49. 806.2m (헬기장. 정선 314삼각점). 

 좌측으로 문산교 하산 길.등산로를 정비해서 길이 좋다.

 

 

 

14 ; 56. 813.2m .
능암덕산표석.장골다리 2.6km.산촌생태마을 3km.좌측 문산교 쪽은 탐방로 아님 이정표.

산촌생태마을은 문산1리를 말하는듯.

 

 

15 ; 04. 쭈욱 내려온 도상 능암덕산(517.2m)분기점.아무런표식없고 우측으론 길 안 보인다.

 

 

 

15 ; 08. 능암덕산정상 0.9km,장골다리 1.7km 이정표.

 

 

 

15 ; 41. 장골다리.작은 계류를 건너는 2X3m쯤되는 데크다리가 장골다리란다.
              능암덕산안내도와 이정표(능암덕산 2.6km.산촌생태마을(덕산리) 2.9km

 

 

15 ; 43. 등산로는 직진해 동강으로 가서  지맥끝과 멀어져 우측 폐가가 있는 계곡으로 내려가 진탄나루로 갔다.

 

 

진탄마을이 모두 빈집이라 왜그런가 했더니
이 일대 18,066 ㎡를 생태보전지역으로 지정해 국가에서 모두 매수했으니
일대 토지를 경작하면 2년이하의 징역이나 벌굼 700만원이라는 안내문이다.

 


 

 

 

15 : 53. 지맥의 긑인 진탄나루터.나루는 없어졌고 갈대만 무성하다.
앞은 창리천이 동강에 드는 합수점.

 

 

 

 

15 : 53. 지맥의 긑인 진탄나루터에서 뒤 돌아 본 죽렴지맥 끝자락모습.

 

 

 

15 : 53. 지맥의 긑인 진탄나루터에서 우측으로 본 동강.

 

 

 

15 : 53.  진탄나루터에서 죽렴지맥을 마치며
일행들은 모두 등산로따라 문산교로 가고 태백산 이한원님과 둘이만 진탄나루터로 가서 독사진이 됐다.

 

 

 

진탄나루터에서 동강을 따라 문산교로 오며 본 동강모습.

 

 

 

16 ; 07. 장골다리에서 온 일반 등산로를 만나며 좌측엔 폐가가 있다.수렛길따라 강가를 따라 간다.

 

 

16 ; 17. 강가에서 좌측 언덕위로 올라선 쉼터.문산나루터 1.3km,진탄나루터1.5km. 문산교-진탄나루터 중간지점이다.

 

 

16 ; 20. 강가는 절벽이라 데크계단 따라 좌측 위로 올라갔다 내려오며  우측 진탄나루터쪽으로 본 동강.

 


 

문산나루터쪽으로 오면서 동강 넘어로 본 재치산(財峙山.753.9m).

 

 

 

16 ; 35. 문산리 세멘길시작.
좌측으로 능암덕산정상으로 오르는 길엔인데 이정표 대신 동강알림 표지판이 있다.

 


 

 

16 ; 35. 문산리 세멘길시작점에서 뒤돌아 본 능암덕산정상모습.

 

.

 

문산리. 잘지은 반딧불이 펜션이 나오고

 

 

 

16 ; 39. 보령사입구에서 본 동강.

 

 

 

 

16 ; 43. 능암덕산등산로입구. 동강바이크앞이다.

 

 

 

 

 문산교앞 문산1리 뒤로 능암덕산.

 

 

 

16 ; 50. 문산교. 문산1리 버스종점. 대형주차장. 동강레프팅.228.7m수준점.능암덕산 등산안내도.

 

 

 

문산교 아래 대형주차장과 동강.

 

 

 

능암덕산 등산안내도.

 

 

17 ; 34/18 ; 10. 영월역앞 동강다슬기집에서 다슬기탕으로 저녁먹고 출발

 

<죽렴지맥을 마친다>.

 

달인클럽은 다음 11.9(일)부터
2.4주 일요일에 철성지맥을 이어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