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ㅂ 기맥,지맥.

백운지맥 4구간(작은양아치-미륵산(689.9m)-만디고개).


백운지맥 4구간(작은양아치-미륵산(689.9m)-만디고개).

 


◈ 산행코소와 거리 및 소요시간 : GPS 거리 15.74km .  7시간 25분 .


작은양아치(19번구도로)-서낭고개(404번도로)-미륵산(689.9m)-봉림산갈림봉-
서지재-비두냄이고개(2차선도로)-만디고개-대각사.

 

◈ 일시 : 2015. 8. 09(일).  

 

◈ 날씨 :  원주  24/32.7도로  바람 한점 없고 무지 덥다.

 

◈ 동행인 : 달인클럽 7명.김형식회장님.오세춘님.고광의님.정영옥님.정환규님. 최덕조님과 나.

 

◈ 경비 : 40000원 +  서울차비14200원

 

◈ 지도.

 

 

백운지맥 4구간(작은양아치-미륵산(689.9m)-만디고개).지도1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백운지맥 4구간(작은양아치-미륵산(689.9m)-만디고개).지도2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 트랙

 

 

백운4.gpx

 

◈ 일정정리.

 

06 ; 10. 천안에서 잠실로 (5600원)
07 ; 30. 잠실역 7번출구 출발.
09 ; 20. 작은양아치. 19번구도로. 발밑으로 운계터널이 뚫려 청원휴게소와 주유소는 문을 닫은지 오래다.
           주유소뒷편으로 올라 우측으로 오른다.
09 ; 25. 좌측은 벌목하여 갈능선이 보이고
09 : 32. 벌목지끝에서 작은 양아치 넘어로 지난번구간의 오두봉과 천등지맥 십자봉쪽이 조망.
09 ; 42. 세멘 헬기장.우측으로 467.7m능선분기.
10 ; 00. 412.6m(웅골산이란다)에서 우측으로 내려서고 잠시후 Y능선에서 다시 우측으로 내려간다.
10 : 12. Y 능선길에서 다시 좌측으로 간다. 직진은 404번도로 웅동교.
10 ; 26/32. 서낭고개(404도로) 삼거리.표고는 약 286m.좌측에 경천묘,미륵불입구표지판. 뒤쪽에 서낭당.우사정 버스정류장.
                서낭당고개표석.우측  수렛길따라 오르며 가덕산 아래의 채석장이 흉뮬스럽다.
10 ; 38. 산길로 들기전 국가유공자묘지에서 지나온 능선을 뒤돌아 보고
10 ; 43. 345.5m. 툭 튀어나온 납작삼각점.
11 : 00.송이지역 현수막에서 좌측으로 내려가며 송이지역은 끝이난다.
11 ; 19/38. 힘들게 된비얄을 올라서 우틀하며 점심.
11 ; 52.미륵산전위봉(약 683m).미륵산을 보며 좌측으로 내려간다.
11 : 58. 미륵산(689.9m) .암봉을 좌측 지능선으로 돌아 오르며 우측  마루금으론 내려갈 수 없어 좌측 지능선으로 빠지기 쉽다.
           좌측능선쪽에 미륵불이 있는데 신라 마지막왕인 경순왕이 새겼다고도 하고 그딸인 덕주공주가 새겼다고도 한단다.
12 : 10. 거대한 바위를 좌측밑으로 우회하고 두어번 더 바위를 우회한다.
12 : 15. 약 650m 밑 공기돌바위에서 바위구간은 끝났다.
12 : 21. 좌측으로 능안쪽 계곡과 봉림산줄기가 보인다.
12 : 26. 약 660m되는봉에서 좌측으로 내려가며 미륵산이 뒤로 보인다.
12 : 46. 맨밑안부.약 473m. 다시 올라간다.
12 : 54. 봉림산(577.5m) 갈림길(532m) 정점까지 오르지 않고 정점전에 우측으로 간다.
             정점에서 우측으로 내려가는 능선이 더 실하지만  첫 번째 얕은 능선이 맥이다.
             선두 2명이  봉림산에 갔다며 일행들이 기다리고 있다.
            봉림산엔 봉림산 푯찰과 판독불가 삼각점이 있고 조망도 없으며 몇 개의 봉을 넘어가 왕복 30분 걸린단다.
13 : 06/20.약 430m되는 벌목지봉에서 휴식하고 우측으로
13 ; 27. 서지재.삼면경계로 잡목안부. 더워 죽겠다.
13 : 30. 살짝 올라서면 벌목지가 나오고 온길,갈길이 잘 보인다.
 13 : 40/49.481.1m밑에서 또 쉬고 벌목지 좌측갓으로 마루금 따라간다.
13 ; 52. 481.1m.우측은 벌목.지나온 미륵산과 봉림산줄기,우측 가덕산조망.
14 ; 08. 496.6m.판독안되는 납작삼각점과 찟어진 쌀개봉 코팅지.청림사뒷봉이다.
14 ; 24. 갈림길. 빼곡한 잡목지에서 좌측 불타서 앙상한 고사목지대로 간다.길 사납다.
14 ; 34. 467.2m. 불탄지역끝봉에서 온길을 뒤돌아 보고 좌로 내려간다.
14 : 54. 약 321m.  내림길에서 좌로 꺽어가야하는데 길이 잘 안보여 직진해 내려서다 되돌아왔다.<주의>
14 : 58/00. 비두냄이재.273m.2차선도로.절개지에서 철계단따라 도로로 내려가서 우측 철계단으로 오른다.
                비두(碑頭)를 고개 넘어로 옮겨갔다하여 비두냄이 고개이고 고개 북쪽은 문막읍 비두리(碑頭里)다. 
15 : 02. 철계단을 올라  내려온 능선을 뒤돌아 보고 바람 한점없는 빼곡한 잡목을 뚫고 오른다. 더워서 숨이 막힐지경이다.
15 ; 16/32. 우로 꺽어지며 바람이 좀불어 옷 벋어 걸고 쉬며 일행을 기다린다. 도로에서 물받고 쉬었다 올라 왔단다.
15 ; 51/7.437.4m.또 쉬고
16 : 12. 한 오름 올라선 443.4m 갈림길. 송이지역 코팅경고지. 삼각점 찍으러 우측 으로
16 ; 14. 443.4m삼 각점봉 상봉산이란다.삼각점은 판독 안된다.
16 : 16/20. 다시 갈림길.이제 오름길은 없다.내림길만 남았다.
16 ; 30. 만디고개. 약 288m.좌측 대각사로 하산.조금전에 좌측 대각사쪽으로 검은 차광막이 쳐져있다.
16 : 37. 초소. 산야초를 심어 관리하던 초소인듯
16 : 44. 대각사앞 삼거리.우측 100여m 거리에 2층집인 대각사.
17 ; 05. 절입구 다리밑 계곡에서 대충씻고 출발.
18 ; 15. 문막읍 초입의 문막중고교 근처에 있는 천마산 막국수집에서 시원한 막국수로 저녁먹고 출발
18 ; 55. 고속도로에 올라서보니 회장님이 핸드폰을 식당에 두고 와서 여주에서 다시 돌아갔다 와  문막 출발.
20 : 15.하남 민남의 광장에 들려 오세춘 선배님이 아이케키 사주고
20 ; 40/21 : 20. 잠실도착. 천안행 좌석이 없어 다음차 타고
22 : 30. 천안도착.
 

◈ 산행후기.

 

 

09 ; 20. 작은양아치.
19번구도로. 발밑으로 운계터널이 뚫려 청원휴게소와 주유소는 문을 닫은지 오래다.
           주유소뒷편으로 올라 우측으로 오른다.

 

 

 

09 ; 20. 작은양아치.
19번구도로. 발밑으로 운계터널이 뚫려 청원휴게소와 주유소는 문을 닫은지 오래다.
        

 

 

 

 

09 ; 25. 좌측은 벌목하여 갈능선이 보이고

 

 

 

09 : 32. 벌목지끝에서 작은 양아치 넘어로 지난번구간의 오두봉과 천등지맥 십자봉쪽이 조망.

 

 

 


 

10 ; 00. 412.6m(웅골산이란다)에서 우측으로 내려서고 잠시후 Y능선에서 다시 우측으로 내려간다.

 

 

 

 

10 ; 26/32. 서낭고개(404도로) 삼거리.표고는 약 286m.좌측에 경천묘,미륵불입구표지판. 뒤쪽에 서낭당.우사정 버스정류장.
                서낭당고개표석.우측  수렛길따라 오르며 가덕산 아래의 채석장이 흉뮬스럽다.

 

 

10 ; 26/32. 서낭고개(404도로) 뒤쪽의 서낭당.

 

 

 

10 ; 26/32. 서낭고개(404도로) 좌측 경천묘,미륵불입구.

 

 

 

10 ; 26/32. 서낭고개(404도로).
가덕산 아래의 채석장이 흉뮬스럽다.

 

 

 

10 ; 38. 산길로 들기전 국가유공자묘지에서 지나온 능선을 뒤돌아 보고

 

 

 

 

10 ; 43. 345.5m.
툭 튀어나온 납작삼각점.

 

 

 

미륵산전위봉(약 683m)못미쳐에 있는 바위.

 

 

 

11 : 58. 미륵산(689.9m) .
암봉을 좌측 지능선으로 돌아 오르며 우측  마루금으론 내려갈 수 없어 좌측 지능선으로 빠지기 쉽다.
           좌측능선쪽에 미륵불이 있는데 신라 마지막왕인 경순왕이 새겼다고도 하고 그딸인 덕주공주가 새겼다고도 한단다.

 

 

 

 

12 : 10. 거대한 바위를 좌측밑으로 우회하고 두어번 더 바위를 우회한다.

 

 

 

살짝 밀면 넘어갈것 같은데...

 

 

 

 

12 : 15. 약 650m 밑 공기돌바위에서 바위구간은 끝났다.

 

 

 

 

12 : 21. 좌측으로 능안쪽 계곡과 봉림산줄기가 보인다.

 

 

 

 

12 : 26. 약 660m되는봉에서 좌측으로 내려가며 미륵산이 뒤로 보인다.

 

 

 

. 봉림산(577.5m.좌).우측끝이 갈림봉.

 

 

 

12 : 54. 봉림산(577.5m) 갈림길(532m) 정점까지 오르지 않고 정점전에 우측으로 간다.
             정점에서 우측으로 내려가는 능선이 더 실하지만  첫 번째 얕은 능선이 맥이다.
            정영옥님과 최덕조님이  봉림산에 갔다며 일행들이 기다리고 있다.

 

 

 

 

13 : 06/20.약 430m되는 벌목지봉에서 휴식하고 우측으로
앞에 보이는 봉들은 서지재(우안부)건너의 481.1m.496.6m 쌀개봉(우).

 

 

 

 

13 : 06/20.약 430m되는 벌목지봉에서 휴식하고 우측으로

 

 

 

 

13 : 30. 서지재 위  벌목지에서 본 481.1m(좌),496.6m쌀개봉(우).

 

 

 

13 : 30. 서지재 위  벌목지에서 뒤 돌아 본 미륵산(좌)과 봉림산분기봉(우).
사진 중앙앞쪽이 서지재.

 

 

 

 

13 ; 52. 481.1m.
우측은 벌목.지나온 미륵산(좌)과 봉림산분기봉(우).

 

 

 

 

13 ; 52. 481.1m에서 본 봉림산(우)

 

 

 


 

13 ; 52. 481.1m에서 본 가덕산(좌 채석장위)과 우측 멀리 백운산.

 

 

 

 

14 ; 08. 496.6m.
판독안되는 납작삼각점과 찟어진 쌀개봉 코팅지.청림사뒷봉이다.

 

 

 

14 ; 24. 갈림길.

빼곡한 잡목지에서 좌측 불타서 앙상한 고사목지대로 간다.길 사납다.

 

 

 

 

 불타서 잡목만 무성한 봉에서 뒤 돌아 본 미륵산, 봉림산.

 

 

 

 

 불타서 잡목만 무성한 봉에서 뒤 돌아 땡겨 본 미륵산(좌)과 미륵산 남릉.

 

 

 

 

467.2m에서 비두냄이고개 내림길에 본 비두냄이고개 건너 409.7m,437.4m,443.4m 상봉산(우뒤).

 

 

 

 

14 : 58/00. 비두냄이재.273m.내려온 동쪽
2차선도로.절개지에서 철계단따라 도로로 내려가서 우측 철계단으로 오른다.
                비두(碑頭)를 고개 넘어로 옮겨갔다하여 비두냄이 고개이고 고개 북쪽은 문막읍 비두리(碑頭里)다. 

 

 

 

14 : 58/00. 비두냄이재.273m.
2차선도로.절개지에서 철계단따라 도로로 내려가서 우측 철계단으로 오른다.
                비두(碑頭)를 고개 넘어로 옮겨갔다하여 비두냄이 고개이고 고개 북쪽은 문막읍 비두리(碑頭里)다. 

 

 

 

 

15 : 07. 철계단을 올라 내려온 능선을 뒤돌아 보고 바람 한점없는 빼곡한 잡목을 뚫고 오른다. 더워서 숨이 막힐지경이다.
가운데 제일높은봉이 467.2m,가운데 벌목지끝에서 쉬었고 좌측 나무뒤에서 앞쪽으로 내려왔다.

 

 

 

 

 

뒤 돌아 본 봉림산.

 

 

 

 

15 ; 51/7.437.4m.또 쉬고

 

 

 

6 : 12. 한 오름 올라선 443.4m 삼각점봉갈림길.
송이지역 코팅경고지. 삼각점 찍으러 우측 으로

 

 


 

16 ; 14. 443.4m삼 각점봉 상봉산이란다.

삼각점은 판독 안된다.

 

 

 

16 : 16/20. 다시 갈림길.이제 오름길은 없다.내림길만 남았다.

 

 

 

16 ; 30. 만디고개. 약 288m.
좌측 대각사로 하산했고 조금전에 좌측 대각사쪽으로 검은 차광막이 쳐져있다.영지버섯이 많다.

 

 

 

만디고개아래의 약초재배지.

 

 

 

 

16 : 37. 초소. 산야초를 심어 관리하던 초소인듯한데 지금은 폐허가 됐다.

 

 

 

16 : 41. 좌측골이 만디고개.

 

 

 

16 : 44. 대각사앞 삼거리.우측 100여m 거리에 2층집인 대각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