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읍지맥 3구간(화전고개-주읍산(추읍산.582.6m)-현덕교)終.
◈ 산행코소와 거리 및 소요시간 : GPS 거리 19.73km . 7시간 34분(탈출 3km 40분포함).
칠읍사입구-화전고개-주읍산(추읍산 582.6m)-243.7m- 군부대-37번국도 불곡리-개군산(237.9m)-
석장리-현덕교(흑천/한강합수점)-37번국도 공세1리 버스정류장.
◈ 일시 : 2016. 9. 18(일).
◈ 날씨 : 아침 저녁은 서늘하고 낮에도 크게 덥지는 않아 산행하긴 좋다.
◈ 동행인 : 혼자서
◈ 지도.
주읍지맥 3구간(화전고개-주읍산(추읍산.582.6m)-현덕교)終.지도1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주읍지맥 3구간(화전고개-주읍산(추읍산.582.6m)-현덕교)終.지도1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 트랙.

◈ 일정정리.
05 ; 32. 천안에서 전철을 타고 .
07 ; 32. 용산역에서 용문행으로 환승
09 ; 15.용문역에 도착해서 택시로 칠읍사앞으로 감(9300원).화전1리입구행 버스는7.50. 10.10.분에 있다.
09 ; 38. 칠읍사앞에 도착하여 산행시작.
09 ; 43. 화전고개.희망볼렛길표지. 성황당 좌측에 있는 그물망울타리 좌측으로 길 따라 올라간다.
09 ; 48. 그물망울타리는 우측으로 내려가고 등골횟집 → 표지판과 쉼터표지판. 좌측으로 꺽어간다.
소나무숲길이 좋고 어제 많은비가 와서 하늘이 깨끗하고 바람도 솔솔불어 산행길이 가볍다.
10 ; 03. 주읍산밑 안부.좌측 주읍리 입구 1km,뒤로 능골 (섬실)1.65km.직등 정상 0.63km.우 우회길 정상 750m이정표.
10.09. 등산 안내도1.우측으로 돌아온 길을 만나 로프잡고 직등해 오른다. 경사가 심하고 미끄럽다.
10 ; 18. 등산안내도 2. 좌측 지능선으로 돌아 오른다.
10 ; 23. 좌측 지능선.정상 150m. 좌측 내리1.35km 이정표.우로 꺽어 오르고.
10 ; 29/35. 주읍산(582.6m).추읍산 표지석과 여주 22 삼각점.무인산불감시탑.용문시가지와 개군면,한강 조망.
이산의 고시지명은 주읍산이고 지형도는 추읍산(趨揖山)으로 표기하고 있어 혼란스러운데
현지에선 이산을 용문산을 보고 읍(揖)하는 형상이라하여 추읍산,
또는 정상에서 주위 7개 읍이 보인다하여 칠읍산이라 부르기도 한단다.
지형도도 추읍산으로 표기하고 있고 가까운 중앙선 원덕역 이름에 추읍산을 병기하고 있고
주민들도 추읍산으로 부르고 있는점을 고려해볼때 고시지명도 추읍산으로 변경고시를 하여야 할듯싶다.
10 ; 38. 헬기장.마루금은 바로 좌측으로 내려가나 경사가 심하고 길도 없어 길따라 앞쪽으로 나가 좌로 돌아간다.
10 ; 41. 갈림길에서 좌측 사면으로 난 원덕역 ← 쪽으로 간다. 직진은 용문(중성)등산로입구 2.43km 이정표.
10 ; 48/53. 급경사를 로프줄따라 지그재그로 내려간 갈림길에서 우측 원덕역 2.44km로간다.<주의>
좌측은 내리 행사장 1.5km.GPS 바테리 갈아 넣다. 원덕역에서 올라온다는 등산객 만나다.
11 : 00. 우측으로 약수터 1.4km 이정표.원덕역 2.24km.정상0.8km.
바로 아래에 있는 직진 원덕역 2.2km.좌측 원덕역 5.2km에서 좌측으로 내려가는데
직진해 조금 나가면 용문산과 양평쪽 한강이 시원하게 조망된다.
11 ; 09. 좌측으로 내리 등산로입구 1.2km.정상에서 1km 내려왔단다. 안부는 좀더 나가 있다.
11 : 14/30.사각쉼터와 벤취.만남의숲 안내판 뒤로 주읍산이 올려다 보인다.
좀 이르지만 군부대를 지날려면 시간이 걸릴듯싶어 여기서 점심을 먹고 원덕역 4.5km방향인 좌측으로 내려간다.
서울에서 온 한팀이 지나가는데 쉼터 기둥위에 말벌집이 있어 쉬지도 못하고 지나친다.
11 ; 37. 임도. 내려오는 소나무숲길이 좋다.원덕역은 이곳에서 우측으로 갈듯싶다. 삼림욕장안내판이 있다.
절개지 오르는길을 누군가 미끄러지 않게 홈을 파놨다.잠시후 묘지 갈림길에서 우측으로 가는데 길이 시원찮다..
11 ; 47. 243.7m.좌측으로 꺽어지며 2분쯤 후에 시설물(장비)의 사잔촬영을 금한다는 군 경고판이 나온다.
11 ; 50. 군부대 이중 철망 울타리.좌측능선 내동으로 가는 능선이고 우측으로 철망울타리를 따라 간다.
다행히 울타리는 마루금과 같이가고 울타리안엔 라이트,확성기, CCTV가 있어 그쪽은 쳐다도 안보고 조용히 갔다
12 ; 04. 226.5m. 구릉지를 하나 넘어 간 다음봉으로 주읍산과 갈맥이 잘 보이는데 CCTV가 있어 사진도 못 찍는다.
12 ; 15/22.쭈욱 내려간 안부.우측아래의 미륵사에서 불공소리가 들린다. 밤알이 쏟아져 있다. 무거워서 조금만 줍고.
12 ; 28/31. 군부대 들어가는 도로와 정문. 정문에서 뭐라 할지몰라 우측으로 내려왔다.정문을 멀직이 보고 절개지를 오른다.
12 ; 37. 약 160m. 그동안 따라온 철조망은 좌측으로 내려가고 맥은 우측이다. 울타리통과하는데 1.7km에 47분 걸렸다.
12 ; 41. 170.3m.
12 ; 52. 봉을 하나 넘어간 162.1m 갈림길.직진길은 뚜렸하나 우측 마루금은 족적이 안 보인다.
우측 바로 밑에 철망울타리가 보인다. 원형 철망울타리를 따라 가는데 길이 사납다.<주의지점>.
13 ; 02. 능선갈림점. 우측은 배밭. 계속해서 우측 철조망울타리를 따라 가야하는데 길이 사나워 배밭으로 넘어갔더니
주인집이 앞에 있어 오해받을까봐 다시 나왔다. 잠시후 컨테이너 창고같은 것이 우측에 있다 .
13 ; 21. 절개지위.우측으로 꺽어 내려서며 병개마을 37번국도와 개군산과 주읍산부터 온 능선이 보인다.
13 ; 23. 절개지를 우측으로 내려와 건너편 절개지위에 가니 바로앞에 군부대 울타리와 초소엔 초병이 있다.
병개마을도로와 주읍산전망이 좋으나 초병이 빤히 보는데 차마 카메라를 꺼낼 수 없어
뒤돌아서 전원주택지 진입로따라 37번 도로로 나가 37번 도로따라 우측으로 올라갔다 .
13 ; 31/39. 37번도로 병개마을입구. 동쪽엔 부리 버스정류장.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연구지원썬터.
서쪽엔 백향목식당과 마트.마트에서 음료수 사먹고 백향목옆 광명교회 →쪽으로 들어서
바로 우측 전원주택지 길따라 언덕을 올라갔다.
13 : 45. 전원주택지위. 온길을 돌아보고 군 철조망따라 좌측으로 간다.
13 ; 51. 군울타리끝 .좌측으로 꺽어가며 길은 그런대로 잘 나 있다.
13 ; 56. 156.9m 갈림길.좌측에서 올라온 능선길을 만나며 길은 좋아진다.잠시후 안부 부터는 통나무 계단 오름길이다.
14 ; 10/13. 개군산(介軍山.237.9m).개군산 표지석과 4각 쉼터.삼각점(여주301)과 지적삼각점.
주읍산과 용문산,지맥긑과 개군면과 남한강 조망이 좋다.쉼터에서 쉴려니 바람도 없고 볕이 들어 통과.
14 ; 19. 사격장경고판.
14 ; 22/33.우측에서 불어오는 골바람이 시원해서 옷 벗어 널고 휴식.
14 : 36. 170.9m .조금 내려가면 세멘 굴뚝봉에서 우측으로 내려가고 철제 바리케이트가 길옆에 나온다.
14 : 42.갈림봉.돌축대로 쌓은 참호. 여기서 직진 능선길에 표지기가 있고 우측으로 건너가는 사면길이 있다.
마루금은 우측 건너편봉에서 좌측으로 이어지나 군부대로 지나갈 수 없어 우회를 해야하니
이곳에서 직진으로 내려가 석장리 새삼마을 동쪽 이동통신탑있는 도로의 군부대가 끝나는곳에서 이어가는게 낫겠다.
14 ; 45. 사격장경고판.좌측으로 꺽어 내려간다.
14 ; 47. 군철조망울타리에 쪽문이 있고 아래에 큰 막사건물이 보인다.잠시후 족적은 없어진다.
14 : 58. 마루금은 이쯤에서 좌측으로 꺽어 내려가는데 가시밭이라 도저히 뚫고 갈 수가 없어 우측 목장초지로 내려섰다.
15 ; 06. 목장초지를 건너 다시 철조망에 붙어보나 역시 뚫고 갈 길이 없어 우측 산허리로 돌아갔다.
15 ; 16. 국가유공자의 집이 많은 마을길을 나간 2차선도로. 도로따라 좌측으로 가며 흑염소오리식당이 있다.
우측 가까이에 산행 끝내고 버스를 탈 37번도로 공세1리 버스 정류장이 있다.
15 : 17. 좌측 옹벽위에 따라 오던 군철조망 울타리가 있고 울타리는 도로따라 앞쪽으로 계속 이어진다.
우측으로 용문산과 백운봉이 건너다 보인다.
15 : 25. 언덕위 부대를 통과한 마루금에 복귀.도로 좌측은 이동통신탑과 군부대 철문.도로 우측은 형제공업사와 일반주택.
주택이 마루금을 차지하고 있어 고개 넘어에서 마을길따라 우측으로 오른다.
15 ; 28/33. 마루금에 오르나 주택이 또 마루금을 차지하고 있고 돌아 가란다.
15 ; 37. 주택을 우측으로 돌아가 주택건너 안동권씨묘에서 용문산과 온길,갈길을 돌아보고 묘지를 벗어나면 다시 가시밭.
15 ; 49. 지맥의 끝봉.가시밭을 이리저리 헤집고 올랐다.부서진 원두막흔적.
15 ; 53.가로 지르는 세멘길. 마루금을 차지하고 있는 앞의 대형축사를 돌아가서 매실밭 울타리를 넘어갔다 .
16 ; 04. 한울림공방연구원.마당건너 앞쪽은 담장으로 막혀있어 좌측 도로따라 간다.
16 ; 10. 석장1리 마을회관,석장교회를 지나 세멘길을 따라 간다.
16 : 18. 석장1리(돌담마을) 마을표지석이 있는 삼거리에서 우측 세멘길을 따라 간다.
16 ; 21.우측 넓은 소류지 뒤로 석장마을을 뒤돌아보고 우측으로 꺽어 제방뚝에 있는 석장배수장을 보며 간다.
16 ; 26/37. 현덕교. 흑천이 한강에드는 끝자락에 걸린 자전거도로.
현덕교 중간에 가서 합수점과 한강,흑천, 개군산,주읍산, 용문산과 양자산을 돌아본다.
석장리에서 양평으로 나가는 5-2번은 버스편이 자주없고 시간이 바쁜것도 아니라
흑천둑방을 따라 흑천과 용문산,지나온 지맥능선을 돌아보며 37번도로로 갔다.
17 ; 13. 37번도로 공세1리 버스정류장. 여주-양평을 다니는 1-10.1-11버스가 각각 30분간격으로 있고 다른 버스도 있다.
17 ; 24. 1-11번 버스 타고 양평으로 간다.
17 ; 33. 양평시장앞에서 내려 5~6분 거리의 양평역으로 가서
17 ; 43. 문산행 전철타다(일요일은 17 ; 13. 43. 18 ; 08.43. 19 ; 13.38분에 있다)
19 ; 03. 청량리에서 환승.
21; 25. 천안도착.
◈ 산행후기.
09 ; 38. 칠읍사앞에서 본 화전고개와 칠읍사.
세멘길은 개인사유지로 들어가는길이고 좌측 망을친쪽에 화전고개로 가는 수렛길이 있다.
09 ; 43. 화전고개.
희망볼렛길표지. 성황당 좌측에 있는 그물망울타리 좌측으로 길 따라 올라간다.
10 ; 03. 주읍산밑 안부.
좌측 주읍리 입구 1km,뒤로 능골 (섬실)1.65km.직등 정상 0.63km.우 우회길 정상 750m이정표.
10.09. 등산 안내도1.
우측으로 돌아온 길을 만나 로프잡고 직등해 오른다. 경사가 심하고 미끄럽다.
10 ; 18. 등산안내도 2.
좌측 지능선으로 돌아 오른다.
10 ; 23. 좌측 지능선.
정상 150m. 좌측 내리1.35km 이정표.우로 꺽어 오르고.
10 ; 29/35. 주읍산(추읍산.582.6m).추읍산 표지석과 여주 22 삼각점.무인산불감시탑. 1
용문시가지와 개군면,한강 조망.
이산의 고시지명은 주읍산이고 지형도는 추읍산(趨揖山)으로 표기하고 있어 혼란스러운데
현지에선 이산을 용문산을 보고 읍(揖)하는 형상이라하여 추읍산,
또는 정상에서 주위 7개 읍이 보인다하여 칠읍산이라 부르기도 한단다.
지형도도 추읍산으로 표기하고 있고 가까운 중앙선 원덕역 이름에 추읍산을 병기하고 있고
주민들도 추읍산으로 부르고 있는점을 고려해볼때 고시지명도 추읍산으로 변경고시를 하여야 할듯싶다.
10 ; 29/35. 주읍산(추읍산.582.6m)에서 본 용문산과 백운봉(좌). 2
10 ; 29/35. 주읍산(추읍산.582.6m)에서 본 용문. 3
10 ; 29/35. 주읍산(추읍산.582.6m)에서 본 노기산, 수리봉,삼각산방면. 4
10 ; 29/35. 주읍산(추읍산.582.6m)에서 본개군면과 한강 넘어로 천덕봉. 5
10 ; 29/35. 주읍산(추읍산.582.6m) 정상표지석과 안내판, 여주 22 삼각점. 6
10 ; 29/35. 주읍산(추읍산.582.6m)에서 본 공세리,원덕쪽. 7
10 ; 38. 헬기장.
마루금은 바로 좌측으로 내려가나 경사가 심하고 길도 없어 길따라 앞쪽으로 나가 좌로 돌아간다.
10 ; 41. 갈림길에서 좌측 사면으로 난 원덕역 ← 쪽으로 간다.
직진은 용문(중성)등산로입구 2.43km 이정표.
10 ; 48/53. 급경사를 로프줄따라 지그재그로 내려간 갈림길에서 우측 원덕역 2.44km로간다.<주의>
좌측은 내리 행사장 1.5km.GPS 바테리 갈아 넣다. 원덕역에서 올라온다는 등산객 만나다.
11 : 00. 우측으로 약수터 1.4km 이정표.원덕역 2.24km.정상0.8km.
바로 아래에 있는 직진 원덕역 2.2km.좌측 원덕역 5.2km에서 좌측으로 내려가는데
직진해 조금 나가면 용문산과 양평쪽 한강이 시원하게 조망된다.
직진해 조금 나가서 본 용문산.
직진해 조금 나가서 본 양평쪽 한강.
직진해 조금 나가서 본 한강건너편의 앵자지맥의 앵자봉-해협산.
11 ; 09. 좌측으로 내리 등산로입구 1.2km.
정상에서 1km 내려왔단다. 안부는 좀더 나가 있다.
안부 위.
저위 쉼터에서 좌측으로 내려간다.
11 : 14/30.사각쉼터와 벤취.만남의숲 안내판 뒤로 주읍산이 올려다 보인다.
좀 이르지만 군부대를 지날려면 시간이 걸릴듯싶어 여기서 점심을 먹고 원덕역 4.5km방향인 좌측으로 내려간다.
서울에서 온 한팀이 지나가는데 쉼터 기둥위에 말벌집이 있어 쉬지도 못하고 지나친다.
말벌집.
11 ; 37. 임도.
내려오는 소나무숲길이 좋다.원덕역은 이곳에서 우측으로 갈듯싶다. 삼림욕장안내판이 있다.
절개지 오르는길을 누군가 미끄러지 않게 홈을 파놨다.잠시후 묘지 갈림길에서 우측으로 가는데 길이 시원찮다..
임도절개지에서 뒤 돌아 본 주읍산.
243.7m에서 좌측으로 꺽어지며 2분쯤 후에 시설물(장비)의 사잔촬영을 금한다는 군 경고판이 나온다.
11 ; 50. 군부대 이중 철망 울타리.
좌측능선 내동으로 가는 능선이고 우측으로 철망울타리를 따라 간다.
다행히 울타리는 마루금과 같이가고 울타리안엔 라이트,확성기, CCTV가 있어 그쪽은 쳐다도 안보고 조용히 갔다.
226.5m정점밑에서 뒤 돌아 본 능선갈림.
12 ; 28/31. 군부대 들어가는 도로와 정문.
정문에서 뭐라 할지몰라 우측으로 내려왔다.정문을 멀직이 보고 절개지를 오른다.
12 ; 37. 약 160m.
그동안 따라온 철조망은 좌측으로 내려가고 맥은 우측이다. 울타리통과하는데 1.7km에 47분 걸렸다.
12 ; 52. 봉을 하나 넘어간 162.1m 갈림길.
직진길은 뚜렸하나 우측 마루금은 족적이 안 보인다.
우측 바로 밑에 철망울타리가 보인다. 원형 철망울타리를 따라 가는데 길이 사납다.<주의지점>.
13 ; 02. 능선갈림점. 우측 배밭뒤로 용문산.
계속해서 우측 철조망울타리를 따라 가야하는데 길이 사나워 배밭으로 넘어갔더니
주인집이 앞에 있어 오해받을까봐 다시 나왔다. 잠시후 컨테이너 창고같은 것이 우측에 있다 .
13 ; 21. 절개지위에서 본 37번도로와 개군산. 1
우측으로 꺽어 내려서며 병개마을 37번국도와 개군산과 주읍산부터 온 능선이 보인다.
13 ; 21. 절개지위에서 본 주읍산과 지나온 능선. 2
13 ; 21. 절개지위에서 본 전원주택 뒤로 37번국도의 서울대건물과 우측에 군부대초소.2
13 ; 23. 절개지를 우측으로 내려와 건너편 절개지위에 가니 바로앞에 군부대 울타리와 초소엔 초병이 있다.
병개마을도로와 주읍산전망이 좋으나 초병이 빤히 보는데 차마 카메라를 꺼낼 수 없어
뒤돌아서 전원주택지 진입로따라 37번 도로로 나가 37번 도로따라 우측으로 올라갔다 .
차앞의 붉은집은 식당,회색건물은 서울대,좌측 전봇대 뒤는 백향목식당과 마트.
13 ; 31/39. 37번도로 병개마을입구. 동쪽엔 부리 버스정류장.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연구지원썬터.
서쪽엔 백향목식당과 마트.마트에서 음료수 사먹고 백향목옆 광명교회 →쪽으로 들어서
바로 우측 전원주택지 길따라 언덕을 올라갔다.
전원주택지 입구에서 뒤 돌아 본 지나온 능선.
좌측이 서울대,우측 나무위가 군초소.
13 ; 51. 군울타리끝 .
좌측으로 꺽어가며 길은 그런대로 잘 나 있다.
14 ; 10/13. 개군산(介軍山.237.9m). 1
개군산 표지석과 4각 쉼터.삼각점(여주301)과 지적삼각점.
주읍산과 용문산,지맥긑과 개군면과 남한강 조망이 좋다.쉼터에서 쉴려니 바람도 없고 볕이 들어 통과.
14 ; 10/13. 개군산(介軍山.237.9m)에서 본 주읍산. 2
14 ; 10/13. 개군산(介軍山.237.9m)에서 본 개군면과 남한강 이포대교 3.
.
14 ; 10/13. 개군산(介軍山.237.9m)에서 본 용문산 4.
14 ; 10/13. 개군산(介軍山.237.9m)에서 남한강 건너로 본 앵자봉- 양자산과 흑천/한강 합수점(우측끝). 5.
14 ; 10/13. 개군산(介軍山.237.9m)에서 본 흑천/한강합수점(좌끝)과 현덕교(좌) 건너로 양평수도사업소(가운데소나무좌측 3,4층건물). 6
14 : 36. 170.9m .
조금 내려가면 세멘 굴뚝봉에서 우측으로 내려가고 철제 바리케이트가 길옆에 나온다.
14 : 42.갈림봉.
돌축대로 쌓은 참호. 여기서 직진 능선길에 표지기가 있고 우측으로 건너가는 사면길이 있다.
마루금은 우측 건너편봉에서 좌측으로 이어지나 군부대로 지나갈 수 없어 우회를 해야하니
이곳에서 직진으로 내려가 석장리 새삼마을 동쪽 이동통신탑있는 도로의 군부대가 끝나는곳에서 이어가는게 낫겠다.
14 ; 47. 군철조망울타리에 쪽문이 있고 아래에 큰 막사건물이 보인다.
잠시후 족적은 없어진다.
14 : 58. 마루금은 이쯤에서 좌측으로 꺽어 내려가는데 가시밭이라 도저히 뚫고 갈 수가 없어 우측 목장초지로 내려섰다.
목장초지를 건너 저앞에서 좌측 철조망을 다시 붙어분다.
15 ; 06. 목장초지를 건너 다시 철조망에 붙어보나 역시 뚫고 갈 길이 없어 우측 산허리로 돌아갔다.
15 ; 16. 국가유공자의 집이 많은 마을길을 나간 2차선도로.
도로따라 좌측으로 가며 칼국수집,흑염소오리식당이 있다.
우측 가까이에 산행 끝내고 버스를 탈 37번도로 공세1리 버스 정류장이 있다.
15 : 17. 좌측 옹벽위에 따라 오던 군철조망 울타리가 있고 울타리는 도로따라 앞쪽으로 계속 이어진다.
우측으로 용문산과 백운봉이 건너다 보인다.
15 : 25. 언덕위 부대를 통과한 마루금에 복귀.도로 좌측은 이동통신탑과 군부대 철문.도로 우측은 형제공업사와 일반주택.
주택이 마루금을 차지하고 있어 고개 넘어에서 마을길따라 우측으로 오른다.
15 ; 24.언덕위 부대를 통과한 마루금에 복귀하여 뒤 돌아 본 개군산과 하산능선.
철문뒷봉이 14 ; 42의 갈림봉같다.여기서 곧장내려오면 쉬울것을 뺑 돌아 오느라 40여분걸렸다.
도로 우측 마루금에 오르나 축사,주택이 또 마루금을 차지하고 있고
저앞 하얀 주택앞에가니 돌아 가란다.
15 ; 37. 주택을 우측으로 돌아가 주택건너 안동권씨묘에서뒤 돌아 본 주읍산. 1
묘지를 벗어나면 다시 가시밭.
15 ; 37. 주택을 우측으로 돌아가 주택건너 안동권씨묘에서뒤 돌아 본 개군산.2
15 ; 49. 지맥의 끝봉.
가시밭을 이리저리 헤집고 올랐다.부서진 원두막흔적.
15 ; 53.가로 지르는 세멘길.
마루금을 차지하고 있는 앞의 대형축사를 돌아가서 매실밭 울타리를 넘어갔다 .
작은 그림은 끝봉자락의 집들.
16 ; 04. 한울림공방연구원.
마당건너 앞쪽은 담장으로 막혀있어 좌측 도로따라 간다.
16 ; 10. 석장1리 마을회관,석장교회를 지나 세멘길을 따라 간다.
16 : 18. 석장1리(돌담마울) 마을표지석이 있는 삼거리에서 우측 세멘길을 따라 간다.
16 ; 26/37. 현덕교. 흑천이 한강에드는 끝자락에 걸린 자전거도로. 1
현덕교 중간에 가서 합수점과 한강,흑천, 개군산,주읍산, 용문산과 양자산을 돌아본다.
석장리에서 양평으로 나가는 5-2번은 버스편이 자주없고 시간이 바쁜것도 아니라
흑천둑방을 따라 흑천과 용문산,지나온 지맥능선을 돌아보며 37번도로로 갔다.
2
16 ; 26/37. 현덕교에서 우측 흑천. 3
16 ; 26/37. 현덕교에서 양평수도사업소와 뒤로 용문산,백운봉.4
16 ; 26/37. 현덕교에서 석장리와 주읍산,개군산. 5
16 ; 26/37. 현덕교에서 흑천이 남한강에 드는 합수점 6.
16 ; 26/37. 현덕교에서 석장배수펌프장과 개군면사무소쪽. 7
흑천둑방길에서 본 주읍산.
흑천 건너로 용문산과 백운봉.
흑천둑방길에서 본 주읍산.
17 ; 13. 37번도로 공세1리 버스정류장.
여주-양평을 다니는 1-10.1-11버스가 각각 30분간격으로 있고 다른 버스도 있다.
양평시장앞에서 내려 5~6분 거리의 양평역.
문산행 전철(일요일은 17 ; 13. 43. 18 ; 08.43. 19 ; 13.38분에 있다).
< 주읍지맥을 마친다 >.
'ㅈ 기맥,지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읍지맥 2구간(망미리고개-배미산(395.2m)-칠보산-화전고개). (0) | 2016.09.14 |
---|---|
주읍지맥 1구간(일신역-성지 주읍 분기점-수리봉-망미리고개). (0) | 2016.09.07 |
장원지맥 2구간(도동고개-삼각산(276m)-대마산-유촌동)終. (0) | 2016.08.08 |
장계지맥 2구간(장계리-장계산(226.8m)-비봉산-봉암리 )終 (0) | 2015.02.13 |
장계지맥 1구간(천등산(554m)-장계지맥분기점-도덕면-장유저수지앞) (0) | 2015.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