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포문화숲길

내포문화숲길 15. 6.7코스 (둔리연꽃마을-용봉사-용봉초교-홍성군청).



내포문화숲길 15.  6.7코스 (둔리연꽃마을-용봉사-용봉초교-홍성군청).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  18.4km  (7시간 31분.점심,휴식포함 ).



◈  일시 : 2018. 7. 11(수).



◈ 날씨 ;  연일 30도가 넘고  후덥지근하고 덥다.



◈ 지도.

 

 

◈ 트랙.

 

내포15. 6.7코스(가루실-용봉초교-홍성읍성).gpx

 

 

다음지도로 보

 

◈ 일정정리.

06 ; 47. 천안역에서 무궁화호  (\1800)- 예산도착(7.27).

07 ; 45. 예산역앞에서 544번 시내버스-덕산(8.10)도착.

08 : 22/25. 택시로 둔2리 가루실 연꽃마을 6코스 시작점 도착(\7900). 세멘길따라 가다 농로로 올라간다.

08 : 36. 가로지르는 임도를 건너 계단길로 올라간다.

08 : 46. 뫼넘이고개.좌측은 수암산. 우측은 용봉산.좌측 수암산을 다녀와 우측으로 올라간다.
           수암산정상 1km,용봉산정상 3.5km.용봉사 2km. 용봉저수지1.05km .좌측에 수암여장군, 수암대장군. 수암산 등산안내도.

09 : 05. 데크계단을 올라 기암을 지나 팔각정자.

09 : 12/17. 수암산(288.4m). 장군바위 표지판.지형도는 건너편 삼각점이 있는  260.1m을 수암산으로 표기하고 있으나
            이곳이 가장 높으니 이곳을 수암산으로  봐야겠다.
         바위군에 올라서면 내포신도시와 봉수산,오서산, 용봉산,가야산,원효봉, 옥양봉등이  시원하게 조망된다.

09 : 35. 다시 돌아온 뫼넘이고개.

09 ; 50. 270.2m. 좌틀하여 내려섰다  다시 급하게 올라간다. 우측능선 끝은 용봉저수지상단.팔각정 03km.

09 : 56. 건드리면 넘어갈둣한 기암.급 오름길로 올라간다.

10 ; 08/11. 320.2m전망대데크.내포신도시 안내도.내포신도시가 발아래로 내려다 보이고 용봉산이 건너다 보인다.
             용봉사 0.8km. 수암산등산안내도.

10 : 13. 용바위.용봉산등산안내도. 용봉산 전모가 앞쪽에 건너다 보인다.좌측은 병풍바위능선 .

10 : 23/52. 안부.평상과 벤취. 용봉산등산안내도.양말벗고 푹 쉬고 좌측 마애석불 0.2km로 내려간다.

10 : 55. 홍성 신경리 마애여래입상(보물355호).우측으로 내려간다.

11 ; 04/12. 용봉사.영산회 괘불탱(보물 제 1262호). 용봉사지 석조[석조. 석구. 마애](충남 문화재자료 제162호).마애불.
              둘러보고 우측으로 내려간다.가루실고개 2km.용봉초교 3km.

11 ; 20/34. 일주문을 지나 좌측 데크길에서 떡으로 점심먹고 도로따라 내려간다.

11 ; 39/58. 구룡교앞. 좌측 병풍바위에서 내려온 길을 만나고 용봉산유래비. 용봉산자연휴양림표석과 안내도.
          구룡교 건너 커피집에서 냉커피 한잔 마시며 쉬고 구룡대매표소를 지나 자동차극장을 지난다.

12 : 05. 609번도로앞 삼거리. 609번도로 큰길까지 가지 않고 편의점앞에서 우측  용봉산자연휴양림 600m 길로 간다.

12 : 11. 확장한 2차로가 끝나고 1차로로 된다.농어촌도로 확포장공사 안내판.2018.6.1~2020년.3월.용봉초교1.56km.

12 : 20. 하산마을회관과 쉼터.

12 : 30. 2차선도로를 만난다. 우측으로 도로따라 가며 상산회관.마을정보쎈터를 지난다.

12 : 32/34. 용봉초교앞 용봉교.6코스가 끝나고 좌측 용봉교를 건너 도로따라 가며 7코스를 이어간다.
            8코스는 용봉초교앞에서 용봉천둑길을 따라 올라간다.내포문화숲길 노선안내판.
             6코스 둔리 연꽃마을 6km, 8코스 끝 내포문화숲길 홍성쎈터 12.33km. 7코스끝 홍주성감옥터 6km.

12 : 41. 2차선도로에서 좌측 세멘 농로길로 들어 - 3분쯤 가서 T길에서 우측으로 간다.북문교3.29km,용봉초0.69km

12 : 55.대형축산농장을 지나 쭈욱 올라간 능선위 T 세멘길에서 우측으로 능선길을가며 오서산이 보인다.북문 2.32km.

12 ; 59. 능선위 마을 초입인 ㅏ 길에서 우측으로 내려가며 홍성시내가 보인다.앞쪽은 도상 매봉고개-홍성여고.

13 ; 09. 소향1구 마을회관앞 버스정류장.2차로를 건너 간다.홍성버스노선도와 버스시간표.

13 ; 12. 소향라2구 표지판.월계천 다리를 건너지 않고 좌측으로 홍성시가지를 바라보며 월계천 둑길을 따라 내려간다.
           월계천둑길은 북문교를 지나 혼주순교성지인 생매장터까지 계속 이어진다.

13 : 15/26. 땡볕에 뜨거워서 다리옆 나무밑에서 백월산,용봉산을 보며 잠시 쉬어간다.북문교 0.99km, 용봉초2.99km.

13 : 33. 홍성시내 21번국도 엔리치타워 아파트앞.좌측으로 국도 따라간다.가로수 그늘따라 횡단보도를 미리건너 따라간다.

13 : 41/44. 덕산통사거리 북문교앞.7코스안내도. 소공원으로 된 월계천북변둑길을 따라 간다.
           홈페이지의 내포길은 북문교를 건너가지 않고 월계천을 따라 좌측으로 내려가
            홍주순교성지에서 광경교를 건너 다시 월계천을 따라 올라와 홍주감옥으로 가고있고
             현지 북문교앞에 있는 안내도는 북문교를 건너 홍성군청에 들려와서 홍주순교성지에서 당간지주-시장-
              장군상오거리-홍성성당에서 마친다.순교길이라고 순교성지 지척에 있는 홍주의사총은 왜 빠졌을까?

13 : 51. 홍주성지 순례길 참수순교터.1801년신유박해때의 복자 황일광(시몬)등 많은 신자들이  순교한곳.
            홍주는 관찰사와 진영이 있던 관계로 관할내의 죄인들이 이곳 홍주로 붙들려 왔다.
         내포의 사도 이존창의 영향으로 내포. 홍주지역엔 전국에서 제일 많은 천주교인들이 있었는데
          문헌상에 남은 순교자들이 212명, 무명순교자까지 합치면 1000명의 순교자를 배출한 전국 2번째로 큰 순교터다.
         6곳의 순교터를 순례하는 홍주성지순레길은  동헌- 감옥터-진영-저잣거리-참수터-생매장터로 이어진다.
        2014년 8.16. 프란치스코 교황에 의해 복자 4위(원시장 베드로. 방 프란치스코. 박취득 라우렌시오.황일광 시몬)가
         탄생되었다.

14 ; 01. 생매장순교터.대형 홍주순교성지 표지석.월계천과 홍성천이 만나는 곳이다.
            천주교 4대박해중 최대 박해인 병인박해때 수용할 감옥이 부족하자 이곳 넓은 모래사장에다 생매장시켰다.
           데크길따라 21번 국도 의사1교밑을 지나 홍주의사총을 다녀온다.

14 ; 06/13. 홍성 홍주의사총(사적 431호).창의문으로 들어가 묘지인 의사총과  진충문안의 사당인 창의사를 돌아본다.
           1905년 을사늑약이후 일어났던 홍주읍성전투에서 희생된 의병들의 유해를 모신 묘소와 사당이다.
            되돌아 나가 내포길은 광경교를 건너 월계천 남측 둑길을 따라 가나  그늘하나없어 그늘진 북측 둑길로 갔다.


14 ; 30. 다시 돌아온 북문교.   꽃으로 난간을 장식한 북문교를 건너   북문지발굴조사를 좌측으로 돌아간다.

14 ; 36. 홍주순교성지 옛저잣거리.  군청(동헌)앞 주차장. 옛날 장이 서던곳으로 신자들이 조리돌림을 당하던곳이다.

14 ; 42.  홍성군청.
           홍주아문으로 들어가 공민왕이 심었다는 오관리 느티나무.동헌인 안회당.뒷뜰의 여하정과 왕버들나무.
           홍주읍성.남문인 홍화문.홍주성수성비.병오항일의병기념비.홍주감옥터와 우물터등을 둘러본다.

15 ; 27. 조양문앞 KT 홍성빌딩앞의 홍주순교성지인 진영. 당시 진영장은 정3품.군사권과 죄인을 잡는 토포사의 직임을 겸직했다.
           

15 ; 36. 조양문을 돌아 전통시장앞을 지난다.

15 ; 40. 김좌진장군상이 있는 장군상오거리.내포문화숲길 천주교순례길 이정표.

15 ; 47. 홍성의료원앞을지나 고암근린공원.좌측은 홍성터미널. 길건너  언덕위가 홍성역.

15 : 51. 홍성역도착.

16 ; 00. 새마을호(3분 연발)타고 천안으로.예약한 17 ;08 무궁화호를 취소.\2400 추가요금 \1300.

16 : 45. 천안도착.

 

 

06 ; 47. 천안역에서 무궁화호  (\1800)- 예산도착(7.27).

07 ; 45. 예산역앞에서 544번 시내버스-덕산(8.10)도착.

08 : 22/25. 택시로 둔2리 가루실 연꽃마을 6코스 시작점 도착(\7900). 세멘길따라 가다 농로로 올라간다.

 

둔2리 가루실 연꽃마을 6코스 시작점에서 본 갈 방향.

 

 

둔2리 가루실 연꽃마을 6코스 시작점에서 본 용봉저수지와 수덕산.

 

 

둔2리 가루실 연꽃마을 6코스 시작점에서 본 가야산과 원효봉(우측 뾰족봉).

 

수암산(288.4m.좌)과 뫼넘이고개.

 

둔2리뒤로 수덕산(좌),가야산과 원효봉.

 

 

08 : 36. 가로지르는 임도를 건너 계단길로 올라간다.

 

08 : 46. 뫼넘이고개.좌측은 수암산. 우측은 용봉산.좌측 수암산을 다녀와 우측으로 올라간다.
           수암산정상 1km,용봉산정상 3.5km.용봉사 2km. 용봉저수지1.05km .좌측에 수암여장군, 수암대장군. 수암산 등산안내도.

 

 

수암산(288.4m)가는길에 뒤 돌아 본 용봉산과 320.2m전망대데크(좌).

 

 

 

09 : 05. 데크계단을 올라 기암을 지나 팔각정자.

수암산(288.4m) 전모.

 

 

09 : 12/17. 수암산(288.4m). 장군바위 표지판.지형도는 건너편 삼각점이 있는  260.1m을 수암산으로 표기하고 있으나
            이곳이 가장 높으니 이곳을 수암산으로  봐야겠다.
         바위군에 올라서면 내포신도시와 봉수산,오서산, 용봉산,가야산,원효봉, 옥양봉등이  시원하게 조망된다.

수암산(288.4m) .

 

수암산(288.4m) 조망 1.
내포신도시와 오서산.

 

 

수암산(288.4m) 조망 2.
용봉산(앞), 백월산(뒤).

 

수암산(288.4m) 조망 3.
홍동산(좌),삼준산(가운데뒤),수덕산(우).

 

수암산(288.4m) 정상 .

 

수암산(288.4m) 조망 4.
가야산(좌)-원효봉(좌앞봉)-옥양봉(중)-수정봉(우뒤)-서원산(맨우측).

 

수암산(288.4m) 조망 5.
수정봉-서원산-덕산.

 

수암산(288.4m) 조망 6.
수덕산(좌)-가야산-원효봉.

 

 

 

수암산(288.4m)에서 용봉산전모.

 

용봉산과 뒤로 백월산, 우측 홍동산.

 

 

수암산(288.4m).

 

 

09 : 35. 다시 돌아온 뫼넘이고개.

 

09 ; 50. 270.2m. 좌틀하여 내려섰다  다시 급하게 올라간다. 우측능선 끝은 용봉저수지상단.팔각정 03km.

09 : 56. 건드리면 넘어갈둣한 기암.급 오름길로 올라간다.

 

10 ; 08/11. 320.2m전망대데크.내포신도시 안내도.내포신도시가 발아래로 내려다 보이고 용봉산이 건너다 보인다.
             용봉사 0.8km. 수암산등산안내도.

 

320.2m전망대데크에서 본 수암산(우).좌측뒤는 당진 아미산.

 

320.2m전망대데크에서 본 내포신도시와 봉수산.

 

320.2m전망대데크에서 용봉산.

 

 

10 : 13. 용바위.용봉산등산안내도. 용봉산 전모가 앞쪽에 건너다 보인다.좌측은 병풍바위능선 .

용바위.

용바위에서 병풍바위(좌)와 용봉사 계곡.

 

용봉산전경.

 

10 : 23/52. 안부.평상과 벤취. 용봉산등산안내도.양말벗고 푹 쉬고 좌측 마애석불 0.2km로 내려간다.

 

 

10 : 55. 홍성 신경리 마애여래입상(보물355호).우측으로 내려간다.

 

11 ; 04/12. 용봉사.영산회 괘불탱(보물 제 1262호). 용봉사지 석조[석조. 석구. 마애](충남 문화재자료 제162호).마애불.
              둘러보고 우측으로 내려간다.가루실고개 2km.용봉초교 3km.

용봉사지장전.

 

용봉사대웅전.

 

용봉사지 석조[석조. 석구. 마애](충남 문화재자료 제162호).

 

용봉사 마애불.

 

11 ; 20/34. 일주문을 지나 좌측 데크길에서 떡으로 점심먹고 도로따라 내려간다.

11 ; 39/58. 구룡교앞. 좌측 병풍바위에서 내려온 길을 만나고 용봉산유래비. 용봉산자연휴양림표석과 안내도.
          구룡교 건너 커피집에서 냉커피 한잔 마시며 쉬고 구룡대매표소를 지나 자동차극장을 지난다.

구룡대매표소와 찻집.

 

용봉산과 자동차극장.

 

12 : 05. 609번도로앞 삼거리. 609번도로 큰길까지 가지 않고 편의점앞에서 우측  용봉산자연휴양림 600m 길로 간다.

 

용봉산전경.

 

12 : 11. 확장한 2차로가 끝나고 1차로로 된다.농어촌도로 확포장공사 안내판.2018.6.1~2020년.3월.용봉초교1.56km.

12 : 20. 하산마을회관과 쉼터.

 

12 : 30. 2차선도로를 만난다. 우측으로 도로따라 가며 상산회관.마을정보쎈터를 지난다.

12 : 32/34. 용봉초교앞 용봉교.6코스가 끝나고 좌측 용봉교를 건너 도로따라 가며 7코스를 이어간다.
            8코스는 용봉초교앞에서 용봉천둑길을 따라 올라간다.내포문화숲길 노선안내판.
             6코스 둔리 연꽃마을 6km, 8코스 끝 내포문화숲길 홍성쎈터 12.33km. 7코스끝 홍주성감옥터 6km.

용봉초교와 용봉산.

 

용봉초교앞은  6.7.8코스 시종점.

 

 

 

 

내포문화숲길7코스(용봉초교-홍성군청)을 이어간다.

 

12 : 32/34. 용봉초교앞 용봉교.6코스가 끝나고 좌측 용봉교를 건너 도로따라 가며 7코스를 이어간다.
            8코스는 용봉초교앞에서 용봉천둑길을 따라 올라간다.내포문화숲길 노선안내판.
             6코스 둔리 연꽃마을 6km, 8코스 끝 내포문화숲길 홍성쎈터 12.33km. 7코스끝 홍주성감옥터 6km.

용봉교를 건너 7코스를 이어간다.
좌측은 6코스 ,우측으로 가면 8코스.

 

 

12 : 41. 2차선도로에서 좌측 세멘 농로길로 들어 - 3분쯤 가서 T길에서 우측으로 간다.북문교3.29km,용봉초0.69km

 

12 : 55.대형축산농장을 지나 쭈욱 올라간 능선위 T 세멘길에서 우측으로 능선길을가며 오서산이 보인다.북문 2.32km.

 

12 ; 59. 능선위 마을 초입인 ㅏ 길에서 우측으로 내려가며 홍성시내가 보인다.앞쪽은 도상 매봉고개-홍성여고.

 

13 ; 09. 소향1구 마을회관앞 버스정류장.2차로를 건너 간다.홍성버스노선도와 버스시간표.

 

13 ; 12. 소향라2구 표지판.월계천 다리를 건너지 않고 좌측으로 홍성시가지를 바라보며 월계천 둑길을 따라 내려간다.
           월계천둑길은 북문교를 지나 혼주순교성지인 생매장터까지 계속 이어진다.

 

13 : 15/26. 땡볕에 뜨거워서 다리옆 나무밑에서 백월산,용봉산을 보며 잠시 쉬어간다.북문교 0.99km, 용봉초2.99km.

홍성읍과 뒤로 오서산.

 

백월산.

 

 

13 : 33. 홍성시내 21번국도 엔리치타워 아파트앞.좌측으로 국도 따라간다.가로수 그늘따라 횡단보도를 미리건너 따라간다.

 

13 : 41/44. 덕산통사거리 북문교앞.7코스안내도. 소공원으로 된 월계천북변둑길을 따라 간다.
           홈페이지의 내포길은 북문교를 건너가지 않고 월계천을 따라 좌측으로 내려가
            홍주순교성지에서 광경교를 건너 다시 월계천을 따라 올라와 홍주감옥으로 가고있고
             현지 북문교앞에 있는 안내도는 북문교를 건너 홍성군청에 들려와서 홍주순교성지에서 당간지주-시장-
              장군상오거리-홍성성당에서 마친다.순교길이라고 순교성지 지척에 있는 홍주의사총은 왜 빠졌을까?

북문교 군청방향.

 

북문교에서 월계천.

 

 

13 : 51. 홍주성지 순례길 참수순교터.1801년신유박해때의 복자 황일광(시몬)등 많은 신자들이  순교한곳.
            홍주는 관찰사와 진영이 있던 관계로 관할내의 죄인들이 이곳 홍주로 붙들려 왔다.
         내포의 사도 이존창의 영향으로 내포. 홍주지역엔 전국에서 제일 많은 천주교인들이 있었는데
          문헌상에 남은 순교자들이 212명, 무명순교자까지 합치면 1000명의 순교자를 배출한 전국 2번째로 큰 순교터다.
         6곳의 순교터를 순례하는 홍주성지순레길은  동헌- 감옥터-진영-저잣거리-참수터-생매장터로 이어진다.
        2014년 8.16. 프란치스코 교황에 의해 복자 4위(원시장 베드로. 방 프란치스코. 박취득 라우렌시오.황일광 시몬)가
         탄생되었다.

 참수순교터.

 

2014년 8.16. 프란치스코 교황에 의해 탄생된 복자 4위(원시장 베드로. 방 프란치스코. 박취득 라우렌시오.황일광 시몬).

 

 

 홍주성 천년여행길.
용봉산, 홍주성과 여하정. 한용운생가. 그림이 있는정원. 오서산. 남당항. 김좌진장군생가. 궁리포구.

 

 

14 ; 01. 생매장순교터.대형 홍주순교성지 표지석.월계천과 홍성천이 만나는 곳이다.
            천주교 4대박해중 최대 박해인 병인박해때 수용할 감옥이 부족하자 이곳 넓은 모래사장에다 생매장시켰다.
           데크길따라 21번 국도 의사1교밑을 지나 홍주의사총을 다녀온다.

 

 

14 ; 06/13. 홍성 홍주의사총(사적 431호).창의문으로 들어가 묘지인 의사총과  진충문안의 사당인 창의사를 돌아본다.
           1905년 을사늑약이후 일어났던 홍주읍성전투에서 희생된 의병들의 유해를 모신 묘소와 사당이다.
            되돌아 나가 내포길은 광경교를 건너 월계천 남측 둑길을 따라 가나  그늘하나없어 그늘진 북측 둑길로 갔다.


창의문(좌)으로 들어가 묘지인 의사총과  진충문(우)안의 사당인 창의사를 돌아본다.


 

창의문과 의사총.

 

 진충문과 창의사.

 

 

 

14 ; 30. 다시 돌아온 북문교.   꽃으로 난간을 장식한 북문교를 건너   북문지발굴조사를 좌측으로 돌아간다.

14 ; 36. 홍주순교성지 옛저잣거리.  군청(동헌)앞 주차장. 옛날 장이 서던곳으로 신자들이 조리돌림을 당하던곳이다.

 

14 ; 42.  홍성군청.
           홍주아문으로 들어가 공민왕이 심었다는 오관리 느티나무.동헌인 안희당.뒷뜰의 여하정.왕버들.
           홍주읍성.남문인 황화문.홍수성수성비.병오항일의병기념비.홍주감옥터와 우물터등을 둘러본다.

홍주아문.

 

느티나무(250년.1982년)보호수와 홍성군청.

 

 

 공민왕이 심었다는 오관리 느티나무와 홍성군청.

 

 

 

동헌인 안회당.

 

동헌 뒷뜰의 여하정과 왕버들나무.

 

병오항일의병기념비.

 

남문인 홍화문에서 본 홍성시가지.

 

 

홍주성 역사박물관.

 

홍주읍성우물터와 감옥터.

 

15 ; 27. 조양문앞 KT 홍성빌딩앞의 홍주순교성지인 진영. 당시 진영장은 정3품.군사권과 죄인을 잡는 토포사의 직임을 겸직했다.

조양문.

 

15 ; 36. 조양문을 돌아 전통시장앞을 지난다.

 

15 ; 40. 김좌진장군상이 있는 장군상오거리.내포문화숲길 천주교순례길 이정표.

 

15 ; 47. 홍성의료원앞을지나 고암근린공원.좌측은 홍성터미널. 길건너  언덕위가 홍성역.

롯데마트 좌측끝이 홍성터미널.

 

홍성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