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학지맥 첫구간[샘재-811m봉-비학지맥분기봉(710m)-811m봉-비학산-흥곡고개)
◈ 산행코소와 거리 및 소요시간. 도상거리 19 km+4km. 8시간 21분 + 35분.
샘재(68번도로 경북수목원입구)-마복산(869.1m 괘령산표석)-괘령재-811m 내연지맥분기봉-성법령(921도로.쉼터)-
분기봉(낙동정맥 710m봉)-811m 내연지맥분기봉-678.8m-비학산(762.3m.표석안내판)-620m봉-346.6m-산불초소-흥곡고개-흥곡리
◈ 일시 : 2010. 11. 08(월).
◈ 날씨 : 기온이 둑 떨어지고 종일 바람이 엄청불어 춥다.
◈ 인원 : 나홀로
◈ 지도 :1/50000. 영진지도.


비학지맥 첫구간[샘재-811m봉-비학지맥분기봉(710m)-811m봉-비학산-흥곡고개)지도 1.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비학지맥 첫구간[샘재-811m봉-비학지맥분기봉(710m)-811m봉-비학산-흥곡고개)지도 2.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 일정정리.
06 :13. 죽도시장앞에서 청하행 500번버스.
06 :45/07 : 10. 청하도착하여 상옥리행시내버스.07 :10.11 : 00. 11 :30. 15 :30. 17 :00.
07 :33. 샘재도착.경북수목원정문앞에서 산행시작..
07 :41. 첫봉의 통신탑. 로프줄따라 내려감.
08 : 06. 채소밭안부.우측은 밭.도로 건너로 매봉이 보임.
08 :21. 둔덕봉을 넘어간 안부. 우측에서 올라온 수렛길따라 조금 나가면 경주최씨묘있음.
09 :00. 858m봉. 낙엽쌓인 된비얄을 올라섬.좌측건너에 마복산이 보임.
09 :05. 마복산(869.1m).삼각점(기계306). 괘령산 표석있는 헬기장. 간벌목들있고 뚝 떨어져 내려감.
09 : 17.괘령재. 좌우로 하산길 보임.길이 넓어짐.
09 :45. 811m봉.비학지맥은 좌측으로 내려감.바로앞의 정점 넘어엔 높은 안테나 있음.내연지맥분기점임.
09 :49. 산불초소.
09 : 53. 전망바위.성법령과 709.1m분기봉,사관령,침곡산등조망.
10 :02. 성법령(921번도로).쉼터.상옥리쪽 터진곳에서 절개지오름.
10 : 15. 낙동정맥의 710m 삼각점봉. 깨진삼각점(기계422)과 안내판.작은 헬기장.비학지맥분기봉.
10 ; 23. 성법령.
10 ; 40. 산불초소.
10 ; 47. 다시 돌아온 내연지맥분기봉인 811m봉정점에서 50m내려가서 우측으로 내려감.
11 ; 07. 570.5m봉앞 비학산이보임.
11 : 22/43. 570.5m봉내려간 안부에서 점심. 바람이 몹시불어 무섭기까지함.
11 ; 52. 경사지를 올라서 613봉은 정점을 우로 살짝 비켜 넘어가면 큼직한 묘가 있다.
12 ; 12. 삼각점.678.8m 425 재설. 준희님679m 표찰. 임도나 헬기장은 없음
12 ; 20. 645m.우로 꺽어져 내려서고 아래엔 허름한묘지가 3개있다.
12 ; 35. 우로 꺽임봉.김해김공묘.바람이심하게불어 참나무들이 부딪치는소리가 대단히 크게 남.
12 ; 39. 655봉. 참나무숲속.준희님655봉 표찰.좌로 꺽어가며 저앞에 비학산이 건너다보임.
13 : 03.716m봉.좌에서 우로 돌아서 올라가며 좌측능선에 길있고 정점엔 준희님716m 표찰 있음.참나무숲임.
13 : 06 716m을 살짝내려선 안부엔 좌측으로 찬물내기 .정상814m.우측은 수목원 이정표있음.
13 : 15. 735봉을 우측으로 돌아서 올라가며 우측 능선에 탑정 정상506m 이정표와 이9구조안내판있음.
13 : 23/40. 비학산 넓은 헬기장 2등삼각점(기계22 )과 돌탑. 정상표석.안내판있고 조망좋아 사방팔방이 다 보임.
13 ; 45. 나무계단을내려선 안부.좌측 앞쪽으로 법광사1.8km.하산길.비학산정상 0.4km.자연휴양림2.7km(직진)이정표.
13 ; 51. 둔덕넘어안부. 두릅바위 무제등 이정표지나 우측 탑정하산길. 미루금은 직진하는 활공장.뒤로 정상 791m .
13 ; 57.큰바위인두릅바위 .바위위에서 비학산조망.
14 ; 00.620m봉 두릅봉. 갈길이 전부 내려다보임 .좌측으로 포항제철과 신광면 들판조망.
14 : 03. 갈림길 이정표에서 좌측 활공장쪽으로 .급경사를 내려감.탑정(직진),정상(1266m) ←활공장 이정표 있음.<주의할곳임>
14 ; 33. 416m다음봉. 뒤로비학산과 620m봉이 잘 보임.
14 ; 41. 좌우로 하산길안부 좌측은 조박골저수지 우측은 당곡지 저수지 하산길.
14 ; 46. 활공장 395m.2009.7월조성비있고조금나오면 비학산조망.
14 ; 53. 나무계단을 내려온 세멘길안부. 활공장안내판있는 당곡지-댓골안부임.
14 ; 57. 두 번째봉에 준희님의 격려문잇음.
15 ; 17. 346.6 삼각점(311재설78.7 건설부) 우측 가시밭속에 있다.347m준회표찰.100m 내려가선 우측으로 내려감.
15 ; 30/35 산불초소봉.뒤로 비학산과 620m봉과 갈길이 조망됨.길이사나워지고 바람이 엄청 드세게 붐.
15 ; 47. 안부 수렛길이 고개를 넘고 있고 소독중인 나무들이 덮여있음.
15 ; 54. 흥곡고개 세멘트임도가 고개를 넘어감.소형차량은 가능.좌측 흥곡리로 하산함.
16 ; 11/30흥곡2리 마을회관.노선 버스는 없고 택시는전화가 안돼서 걸어나옴.
16 ; 48/50. 원고개 한남목재앞에서 히치하여 신광면소제지로 나감.
16 : 55. 신광에서 시내버스로 포항으로 감.
17 ; 45/6:30 포항시외버스도착
18 :30/10;30. 천안행 버스타고 경주거쳐 4시간 걸려 천안에 도착함.2시간간격으로 차가 있음.
◈ 산행후기.
06 :13. 죽도시장앞에서 청하행 500번버스.
06 :45/07 : 10. 청하도착하여 상옥리행시내버스.07 :10.11 : 00. 11 :30. 15 :30. 17 :00.
07 :33. 샘재도착.경북수목원정문앞에서 산행시작..
07 :41. 첫봉의 통신탑. 로프줄따라 내려감.
08 : 06. 채소밭안부.우측은 밭.도로 건너로 매봉이 보임.
08 :21. 둔덕봉을 넘어간 안부. 우측에서 올라온 수렛길따라 조금 나가면 경주최씨묘있음.
09 :00. 858m봉. 낙엽쌓인 된비얄을 올라섬.좌측건너에 마복산이 보임.
09 :05. 마복산(869.1m).삼각점(기계306). 괘령산 표석있는 헬기장. 간벌목들있고 뚝 떨어져 내려감.
09 : 17.괘령재. 좌우로 하산길 보임.길이 넓어짐.
09 :45. 811m봉.비학지맥은 좌측으로 내려감.바로앞의 정점 넘어엔 높은 안테나 있음.내연지맥분기점임.
09 :49. 산불초소.
09 : 53. 전망바위.성법령과 709.1m분기봉,사관령,침곡산등조망.
10 :02. 성법령(921번도로).쉼터.상옥리쪽 터진곳에서 절개지오름.
10 : 15. 낙동정맥의 710m 삼각점봉. 깨진삼각점(기계422)과 안내판.작은 헬기장.비학지맥분기봉.
내연지맥에 이어 비학지맥을 이어간다.
요맥회와 같이하는 지난번 첫 구간때 네팔 트레킹에서 삐끗한 발목 치료하느라고 빠져서 어제 두 번째구간을 끝내고
포항 죽도시장에서 푸짐한 회로 안나푸르나 다녀온 뒷풀이를하고 멤버들은 서울로 올라가고 이성모씨와 둘이서 떨어져 모텔에서 잤다.
새벽 5시 일어나 근처 김밥집에서 아침을먹고 이성모씨는 3구간을 하러 연화재로 가고 나는 청하로 가서
7시 10분에 있는 상오가는 버스를타고 샘재로 올라갔다.
포항은 벌서 여러번 내려와서 지나도가고 묵어도가서 대충 지리를안다.
호미지맥하면서 몇 번들렸고 보현지맥 시작할 때 하루는 묵었다가 비가와서 오어사 구경만하고 올라갔고
다음에 또 묵어서 청하로가서 상옥리로가고 가시령을 올라 보현을 시작했고 내연지맥하면서 또몇 번 지나갔던곳이다.
오늘도 상옥가는 버스를 혼자서 전세내서 뱀재에 오르니 어제와는 날씨가 완전히 달라 바람이 엄청불고 추워진다.
경북수목원정문앞에서 낙엽이 수북히 쌓인 통신탑봉을 올라 하얀 비닐끈따라 넓직한 길을 따라 좌측으로 돌아서 내려간다.
우측에 넓은 채소밭 건너로 수목원과 매봉을 건너다보고 봉 하나를 넘어가면 우측에서 올라온 수렛길을만나고
경주최공묘를지나선 683m봉을 좌측 사면으로 건너가선 된비얄을 한참을 올라간다.
858m봉에서 오름길은 끝이나고 좌측으로 꺽어 5분쯤 가면 마복산인데 앞뒤로 간벌목들이 널려있다.
마복산(869.1m)엔 삼각점(기계306)과 또다른 버려진삼각점이 있고 괘령산 표석있는 헬기장이다.
평지길로 쭈욱 나와 뚝 떨어져 내려가면 괘령재인데 별 특징없는 안부이고마복산을 돌아온 넓은길이 좌측에 있다.
괘령재부터는 능선이 부드럽고 기복도 심하지 않아 걷기가 좋다.하늘은 점점 어두어지고 바람도 거세지며
금방이라도 비가 쏟아질 기세다. 별로 힘들지 않은 고만고만한봉을 서너개 넘어가면 811m 비학산갈림봉이다.
빨간 페인트칠한 나무에 비학산→ 표시가 걸려있고 건너편 나무엔 하얀색 ← 비학산방면 준희 ← 표찰이 걸려있다.
비학지맥은 좌측인데 성법령 건너편의 710m 비학지맥분기점을 다녀 올려고 직진해 몇발짝 올라가면 811m정점이고
넘어서 몇발짝 내려서면 빨간색의 높다란 안테나탑이 있고 좀더 내려가면 산불초소가 있다.
좀전에 비학산방향을 알리는 표찰들이 없었다면 이 산불초소 좌측에 있는 능선이 비학지맥이아닐까 싶게 능선이 실하다.
이능선은 성법소류지앞에서 끝이나는데 산세가 지맥보다 훨씬 높아서 착각하기 쉽겠다.
산불초소를 지나 몇분 내려오면 조망좋은 큰 바위가 있어 여기서 낙동정맥줄기와 분기점인 710m봉을 건너다보고
사정없이 뚝 떨어져 10여분을 내려가면 921번도로가 지나는 성법령인데 고개가 엄청높고 쉼터 정자가 있다.
상옥쪽 철망 터진곳으로 올라 13분쯤 솔밭길을 그리 힘들지 않게 올라가면 낙동정맥의 710m봉으로
작은 헬기장가에 깨진 삼각점과 삼각점안내판이 있고 비학지맥분기전 표찰이 걸려있다.
조망도 없고 날도 잔뜩 찌푸려 바로 돌아섰다.
06 :45/07 : 10. 청하환승정류장.
포항에선 청하오는 500번 버스가 아침 일직부터있다.
청하에서 상옥리행 시내버스는 자주없다. 07 :10.11 : 00. 11 :30. 15 :30. 17 :00.
07 :33. 샘재 경북수목원정문앞에서 산행시작.
07 :33. 샘재 청하면과 죽장면경계다.
죽장면은 넓이가 엄청커서 한개면이 왼만한 군만큼 넓다.

07 : 41. 첫봉오름길은 날씨가 어제완 딴판으로 바람이 몹시불어 낙엽이 수북히쌓여 있다.
위에가면 통신탑이 있고 하얀 나이론 줄은한동안이어진다.
08 : 06. 채소밭안부.
우측은 밭이고 도로 건너로 매봉이 보인다.

09 :05. 마복산(869.1m).
삼각점(기계306), 괘령산 표석있는 헬기장. 간벌목들 있고 뚝 떨어져 내려간다.
괘령재이후로는 이런 편한길이 811m 갈림길까지 이어진다.

09 :45. 811m봉.
비학지맥은 좌측으로 내려가고 바로앞의 정점 넘어엔 높은 안테나 있음다.내연지맥분기점이다.
811m봉정점 바로 넘어쪽에 있는 안테나.
09 :49. 산불초소.
보이는산은 낙동정맥이다.
09 : 53. 전망바위에서 본 709.1m비학지맥분기봉(우측 낮은봉)과 사관령(좌측).
09 : 53. 전망바위에서 본 기계에서 성법령 오름길 도로.

10 :02. 성법령(921번도로) 상옥리쪽
사진 좌측의 터진곳에서 절개지오른다.

10 : 15. 낙동정맥의 710m 삼각점봉.모습.
깨진삼각점(기계422)과 안내판이 있는 작은 헬기장으로 비학지맥 분기봉이다.
여기까지는 내연지맥종주때 빼먹은구간을 보충한것이고 이제부터 비학지맥시작이다.
<낙동정맥 710m (비학지맥 분기봉)-811m봉(내연지맥분기점)-비학산(762.3m)>.
10 : 15. 낙동정맥의 710m 삼각점봉. 깨진삼각점(기계422)과 안내판.작은 헬기장.비학지맥분기봉.
10 ; 23. 성법령.
10 ; 40. 산불초소.
10 ; 47. 다시 돌아온 내연지맥분기봉인 811m봉정점에서 50m내려가서 우측으로 내려감.
11 ; 07. 570.5m봉앞 비학산이보임.
11 : 22/43. 570.5m봉내려간 안부에서 점심. 바람이 몹시불어 무섭기까지함.
11 ; 52. 경사지를 올라서 613봉은 정점을 우로 살짝 비켜 넘어가면 큼직한 묘가 있다.
12 ; 12. 삼각점.678.8m 425 재설. 준희님679m 표찰. 임도나 헬기장은 없음
12 ; 20. 645m.우로 꺽어져 내려서고 아래엔 허름한묘지가 3개있다.
12 ; 35. 우로 꺽임봉.김해김공묘.바람이심하게불어 참나무들이 부딪치는소리가 대단히 크게 남.
12 ; 39. 655봉. 참나무숲속.준희님655봉 표찰.좌로 꺽어가며 저앞에 비학산이 건너다보임.
13 : 03.716m봉.좌에서 우로 돌아서 올라가며 좌측능선에 길있고 정점엔 준희님716m 표찰 있음.참나무숲임.
13 : 06 716m을 살짝내려선 안부엔 좌측으로 찬물내기 .정상814m.우측은 수목원 이정표있음.
13 : 15. 735봉을 우측으로 돌아서 올라가며 우측 능선에 탑정 정상506m 이정표와 이9구조안내판있음.
13 : 23/40. 비학산 넓은 헬기장 2등삼각점(기계22 )과 돌탑. 정상표석.안내판있고 조망좋아 사방팔방이 다 보임.
811m내연지맥 분기점에서 성법령거쳐 낙동정맥의 710m비학지맥 분기점까지 다녀오는데 가는데 30분
오는데 32분 걸렸다.
811m봉에서 내림길도 길이 잘 나 있다.
바람이 심하게 불어 낙엽들이 우수수 떨어져 수북히 쌓이고 밑엔 잔자갈이 깔려있어
성치않은 발목에 신경이 잔뜩 쓰인다.조망도 없다.
570.5m근처에서 딱한번 811m봉이 뒤돌아보였고 비학산쪽이 시커멓게 보이고 그만이다.
570.5m봉을 내려간 안부에서 김밥 두줄로 점심을 먹었다.
주변은 온통 멧돼지들의 놀이터인데 바람이 어찌심하게 부는지 겁이난다.
바람소리에 멧돼지가 달려와도 알수없겠고 큰 참나무들이 부딪치는 소리가 딱딱하고 들려와서 자꾸만 주위를 둘러봐진다.
바람이 우측에서 좌측으로 부는데 더가봐야 이곳만큼 바람을 막아줄곳이 없을것같다.
김밭 두 줄은 좀 많고 맛도 없지만 지고온 것 버릴 수는 없고 칼로리 생각해서 억지로 꾸역꾸역 쑤셔 넣었다.
된비얄을 올라 613m봉을 우측으로 살짝 건너가면 묘가 있고 삼각점이 있는 678.8m과 645m봉을 지나
우로 꺽어지는 기일소류지로 내려가는 분기봉을 내려서면 김해김씨묘가 있고 키 참나무들이 빽빽한데
여기저기서 참나무들이 바람이 부딪쳐 딱 딱부딪치는소리가 요란하다.
표찰이 걸린 655m봉을 지나 30여분거리의 716m봉은 반원을그리며 돌아 오르는데 기일소류지쪽 좌측능선에
표지기들이 걸려있고 716m봉을 내려서면 좌측으로 찬물내기 하산길이 있고
735m봉을 우측으로 돌아 오르면우측능선에 탑정리가는길이 있고 7,8분 더가면 비학산정상이다.
비학산(飛鶴山.762.3m)은 산의 모양이 학이 알을품고 있다 나르는 형상이라하여 비학산이란다.
넓은 헬기장 에 2등삼각점(기계22 )과 돌탑. 정상표석.비학산안내판등이 있고 조망이 좋아 사방팔방이 다 보인다.
뒤로는 지나온 지맥과 성법령,마복산, 샘재와 내연산이 보이고 앞쪽으로는 가야할 비학지맥과이
좌측으론 동해바다와 우측으론낙동정맥의 산들과 멀리 보현산군들이 보인다.
헬기장 건너편 안내판밑에서 바람을피해 잠시 쉬어 뭐하나 꺼내먹고 바로출발.
10 ; 23. 성법령에서 본 쉼터와 산불초소봉.
10 : 53. 비학산으로 가면서 뒤 돌아 본 내연지맥분기봉인 811m봉(우)
가운데 잘록이 넘어에 산불초소다 있고 산불초소에서 좌측으로 높은 븡들이 있어 그쪽이 비학산줄기인가 혼동할 수도 있다.
11 ; 05. 570.5m근처에서 본가야할 비학지맥과 비학산(좌측 멀리)
11 ; 05. 570.5m근처에서 뒤 돌아 본811m봉(가운데 맨뒤)
11 : 22/43. 570.5m봉을 내려간 안부에서 김밥 두줄로 점심을 먹었다.
주변은 온통 멧돼지들의 놀이터인데 바람이 어찌심하게 부는지 겁이난다.
바람소리에 멧돼지가 달려와도 알수없겠고 큰 참나무들이 부딪치는 소리가 딱딱하고 들려와서 자꾸만 주위를 둘러봐진다.
바람이 우측에서 좌측으로 부는데 더가봐야 이곳만큼 바람을 막아줄곳이 없을것같다.
김밭 두 줄은 좀 많고 맛도 없지만 지고온 것 버릴 수는 없고 칼로리 생각해서 억지로 꾸역꾸역 쑤셔 넣었다.

12 ; 12. 삼각점.678.8m 425 재설. 준희님679m 표찰. 임도나 헬기장은 없다.

12 ; 39. 655봉. 참나무숲속.준희님655봉 표찰.좌로 꺽어가며 저앞에 비학산이 건너다보임.

13 : 03.716m봉.좌에서 우로 돌아서 올라가며 좌측능선에 길있고 정점엔 준희님716m 표찰 있음.참나무숲이다.

13 : 23/40. 비학산 넓은 헬기장 2등삼각점(기계22 )과 돌탑. 정상표석.안내판있고 조망좋아 사방팔방이 다 보인다.
13 : 23/40. 비학산에서 본 성법령도로와 811m봉(우)내연지맥 갈림봉과 낙동정맥(좌).
성법령뒤로 살짝 보이는 봉은 주왕산같다.
분기점부터 비학산까지온 지맥이 한눈에 보인다.
비학산에서 본 성법령(좌)-811m봉-마복산(괘령산.중)-샘재 (우).
비학산에서 본 샘재(좌측 허연곳)과 그 뒤로 내연산군.우측에 동해바다가 보인다.
비학산에서 본 멀리 낙동정맥의 산들.

비학산은 산의 모양이 학이 알을품고 있다 나르는 형상이라하여 비학산이란다.
<비학산(762.3m)-620m-활공장-산불초소-흥곡재-흥곡마을-원고개>.
13 : 23/40. 비학산 넓은 헬기장 2등삼각점(기계22 )과 돌탑. 정상표석.안내판있고 조망좋아 사방팔방이 다 보임.
13 ; 45. 나무계단을내려선 안부.좌측 앞쪽으로 법광사1.8km.하산길.비학산정상 0.4km.자연휴양림2.7km(직진)이정표.
13 ; 51. 둔덕넘어안부. 두릅바위 무제등 이정표지나 우측 탑정하산길. 미루금은 직진하는 활공장.뒤로 정상 791m .
13 ; 57.큰바위인두릅바위 .바위위에서 비학산조망.
14 ; 00.620m봉 두릅봉. 갈길이 전부 내려다보임 .좌측으로 포항제철과 신광면 들판조망.
14 : 03. 갈림길 이정표에서 좌측 활공장쪽으로 .급경사를 내려감.탑정(직진),정상(1266m) ←활공장 이정표 있음.<주의할곳임>
14 ; 33. 416m다음봉. 뒤로비학산과 620m봉이 잘 보임.
14 ; 41. 좌우로 하산길안부 좌측은 조박골저수지 우측은 당곡지 저수지 하산길.
14 ; 46. 활공장 395m.2009.7월조성비있고조금나오면 비학산조망.
14 ; 53. 나무계단을 내려온 세멘길안부. 활공장안내판있는 당곡지-댓골안부임.
14 ; 57. 두 번째봉에 준희님의 격려문잇음.
15 ; 17. 346.6 삼각점(311재설78.7 건설부) 우측 가시밭속에 있다.347m준회표찰.100m 내려가선 우측으로 내려감.
15 ; 30/35 산불초소봉.뒤로 비학산과 620m봉과 갈길이 조망됨.길이사나워지고 바람이 엄청 드세게 붐.
15 ; 47. 안부 수렛길이 고개를 넘고 있고 소독중인 나무들이 덮여있음.
15 ; 54. 흥곡고개 세멘트임도가 고개를 넘어감.소형차량은 가능.좌측 흥곡리로 하산함.
16 ; 11/30흥곡2리 마을회관.노선 버스는 없고 택시는전화가 안돼서 걸어나옴.
16 ; 48/50. 원고개 한남목재앞에서 히치하여 신광면소제지로 나감.
나무계단을내려선 안부엔 법광사1.8km 이정표가 있는데 법광사는 좌측 계곡쪽이 아닌 11시 방향으로 좀나가다가
좌측능선으로 내려간다.홈통바위옆으로 난 11시방향길이 우회길인가했더니 법광사가는길이다.
무제등 하산길,탑정하산길을지나 커다란 두릅바위에 올라 비학산을 뒤 돌아보고 몇발짝 올라서면 620m봉인데
여기선 가야할 지맥모습이 빤히 내려다 보인다.오늘의 종점인 흥곡리도 보이고 원고개도 보인다.
620m정점에선 바로 내려설 수 없어 우측으로 몇 발짝 나가면 이정표가 있는데 좌측 활공장길을 따라 내려선다.
지금끼지 좋았던길은 이 삼면봉인 620m봉에서 591m봉쪽인 탑정쪽으로가고 지맥은 좌측으로 꺽어 뚝 떨어져 내려가며 길도 사나워진다.
뚝 떨어져 내려와 둔덕 하나를넘고 416m봉을 넘어서면 뒤로 비학산과 620m봉이 한번 보이곤 다시 잡목속을간다.
양쪽으로 하산길이 있는 안부를 지나 5분쯤 가면 조그만 활공장이 나오고 좌측 신광면과 포항시내가 조망된다.
활공장을 지나 비학산과 620m봉과 416m봉을 한번 뵈주곤 나무계단을 내려온 안부엔 좌측에서 올라온 세멘길이 있고
군부대의 "활공비행전 반드시 건교부장관 인가를 받아야 하고 항공상 위험을 초래할 경우 2년이상징역이아나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수있다는 공군 11전투비행단의 경고문이 있다.활공장에 문제가 있나보다.
346.6m봉은 길이 좌측 사면으로 건너가서 일부러 우측위로 올라가야하는데 지독한 가시밭속에
삼각점(311재설78.7 건설부)과347m 라고 쓴 준회님 표찰이 걸려있다.
346.6m봉에서 좌측으로 100m 쯤 내려가선 다시 우측으로 내려간다.
산불초소봉근처는 년전에 불이 났었는지 큰나무는없는 자작은 참나무집목이고 산불초소에 올라보면
사방이 시원하게 조망된다.뒤쪽비학산부터 앞쪽 도음산넘어까지 가야할 지맥이 다보이고
흥곡리와 원고개,기동저수지와 기계면,뒤로 낙동정맥의 산들이 보인다.
산불초소 내림길이 사나워 칡덩굴이 발을 건다.바람은 더욱 세세져 모자를 푹눌러쓰고
10여분 내려오면 수렛길안부가 나오고 얕은 둔덕을 하나 더 넘어가면 세멘트길이 나오는 흥곡고개다.
어제 기동저수지쪽에서 올라와 2구간을 간 고개로 앵쪽 다 소형차량은 넘어갈 수 있다.
비학산을 내려오며 본 가야할 지맥모습.
앞 높은봉이 620m봉이고 사진중앙의 능선이 갈리는부근이 흥곡고개이고 사지 좌측 나무밑이 원고개다.
비학산을 내려오며 본 신광면과 용연저수지.뒤로 흥해와 포항시.
13 ; 45. 나무계단을내려선 안부.
좌측 앞쪽으로 법광사1.8km.하산길.비학산정상 0.4km.자연휴양림2.7km(직진)이정표.
13 ; 57.큰바위인두릅바위 .
13 ; 57.두릅바위 에서 본 비학산과 735m(좌)
14 ; 00.620m봉 두릅봉에서 본 가야할 지맥모습.
우측에 기동저수지와 기게면이 보이고한가운데 좀 높은봉이 416m봉이고 다음 중간에 활공장이 있고
첫 번째 능선이 크게 갈리지는봉이 346.6m삼각점봉이고 그 우측봉에 산불초소가 있고
두 번째 능선이 갈라지는앞쪽이 흥곡고개이고 여기서 맥은 좌측능선으로 내려가 그앞쪽 하얀 건물있는곳이 원고개다.
사진 맨앞쪽에 높은봉은 맥이 아니다.
14 ; 00.620m봉 두릅봉에서 좌측으로 본 신광면(좌)과 포항제철(우앞).

14 : 03. 620m을 바로 내려갈 수 없어 우측으로 조금 나가면 갈림길이다.
←활공장 이정표에서 좌측 활공장쪽으로 .급경사를 내려간다.
좋은길은 직진해 탑정쪽으로가고 어기서부턴 길이 나쁘다.<주의할곳임>
14 ; 33. 416m다음봉에서 뒤 돌아 본 비학산(우)과 620m봉(좌).
14 ; 46. 활공장( 395m)에서 본 앞쪽모습.2009.7월 조성비 있고 조금 나오면 비학산이 뒤 돌아 보인다.
14 ; 46. 활공장( 395m)에서 본 신광면.
활공장( 395m)을 지나며 뒤 돌아 본 416m(좌)과 620m봉,비학산(우).

15 ; 17. 346.6 삼각점(311재설78.7 건설부)
길 우측 가시밭속에 있다.347m 준회표찰이 있고 100m 내려가선 우측으로 내려간다.
15 ; 30/35 산불초소.
15 ; 30/35 산불초소위에서 본 흥곡마을(앞)과 원고개의 한남목재(가운데 파란지붕건물).
맥은 계곡저끝의한남목재 우측봉- 한남목재-앞 솔밭-저수지우측솔밭-건너편산으로 이어진다.
.
15 ; 30/35 산불초소에서 뒤 돌아 본 비학산과 620m봉.
15 ; 30/35 산불초소앞쪽 모습.
맥은 저 앞봉에서 우측능선이 아니고 좌측이다.
15 ; 47. 산불초소부터는 길이 사나워 칡덩굴이 발목을 걸고 내려온 안부에선 수렛길이 고개를 넘고 있고
이런 소독중인 둔덕을 하나 넘어가면 흥곡고개다.
15 ; 54. 흥곡고개 세멘트임도가 고개를 넘고 있고
좌측으로 비포장길을 몇발짝 내려가면 다시 세멘길이 흥곡 마을까지 이어진다.
소형차량은 통행이 가능하며 마을까진 17분정도 걸린다.
◈ 돌아오는길.
15 ; 54. 흥곡고개 세멘트임도가 고개를 넘어감.소형차량은 가능.좌측 흥곡리로 하산함.
16 ; 11/30흥곡2리 마을회관.노선 버스는 없고 택시는전화가 안돼서 걸어나옴.
16 ; 48/50. 원고개 한남목재앞에서 히치하여 신광면소재지로 나감.
16 : 55. 신광에서 시내버스로 포항으로 감.
17 ; 45/6:30 포항시외버스도착
18 :30/10;30. 천안행 버스타고 경주거쳐 4시간 걸려 천안에 도착함.2시간간격으로 차가 있음.
좌측으로 23분쯤내려가니 흥곡2리 마을회관이 나온다.
여기선 버스편은 없고 원고개 큰길까지 나가야 한단다.
신광면 신광택시를 부르려니 통 전화를 안받는다.이리저리 연락하다 결국 포기하고 걸어서 원고개로 갔다.
어제 여기를 지나면서 궁금했던 한남목재뒤의 맥이 어디로 이어질까 지형도 살펴보고...요건 내일 애기하자.
원고개에서 히치하여 신광면에오니 포항가는 버스가 대기하고 있다.
흥해거쳐 포항까진 50여분걸린다.
시간이 있으면 죽도시장에가서 요즘한창인 전어회라도 사갈려고 했더니 버스가 바로 시외버스앞까지간다.
터미널에가보니 천안행은 6시30분. 아직시간이 많이 있는 6시 차인줄알고저녁거리로 산 호두과자를 먹었다.
밖은 바람도 심하게불고 기온도 뚝뚝 떨어져 엄청추워진다.포항은 이렇게 겨울바람이 쎄단다.
16 ; 11/30흥곡2리 마을회관.노선 버스는 없고 원고개 큰길까진 걸어서 18분쯤 걸린다.
16 ; 48/50. 원고개 한남목재앞.
16 ; 48/50. 원고개 한남목재앞에서 본 비학산과 620m봉.

포항에서 각방면 버스 시간표.
사진 우측 아래의 슬라이드 쑈를 눌러 크게하여
좌측의 ▶ 버튼을 눌러 슬라이드 쇼로 보십시오.
'ㅂ 기맥,지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학지맥 3구간[연화재(31번도로)-소치재-국기봉(101m)-우목리방파제](終). (0) | 2011.09.07 |
---|---|
비학지맥 2구간[흥곡고개-원고개-도음산(384.6m)-대련 IC-연화재(31번도로)] (0) | 2011.09.07 |
비학지맥(飛鶴枝脈)은 ? (0) | 2011.09.07 |
변산지맥 2구간[송촌고개-배풍산(110m)-줄포 IC-남포리(23번도로)]. (0) | 2011.09.07 |
변산지맥 1구간[장성갈재-분기점(734m)-수산(237m)-송천(708번도로)]. (0) | 2011.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