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섬 둘레길. 해안길/거제도

거제도 7일. (학동 몽돌해변-해금강-다포항).

거제도 7일. (학동 몽돌해변-해금강-다포항). 

 

 

◈ 일시 : 2021. 12. 21 (화). 2차  둘째 날.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 19.19km. 9시간 11분

 

◈ 동행 : 아내.

 

◈ 지도.

 

 

 

◈ 트랙.

거제7(학동 ㅡ해금강-다포)2021-12-21 0707__20211221_0707.gpx
0.10MB

카카오 맵으로 트랙 보기.

 

◈ 일정 정리.

 

06 : 26. 고현 신성정류장에서 55번 해금강행 버스 타고(1450x2).

07 : 07/11. 학동삼거리에서 하차하여 도로를 건너 학동 몽돌해변 옆 도로 따라간다. 

07 ; 16. 학동마을.팔색조 표지석. 느티나무 있는 삼거리에서 14번 국도 떠나 좌측 해안길로 간다.

07 : 27/37. 큰솔 펜션지나 솔밭해변에서 멎진 일출을 보고 긴 데크 계단을 올라간다. 그물 개(학동) 오솔길 안내판.

07 : 52. 언덕 넘어 바닷가의 전망데크. 수산마을과 내,외도 조망. 밭을 지나 우측 시멘트 길로 올라간다.

08 ; 01. 14번 국도의 가라산 진마이재 등산로 입구. 가라산 봉수대 안내판. 도로 따라간다. 내촐 정류장.

08 : 09. 거제 학동리 동백나무숲 및 팔색조 번식지 안내판.

08 : 13/23. 동백나무.팔색조 도래지.  주민을 만나 얘기하고.

08 ; 51. 구망 휴게소(지형도의 해금강 휴게소). 2.4주 화요일이라 휴무. 동부면과 남부면 경계.

09 : 22. 함목 삼거리. 14번 국도 버리고 좌측 해금강 쪽으로. 해금강을 보고 다시 나올 것이다.
           함목마을 정류장에서 잠시 숨 돌리고

09 ; 36. 우측 아래에 송도를 바라보고.

09 ; 38. 돌틈이 펜션을 지나며 천장산과 대병 태도를 보고.

09 : 44. 좌측으로 바람의 언덕 풍차와 도장포 선착장이 보이고

09 : 51. 신선대 입구 사거리. 우측엔 신선대 전망대와 해금강 테마 박물관.
          사거리  좌측은 도장포 선착장 가는 길과 도장포마을 표지석과 도장포 정류장.
           신선대 전망데크에서  우측 아래로 신선대를 비라보고 테마 박물관 앞을 지나 
           도로가 우측으로 휘어 가는 곳에서 직진해 둔덕을 넘어간다. 바람의 언덕길. 도장포 마을 안내판.
10 ; 01. 건축가 양덕복 집. 몇 동의 이색적인 건물들 너머로 바람의 언덕 풍차와 멀리 학동. 노자산. 북병산이 보인다.

10 ; 12. 바람의 언덕 풍차. 가라산. 노자산. 북병산과 학동. 수산마을 조망.

10 : 20/26. 능선 끝 등대 앞. 내도. 외도. 서이말 등대 쪽 조망.

10 ; 40. 해양 전망대. 바다 위에 데크길을 만들고 조개 모양의 돌 의자와 족욕시설.

10 : 48. 도장포 유람선 선착장. 해금강-우제봉-신선대-솔섬 일주에 \15000. 해금강은 \19000.

 11 : 01/17. 언덕을 올라와 "윈드 힐 " 핫도그 카페에서  핫도그 2개(\6000)

11 : 29. 소공원 전망대. 송 도과 가라산, 망산. 천장산. 대병태도 조망.

11 : 38. 우제봉과  갈곶도 조망.

11 : 48. 아취를 지나 해금강 집단 시설지구 삼거리. 우측의 부부간첩 침투경로를 보고 
         좌측으로 가서 우제봉을 들려 우측으로 나온다.

11 : 58/12 ; 30. 좌측으로 내려가 해금강의 제주횟집에서 멍게 비빔밥(\12000x2)으로 점심. 시원찮다.

12 : 31. 바닷가에서 지난번에 유람선으로 돌았던 해금강 갈곶도를 보고
         우측에 보이는 해금강 선착장 휴게소라고 쓴 건물 쪽으로 넓은 길이 있는데
         입구에 전망대를 만드는지 큰 차가 막고 있어 옆으로 갈려고 하니 등 뒤에서
          악바리 아줌마가 그쪽에 길 없는데 왜 가냐고 고래고래 소리를 지른다. 되돌아 나와 골목길로 올라간다.

12 : 38. 문 닫은 해금강 호텔 앞. 해금강 우제봉 안내판.

12 : 44. 좌측으로 서자암 가는 길. 두 길은 서자암 뒤에서 만난다. 우제봉 0.9km. 해금강 주차장 0.3km.

12 ; 58. 긴 계단을 올라간다.

13 ; 06. 우제봉 전망대. 거제 해금강(갈곶도)과 해금강. 다포항과 내일 지나갈 천장산과 대병태도와 망산을 본다.

13 : 09. 건너다 보이는 건너편 봉을 가보니 마지막 구간에 군부대 경고판이 있고 길을 봉쇄했다.

13 : 35. 동백숲을 내려와 좌측은 유람선 타는 곳 가는 길. 

13 ; 38.  해금강 유람선 매표소. 

13 : 43. 우제봉을 한 바퀴 돌아온 해금강 집단 시설지구 삼거리. 도로 따라 언덕을 넘어 되돌아 나온다.

13 : 56. 해금강 유람선 선착장과 우제봉, 해금강 집단시설지구와 갈곶도를 뒤돌아 본다.

14 : 13. 다시 돌아온 신선대 전망대 앞 해금강 테마 박물관. 박물관은 문을 닫은 듯

       신선대 전망대 옆 신선대 방문객 쉼터도 문을 닫았다. 옆의 화장실은 개방했다.

14 : 40. 다시 돌아온 함목 삼거리. 함목 명품마을 입간판과 안내판. 14번 국도 좌측 아래 길로 간다. 

14 : 55. 14번 국도로 올라섰다. 국립공원 함목 명품마을 입간판과 한국의 아름다운 길 표지판. 국도 따라간다.

15 : 10. 오름길 끝. 철망 문과 다대 어촌계 출입 금지판. 지형도엔 좌측 아래에 벼락바위가 있다.

15 : 22/39. 거제 쎈트리팜앞 휴식. 오면서 쉬어 갈 의자가  없어 여기서 겨우 바윗돌에 걸터앉아 쉬어간다.
              버스정류장 명은  거제 유스호스텔.

15 : 41. 차도와 구분된 인도를 따라간다.

15 : 47. 좌측 뒤로 벼락바위인듯한 바위와 그 뒤로 우제봉의 전망대가 보인다.

15 : 51. 14번 국도 좌측 시멘트 길로 가고-다대 방파제로 가다가 중간에 우측 14번 국도로 나가서

16 : 01. 다대다포항 삼거리. 다대마을 정류소. 다대어촌체험마을 조형물.-데크길을 따라간다.

16 ; 11. 석방림 유래와 체험 시 유의사항 안내판. 계속 데크길을 따라간다.

16 : 20. 데크 정자에서 우측으로 나간 14번 국도의 다포마을 입구 정류장.
            좀 전에 다대교회 쪽으로 버스가 들어가서 부지런히 왔는데 나오지를 않는다. 
            한참을 기다리니 여차. 다포 쪽에서 버스가 나오는데 남부 쪽이 아니고 다대 쪽으로 가서
            손을 흔들고 불러 보나 못 보고 그냥 지나간다. 잠시 후 저구 쪽으로  가는 버스가 와서 
          고현을 가냐고  물어보니 홍포에 들어갔다 나와서 간단다. 일단 타고 홍포에 갔다 나와
           저구에서 가배. 동부. 거제를 거쳐  고현으로 간다.

16 ; 51. 53번 버스 타고 홍포마을로 
17 : 05/19. 홍포 종점 도착하여 15분 정도 쉬었다 고현으로 나간다.
18 : 40. 고현 신성 사거리 정류장 도착.
           멍게 비빔밥으로 점심을 먹은 게 거북해서 저녁은 생략하고 쌍화탕 하나 씩 마시고 잤다.

 

06 : 26. 고현 신성정류장에서 55번 해금강행 버스 타고(1450x2).

07 : 07/11. 학동삼거리에서 하차하여 도로를 건너 학동 몽돌해변 옆 도로 따라간다. 

학동삼거리.

 

학동 흑진주 몽돌 해변.

 

지난번 장승포로 나갈때 타고 갔던  좌측 수산마을쪽 119 안전센터 정류장.

좌측 멀리에 도장포 선착장.

 

07 ; 16. 학동마을.팔색조 표지석. 느티나무 있는 삼거리에서 14번 국도 떠나 좌측 해안길로 간다.

우측 위로 올려다 보이는 가라산-뫼바위-노자산으로 가는 거제지맥 능선.

 

07 : 27/37. 큰솔 펜션지나 솔밭해변에서 멎진 일출을 보고 긴 데크 계단을 올라간다. 그물 개(학동) 오솔길 안내판.

 

07 : 52. 언덕 넘어 바닷가의 전망데크. 수산마을과 내,외도 조망. 밭을 지나 우측 시멘트 길로 올라간다.

전망데크에서 본 수산마을과 우측 멀러 구조라의 수정봉.

전망데크에서 본 외도.

전망데크에서 본 도장포항.

 

14번 국도에 올라서 본 전망데크와  멀리 내도(앞),외도(우)와 내도 뒤로 서이말등대.

08 ; 01. 14번 국도의 가라산 진마이재 등산로 입구. 가라산 봉수대 안내판. 도로 따라간다. 내촐 정류장.

 

08 : 09. 거제 학동리 동백나무숲 및 팔색조 번식지 안내판.

 

 

08 : 13/23. 동백나무.팔색조 도래지.  주민을 만나 얘기하고.

 

08 ; 51. 구망 휴게소(지형도의 해금강 휴게소). 2.4주 화요일이라 휴무. 동부면과 남부면 경계.

구망휴게소앞에서 본 북병산(451.2m)과 수산마을.

 

09 : 22. 함목 삼거리. 14번 국도 버리고 좌측 해금강 쪽으로. 해금강을 보고 다시 나올 것이다.
           함목마을 정류장에서 잠시 숨 돌리고

저앞에서 좌측으로

해금강 가는길.

 

길가의 털머위와 ?(우리집에도 있는데...)

남도엔 이런 나무가 가로수로 많이 쓴다. 전에 몇번 산행기에 올렸는데 이름이??

 

09 ; 36. 우측 아래에 송도를 바라보고.

 

09 ; 38. 돌틈이 펜션을 지나며 천장산과 대병태도를 보고.

천장산(277m. 우)과 대병태도.

 

갈곶리 155.8m(좌)과 132.5m(우).

 

09 : 44. 좌측으로 바람의 언덕 풍차와 도장포 선착장이 보이고

바람의언덕과 도장포 해양 전망대.

 

09 : 51. 신선대 입구 사거리. 우측엔 신선대 전망대와 해금강 테마 박물관.
          사거리  좌측은 도장포 선착장 가는 길과 도장포마을 표지석과 도장포 정류장.
           신선대 전망데크에서  우측 아래로 신선대를 비라보고 테마 박물관 앞을 지나 
           도로가 우측으로 휘어 가는 곳에서 직진해 둔덕을 넘어간다. 바람의 언덕길. 도장포 마을 안내판.

신선대 전망대.

 

신선대 전망대에서 본 신선대.

해금강 테마 박물관.

 

도장포 버스 정류장.

바람의 언덕으로 가면서 좌측으로 내려다 본 도장포마을과 노자산(557.1m.좌)-학동-북병산(451.2mn. 우).

 

10 ; 01. 건축가 양덕복 집. 몇 동의 이색적인 건물들 너머로 바람의 언덕 풍차와 멀리 학동. 노자산. 북병산이 보인다.

 

우측 155.8m봉으로 올라가는 바람의 언덕길 1구간 .

 

10 ; 12. 바람의 언덕 풍차. 가라산. 노자산. 북병산과 학동. 수산마을 조망.

노자산 -학동-북병산.

학동에서 다대.다포로 가는 지나온 산허리 도로.

 

학동-북병산.

 

가라산-노자산과 지나온 산허리 도로와 해양 전망대(카카오맵). 안내판엔 바람의 쉼터.

 

10 : 20/26. 능선 끝 등대 앞. 내도. 외도. 서이말 등대 쪽 조망.

등대로 내려가면 본 우측 해안과 외도.

등대앞에서 땡겨본 외도(우)와 내도(좌). 외도 뒤로 서이말등대. 

 

등대앞에서 본 학동(좌)과 북병산(중)

등대앞에서 본 가라산(우)과 해양전망대(앞)

등대에서 풍차.

 

도장포 선착장.

 

도장포 선착장의 화장실과 인물작품.

 

바람의 언덕은?

 

색이 있는 열쇠.

 

10 ; 40. 해양 전망대. 바다 위에 데크길을 만들고 조개 모양의 돌 의자와 족욕시설.

바람의 쉼터란다. 카카오맵에선 해양 전망대라 표기했다.

 

10 : 48. 도장포 유람선 선착장. 해금강-우제봉-신선대-솔섬 일주에 \15000. 해금강은 \19000.

도장포 선착장.

 

유람선 요금표.

 

다시 해금강 테마 박물관앞 도로에 올라왔다. 해금강쪽으로 가다가 좀전에 갔던 바람의 언덕길로 가면 

 

11 : 01/17. 언덕을 올라와 "윈드 힐 " 핫도그 카페에서  핫도그 2개(\6000)

바람의 언덕엘 가면 핫도그를 꼭 먹어보라 해서 일부러 들렸다.

 

점심먹을 때가 돼서 맛만봤다. 방금 튀겨서 바삭하고 맛이 있다.

 

11 : 29. 소공원 전망대. 송 도과 가라산, 망산. 천장산. 대병태도 조망.

맨우측 빨간집쪽이 신선대 전망대 이고 좌측 작은섬이 松島. 우측 멀리 하얀곳이 학동
가운데로 중앙봉이 가라산 그 우측뒤로 노자산. 좌측 바다 안쪽이 다대다포항.

 

좀 땡겨본 가라산. 학동 노자산.

땡겨본 송도와 넘어갈 산중턱 도로.

대병태도(좌)-천장산(276.5m.사진중앙)- 거제지맥의 망산 (375.1m.가운데 뒷봉).

 

11 : 38. 우제봉과  갈곶도 조망.

갈곶도(뒤)-해금강 유람선 선착장-우제봉(맨 우측 뒷봉)

해금강 집단시설지구와 해금강 십자굴.

 

11 : 48. 아취를 지나 해금강 집단 시설지구 삼거리. 우측의 부부간첩 침투경로를 보고 
         좌측으로 가서 우제봉을 들려 우측으로 나온다.

지나온 도로와 부부 간첩 침투경로등 사진들.

왼쪽으로 내려서면 식당과 모텔.

 

 

11 : 58/12 ; 30. 좌측으로 내려가 해금강의 제주횟집에서 멍게 비빔밥(\12000x2)으로 점심. 시원찮다.

 

2 : 31. 바닷가에서 지난번에 유람선으로 돌았던 해금강 갈곶도를 보고
         우측에 보이는 해금강 선착장 휴게소라고 쓴 건물 쪽으로 넓은 길이 있는데
         입구에 전망대를 만드는지 큰 차가 막고 있어 옆으로 갈려고 하니 등 뒤에서
          악바리 아줌마가 그쪽에 길 없는데 왜 가냐고 고래고래 소리를 지른다. 되돌아 나와 골목길로 올라간다.

갈곶도 해금강. 지난번 1차 첫날에 유람선 타고 한바퀴 돌아 본 곳이다.

저집쪽으로 가려고 하다가 혼만나고

 

12 : 38. 문 닫은 해금강 호텔 앞. 해금강 우제봉 안내판.

 

좀전에 갈려고 했던 집뒤에서 본 갈곶도. 가운데 바다에 있는 바위가 사자바위.

 

12 : 44. 좌측으로 서자암 가는 길. 두 길은 서자암 뒤에서 만난다. 우제봉 0.9km. 해금강 주차장 0.3km.

서자암. 

 

12 ; 58. 긴 계단을 올라간다.

 

13 ; 06. 우제봉 전망대. 거제 해금강(갈곶도)과 해금강. 다포항과 내일 지나갈 천장산과 대병태도와 망산을 본다.

우제봉 전망대에서 건너다 본 건너편 봉.

우제봉 전망대에서 본 갈곶도  해금강. 좌측 배가 들어오는쪽에 사자바위. 

우제봉 전망대에서 해금강 시설지구.

우제봉 전망대에서 본 다대.다포항쪽과 그  우측 뒤로 가라산.

 

우제봉 전망대에서 본 천장산과 망산, 그리고 대.소병태도(좌).

 

진시황의 신하 서불이 여기까지 왔다고??

 

13 : 09. 건너다 보이는 건너편 봉을 가보니 마지막 구간에 군부대 경고판이 있고 길을 봉쇄했다.

건너편 봉에서 본 갈곶도 해금강.

건너편에서 봉에서 뒤 돌아 본 우제봉 전망대.

 

되돌아 내려간다.

대병태도와 천장산.

 

 

 

13 : 35. 동백숲을 내려와 좌측은 유람선 타는 곳 가는 길. 

 

13 ; 38.  해금강 유람선 매표소. 

 

13 : 43. 우제봉을 한 바퀴 돌아온 해금강 집단 시설지구 삼거리. 도로 따라 언덕을 넘어 되돌아 나온다.

 

13 : 56. 해금강 유람선 선착장과 우제봉, 해금강 집단시설지구와 갈곶도를 뒤돌아 본다.

해금강 유람선 선착장과 대병태도.

 

해금강 유람선 선착장과 갈곶도 해금강.

 

소공원에서 가라산-노자산-학동.

 

소공원에서 송도와  가라산.

 

14 : 13. 다시 돌아온 신선대 전망대 앞 해금강 테마 박물관. 박물관은 문을 닫은 듯
            신선대 전망대 옆 신선대 방문객 쉼터도 문을 닫았다. 옆의 화장실은 개방했다.

해금강 테마 박물관.

 

신선대 전망대에서 본 신선대.

신선대.

 

14 : 40. 다시 돌아온 함목 삼거리. 함목 명품마을 입간판과 안내판. 14번 국도 좌측 아래 길로 간다. 

14번 국도에 올라서기 직전에 본 송도와 해금강가는 능선.

 

14 : 55. 14번 국도로 올라섰다. 국립공원 함목 명품마을 입간판과 한국의 아름다운 길 표지판. 국도 따라간다.

 

15 : 10. 오름길 끝. 철망 문과 다대 어촌계 출입 금지판. 지형도엔 좌측 아래에 벼락바위가 있다.

대병태도와 천장산.

 

 

15 : 22/39. 거제 쎈트리팜앞 휴식. 오면서 쉬어 갈 의자가  없어 여기서 겨우 바윗돌에 걸터앉아 쉬어간다.
              버스정류장 명은  거제 유스호스텔.

 

15 : 41. 차도와 구분된 인도를 따라간다.

 

15 : 47. 좌측 뒤로 벼락바위인듯한 바위와 그 뒤로 우제봉의 전망대가 보인다.

뒤돌아 본 벼락바위(?)와 우제봉전망대.

 

15 : 51. 14번 국도 좌측 시멘트 길로 가고-다대 방파제로 가다가 중간에 우측 14번 국도로 나가서

다대마을과 가라산(우).

 

다포마을(좌)과 저구항으로 넘어가는 작은 다대재(가운데 안부).

 

16 : 01. 다대다포항 삼거리. 다대마을 정류소. 다대어촌체험마을 조형물.-데크길을 따라간다.

좌측 다대포구와 뒤로 천장산.

 

갯벌체험장과 뒤로 다포항.

 

우측으로 가고.

 

뒤 돌아 본 다대교회.

 

데크길이 다포항까지 이어진다.

 

16 ; 11. 석방림 유래와 체험 시 유의사항 안내판. 계속 데크길을 따라간다.

 

 

데크길이 완성 되기 전엔 요리로 넘어 갔단다.

 

다포항이 저만치 보이고.

 

다대항과 다대방파제가  좌측으로 보이고 

저앞 정자앞의 삼거리에 버스 정류장이 있다.

정자에서 다포항으로 이어지는 데크길.

 

16 : 20. 데크 정자에서 우측으로 나간 14번 국도의 다포마을 입구 정류장.
            좀 전에 다대교회 쪽으로 버스가 들어가서 부지런히 왔는데 나오지를 않는다. 
            한참을 기다리니 여차. 다포 쪽에서 버스가 나오는데 남부 쪽이 아니고 다대 쪽으로 가서
            손을 흔들고 불러 보나 못 보고 그냥 지나간다. 잠시 후 저구 쪽으로  가는 버스가 와서 
          고현을 가냐고  물어보니 홍포에 들어갔다 나와서 간단다. 일단 타고 홍포에 갔다 나와
           저구에서 가배. 동부. 거제를 거쳐  고현으로 간다.

16 ; 51. 53번 버스 타고 홍포마을로 

다포마을입구 정류장에서 다대마을쪽 

다포마을입구 정류장에서 다대방파제의 빨간등대와 다포방파제의 하얀등대. 

다포마을입구 정류장에서 내일 갈 다포마을.

 

16 ; 51. 53번 버스 타고 홍포마을로 
17 : 05/19. 홍포 종점 도착하여 15분 정도 쉬었다 고현으로 나간다.

홍포종점에서 일몰을 본다.

홍포마을 일몰,

 

18 : 40. 고현 신성 사거리 정류장 도착.
           멍게 비빔밥으로 점심을 먹은 게 거북해서 저녁은 생략하고 쌍화탕 하나 씩 마시고 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