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남해안길

남해안 길 01. (남파랑 5. 부산 갈맷길 5-1. 부산 하단역-창원 용원).

남해안 길 01. (남파랑 5. 부산 갈맷길 5-1. 부산 하단역-창원 용원). 

 

 

◈ 일시 : 2022. 01. 17 (월). 1차  첫날.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 19.27km. 7시간 47분(핸드폰 수리 1 :30포함)

 

◈ 동행 : 아내.

 

◈ 지도.

 

 

 

 

◈ 트랙.

 

남해안1 이(하단역ㅡ용원)2022-01-17 0909.gpx
0.10MB

 

카카오 맵으로 트랙 보기.

 

◈ 일정 정리.

 

남해안 길은 부산 오륙도해맞이공원에서 해남 땅끝마을까지 해안선을 따라가는 약 1200km의 길로
90개 코스로 된 남파랑길(약 1470km)을 참고하여  박성태 선생님의 남해안길을 따라간다.
오륙도해맞이공원 앞에서 낙동강 하구둑 입구까지는 부산 갈맷길 1~4구간으로 갈음하고
부산갈맷길 5구간과 남파랑길 5코스가 같이 가는  낙동강 하구둑 시작점부터 남해안길을 시작한다.

 

06 ; 35. 천안아산역에서 부산행 SRT(\28800X2).

08 ; 23. 부산역 도착.

08 : 44. 지하철 1호선 부산역-하단역 09:05.

09 : 13. 부산 사하구 하단역 2번 출구. 

09 : 33. 낙동강 하구둑. 갈맷길 5코스 안내판. 좌측 아래 좀 떨어진 곳에 갈맷길 4.5. 6코스 이정표.

09 : 48. 을숙도 철새도래지 표지석. 앞엔 도로를 건너가는 엘리베이터.

09 : 53. 부산현대미술관 정류장. 길 건너편에 부산 현대미술관.

10 : 10. 낙동강 하구둑 수문.

10 ; 12. 하구둑과 작별하고 좌측 명지 새동네, 신포 나루공원 가는 길로 내려간다.

10 : 14/34. 쉼터. 시작할 때부터 마누라님의 핸드폰 카메라가 먹통이라 이리저리 만져봐도 소용이 없다.

10 ; 38. 새동네 포구. 을숙도 안내판.

10 : 44. 명호교를 건너간다. 좌측 아래는 강서구 어업인 복지회관과  어판장.

11 ; 02. 진동 정류장. 58-1번 직행버스를 타고 하단으로  핸드폰을 손보러 간다.
          하단역에서 내려 12번 출구 동쪽  약 250m에 있는 삼성서비스센터엘 가니
          앱이 꼬여  그렇다며 간단하게 해결. 불과 3달 전에 새로 산 핸드폰인데.

12 : 33.  다시 58-2번 일반버스를 타고 되돌아갔는데 진동 정류장 전에 우측으로 꺾어가
     명지초. 중교 정류장.  진동 정류장까지 800m나 더 걸었다.        

12 : 48/13 ; 04. 핸드폰 손보고 진동 정류장 복귀. 정류장에서 두유에 미숫가루와 과일로 로 점심

13 : 13. 을숙도대교 밑을 지나며  아미산과 산 위에 있는 다대포 아파트 단지를 건너다본다.

13 : 19. 쉼터. 탐조대. 강서구 명지동 철새도래지. 갈대밭 너머로 모래톱으로 만들어진 섬들을 바라본다.

13 : 26. 낙동강 철새 도래지 정류장. 58-1. 520번 버스가 다닌다. 우측 길 건너편엔  명지 요금소.

13 : 35. 좌로 꺾어간다.

13 ; 39. 해안산책로를 따라간다. 행복마을

13 ; 49.  2층 정자인 행복쉼터.

13 ; 56. 우로 꺾어가고. 엘크루 블루오션 6단지 앞이다. 철새를 찍는 사람들이 카메라 거치하고 대기 중이다.

14 ; 13. 명지 소금밭 이야기. 조선시대엔 연간 10만 가마로 국내 최대 염장이었단다.

14 ; 24. 우로 꺾어간다. 명호 중고교 앞이다. 가덕도와 가덕대교. 신호대교를 바라본다.

14 : 47. 신호대교를 건너간다.

15 ; 06. 삼성자동차 남문 정류장. 좌로 꺾어간다. 신호 일반산업단지를 지난다.

15 : 12. 회전로터리.

15 : 16. 신호 철새 인공서식지 안내판.

15 : 24. 신호 방파제. 우로 꺾어간다. 산책로 우측은 소나무 숲이 이어진다.

15 ; 51. 가덕도의 연대봉과 가덕대교를 보고 우로 꺽어간다.

15 : 59. 신호 공원을 돌아나가서 신호항. 의창수협 수산물 위판장.

16 : 10. 갈맷길 5-1구간 안내도와 도보인증대. 좌측으로 꺾어 다시 산책로를 따라 내려간다.

16 ; 20. 지형도의 폐기물 매립장. 해안산책로를 계속 따라간다.

16 : 56. 가덕대교 약 500m 앞 녹산 산업단지. 준희 선배님과 김창호 대장님이 따뜻한 커피를 가지고
          마중을 나오셨다. 용원 사거리 앞의 송정공원까지는 약 2.5km 남았지만 여기서 일정을 끝내고
          김창호 대장님 차로 용원의 횟집으로 나가 내가 울릉도에서 식중독 사고 이후 회를 먹지 못하니
          푸짐한 대구탕으로 저녁을 먹고 숙소까지 데려다주고 헤어졌다.
          불편하신 몸으로 멀리까지 와주신  준희 선배님. 바쁘신데도 퇴근 후 택배 하시고
         극구 사양을 해도 다음날 새벽에 또 가덕도까지 택배 해주신 김창호 대장님 , 고맙고 죄송합니다.
         저녁 맛있게 배불리 잘 먹었습니다. 내내 건강하시고  복 많이 받으십시오.

        야놀자에서 미리 예약한 프리텔 모텔에서 1박(\34000).

 

06 ; 35. 천안아산역에서 부산행 SRT(\28800X2).

08 ; 23. 부산역 도착.

08 : 44. 지하철 1호선 부산역-하단역 09:05.

09 : 13. 부산 사하구 하단역 2번 출구. 

하단역 2번출구에서 곧장 나아가 지하도를 통과하여 하구둑교차로로 올라간다.

 

09 : 33. 낙동강 하구둑. 갈맷길 5코스 안내판. 좌측 아래 좀 떨어진 곳에 갈맷길 4.5. 6코스 이정표.

좌측 아래 좀 떨어진 곳에 갈맷길 4.5. 6코스 이정표.
횡단보도를 건너 낙동강하구둑을 건너간다.

 

낙동강 건너 명지 국제신도시.

 

좌측(남)  을숙도대교와 가락타운아파트단지.

 

을숙도와 신낙남정맥 보배산 -봉화산.

09 : 48. 을숙도 철새도래지 표지석. 앞엔 도로를 건너가는 엘리베이터.

 

09 : 53. 부산현대미술관 정류장. 길 건너편에 부산 현대미술관.

명지 국제신도시.

 

10 : 10. 낙동강 하구둑 수문.

 

10 ; 12. 하구둑과 작별하고 좌측 명지 새동네, 신포 나루공원 가는 길로 내려간다.

을숙도대교와 명지새동네 포구.

 

10 : 14/34. 쉼터. 시작할 때부터 마누라님의 핸드폰 카메라가 먹통이라 이리저리 만져봐도 소용이 없다.

 

10 ; 38. 새동네 포구. 을숙도 안내판.

"멋있라는 뜻이 "을숙"이라는데서 유래됐단다.

 

10 : 44. 명호교를 건너간다. 좌측 아래는 강서구 어업인 복지회관과  어판장.

어판장.

 

명호교.

 

11 ; 02. 진동 정류장. 58-1번 직행버스를 타고 하단으로  핸드폰을 손보러 간다.
          하단역에서 내려 12번 출구 동쪽  약 250m에 있는 삼성서비스센터엘 가니
          앱이 꼬여  그렇다며 간단하게 해결. 불과 3달 전에 새로 산 핸드폰인데.

 

 

12 : 33.  다시 58-2번 일반버스를 타고 되돌아갔는데 진동 정류장 전에 우측으로 꺾어가
     명지초. 중교 정류장.  진동 정류장까지 800m나 더 걸었다.    

명지초. 중교 정류장 앞 육교에서

 

명지초. 중교 정류장 앞 육교에서. 앞의 큰도로 우측에 진동정류장.

 

12 : 48/13 ; 04. 핸드폰 손보고 진동 정류장 복귀. 정류장에서 두유에 미숫가루와 과일로 로 점심

 

13 : 13. 을숙도대교 밑을 지나며  아미산과 산 위에 있는 다대포 아파트 단지를 건너다본다.

낙동정맥의 아미산(233.4m)과 다대포 아파트단지.

 

신평동과 동매산(210.5m).

 

13 : 19. 쉼터. 탐조대. 강서구 명지동 철새도래지. 갈대밭 너머로 모래톱으로 만들어진 섬들을 바라본다.

아미산(233.4m)과 다대포 아파트단지와 맨끝에 몰운대.

대마도. 장자도등 모래톱으로 생긴 섬들.

가락국 삼국시대에는 섬이 형성되지 않았고 고려시대부터 사구가 생기기 시작했고
천재지변이 있을 때마다 섬 어딘가에서 재난을 예고하는 소리가 울렸다하여 鳴湖로 불리다 鳴旨로 됐단다.

 

 

13 : 26. 낙동강 철새 도래지 정류장. 58-1. 520번 버스가 다닌다. 우측 길 건너편엔  명지 요금소.

길 건너편에 명지 요금소.

버스 정류장 이름도 낙동강철새도래지.

 

13 : 35. 좌로 꺾어간다.

 

13 ; 39. 해안산책로를  따라간다. 행복마을이란다.

낙동강 건너로 신평동(좌)-아미산-다대포 아파트 단지(우).

 

을숙도와 동매산(중). 승학산(좌)

 

땡겨본 동매산

13 ; 49.  2층 정자인 행복쉼터.

행복쉼터.

 

13 ; 56. 우로 꺾어가고. 엘크루 블루오션 6단지 앞이다. 철새를 찍는 사람들이 카메라 거치하고 대기 중이다.

대마등의 나무들. 크기가 차이가 있는건지 아니면 착시인지?
건너편 아미산 아래의 아미산 전망대에서 봤을때도  그랬다.

 

가덕도. 좌측 높은봉이 연대봉(459.4m)

대마등 모래섬.

 

14 ; 13. 명지 소금밭 이야기. 조선시대엔 연간 10만 가마로 국내 최대 염장이었단다.

긴 해안 산책로가 계속된다.

 

14 ; 24. 우로 꺾어간다. 명호 중고교 앞이다. 가덕도와 가덕대교. 신호대교를 바라본다.

가덕대교. 
양쪽에 삐죽 나온것은 다리양쪽끝에 있는 교각인줄 알았더니 다음날 가보니 다리 뒤에 있는 조선소의 크레인이다.

가덕도.

바다 건너편의 신호동과 뒤로 신낙남정맥의 굴암산 ㅡ보배산-봉화산.

 

뒤 돌아 본 사하구 징림동과  아미산(중). 다대동 아파트단지(우).

 

신호대교와 뒤로 신낙남정맥의 봉화산-노적봉

신호대교.

 

14 : 47. 신호대교를 건너간다.

신호대교에서 신낙남정맥의 끝자락인 노적봉(243.8m.중).

 

 

15 ; 06. 삼성자동차 남문 정류장. 좌로 꺾어간다. 신호 일반산업단지를 지난다.

 

 

15 : 12. 신호동 회전로터리.

 

15 : 16. 신호 철새 인공서식지 안내판.

 

15 : 24. 신호 방파제. 우로 꺾어간다. 산책로 우측은 소나무 숲이 이어진다.

저 끝까지 가서 우측으로

15 ; 51. 가덕도의 연대봉과 가덕대교를 보고 우로 꺽어간다.

가덕대교.

 

가덕도 연대봉.

바다 건너편 폐기물 매립장.

 

우측으로 꺽어 돌아간다.

15 : 59. 신호 공원을 돌아나가서 신호항. 의창수협 수산물 위판장.

신호항. 우측으로 돌아가 저 앞 도로의 도보인증대 찍고 좌측으로 내려온다.

 

수문을 지나 도로에 나가면 

 

16 : 10. 갈맷길 5-1구간 안내도와 도보인증대. 좌측으로 꺾어 다시 산책로를 따라 내려간다.

좌측 저 앞쪽 끝이 신호항. 우측으로 내려간다.

 

건너다 본 지나온 신호항.

 

16 ; 20. 지형도의 폐기물 매립장. 해안산책로를 계속 따라간다.

 

건너다 본 신호항.

여기가 지형도의 폐기물 매립장.

 

 

16 : 56. 가덕대교 약 500m 앞 녹산 산업단지. 준희 선배님과 김창호 대장님이 따뜻한 커피를 가지고
          마중을 나오셨다. 용원 사거리 앞의 송정공원까지는 약 2.5km 남았지만 여기서 일정을 끝내고
          김창호 대장님 차로 용원의 횟집으로 나가 내가 울릉도에서 식중독 사고 이후 회를 먹지 못하니
          푸짐한 대구탕으로 저녁을 먹고 숙소까지 데려다주고 헤어졌다.
          불편하신 몸으로 멀리까지 와주신  준희 선배님. 바쁘신데도 퇴근 후 택배 하시고
         극구 사양을 해도 다음날 새벽에 또 가덕도까지 택배 해주신 김창호 대장님 , 고맙고 죄송합니다.
         저녁 맛있게 배불리 잘 먹었습니다. 내내 건강하시고  복 많이 받으십시오.

        야놀자에서 미리 예약한 프리텔 모텔에서 1박(\34000).

거제도나 다른데서 먹어 본 대구탕 보다 양이 곱은 많다.

준희선배님과 김창호대장님.  고맙고 죄송합니다. 오래오래 건강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