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제도 16일. 남파랑18.19(구영-매미성-외포-덕포).
◈ 일시 : 2022. 01. 09 (일). 3차 여섯째 날.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 23.2km. 9시간 43분
◈ 동행 : 아내.
◈ 지도.
◈ 트랙.
◈ 일정 정리.
06 : 25. 고현터미널에서 30-1번 버스 탐(\1450*2). 황포 가는 외국인 2명 같이 타고.
07 : 04/08. 구영 선착장 도착. 아직 동이 트지 않았다. 고기잡이 배들이 들어온다.
구영해수욕장을 지나 도로 따라 고개를 올라간다.
07 : 35. 구영마을 표지석. 노장산에서 개다리로 내려가는 능선 위다. 구영마을이 내려다 보인다.
누가 고래고래 소리를 질러 사고가 났나 했더니 노인 한분이 운동을 나와서 고함치는 소리다.
07 : 38. 소공원을 가로질러간다. 장목면 관내도와 운동기구들. 반대편에서 버스가 넘어온다.
07 : 44. 상유 고갯마루 정류장. 지방도와 작별하고 좌측 용주사, 상유 전망대 쪽으로 내려간다.
거가대교와 저도, 상유마을이 내려다 보인다.
07 : 47. 상유 전망대 직전 안부에서 우측으로 내려간다.
07 ; 51. 용주사. 거가대교와 저도, 상유마을을 보며 내려간다.
08 ; 03. 상유항. 상유마을회관. 상유 정류장. 도로 따라 유호교회 앞을 지난다.
08 : 14. 거가대교와 저도를 바라본다. 안개가 끼어 시계는 별도다.
08 ; 16. 경상대학교 수련원.
08 : 27. 하유마을.
08 : 32. 유호 몽돌해변. 펜션들이 있고 거가대교와 저도가 가까이 보인다.
해수욕장 끝에서 경사가 급한 대나무 숲을 오르느라고 발발 기었다.
08 : 45. 용주사 입구에서 헤어진 2차로를 다시 만나 따라간다.
바로 위 도로가 우측으로 휘어 오르는 곳인 승지원에서 잠시 쉬어간다.
08 ; 58. 장목터널 위. 4차로인 거가대교와 여름 대통령 별장이 있는 저도를 바라본다.
09 ; 06/16. 유호전망대. 거제도 관광안내도. 안개가 끼어 거가대교와 저도만 보이고 가덕도는 안 보인다.
유호전망대 좌측 아래는 거가대교 휴양단지 조성공사 안내도만 있고 공사는 중단됐나 보다.
09 : 24. 고개. 노장산에서 중밭골봉으로 가는 고개로 밑으로 장목터널이 지나간다.
09 : 31. 능 소교 앞. 장목터널을 빠져나온 58번 국지도 능 소교 앞이다. 도로 따라 우측으로 휘돌아 간다.
09 ; 39. 농소 정류장. 대봉산 해안경관 산책길 종합안내판. 대우조선해양(주)농소 연수원.
어제 지나온 양지마을 정류장에서 대봉산, 노장산을 넘어온 1.2.3코스가 5.9km에 3시간 20분 소요.
09 : 48. 58번 국지도 교각 아래. 농소 정류장. 농소마을 표지석.
09 ; 52. 삼거리. 좌측은 한화리조트 거제 벨비디어. 우측 길로 간다. 한화리조트 정류장.
09 ; 59. 임호항 몽돌해변. 임호 정류장. 한화리조트와 궁동항을 바라본다. 돌로 지은 화장실이 특이하다.
10 : 10. 임호마을 표지석과 농소몽돌해수욕장 표지판.
10 ; 15. 간곡 선착장. 간곡 마을 표지석과 간곡 선착장 정류장.
10 : 43. 궁농항 주변 안내도가 있는 삼거리. "언니의 로망" 카페. 아내는 먼저 가라 하고 궁농항을 다녀온다.
10 ; 50. 궁농항. 거제 저도 유람선. 한화리조트와 임호 항을 건너다보고 되돌아간다.
10 : 54. 다시 돌아온 "언니의 로망"카페 앞 삼거리. 좌측으로 내려가 더반 하우스 앞으로 돌아간다.
11 ; 05. 다시 2차로. 궁농마을표지석과 "더반" 표지판. 2차로를 따라간다.
11 : 11. 언덕 넘어 거가식당펜션을 지나 신촌 정류소. 신촌마을 표지석. 계속 도로 따라간다.
11 : 16. 계도(鷄島)와 관포마을, 신봉산(142.2m)을 바라본다.
11 : 20. 장목에서 산을 넘어온 남파랑길 18코스가 58번 국지도 지하통로를 나와 같이 간다.
11 ; 30. 관포 삼거리. 관포마을 표지석. 관포 정류소. 우측은 장목. 좌측은 관포. 직진해 두모 방향으로 간다.
11 : 40. 사당 앞. 남파랑길 이정표. 두모마을 2.05km. 관포마을 0.53km.
11 : 47. 남파랑길 18코스는 좌측으로 가서 신봉산을 돌아 두모마을에서 다시 만난다.
11 ; 53. 관포개 고개 위. 시 멘 길 따라 고개를 넘어간다.
12 ; 04. 고목이 있는 두모 경로당. 신봉산을 돌아온 남파랑길을 다시 만나 같이 간다.
12 ; 17. 두모 몽돌해변. 펜션촌과 카페. 유천산과 중봉산을 보며 해안가를 따라 앞산 모퉁이를 돌아간다
12 ; 21. 대금 해변. 강태공들이 여기저기 보인다. 돌들이 크다. 해안가를 따라간다.
12 : 44. 대금 해변을 벗어나 우측 도로를 따라간다.
12 : 48. 320년 팽나무 보호수(1997년).
12 : 53. 대금 정류소.
12 ; 57. 언덕 위. 매미성 입구. 매미성 안내판. 관광객들이 붐빈다.2차로 버리고 좌측 매미성 가는 길로 내려간다.
13 : 05/18. 매미성을 둘러보고 몽돌해안을 따라간다.
13 : 28. 해안가를 계속 갈 수없어 계단을 올라 심해 카페로 올라가 도로 따라간다.
13 : 36. 시방 정류장. 시방 전망대. 시방 해안으로 내려갔다 올라오기가 힘들 것 같아 계속 도로 따라간다.
13 : 47. 시방마을 표지석과 시방 정류소. 좌측 아래로 이수도 선착장 가는 길.
이어 복골마을 입구 표지석과 태봉사 1.1km 표지석.
남파랑길은 여기서 우측 태봉사 쪽으로 올라가 대금산을 지나 상포에서 다시 만난다.
13 : 54. 고개 위. 여기도 시방 정류소. 대금산에서 갈바산으로 가는 능선의 고개다.
13 : 57. 2차로에서 좌측 시멘 길로 내려간다.
14 ; 04. 흥남해수욕장. 망월산을 바라보며 백사장 옆 해안도로를 따라간다.
14 : 12. 해안 끝에서 우측으로 올라 2차로를 따라간다. 이수도가 뒤로 보인다.
14 : 36. 봉골재. 증봉에서 망월산으로 가는 고개다. 모나코 빌리지.
14 ; 40. 대금산 가는 도로 삼거리. 대금산 진달래 축제 안내판. 남파랑길 18코스 이정표.
시장리에서 대금산 자락을 돌아온 남파랑길을 다시 만나 도로 따라 같이 간다.
14 ; 45/55. 상포마을 표지석을 지나 상포마을 정류소. 새로 만든듯한 상포마을 표지석.
15 : 02. 농협 하나로마트 앞 외포 정류장. 관음선원. 외포중학교. 외포 우체국을 지나왔다.
"대구 축제의 고장 외포항"을 지나 고개를 올라가며 외포마을 전모를 뒤돌아 본다.
15 ; 16. 고개 너머 소계 마을(小鷄) 표지석. 소계 정류소. 소계 마을을 내려다보며 도로 따라간다.
15 ; 19. 58번 국지도 진출로인 외포 교차로를 지난다.
15 : 30. 아침고요마을.
15 ; 35. 대계마을 표지석과 정자. 남파랑길 18.19코스 시종점 안내판. 옥포해전 해설판.
충무공 이순신 만나러 가는 길(옥포항~김영삼 대통령 생가까지 약 8.3km를 3구간으로)
15 ; 36/43. 길 우측에 있는 김영삼 대통령 생가와 기록전시관을 둘러보고. 서거 6주기 현수막이 걸려있다.
15 : 45. 대계 정류장.
16 ; 01. 5덕포터널 앞 58번 국지도 대계 1교 밑을 지난다.
16 : 02. 대계 소공원 정류소와 2층 정자, 옥포 대전의 장군들 경상 우수사 원균.
16 ; 08. 옥포 대전의 장군들 낙안군수 신호.
16 ; 23. 옥포해전의 장군들-방답첨사 이순신(李純信).
16 : 28. 추모공원.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자 추모비. 쉬어 갔으면 좋겠는데 시간이 없다.
16 : 31. 능포의 양지암 등대 쪽과 옥포만의 대우조선 타워가 보인다. 이어 하덕마을 표지석.
16 ; 34. 덕포해수욕장과 덕포마을이 내려다 보인다.-덕포 군부대 정류소.
16 ; 43. 덕포 교차로. 우측으로 58번 국지도 진입로. 봉수대 0.6km.
16 ; 47. 하덕정류장. 김영삼 대통령 생가 3.7km. 옥포대첩 기념관 2.6km. 덕포해수욕장 입간판.
16 : 53. 하덕정류장에서 32번 버스 타고(1450*2). 장목. 연초. 수월 거쳐 고현으로.
17 : 53. 고현터미널 도착. 금화 식당에서 제육볶음 쌈밥으로 저녁(\20000). 떡 2팩(5000)
에스플러스 모텔에서 3차 6박.
06 : 25. 고현터미널에서 30-1번 버스 탐(\1450*2). 황포 가는 외국인 2명 같이 타고.
07 : 04/08. 구영 선착장 도착. 아직 동이 트지 않았다. 고기잡이 배들이 들어온다.
구영해수욕장을 지나 도로 따라 고개를 올라간다.
구영항.
구영해수욕장.
뒤 돌아 본 구영마을.
07 : 35. 구영마을 표지석. 노장산에서 개다리로 내려가는 능선 위다. 구영마을이 내려다 보인다.
누가 고래고래 소리를 질러 사고가 났나 했더니 노인 한분이 운동을 나와서 고함치는 소리다.
07 : 38. 소공원을 가로질러간다. 장목면 관내도와 운동기구들. 반대편에서 버스가 넘어온다.
07 : 44. 상유 고갯마루 정류장. 지방도와 작별하고 좌측 용주사, 상유 전망대 쪽으로 내려간다.
거가대교와 저도, 상유마을이 내려다 보인다.
상유마을과 거가대교.저도.날이 흐려서 가덕도는 안보인다.
07 : 47. 상유 전망대 직전 안부에서 우측으로 내려간다.
07 ; 51. 용주사. 거가대교와 저도, 상유마을을 보며 내려간다.
08 ; 03. 상유항. 상유마을회관. 상유 정류장. 도로 따라 유호교회 앞을 지난다.
상유항.
상유항.
상유항에서 뒤 돌아 본 용주사(우측 파란지붕 뒤).
유호교회 앞으로 도로따라 넘어간다.
08 : 14. 거가대교와 저도를 바라본다. 안개가 끼어 시계는 별도다.
08 ; 16. 경상대학교 수련원.
08 : 27. 하유마을.
하유마을. 바로 옆동네인 유호마을과는 대조가 된다.
08 : 32. 유호 몽돌해변. 펜션들이 있고 거가대교와 저도가 가까이 보인다.
해수욕장 끝에서 경사가 급한 대나무 숲을 오르느라고 발발 기었다.
저앞 해수욕장끝에서 우측 대밭으로 올라간다.
경사지고 미끄럽다.
08 : 45. 용주사 입구에서 헤어진 2차로를 다시 만나 따라간다.
바로 위 도로가 우측으로 휘어 오르는 곳인 승지원에서 잠시 쉬어간다.
카카오맵엔 농업회사법인 승지원으로 나오는데 거가대교를 지나며 보면 경치가 참 좋겠다.
08 ; 58. 장목터널 위. 4차로인 거가대교와 여름 대통령 별장이 있는 저도를 바라본다.
거가대교와 좌측 절벽위의 승지원.
09 ; 06/16. 유호전망대. 거제도 관광안내도. 안개가 끼어 거가대교와 저도만 보이고 가덕도는 안 보인다.
유호전망대 좌측 아래는 거가대교 휴양단지 조성공사 안내도만 있고 공사는 중단됐나 보다.
날씨가 좋았으면 가덕도가 보일텐데..
통합기준점(U마산99/표고 80.7m).
사업기간이 20158~2017.3,31
공사는 중단됐다.
09 : 24. 고개. 노장산에서 중밭골봉으로 가는 고개로 밑으로 장목터널이 지나간다.
대봉산을 보며 내려간다.
장목터널
좌측에 임호항. 간곡.
09 : 31. 능 소교 앞. 장목터널을 빠져나온 58번 국지도 능 소교 앞이다. 도로 따라 우측으로 휘돌아 간다.
맨좌측이 궁노항 뒤의 망봉산(83.8m).
농소교.임호항.
09 ; 39. 농소 정류장. 대봉산 해안경관 산책길 종합안내판. 대우조선해양(주)농소 연수원.
어제 지나온 양지마을 정류장에서 대봉산, 노장산을 넘어온 1.2.3코스가 5.9km에 3시간 20분 소요.
09 : 48. 58번 국지도 교각 아래. 농소 정류장. 농소마을 표지석.
09 ; 52. 삼거리. 좌측은 한화리조트 거제 벨비디어. 우측 길로 간다. 한화리조트 정류장.
한화리조트.
09 ; 59. 임호항 몽돌해변. 임호 정류장. 한화리조트와 궁동항을 바라본다. 돌로 지은 화장실이 특이하다.
화장실.
임호몽돌해변. 좌측 망봉산밑이 궁농항.
거제 농소리고분.
10 : 10. 임호마을 표지석과 농소몽돌해수욕장 표지판.
농소몽돌해수욕장에서 한화리조트.
농소몽돌해수욕장에서 궁농항.
10 ; 15. 간곡 선착장. 간곡 마을 표지석과 간곡 선착장 정류장.
뒤돌아 본 임호항,노장산(218.4m.좌)-유호령(186.9m )-병사성(153.5m.우). -한화리조트.
한화리조트와 궁농항.
10 : 43. 궁농항 주변 안내도가 있는 삼거리. "언니의 로망" 카페. 아내는 먼저 가라 하고 궁농항을 다녀온다.
궁농항.
"언니의 로망" 카페.
10 ; 50. 궁농항. 거제 저도 유람선. 한화리조트와 임호 항을 건너다보고 되돌아간다.
궁농항. 거제 저도 유람선.
궁농항.
10 : 54. 다시 돌아온 "언니의 로망"카페 앞 삼거리. 좌측으로 내려가 더반 하우스 앞으로 돌아간다.
11 ; 05. 다시 2차로. 궁농마을표지석과 "더반" 표지판. 2차로를 따라간다.
뒤돌아 본 더반(우)과 망월산(83.5m).
11 : 11. 언덕 넘어 거가식당펜션을 지나 신촌 정류소. 신촌마을 표지석. 계속 도로 따라간다.
11 : 16. 계도(鷄島)와 관포마을, 신봉산(142.2m)을 바라본다.
계도(鷄島).
11 : 20. 장목에서 산을 넘어온 남파랑길 18코스가 58번 국지도 지하통로를 나와 같이 간다.
남파랑길 이정표.
11 ; 30. 관포 삼거리. 관포마을 표지석. 관포 정류소. 우측은 장목. 좌측은 관포. 직진해 두모 방향으로 간다.
카카오맵에 관포 사거리로 돼 있지만 사실은 사거리다.
우측은 장목면사무소 가는길.
좌측는 관포 .직진 두모방향으로 간다.
11 : 40. 사당 앞. 남파랑길 이정표. 두모마을 2.05km. 관포마을 0.53km.
11 : 47. 남파랑길 18코스는 좌측으로 가서 신봉산을 돌아 두모마을에서 다시 만난다.
11 ; 53. 관포개 고개 위. 시 멘 길 따라 고개를 넘어간다.
12 ; 04. 고목이 있는 두모 경로당. 신봉산을 돌아온 남파랑길을 다시 만나 같이 간다.
펜션촌.
12 ; 17. 두모 몽돌해변. 펜션촌과 카페. 유천산과 중봉산을 보며 해안가를 따라 앞산 모퉁이를 돌아간다
유천산과 중봉산을 보며 해안가를 따라 앞산 모퉁이를 돌아간다
뒤 돌아 본 두모몽돌해변.
12 ; 21. 대금 해변. 강태공들이 여기저기 보인다. 돌들이 크다. 해안가를 따라간다.
데크길따라 산모퉁이를 돌아가며 본 대금해변과 중봉산(281.5m),상금산(285.5m).
좌측 작은봉 넘어가 매미성.
뒤돌아 본 풍경.
이수도(利水島).
좌측 넘어가 매미성.
대금해변.
뒤돌아 보고
12 : 44. 대금 해변을 벗어나 우측 도로를 따라간다.
12 : 48. 320년 팽나무 보호수(1997년).
12 : 53. 대금 정류소.
12 ; 57. 언덕 위. 매미성 입구. 매미성 안내판. 관광객들이 붐빈다.2차로 버리고 좌측 매미성 가는 길로 내려간다
13 : 05/18. 매미성을 둘러보고 몽돌해안을 따라간다.
매미성.
매미성에서 본 이수도.
매미성에서 본 이수도(좌)와 시방리와 갈바산(119.2m.우)
13 : 28. 해안가를 계속 갈 수없어 계단을 올라 심해 카페로 올라가 도로 따라간다.
여기가 물이차서 못갔다.
심해카페.
도로 따라가며 본 시방리와 이수도. 여기는 활기가 넘친다.
13 : 36. 시방 정류장. 시방 전망대. 시방 해안으로 내려갔다 올라오기가 힘들 것 같아 계속 도로 따라간다.
13 : 47. 시방마을 표지석과 시방 정류소. 좌측 아래로 이수도 선착장 가는 길.
이어 복골마을 입구 표지석과 태봉사 1.1km 표지석.
남파랑길은 여기서 우측 태봉사 쪽으로 올라가 대금산을 지나 상포에서 다시 만난다.
남파랑길은 여기서 우측 태봉사 쪽으로 올라가 대금산을 지나 상포에서 다시 만난다.
뒤돌아 본 시방리.
13 : 54. 고개 위. 여기도 시방 정류소. 대금산에서 갈바산으로 가는 능선의 고개다.
고개넘어쪽 모습.
13 : 57. 2차로에서 좌측 시멘 길로 내려간다.
14 ; 04. 흥남해수욕장. 망월산을 바라보며 백사장 옆 해안도로를 따라간다.
14 : 12. 해안 끝에서 우측으로 올라 2차로를 따라간다. 이수도가 뒤로 보인다.
14 : 36. 봉골재. 증봉에서 망월산으로 가는 고개다. 모나코 빌리지.
봉골재를 내려오며 본 외포리와 강망산(江望山 374.3m).
14 ; 40. 대금산 가는 도로 삼거리. 대금산 진달래 축제 안내판. 남파랑길 18코스 이정표.
시장리에서 대금산 자락을 돌아온 남파랑길을 다시 만나 도로 따라 같이 간다.
14 ; 45/55. 상포마을 표지석을 지나 상포마을 정류소. 새로 만든듯한 상포마을 표지석.
중봉(356.7m).
15 : 02. 농협 하나로마트 앞 외포 정류장. 관음선원. 외포중학교. 외포 우체국을 지나왔다.
"대구 축제의 고장 외포항"을 지나 고개를 올라가며 외포마을 전모를 뒤돌아 본다.
뒤돌아 본 외포.
고개를 넘어가며 본 소계포구.
15 ; 16. 고개 너머 소계 마을(小鷄) 표지석. 소계 정류소. 소계 마을을 내려다보며 도로 따라간다.
15 ; 19. 58번 국지도 진출로인 외포 교차로를 지난다.
15 : 30. 아침고요마을.
대계포구.
15 ; 35. 대계마을 표지석과 정자. 남파랑길 18.19코스 시종점 안내판. 옥포해전 해설판.
충무공 이순신 만나러 가는 길(옥포항~김영삼 대통령 생가까지 약 8.3km를 3구간으로)
15 ; 36/43. 길 우측에 있는 김영삼 대통령 생가와 기록전시관을 둘러보고. 서거 6주기 현수막이 걸려있다.
기록전시관. 맨좌측이 생가.
생가.
요즘이 대구철인데 거제도에서도 이곳 외포에서 대구가 많이 잡힌단다. 대구를 말리는집들이 많은데 잡히는양이 적단다.
15 : 45. 대계 정류장.
뒤돌아 본 대계마을.
16 ; 01. 5덕포터널 앞 58번 국지도 대계 1교 밑을 지난다.
16 : 02. 대계 소공원 정류소와 2층 정자, 옥포 대전의 장군들 경상 우수사 원균.
16 ; 08. 옥포 대전의 장군들 낙안군수 신호.
16 ; 23. 옥포해전의 장군들-방답첨사 이순신(李純信).
16 : 28. 추모공원.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자 추모비. 쉬어 갔으면 좋겠는데 시간이 없다.
16 : 31. 능포의 양지암 등대 쪽과 옥포만의 대우조선 타워가 보인다. 이어 하덕마을 표지석.
능포 양지암등대(맨좌측)-능포항(중) -옥포
옥포대우조선(우).
16 ; 34. 덕포해수욕장과 덕포마을이 내려다 보인다.-덕포 군부대 정류소.
덕포해수욕장.
옥포대우조선(좌)과 그앞에 옥포대첩기념탑.
16 ; 43. 덕포 교차로. 우측으로 58번 국지도 진입로. 봉수대 0.6km.
16 ; 47. 하덕정류장. 김영삼 대통령 생가 3.7km. 옥포대첩 기념관 2.6km. 덕포해수욕장 입간판.
하덕정류소. 상덕,덕포. 하덕정류소등 정류소가 3곳이 있다.
16 : 53. 하덕정류장에서 32번 버스 타고(1450*2). 장목. 연초. 수월 거쳐 고현으로.
17 : 53. 고현터미널 도착. 금화 식당에서 제육볶음 쌈밥으로 저녁(\20000). 떡 2팩(5000)
에스플러스 모텔에서 3차 6박.
'섬 둘레길. 해안길 > 거제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제도 17일. 지심도(선착장-마끝전망대-해안선전망대). 完 (0) | 2022.02.06 |
---|---|
거제도 15일. 남파랑 17.18(칠천도 물안마을-장목면사무소-구영해수욕장). (0) | 2022.02.04 |
거제도 14일. (고현 터미널-하청-칠천도 물안마을). (0) | 2022.02.02 |
거제도 13일. 남파랑 15(아지랑-거제대교-성포). (1) | 2022.01.16 |
거제도 12일. (거제현관아-산달도-아지랑). (0) | 2022.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