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안 길 13. 남파랑 29코스 (통영여객선터미널-갈목-원문고개).
◈ 일시 : 2022. 03. 04 (금). 3차 다섯째 날. 귀가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 16.2 km. 5시간 39분.
◈ 동행 : 아내.
◈ 지도.
◈ 트랙.
◈ 일정 정리.
06 : 32. 테마모텔 출발.
06 : 37. 통영 적십자병원 앞. 서포루에서 내려온 남파랑길을 만나 도로 따라 같이 간다.
06 ; 39. 서호동 서호시장. 남쪽으로 서호시장을 지나가면 통영 여객터미널
06 ; 43. 통영시립박물관. 구 통영군청이 있던 곳이다.-만복 도천 비치아파트 앞을 지난다.
06 : 50. 윤이상 기념관. 현대음악의 거장 윤이상이 나고 자란 곳이다.
07 ; 00. 해저터널. 좌측으로 나가 해안산책로를 따라간다.
07 ; 09. 충무교 밑을 지나고.
07 : 16. 통영대교 밑을 지난다.
07 : 23. 당동항.
07 : 29. 경상대 해양과학대. 개교 100주년 기념비.
07 : 44. 통영시 수질환경사업소. 하향도를 바라보고
08 ; 01. 국치 고개. 국치마을을 뒤돌아 보고 편백숲길 글램핑 캠핑장 앞길로 내려간다.
08 ; 10. 천대 마을. 천대 정류소.
08 ; 29. 통영(민양)항. 인평 어촌계. 양식장 어구들로 지저분하다.
08 : 42. 1021 지방도를 따라가며 상항도와 중항도와 그 뒤로 풍화리 반도(?)를 바라본다.
08 ; 49. 민양 고개. 민양 경로당 옆골목으로 1021 지방도로 올라왔다.
09 ; 22. 갈목 고개. 정류소. 정자. 평인 일주로. 통영 지맥 천암산에서 62.8m 봉 직전 안부.
09 : 32. 천암산 나한정사앞. -운동기구와 작은 갈목 정류소.
09 ; 44. 조정면허시험장. 해양소년단 거북선 캠프. 대 망자 도와 소망자도 뒤로 분지포 뒷산인 장막산조망.
09 : 46. 통영비치캐슬호텔. 소원바위인 거북바위 안내판.
09 : 53. 우포마을 표지석.평림항.평림 어민복지회관.
10 ; 03/17. 고개. 쉼터. 평인 일주로 노을 전망대. 전망 안내도. 남파랑길 29코스 안내판. 쉬어간다.
10 : 27. 우포마을 정류소.
10 ; 31. 고개. 남파랑길은 좌측 산 모랭 이를 돌아 나온다.
10 : 54. 통영 체육관 앞.
11 ; 04. 고개. 우측에 천암산 등산로 입구. 무전동 아파트 단지와 원문고개의 통영 서울병원이 보인다.
11 : 11. 소포(작은 개) 마을표지석.
11 ; 28. 통영 터널 가는 삼거리. 왼쪽 해안도로를 따라 산 모랭 이를 돌아간다.
11 ; 33. 통영 분뇨처리장.
11 ; 39. 멍게수협. 길 건너편엔 천암산 등산로 입구.
11 ; 43. 북신해변공원. 남파랑 29 코스. 남파랑길 30코스 안내판. 통영시 자전거 타고 싶은 길 (도산 일주로) 안내판.
11 ; 53. 새통영병원 앞. 언덕길을 올라가며 지나온 길을 돌아본다.
12 ; 04. 원문고개 사거리. 제석봉에서 내려온 통영 지맥이 충혼탑-갈목으로 가는 고개다. 오늘은 여기까지
12 ; 07/11. 횡단보도 건너 원문 마을 정류장. 341번 버스 타고 (\1450*2).
12 : 16. 통영 시외버스터미널 하차. 터미널에서 김밥 한 줄씩 먹고(\3000*2).
12 ; 55. 통영 ㅡ대전행 버스(\20100*2) 타고. 15 : 25. 대전 복합터미널 도착.
16 : 00. 대전 ㅡ천안(\5400*2). 17 : 10. 천안 도착.
06 : 32. 테마모텔 출발.
06 : 37. 통영 적십자병원 앞. 서포루에서 내려온 남파랑길을 만나 도로 따라 같이 간다.
통영 적십자병원.
06 ; 39. 서호동 서호시장. 남쪽으로 서호시장을 지나가면 통영 여객터미널
06 ; 43. 통영시립박물관. 구 통영군청이 있던 곳이다.-만복 도천 비치아파트 앞을 지난다.
만복 도천 비치아파트.
06 : 50. 윤이상 기념관. 현대음악의 거장 윤이상이 나고 자란 곳이다.
윤이상 기념관.
윤이상 기념관.
07 ; 00. 해저터널. 좌측으로 나가 해안산책로를 따라간다.
統營 海底터널.
경상남도 통영시 당동(堂洞)~미수2동(美修二洞)을 연결하는 해저터널. 국가등록문화재 제201호이다.
1년 4개월에 걸쳐 1932년에 건립한 동양 최초의 바다 밑 터널이다. 길이 483m, 폭 5m, 높이 3.5m 규모이다. 바다 양쪽을 막는 방파제를 설치하여 생긴 공간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打設)하여 터널을 만든 뒤 다시 방파제를 철거하여 완공했다. 터널 입구는 목조 기둥에 왕대공 트러스 구조이다. 예전에는 통영과 미륵도를 연결하는 주요 연결로였지만 충무교와 통영대교가 개통되면서 지금은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다.
양쪽 터널 입구에 한자로‘용문달양(龍門達陽)’이라고 쓰여 있는데‘용문을 거쳐 산양(山陽)에 통하다’라는 뜻이다. (용문은 중국 고사에 나오는 물살이 센 여울목으로 잉어가 여기를 거슬러 오르면 용이 된다고 한다) 여기서 말하는 산양은 바로 미륵도이다. 경상남도 통영시 당동~미수2동에 있다.
뒤 돌아 본 통영 여객터미널.
통영 착량묘[ 統營 鑿梁廟 ].
경상남도 통영시 당동에 충무공 이순신(李舜臣) 장군을 모신 사당. 경상남도 기념물 제13호이다.
임진왜란이 끝나자 지방민들이 이순신을 기리기 위해 판도가 보이는 언덕 위에 초가를 짓고 위패와 영정을 모시고 매년 음력 11월 19일 기제(忌祭)와 향사(享祀)를 모셔온 것이 사당의 시초가 되었다. 1877년(고종 14) 장군의 10세손인 통제사 이규석(李奎奭)이 기와집으로 고쳐 짓고 착량묘라 하여 지방민 자제들을 교육하였다.
착량이란 임진왜란 때 당항포해전에서 참패한 왜적들이 쫓겨 달아나다가 미륵도와 통영반도 사이에 가늘게 이어진 지협을 파서 돌[梁]을 만들어 도망친 데서 붙여진 이름으로 이 지역 사투리로는 폰데(판다, 판도)라고 한다.
이쯤의 바다밑에 해저터멀.
07 ; 09. 충무교 밑을 지나고.
충무교
옛날 착량묘가 있던 자리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인 아치형 현대식 교량인 충무교가 1964년에 기공하여 1967년 6월에 개통되었고, 충무교의 통행량 증가와 노후화로 1993년 4월부터 1994년 5월까지 상판을 교체하고 교각을 보수하여 현재에 이르렀다.호수 같은 바닷물 위로는 배들이 다니고, 그 바다 밑으로 뚫린 해저 터널엔 사람들이 걸어 다니고 바다 위로 만들어진 육지와 섬을 연결하는 공중다리(자동차가 다니는 "통영운하")는 하늘과 바다와 바닷 속이 하나로 이어진 한국 유일의 3중 교통로를 자랑하는 곳이다. 더욱이 물때의 영향을 받지 않고 늘 배들이 오가는 통영 운하의 주변 경관은 도시의 자연스런 조화가 극치를 이루고 있어 예로부터 "동양의 나폴리"라 불려져 오고 있다.
앞사진의 좌측 벽화에 그려진 "통영항" ( 전혁림 화백(1915~2010)의 작품)에 대한 설명이다.
07 : 16. 통영대교 밑을 지난다.
통영대교.
길이는 591m·폭은 20m이며 1998년에 완공되었다. 통영운하를 가로질러 세워진 다리로, 통영시 당동(當洞)과 미륵도(彌勒島)의 미수동(美修洞) 사이에 있다. 통영대교가 가설되기 전에는 해저터널과 충무교만이 미륵도로 갈 수 있는 통로였다. 아치트러스 공법 등을 이용해 가설했으며, 140m의 중앙 아치 부분에 196개의 투광등(投光燈)을 달았다. 밤이 되면 초록빛 조명에 감싸여 멋진 야경을 만들어낸다. 통영대교의 야경과 해저터널은 통영의 명물로 꼽힌다.
07 : 23. 당동항.
당동항에서 뒤 돌아 본 통영대교와 미륵산.
07 : 29. 경상대 해양과학대. 개교 100주년 기념비.
여기서 남파랑길은 도로따라 고개를 넘어가고 우리는 좌측 해안길을 따라 간다.
일출후에 뒤 돌아 본 통영대교.
07 : 44. 통영시 수질환경사업소. 하향도를 바라보며 간다.
통영시 수질환경사업소.
국치마을과 국치고개.
08 ; 01. 국치고개. 국치마을을 뒤돌아 보고 편백숲길 글램핑 캠핑장 앞길로 내려간다.
국치고개로 오르며 뒤 돌아 본 하향도와 그 뒤로 풍화리 반도(?)
국치고개로 오르며 뒤 돌아 본 국치마을.
국치고개.
천대마을.
편백숲길 글램핑 캠핑장.
08 ; 10. 천대 마을. 천대 정류소.
08 ; 29. 통영(민양)항. 인평 어촌계. 양식장 어구들로 지저분하다.
통영(민양)항.
민양 경로당 옆골목으로.
08 : 42. 1021 지방도를 따라가며 상항도와 중항도와 그 뒤로 풍화리 반도(?)를 바라본다.
상항도와 중항도와 그 뒤로 풍화리 반도(?)를 바라본다.
땅겨본 상항도를 잇는 다리.
통영(민양)항.
08 ; 49. 민양 고개. 민양 경로당 옆골목으로 1021 지방도로 올라왔다.
평인일주로.
09 ; 22. 갈목 고개. 정류소. 정자. 평인 일주로. 통영 지맥 천암산에서 62.8m 봉 직전 안부.
갈목 고개에서 풍화리.
갈목 고개 정류소와 정자.
갈목 고개. 통영 지맥 천암산에서 62.8m 봉 직전 안부다.
평림항쪽.
평림항과 대망자도, 소망자도.
09 : 32. 천암산 나한정사앞. -운동기구와 작은 갈목 정류소.
09 ; 44. 조정면허시험장. 해양소년단 거북선 캠프. 대 망자도와 소 망자도 뒤로 분지포 뒷산인 장막산조망.
대 망자도와 소 망자도 뒤로 분지포 뒷산인 장막산.
09 : 46. 통영비치캐슬호텔. 소원바위인 거북바위 안내판.
통영비치캐슬호텔.
통영비치캐슬호텔앞의 소원바위인 거북바위 .
대 망자도와 소망자도 뒤로 다음차에 지나갈 분지포와 뒷산인 장막산.
목섬과 장도.
대소망자도와 장구도.
09 : 53. 우포마을 표지석.평림항.평림 어민복지회관.
고개를 올라가며 뒤 돌아 본 평림항.
10 ; 03/17. 고개. 쉼터. 평인 일주로 노을 전망대. 전망 안내도. 남파랑길 29코스 안내판. 쉬어간다.
평인 일주로 노을 전망대.
대소망자도와 분지포. 탄막산.
바다 건너편의 광도면
10 : 27. 우포마을 정류소.
남파랑길은 여기서 좌측으로 산모퉁이를 돌아 저앞 고개에서 만난다.
602. 612. 632번버스가 다닌다.
10 ; 31. 고개. 남파랑길은 좌측 산 모랭 이를 돌아 나온다.
통영체육관과 큰개마을이 보이고
좌측이 지나온길, 우측이 잠시후 갈 길.
통영 평림동생활체육공원.
10 : 54. 통영 체육관 앞.
11 ; 04. 고개. 우측에 천암산 등산로 입구. 무전동 아파트 단지와 원문고개의 통영 서울병원이 보인다.
화장실과 저앞 우측에 천암산 등산로입구.
해변공원과 새통영병원쪽.
원문고개의 통영 서울병원
11 : 11. 소포(작은 개) 마을표지석.
소포(작은 개) 마을과 바다 건너편 다음에 갈 마구촌.
통영분뇨처리장(좌). 통영터널 가는 삼거리(우)
원문고개.
11 ; 28. 통영 터널 가는 삼거리. 왼쪽 해안도로를 따라 산 모랭 이를 돌아간다.
통영터널 가는길.
통영 분뇨처리장 가면서 좌측 풍경.좌측은 지나온쪽, 우측은 다음차에 갈 마구촌.
11 ; 33. 통영 분뇨처리장.
해변공원과 새통영병원쪽.
11 ; 39. 멍게수협. 길 건너편엔 천암산 등산로 입구.
해변공원.
11 ; 43. 북신해변공원. 남파랑 29 코스. 남파랑길 30코스 안내판. 통영시 자전거 타고 싶은 길 (도산 일주로) 안내판.
남파랑 29 코스. 남파랑길 30코스 안내판.
가오치항-사량도 가는배가 왜 여기에?
11 ; 53. 새통영병원 앞. 언덕길을 올라가며 지나온 길을 돌아본다.
새통영병원
12 ; 04. 원문고개 사거리. 제석봉에서 내려온 통영 지맥이 충혼탑-갈목으로 가는 고개다. 오늘은 여기까지
원문고개의 통영서울병원
똥섬 뒤로 지나온 길을 돌아보고
다음차엔 사진 좌측길로 내려간다.
12 ; 07/11. 횡단보도 건너 원문 마을 정류장. 341번 버스 타고 (\1450*2).
원문 마을 정류장.
12 : 16. 통영 시외버스터미널 하차. 터미널에서 김밥 한 줄씩 먹고(\3000*2).
12 ; 55. 통영 ㅡ대전행 버스(\20100*2) 타고. 15 : 25. 대전 복합터미널 도착.
16 : 00. 대전 ㅡ천안(\5400*2). 17 : 10. 천안 도착.
'남해안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해안 길 15. (도산 범골 입구-수월리-저산리-가오치 마을). (0) | 2022.04.02 |
---|---|
남해안 길 14. (통영 원문고개-용호리-도산면 잠포-범골입구). (0) | 2022.03.27 |
남해안 길 12. 남파랑 28.29코스 (통영선촌항-세병관-해저터널). (0) | 2022.03.11 |
남해안 길 11. 남파랑 15.28코스 (통영터미널-거제대교-선촌항). (0) | 2022.03.08 |
남해안 길 10. 남파랑 14 (통영 임외사거리-예포-통영터미널). (0) | 2022.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