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남해안길

남해안 길 18. (고성 삼산면 상촌-상족암-하이면사무소).

남해안 길 18. (고성 삼산면 상촌-상족암-하이면사무소). 

 

 

◈ 일시 : 2022. 04. 21 (목). 남해안  6차  셋째 날. 가끔 비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 24.3 km. 10시간 30분.

 

◈ 동행 : 아내.

 

◈ 지도.

 

 

 

 

◈ 트랙.

 

남해안18(상촌 ㅡ상족암-하이면)2022-04-21 070413.gpx
0.13MB

 

 

카카오 맵으로 트랙 보기.

 

 

 

◈ 일정 정리.

 

06 : 25. 고성 시외버스터미널에서 부포, 수양가는 21번 버스 탐.
            이 버스는 터미널에서 시내 쪽이 아닌 기월 쪽으로 가서  부포 들려  수양갔다가
          장치, 해명 거쳐 상촌 삼산면으로 나온다.

07 ; 03. 상촌 정류소 하차. 도로 따라 버스 타고 온 길을 되돌아 내려간다.

07 ; 09. 좌측에 삼봉사.

07 : 13. 오른쪽 산 중턱에 소가야중학교를 보고 77 국도 버리고 좌측 시멘트길을 따라간다.

07 ; 34. 솔섬 앞 해명 정류소. 2차로 삼거리에서 직진. 좌측은 솔섬, 우측은 삼산 가는 길.

07 : 37. 해명교-해명마을 표지석. 정자. 목섬과 자란도, 그  뒤로 좌이산을 바라본다.

07 : 47. 자란도와 누은섬, 대호 섬 뒤로 사량도를 바라본다.

07 ; 52. 우측으로 장백 마을 가는 길. 버스 타고 오면서 들렸던 곳이다.
       가리비 껍데기 더미 너머로 솔섬(좌)과 그 오른쪽으로 나비 섬. 문래 섬. 누은섬. 대호 섬을 바라본다.

07 ; 57. 목섬 앞 펜션 뒤로 사량도와  작은 섬들을 바라본다.

08 ; 04. 자란도와 좌이산을 건너다 보고

08 ; 28. 엊그제 전화를 걸었던 민박집 두 집을 지나 중촌교. 우측은 수양마을 가는 길. 앞쪽에 쉼터.
            우측으로 조금 들어가면 고성-하이면 다니는 30번 31번 버스가 있는 삼태 정류소이고
             좀 더 안쪽으로 들어가면 아침에 버스가 들렸던 용태 마을(21번 30번 버스)이다.

08 ; 44. 산 능선 위. 가룡포와 좌이산, 사량도를 바라본다.

09 : 08. 가룡 마을과 자란도. 사량도를 바라보고.

09 ; 12.  가룡 표지석과 가룡 정류소. 왼쪽 아래는 가룡 마을.

09 : 16. 좌이산. 육섬, 사량도를 보고.

09 : 26. 안담 마을 표지석.

09 : 30. 임포항. 남파랑길 32.33시 종점 안내판. 우측 안쪽에 하일면 사무소.

09 ; 39. 학림천을 임포교로 건너간다. 앞엔 도토리 하우스 펜션.

09 : 47. 지방도 버리고 좌측 시멘트길로.  솔섬 0.9km 남파랑길 이정표.

09 : 56. 솔섬 입구. 거리가 멀지 않으니 솔섬을 돌아 나가기로 하고 좌측으로

10 ; 01. 솔섬 방파제와 포구. 온 길과 자란도를 둘러보고 우측 계단으로 산 위로 올라간다.

10 : 09. 솔섬 전망데크. 앞의 정여 도와 늑도, 자란도를 둘러보고 데크길을 따라간다.

10 ; 17/35. 데크길이 끝나는 쉼터에서 좌이산과 자란도를 보며 점심. 비가 와서 우비를 입고 출발.

10 : 38. 다시 돌아온 솔섬 입구. 솔섬 안내도.

10 : 47. 해안길 끝. 솔섬과 장여도, 늑도와 자란도를 보고 우측 둑으로 올라 밭을 돌아간다.

10 ; 51.  1010 지방도. 지포 정류소와 정자. 왼쪽 지포 마을길 따라 해안으로 간다.

11 ; 02. 지포 포구. 육섬과 만아섬, 자란도와 사량도를 바라본다.

11 ; 04. 육섬앞 밭 섶. 육섬과 만아섬을 보고  좌이산을 보며 시멘트길을 따라간다.

11 : 09. 데크길이 이어진다.

11 : 17. 화장실과 비가림이 있는 학림권역 농어촌체험센터 쉼터.

11 : 26. 동광 수산이 있는 포구에서 우측 위로 올라간다. 남파랑길 임포항 5.1km 이정표.

11 : 29. 지방도로를 따라간다.

11 : 48.동화리(대구막 입구) 표지석. 대구막 정류소. 부경대 수산과학기술센터 250m 안내판.

12 ; 07. 언덕 위 명덕 고개(지형도는 골 고개). 덕평 7km. 좌이산 등산안내도. 좌이산 2.6km 이정표.

12 ; 16. 동화 정류소. 마을 뒤로 좌이산이 보인다.

12 : 20. 소을 비포 성지(所乙非浦城址) 입구 삼거리. 동화마을 표지석. 좌측 건너편에 소을 비포 성지가 보인다
          소을 비포 성지(所乙非浦城址)는 조선 전기에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해 쌓은 성으로 경남기념물 139호

12 ; 25. 지방도 버리고 좌측 임도를 따라간다. 남파랑길 이정표.

12 : 37. 작은 고개 너머 신기마을 노거수 앞에서 좌측으로 간다. 맥전포항 3.2km 

12 : 42. 일자로 뻗은 시멘트길을 따라간다.

12 ; 50. 장춘교. 지방도를 다시 만나 따라간다.

13 ; 02. 사량도 도선장이 보인다. 마침 여객선이 나가고 있다.

13 : 08. 용암포 삼거리. 좌측은 사량도 도선장. 직진은 삼천포. 상족암 가는 길.
          용암포 마을 표지석과 용암포 정류소. 용암포 마을회관
          지방도 따라 언덕을 올라가서 좌측 도로로 내려간다.

13 ; 23. 맥전포항. 큼직한 멸치잡이 배들이 있다.

13 : 39. 포구에서 우측으로 꺾어 상족암 둘레길 시작. 상족암 군립공원 안내도. 통나무 계단을 올라간다.

13 : 51. 데크길이 시작되고.

14 : 03. 병풍바위 전망대. 바다 건너편의 상족암과 고성 공룡박물관. 입암항을 둘러본다.

14 : 09. 입암항 안내 판와 방파제.

14 : 29. 입암항. 

14 ; 43. 상족암 군립공원 조형물. 병풍바위와 상족암 쪽이 건너다 보인다.

14 ; 47. 해안누리길 공룡화석지 해변길 안내도.

14 ; 49. 고성 덕명리 공룡발자국과 새발자국 화석산지 안내판. 데크길을 따라가며 공룡발자국을 본다.

15 ; 00. 경상남도 청소년수련원. 우측은 공룡박물관 가는 길. 한 무리의 군인들이 단체 관람을 왔다.

15 ; 05. 상족암 앞. 상족암 해설문. 우측 계단으로 올라가 상족암으로 내려간다.

15 : 14. 상족암. 동굴 안을 둘러보고  병풍바위와 사량도가 건너다 보인다.
         床足岩은 침식되어 동굴이 만들어지고  남은 바위 모양이  밥상 다리 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란다.
          되돌아 올라와 좌측으로 고성 공룡박물관 제2매표소를  지나 산책로를 따라간다.

15 ; 49. 산을 내려온 유람선 타는 포구 앞. 자란만 안내판. 도로 따라 조금 나가면

15 : 56/06. 덕명마을쉼터. 비가 그쳤다. 마을 주민용이니 외지인은 사용을 삼가 달란다.
             잠시 쉬고 우측으로 도로 따라 나간다.

16 : 08. 덕명 정류소.

16 : 11. 덕명리 회관.

16 : 22. 1010번 지방도로에 올라섰다. 덕명마을 표지석. 도로 따라 한굽이 돌아서 고개로 올라간다.

16 : 34. 고개 위. 표고 96m를 가리킨다. 와룡산을 보며 내려간다.

16 : 46/55. 정곡마을회관. 정자. 회관 앞 의자에서 잠시 쉬어간다.

17 ; 01. 정곡마을 표지석과 정곡 정류소. 삼천포 부두에서 오는 10번 버스시간표가 있다.

17 : 10. 대형 공룡 조형물 2마리가 있는 정곡 삼거리.
         남파랑길은 직전 정곡교에서 좌측으로 사 곡 천을 따라 가지만 비가 와서 쉬지를 못해서 도로 따라간다.

17 : 33. 하이면 사무소.  고성군 서쪽 끝이다. 남파랑길 33코스 종점이다.
          오늘은 여기서 마치고 길 건너 서고성 하나로마트에서 장보고 

17 : 47.  서고성 하나로마트 앞 하이면 파출소 앞에서 40번 버스 타고

18 : 00. 삼천포 예미지아파트앞 하차

18 ; 03. 오션 모텔(\50000). 버스정류장이 가깝고 시설은 공기청정기, 옷 건조기(?). 욕실엔 샤워기가 2개.
          방은 낮에도 불을 넣어 뜨끈한 게 호텔급이라 좋다. 저녁은 염소탕을 혼자 먹다.
          


    06 : 25. 고성 시외버스터미널에서 부포, 수양가는 21번 버스 탐.
            이 버스는 터미널에서 시내 쪽이 아닌 기월 쪽으로 가서  부포 들려  수양갔다가
          장치, 해명 거쳐 상촌 삼산면으로 나온다.

고성 시외버스터미널.

고성 시외버스터미널에서 부포, 수양가는 21번 버스

기월사거리의 고성송학동고분군.

 

07 ; 03. 상촌 정류소 하차. 도로 따라 버스 타고 온 길을 되돌아 내려간다.

 

07 ; 09. 좌측에 삼봉사.

 

07 : 13. 오른쪽 산 중턱에 소가야중학교를 보고 77 국도 버리고 좌측 시멘트길을 따라간다.

솔섬과 뒤로 사량도.

뒤돌아 본 소가야중학교.

 

07 ; 34. 솔섬 앞 해명 정류소. 2차로 삼거리에서 직진. 좌측은 솔섬, 우측은 삼산 가는 길.

좌이산(우)-자란도-목섬(좌)

뒤돌아 본 해명정류소.

솔섬.

 

07 : 37. 해명교-해명마을 표지석. 정자. 목섬과 자란도, 그  뒤로 좌이산을 바라본다.

솔섬(좌)-목섬-자란도-좌이산(우).

 

07 : 47. 자란도와 누은섬, 대호 섬 뒤로 사량도를 바라본다.

 

07 ; 52. 우측으로 장백 마을 가는 길. 버스 타고 오면서 들렸던 곳이다.
       가리비 껍데기 더미 너머로 솔섬(좌)과 그 오른쪽으로 나비 섬. 문래 섬. 누은섬. 대호 섬을 바라본다.

자란도-좌이산을 보며 도로따라 간다.

 

07 ; 57. 목섬 앞 펜션 뒤로 사량도와  작은 섬들을 바라본다.

사량도.하도(좌)-상도(우)

08 ; 04. 자란도와 좌이산을 건너다 보고

자란도(좌)-좌이산(우)

 

08 ; 28. 엊그제 전화를 걸었던 민박집 두 집을 지나 중촌교. 우측은 수양마을 가는 길. 앞쪽에 쉼터.
            우측으로 조금 들어가면 고성-하이면 다니는 30번 31번 버스가 있는 삼태 정류소이고
             좀 더 안쪽으로 들어가면 아침에 버스가 들렸던 용태 마을(21번 30번 버스)이다.

우측 용태쪽에서 작은 시내 버스가 나오고 있다.

 

 

08 ; 44. 산 능선 위. 가룡포와 좌이산, 사량도를 바라본다.

 

가룡포와 자란도, 사량도

 

09 ; 12.  가룡 표지석과 가룡 정류소. 왼쪽 아래는 가룡 마을.

 

좌이산과 솔섬.

임포.

09 : 16. 좌이산. 육섬, 사량도를 보고.

 

09 : 26. 안담 마을 표지석.

저앞이 임포.

09 : 30. 임포항. 남파랑길 32.33시 종점 안내판. 우측 안쪽에 하일면 사무소.

 

09 ; 39. 학림천을 임포교로 건너간다. 앞엔 도토리 하우스 펜션.

라일락꽃이 활짝 피었다.

 

09 : 47. 지방도 버리고 좌측 시멘트길로.  솔섬 0.9km 남파랑길 이정표.

 

09 : 56. 솔섬 입구. 거리가 멀지 않으니 솔섬을 돌아 나가기로 하고 좌측으로

솔섬.

자란도와 사량도.

 

10 ; 01. 솔섬 방파제와 포구. 온 길과 자란도를 둘러보고 우측 계단으로 산 위로 올라간다.

지나온 가룡포쪽

임포항쪽.

우측 계단으로 산 위로 올라간다.

 

10 : 09. 솔섬 전망데크. 앞의 정여도와 늑도, 자란도를 둘러보고 데크길을 따라간다.

솔섬 전망데크.

 

정여도(좌) 늑도-육섬(우).

 

10 ; 17/35. 데크길이 끝나는 쉼터에서 좌이산과 자란도를 보며 점심. 비가 와서 우비를 입고 출발.

 

좌이산.

 

10 : 38. 다시 돌아온 솔섬 입구. 솔섬 안내도.

산길 오름길.

온길.

 

10 : 47. 해안길 끝. 솔섬과 장여도, 늑도와 자란도를 보고 우측 둑으로 올라 밭을 돌아간다.

저 앞 휀스친곳에서 우측 언덕 위로

 

솔섬(좌)-장여도-자란도(뒤)-늑도(우).

 

10 ; 51.  1010 지방도. 지포 정류소와 정자. 왼쪽 지포 마을길 따라 해안으로 간다.

 

11 ; 02. 지포 포구. 육섬과 만아섬, 자란도와 사량도를 바라본다.

지포포구. 가리비양식장들이  쭈욱있다.

 육섬(좌)- 우측 뒤는 사량도.

자란도와 좌측은 가룡포쪽.

 

11 ; 04. 육섬앞 밭 섶. 육섬과 만아섬을 보고  좌이산을 보며 시멘트길을 따라간다.

 

11 : 09. 데크길이 이어진다.

만아섬.

 

11 : 17. 화장실과 비가림이 있는 학림권역 농어촌체험센터 쉼터.

어제 지나온 괴암섬-나비섬-문래섬과 뒤로 삼산면의 대덕산,숭월산.

 

11 : 26. 동광 수산이 있는 포구에서 우측 위로 올라간다. 남파랑길 임포항 5.1km 이정표.

 

11 : 29. 지방도로를 따라간다.

규모가 큰 양식장들.

 

11 : 48. 동화리(대구막 입구) 표지석. 대구막 정류소. 부경대 수산과학기술센터 250m 안내판.

 

 

12 ; 07. 언덕 위 명덕 고개(지형도는 골 고개). 덕평 7km. 좌이산 등산안내도. 좌이산 2.6km 이정표.

좌이산을 계속보며 왔는데 좌이산 좌측 지능선을 넘어가는 고개다.

 

12 ; 16. 동화 정류소. 마을 뒤로 좌이산이 보인다.

마을회관뒤로 좌이산.

 

12 : 20. 소을 비포 성지(所乙非浦城址) 입구 삼거리. 동화마을 표지석. 좌측 건너편에 소을 비포 성지가 보인다
          소을 비포 성지(所乙非浦城址)는 조선 전기에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해 쌓은 성으로 경남기념물 139호

 

좌측으로 건너다 본 소을비포성지.

 

12 ; 25. 지방도 버리고 좌측 임도를 따라간다. 남파랑길 이정표.

 

12 : 37. 작은 고개 너머 신기마을 노거수 앞에서 좌측으로 간다. 맥전포항 3.2km 

신기마을 우측에 노거수가 보인다.

 

여기서 좌측으로

 

 

12 : 42. 일자로 뻗은 시멘트길을 따라간다.

 

12 ; 50. 장춘교. 지방도를 다시 만나 따라간다.

뒤돌아 본 좌이산.

 

13 ; 02. 사량도 도선장이 보인다. 마침 여객선이 나가고 있다.

 

13 : 08. 용암포 삼거리. 좌측은 사량도 도선장. 직진은 삼천포. 상족암 가는 길.
          용암포 마을 표지석과 용암포 정류소. 용암포 마을회관
          지방도 따라 언덕을 올라가서 좌측 도로로 내려간다.

지방도 따라 언덕을 올라가서 좌측 도로로 내려간다.

 

맥전포항 직전의 소공원.

13 ; 23. 맥전포항. 큼직한 멸치잡이 배들이 있다.

맥전포항.

 

 멸치잡이 배들.

 

멸치잡이 배. 배에서 바로 멸치를 데치는듯.

 

13 : 39. 포구에서 우측으로 꺾어 상족암 둘레길 시작. 상족암 군립공원 안내도. 통나무 계단을 올라간다.

 

 

13 : 51. 데크길이 시작되고.

 

 

 

14 : 03. 병풍바위 전망대. 바다 건너편의 상족암과 고성 공룡박물관. 입암항을 둘러본다.

병풍바위 위인데 상족암만 건너다 보고 정작 발밑의 병풍바위는 못보고 상족암에 가서 건너다 봤다.

병풍바위 전망대에서 압암항, 상족암해변

병풍바위 전망대에서 상족암(좌). 고성공룡박물관(가운데 산위). 경남 청소년수련원(가운데 아래).

 

상족암 남서쪽 능선들.

 

14 : 09. 입암항 안내 판와 방파제.

방파제 뒤로 고성공룡박물관과 청소년수련원.

 

 

14 : 29. 입암항. 

공사중인 입암항

건너다 본 상족암가는 데크길.

 

14 ; 43. 상족암 군립공원 조형물. 병풍바위와 상족암 쪽이 건너다 보인다.

병풍바위가 건너다 보인다.

당겨본 병풍바위와 전망데크.

 

14 ; 47. 해안누리길 공룡화석지 해변길 안내도.

 

14 ; 49. 고성 덕명리 공룡발자국과 새발자국 화석산지 안내판. 데크길을 따라가며 공룡발자국을 본다.

 

 

상족암과 청소년수련원.

 

15 ; 00. 경상남도 청소년수련원. 우측은 공룡박물관 가는 길. 한 무리의 군인들이 단체 관람을 왔다.

 

 

15 ; 05. 상족암 앞. 상족암 해설문. 우측 계단으로 올라가 상족암으로 내려간다.

뒤돌아 본 입암항,병풍바위,상족암해변.

 

우측위로 올라가서

 

좌측으로 내려가면 

 

 

15 : 14. 상족암. 동굴 안을 둘러보고  병풍바위와 사량도가 건너다 보인다.
         床足岩은 침식되어 동굴이 만들어지고  남은 바위 모양이  밥상 다리 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란다.
          되돌아 올라와 좌측으로 고성 공룡박물관 제2매표소를  지나 산책로를 따라간다.

 

 

 

건너다 본 병풍바위.

 

 

 

고성 공룡박물관 제2매표소

 

상족암 우측모습.

 

15 ; 49. 산을 내려온 유람선 타는 포구 앞. 자란만 안내판. 도로 따라 조금 나가면

유람선 타는곳.

 

15 : 56/06. 덕명마을쉼터. 비가 그쳤다. 마을 주민용이니 외지인은 사용을 삼가 달란다.
             잠시 쉬고 우측으로 도로 따라 나간다.

 

16 : 08. 덕명 정류소.

좌측에 보이는 덕명리회관앞으로 해서 우측 골짜기 위로 올라간다.

16 : 11. 덕명리 회관.

이길로 올라가면.

 

16 : 22. 1010번 지방도로에 올라섰다. 덕명마을 표지석. 도로 따라 한굽이 돌아서 고개로 올라간다.

 

 

16 : 34. 고개 위. 표고 96m를 가리킨다. 와룡산을 보며 내려간다.

와룡산.

 

와룡산.

 

남파랑길은 우측 저밑으로 돌아서 정곡교로 간다.

 

16 : 46/55. 정곡마을회관. 정자. 회관 앞 의자에서 잠시 쉬어간다.

 

17 ; 01. 정곡마을 표지석과 정곡 정류소. 삼천포 부두에서 오는 10번 버스시간표가 있다.

 

 

17 : 10. 대형 공룡 조형물 2마리가 있는 정곡 삼거리.
         남파랑길은 직전 정곡교에서 좌측으로 사곡천을 따라 가지만 비가 와서 쉬지를 못해서 도로 따라간다.

뒤돌아 본 넘어온 고개

남파랑길은 직전 정곡교에서 좌측으로 사곡천을 따라 하이면사무소쪽으로 간다.

 

17 : 33. 하이면 사무소.  고성군 서쪽 끝이다. 남파랑길 33코스 종점이다.
          오늘은 여기서 마치고 길 건너 서고성 하나로마트에서 장보고 

 

하이면사무소앞 33코스 안내판.

면사무소에서 대각선으로 건너가면 하나로마트. 우측 나무있는곳이 하이파출소.

17 : 47.  서고성 하나로마트 앞 하이면 파출소 앞에서 40번 버스 타고

18 : 00. 삼천포 예미지아파트앞 하차

카카오맵엔 버스정류소 이름이 예미지 아파트앞인데 정류소엔 동금사거리로 써있다.

18 ; 03. 오션 모텔(\50000). 버스정류장이 가깝고 시설은 공기청정기, 옷 건조기(?). 욕실엔 샤워기가 2개.
          방은 낮에도 불을 넣어 뜨끈한 게 호텔급이라 좋다. 저녁은 염소탕을 혼자 먹다.

오션 모텔

오션 모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