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섬 둘레길. 해안길/남해.창선도

남해. 창선도 3(고현면 도마초교-게섬-문항-남해대교)

남해. 창선도 3(고현면 도마초교-게섬-문항-남해대교) 

 

 

◈ 일시 : 2022. 05. 04 (수). 남해안 7차 4박 5일 중  셋째 날. 9도~21도.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 20.2 km. 8시간 41분.

 

◈ 동행 : 아내.

 

◈ 지도.

 

 

 

 

 

 

 

◈ 트랙.

 

남해군3(도마초교 ㅡ노량)2022-05-04 061750__20220504_0617.gpx
0.11MB

 

카카오 맵으로 트랙 보기.

 

 

◈ 일정 정리.

 

 

06 : 10. 남해 공용터미널에서 설천 노량선 봉우. 용강행 시내버스(\1450x2)

06 : 17. 고현면 도마초교앞 도착. 도마교를 건너 19. 77번 국도 도마 교차로를 건너 농로로 내려간다.

06 : 29. 2차선 해변도로.망운산을 뒤돌아보고  대국산, 금음산을 보며 좌측으로 간다,

06 ; 41. 깨끗하고 예쁜 이동식 화장실.

06 : 46. 도마1교를 건너가며 망운산 남산과 지나온 길을  돌아본다. 아카시아꽃이 활짝 피었다.

06 : 52. 좌측으로 대곡산과 낙치곡산, 금음산, 뒤로는 망운산, 납산을 본다.

07 ; 08. 동비교를 건너간다

07 : 18. 동비2교를 건너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간다. 좌측 지방도로 뒤로 대곡산과 금음산이 보인다.

07 : 26. 무명포구. 선착장 뒤로 창선도의 대방산이 건너다 보인다.

07 ; 36. 더왕글램핑장. 도상 주귀섬을 질러간다.

07 : 46. 진목마을 어촌계 어장 안내판. 

07 ; 59. 우측으로 2019. 4에 완공된 게섬 다리를 건너 게섬을 다녀온다.

08 ; 04/18. 게섬.포구에서 창선도 대방산과  삼천포의 와룡산을 건너다보며 쉬고 되돌아 나간다.

08 : 36. 갱변마루 고사 갯벌 세족장. 게 섬과 망운산. 대국산성을 당겨보며 간다.

08 : 45. 무명포구. 산모퉁이를 돌아가며 멀리 문항 포구와 상장도, 하장도가 보인다.

08 ; 58. 모천 갯벌 세족장과 이어 모천 포구.모천마을이 저만치 보인다.

09 ; 09/17. 모천마을 느티나무 쉼터에서 잠시 쉬어간다. 마을 뒤로 금음산이 올려다 보인다.

09 ; 22. 살개섬과 뒤로 창선도 대방산과 삼천포 와룡산, 각산을 바라본다.

09 ; 33. 생태통로.  개통된 지 오래 안된 듯 도로가 깨끗하다. 좌측 능선엔 큰 규모의 대한불교 문수선원.

09 ; 52. 문항포구. 상장도 , 하장도가 코앞에 보인다.

09 ; 56. 자전거 라이딩 코스안내도와 쉼터.

09 ; 58. 다목적체험관.횟집과 수산물 직판장은 문을 닫았다.

10 ; 24. 상장도앞. 문항어촌체험 휴양마을. 각종 체험 안내판. 체험장 1~1.5만 원. 장화 대여 2000원.

10 : 41. 마이크로 리조트. 바닷가로 사유지를 통과한다. 도랫섬. 이랫돌섬,윗돌섬을 보며 간다.

10 ; 58. 옥동 갯벌 세족장을 지나 옥동 정류소. 도랫섬과 상, 하장도 뒤로 창선도와 금산 쪽을 바라본다. 

11 ; 13. 굴패각집하장. 우측 마개만은 돌아가는 길이 없어  도로 따라 고개를 올라간다.

11 ; 17. 봉우 고개. 우측 1차로 능선길을 따라간다.

11 : 27. 국사봉과 염섬 뒤로  바다 건너  금오산과 연대봉이 가깝게 보인다.

11 : 38. 소년 골마을 포구. 금오산과 연대봉이 가깝게 보인다.

11 : 44. 봉우 참굴 갯벌 체험장.

11 : 49. 개천. 건너갈 수가 없어 좌측 동흥교로 올라가 도로 따라간다.

12 : 04. 동흥 마을회관. 정자. 선인장 재배 밭. 동흥 마을 표지석. 동흥 정류소.
         우측으로 염섬을 돌아가면 좋겠으나 양식장에서 제지를 할지도 몰라 도로 따라 언덕을 넘어간다.

12 : 27. 필경수산 제방둑. 염섬을 돌아 나오는 제방 둑길이다. 양식장의 물레방아는 잘도 돌아간다.

12 ; 34. 강진교. 국사봉(136.2m) 북쪽 끝을 따라 돌아가는 바다 위를 지나가는 다리다.
          신백두대간의 끝 금오산(우)에서 연대봉(좌)으로 이어지는 봉우리를 보며 간다.

12 ; 54. 왕지산 끝자락을 넘는 고개. 생태통로. 절개지 콘크리트 벽면 물구멍으로 나온 풀들이 전시작품 같다.

12 : 59. 왕지마을. 왕지 정류소와 마을 표지석. 정자에서 쉬어간다. 방파제에 강태공들이 줄지어 있다.

13 ; 37. 작은 고개를 넘어간다.

13 ; 42. 수원늘 정류소.금오산정상을 땡겨 본다.

13 ; 49. 수원늘 등대. 강태공들이 도로가에 줄지어 낚시를 하고 있다. 잠시 후 남해대교가 보이기 시작한다.

14 ; 13. 지방도 합류 삼거리. 왕지마을 표지석. 여름엔 시원한 벚꽃길이 이어진다.

14 : 18/38. 노량마을 거북선 전시관을 둘러보고.

14 ; 42/46. 길 건너 중턱에 있는 사적 233호인 남해충렬사를 둘러보고 다시 내려와.

14 : 53. 유람선 타는 곳. 맞은편에 있는 엘리베이터를 타고 올라가 우측으로 가면

14 ; 59. 남해대교 남단.

15 ; 03. 남해대교에서 부산에서 오는 시외버스 탐. (\1800x2)

15 : 22. 남해터미널 도착.
           터미널 매점과 2층의 할인마트에서 장보고(\20000) 6층 남해모텔에서 3박.

 

 

06 : 10. 남해 공용터미널에서 설천 노량선 봉우. 용강행 시내버스(\1450x2)

남해터미널에서 각방면 시내버스 시간표.

 

 

06 : 17. 고현면 도마초교앞 도착. 도마교를 건너 19. 77번 국도 도마 교차로를 건너 시멘트 농로따라 내려간다.

고현면 도마초교.

 

도마교 건너 도마교차로.

 

 

 

06 : 29. 2차선 해변도로.망운산을 뒤돌아보고  대국산, 금음산을 보며 좌측으로 간다,

대국산, 금음산.

 

망운산, 도마초교( 도로끝 우측).

 

바다건너편 창선도 대방산.

 

 

06 ; 41. 깨끗하고 예쁜 이동식 화장실.

 

 

 

06 : 46. 도마1교를 건너가며 망운산 남산과 지나온 길을  돌아본다. 아카시아꽃이 활짝 피었다.

도마1교에서 대국산(좌),낙치국산(중),금음산(우).

 

금산(좌)-호구산(납산중)-망운산(우),

 

. 아카시아꽃이 활짝 피었는데 벌들은 안보인다.

 

삼봉산(좌)-대국산성이 있는 대국산(중)-낙치곡산-금음산.

 

바다 멀리까지 새들이 있는걸보니 바다가  얕은가보다 .이곳 남해  바다물은 오염이 안됐는데도 바닥이 흙바닥인지
흙탕물이다.

 

07 ; 08. 동비교를 건너간다

 

뒤돌아 보고

 

07 : 18. 동비2교를 건너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간다. 좌측 지방도로 뒤로 대곡산과 금음산이 보인다.

지방도로 뒤로 대곡산과 금음산.

 

07 : 26. 무명포구. 선착장 뒤로 창선도의 대방산이 건너다 보인다.

창선도의 대방산(우)-속금산-삼천포각산-와룡산(좌)

 

납산을 땡겨보고

 

망운산.

 

07 ; 36. 더왕글램핑장. 도상 주귀섬을 질러간다.

 

 

지귀섬을 질러가면 게섬이 저만치 보이고 

 

07 : 46. 진목마을 어촌계 어장 안내판. 

 

 

바다에서 작업하고 나오면서  씻는곳인듯싶은데 깊이를 재보니 1m는 되나보다.

 

게섬.

 

대곡산과 낙치곡산, 금음산.

 

07 ; 59. 우측으로 2019. 4에 완공된 게섬 다리를 건너 게섬을 다녀온다.

 

 

08 ; 04/18. 게섬.포구에서 창선도 대방산과  삼천포의 와룡산을 건너다보며 쉬고 되돌아 나간다.

 

땡겨본 망운산.

 

뒤 돌아 본 게섬.

 

08 : 36. 갱변마루 고사 갯벌 세족장. 게 섬과 망운산. 대국산성을 당겨보며 간다.

땡겨 본 대국산성.

 

08 : 45. 무명포구. 산모퉁이를 돌아가며 멀리 문항 포구와 상장도, 하장도가 보인다.

 

 

 

 

산모퉁이를 돌아가며 멀리 문항 포구와 상장도, 하장도가 보인다.

 

상장도, 하장도 살개섬.

 

08 ; 58. 모천 갯벌 세족장과 이어 모천 포구.모천마을이 저만치 보인다.

 

 

모천마을.

 

09 ; 09/17. 모천마을 느티나무 쉼터에서 잠시 쉬어간다. 마을 뒤로 금음산이 올려다 보인다.

 

 

모천마을 뒤로 금음산.

 

09 ; 22. 살개섬과 뒤로 창선도 대방산과 삼천포 와룡산, 각산을 바라본다.

살개섬과 뒤로 창선도 대방산과 삼천포 와룡산, 각산을 바라본다.

 

09 ; 33. 생태통로.  개통된 지 오래 안된 듯 도로가 깨끗하다. 좌측 능선엔 큰 규모의 대한불교 문수선원.

 

 

 

 

뒤돌아 보고.

 

윗돌섬(좌). 아랫돌섬.상장도 , 하장도(우)

 

대한불교 문수선원

 

두ㅣ 돌아 본 생태통로(좌).

 

09 ; 52. 문항포구. 상장도 , 하장도가 코앞에 보인다.

상장도 , 하장도.

 

저앞에 다목적체험관.횟집과 수산물 직판장이 보이고

 

09 ; 56. 자전거 라이딩 코스안내도와 쉼터.

 

 

09 ; 58. 다목적체험관.횟집과 수산물 직판장은 문을 닫았다.

 

 

금음산.

 

10 ; 24. 상장도앞. 문항어촌체험 휴양마을. 각종 체험 안내판. 체험장 1~1.5만 원. 장화 대여 2000원.

 

 

 

 

산장도,하장도.

 

1~1.5만 원. 장화 대여 2000원.

 

갯가로 내려가서

 

10 : 41. 마이크로 리조트. 바닷가로 사유지를 통과한다. 도랫섬. 이랫돌섬,윗돌섬을 보며 간다.

 

 

도랫섬(우). 이랫돌섬,윗돌섬(좌)

 

옥동마을.

 

10 ; 58. 옥동 갯벌 세족장을 지나 옥동 정류소. 도랫섬과 상, 하장도 뒤로 창선도와 금산 쪽을 바라본다. 

 

 

 

도랫섬과 상, 하장도 뒤로 창선도와 금산 

좌측끝은 삼천포대교쪽 -창선도 연태산-속금산 -대방산.

 

사천 와룡산(좌)-각산-삼천포대교(우).

 

마개만

 

굴패각집하장(아래 하얀집) 뒤로 국사봉과 하동 금오산(우).

 

11 ; 13. 굴패각집하장. 우측 마개만은 돌아가는 길이 없어  도로 따라 고개를 올라간다.

 

11 ; 17. 봉우 고개. 우측 1차로 능선길을 따라간다.

능선에서 본 마개만과 상,하장도.

 

능선에서 땡겨 본  상,하장도와 뒤로 창선도의 대방산.

 

능선에서 땡겨 본  상,하장도와 뒤로 삼천포의 각산과 와룡산

 

11 : 27. 국사봉과 염섬 뒤로  바다 건너  금오산과 연대봉이 가깝게 보인다.

국사봉(좌) 염섬(우) 뒤로  바다 건너  하동의 금오산(우)과 연대봉(좌)

 

11 : 38. 소년 골마을 포구. 금오산과 연대봉이 가깝게 보인다.

 

11 : 44. 봉우 참굴 갯벌 체험장.

 

 

바다가 얕아 방파제가 멀리까지 나가 있다.

 

11 : 49. 개천. 건너갈 수가 없어 좌측 동흥교로 올라가 도로 따라간다.

 

 

 

동흥교.

 

12 : 04. 동흥 마을회관. 정자. 선인장 재배 밭. 동흥 마을 표지석. 동흥 정류소.
         우측으로 염섬을 돌아가면 좋겠으나 양식장에서 제지를 할지도 몰라 도로 따라 언덕을 넘어간다.

 

 

 

12 : 27. 필경수산 제방둑. 염섬을 돌아 나오는 제방 둑길이다. 양식장의 물레방아는 잘도 돌아간다.

 

 

 

 

 

 

12 ; 34. 강진교. 국사봉(136.2m) 북쪽 끝을 따라 돌아가는 바다 위를 지나가는 다리다.
          신백두대간의 끝 금오산(우)에서 연대봉(좌)으로 이어지는 봉우리를 보며 간다.

 

 

연대봉(좌)-금오산(우).

 

 

 

 

12 ; 54. 왕지산 끝자락을 넘는 고개. 생태통로. 절개지 콘크리트 벽면 물구멍으로 나온 풀들이 전시작품 같다.

 

 

뒤돌아 보고

 

고개너머 왕지마을.

 

12 : 59. 왕지마을. 왕지 정류소와 마을 표지석. 정자에서 쉬어간다. 방파제에 강태공들이 줄지어 있다.

 

 

방파제엔 강태공들이 줄지어  낚시를 하고있다.

 

 

 

 

13 ; 37. 작은 고개를 넘어간다.

 

 

수국인가?

 

13 ; 42. 수원늘 정류소.금오산정상을 땡겨 본다.

 

 

연대봉-금오산.

 

금오산정상을 당겨본다.
낙남정맥 돌고지재위 옥산분기봉에서 시작해서 남해대교까지 오는 신백두대간의 금오산을 2005년 3월과 2005년 9월에 왕복을 하며 고생을 한 추억이 있는 산인데 지금은 케이블카가 올라가고  있단다.

13 ; 49. 수원늘 등대. 강태공들이 도로가에 줄지어 낚시를 하고 있다. 잠시 후 남해대교가 보이기 시작한다.

 

수원늘 등대.

남해대교.

 

 

14 ; 13. 지방도 합류 삼거리. 왕지마을 표지석. 여름엔 시원한 벚꽃길이 이어진다.

 

 

 

 

 

 

 

14 : 18/38. 노량마을 거북선 전시관을 둘러보고.

노량마을. 우측앞쪽이 거북선전시관. 그 뒷쪽이 유람선선착장. 좌측 건물위가 충렬사.

 

 

 

앞 건물뒷쪽이 충렬사.

 

 

 

 

 

 

 

 

 

 

 

 

 

14 ; 42/46. 길 건너 중턱에 있는 사적 233호인 남해충렬사를 둘러보고 다시 내려와.

 

 

 

 

 

 

 

14 : 53. 유람선 타는 곳. 맞은편에 있는 엘리베이터를 타고 올라가 우측으로 가면

 

 

저 엘리베이터를 타고 올라가든지  도로따라 좀더 가서 산책길로 오르든지.

 

엘리베이터앞.

 

14 ; 59. 남해대교 남단.

왼쪼 건물이 전엔  파출소가 있던곳이다. 들고 나는 시외버스가 여기서 선다.
시내버스는 좀전에 들린 거북선저시관앞에서 서는데 자주없고 남해읍 가는데 시외버스편이 빠르다.

 

15 ; 03. 남해대교에서 부산에서 오는 시외버스 탐. (\1800x2)

15 : 22. 남해터미널 도착.
           터미널 매점과 2층의 할인마트에서 장보고(\20000) 6층 남해모텔에서 3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