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 창선도 11(삼동면 물건 방조어부림-화천-전도- 창선교)
◈ 일시 : 2022. 05. 21 (토). 남해안 8차 5박 6일 중 여섯째 날. 귀가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 10.5 km. 4시간 52분.
◈ 동행 : 아내.
◈ 지도.
◈ 트랙.
카카오 맵으로 트랙 보기.
◈ 일정 정리.
06 : 35. 남해터미널에서 지족. 양화금.은점.미조선 602번 시내버스 (\3000X2).
이 버스는 지족을 거쳐 아까 지나온 고개에서 양화금. 청사포를 돌아 이길로 나와 물건리 정류소로 간다.
07 : 21/24. 물건리 정류소 도착. 우측 독일마을로 가는길앞에 정자와 클라인 도이치랜드 조성사업본부
3번국도 건너에 정류소와 바래길, 남파랑길 안내도. 물건마을 입간판 앞 도로 따라 내려간다.
07 : 28. 물건마을회관. 직진해 내려가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간다.
07 : 33. 2002년 3회 아름다운숲 전국대회 우수상 표지석과 안내판. 2006년 잘 가꾼 자연. 문화유산 표지석.
07 ; 35. 천연기념물 150호 남해 물건리 방조어부림. 길이 750m. 폭40m. 17세기에 조성. 우측에 포구.
반달형으로 팽나무, 상수리나무, 느티나무, 이팝나무, 푸조나무인 낙엽수와 상록수인 후박나무 등 300년 된 40여 종류의 수종이 숲을 이루고 있어 천연기념물 제150호로 지정되었다.
07 : 46. 좌측에 미륵암. 잠깐 방조어부림 좌측으로 나가 미륵암을 보고 다시 방조림숲길을 간다.
07 ; 52. 방조어부림끝에서 좌측으로 나가 방조어부림, 물건리. 독일마을을 보고 도로 따라 마을로 올라간다.
07 ; 58. 상동문화마을 표지석. 좌측으로 가며 방조어부림과 물건항, 독일마을을 다시 보며 힘들게 올라간다.
08 ; 12. 고개위 도로 삼거리. 해관암 2km. ←양화금 마을 도로 표지판. 우측은 양화금, 좌측은 3번 국도.
양화금가는 도로를 건너 쭈욱 내려간다. 남파랑길 이정표(물건 방조제 1.4km. 동천 1.8km)
08 : 27. 내동천 보호수(느티나무 350년. 82년 11월). 쉼터에서 쉬고 쉼터 입구에서 좌측으로 간다.
09 ; 02. 동천 마을회관. 마삭줄 꽃이 활짝 핀 담장길을 가며 좌측으로 삼동초교 쪽 마을을 바라본다.
09 : 11. 3번 국도의 동촌 정류소. 동촌마을(도림) 표지석. 도로 따라 동촌교로 화천을 건너가는데
지도는 다리가 살짝 비켜 있다. 다리 건너에서 우측으로 하천둑길을 따라간다.
09 : 33. 금천교. 좌측은 화천. 우측 양화금에서 오는 도로로 아침에 버스 타고 지나간 곳이다.
계속 둑길을 따라간다.
09 ; 39. 꽃내 갯벌체험장. 엄청 많은 양의 장화들이 걸려있다. 좌측으로 꺾어 시멘트 제방길을 간다.
09 ; 44. 3번 국도. 보라. 노랑, 하얀 미국 수레국화꽃들이 만발한 국도를 따라 우측으로 간다.
09 : 51/10 : 09. 둔촌 정류소. 둔촌 갯벌체험장을 지나왔다. 정류소에서 쉬고 계속 국도 따라간다.
우측 바다에는 폐어구들(?)을 산처럼 실은 뗐목배(?)들이 떠있다.
10 ; 13. 둔촌마을로 들어가는 길에 둔촌마을 표지석과 장승.
10 : 15. 갈림길. 도로가 좌측으로 휘어 고개를 올라가는 곳에서 우측 아래 길로 내려가
좌측으로 가며 남해 유스타운, 남해 청소년수련원 건물 앞을 지난다.
10 ; 21. 남해 청소년수련원 본건물. 건물 뒤로 나가 언덕을 올라간다.
10 ; 27. 고개. 좌측 아래에 3번 국도가 지난다. 토종 라일락 정형나무꽃이 활짝 피었다.
10 ; 31. 창선교와 창선도의 대방산과 남해읍 뒤로 망운산을 바라본다.
10 ; 47/11 ; 09. 전도 포구. 구도와 추도와 뒤로 망치산을 보며 쉬어간다.
11 ; 30. 전도교, 금송교를 건너가고
11 : 44. 죽방렴 관람대 입구. 우측으로 바다 위에 떠있는 데크길을 따라 들어가면
11 ; 49. 죽방렴 관람대. 한국의 자연유산 명승으로 2010 지정. 현재 지족해협엔 23개의 죽방렴이 있다.
12 ; 03. 지족 나루터. 죽방 명치 판매장과 멸치쌈밥. 멸치회무침 집.-삼동 보건지소를 지난다.
12 ; 10. 창선교 남단. 바래길 2.5.6코스 안내도. 남파랑길 39코스 안내도.
12 : 15/48. 삼동면사무소 앞. 우리 약국. 대방에서 오는 지족 발 12:53 분차가 5분 일찍 도착(\1800X2)
13 ; 20. 남해터미널 도착. 모텔에 두고 온 짐 찾고 마냥 기다린다. 소나기가 한 줄 금하고 지나간다.
16 ; 00. 남해 출발 대전경유 서울행.(\23100X 2) 진교 경유 대전 18 ; 30 도착.
대전행은 하루 두번 오전에 한번 오후에 한번 있고 대전을 경유해서 서울로 가는데
일주일전에 예약을 해야지 겨우 차표를 구할수있다.
19 ; 00. 대전 (\5400X2) -천안 20 ; 00 도착.
06 : 35. 남해터미널에서 지족. 양화금.은점.미조선 602번 시내버스 (\3000X2).
이 버스는 지족을 거쳐 아까 지나온 고개에서 양화금. 청사포를 돌아 이길로 나와 물건리 정류소로 간다.
07 : 21/24. 물건리 정류소 도착. 우측 독일마을로 가는길앞에 정자와 클라인 도이치랜드 조성사업본부
3번국도 건너에 정류소와 바래길, 남파랑길 안내도. 물건마을 입간판 앞 도로 따라 내려간다.
3번국도 건너에 정류소와 바래길, 남파랑길 안내도.
3번국도 건너에 정류소와 바래길, 남파랑길 안내도.
독일마을 가는길.
물건마을 입간판 앞 도로 따라 내려간다.
물건리와 남해 물건리 방조어부림.
07 : 28. 물건마을회관. 직진해 내려가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간다.
물건마을회관.
07 : 33. 2002년 3회 아름다운숲 전국대회 우수상 표지석과 안내판. 2006년 잘 가꾼 자연. 문화유산 표지석.
여기는 물건리 방조어부림 길이가 1.5km라고 했고
07 ; 35. 천연기념물 150호 남해 물건리 방조어부림. 길이 750m. 폭40m. 17세기에 조성. 우측에 포구.
반달형으로 팽나무, 상수리나무, 느티나무, 이팝나무, 푸조나무인 낙엽수와 상록수인 후박나무 등 300년 된 40여 종류의 수종이 숲을 이루고 있어 천연기념물 제150호로 지정되었다.
바로앞인데 여기는 길이가 반으로 줄어 750m란다.
우측에 포구.
화전별곡길은 여기서 끝난다.
천연기념물 150호 남해 물건리 방조어부림.
팽나무, 상수리나무, 느티나무, 이팝나무, 푸조나무등 이름표가 붙었다.
07 : 46. 좌측에 미륵암. 잠깐 방조어부림 좌측으로 나가 미륵암을 보고 다시 방조림숲길을 간다.
미륵암.
미륵암앞에서 상동문화마을.
천연기념물 150호 남해 물건리 방조어부림.
07 ; 52. 방조어부림끝에서 좌측으로 나가 방조어부림, 물건리. 독일마을을 보고 도로 따라 마을로 올라간다.
07 ; 58. 상동문화마을 표지석. 좌측으로 가며 방조어부림과 물건항, 독일마을을 다시 보며 힘들게 올라간다.
상동문화마을
상동문화마을
방조어부림과 물건항, 뒤는 108.7m봉 .
물건마을, 독일마을. 뒤는 국수산, 무등산.
08 ; 12. 고개위 도로 삼거리. 해관암 2km. ←양화금 마을 도로 표지판. 우측은 양화금, 좌측은 3번 국도.
양화금가는 도로를 건너 쭈욱 내려간다. 남파랑길 이정표(물건 방조제 1.4km. 동천 1.8km)
고개위 도로 삼거리. 해관암 2km. ←양화금 마을 도로 표지판
우측은 양화금, 좌측은 3번 국도.
양화금가는 도로를 건너 쭈욱 내려간다.
남파랑길 이정표(물건 방조제 1.4km. 동천 1.8km).
키위꽃이 피었다.
08 : 27. 내동천 보호수(느티나무 350년. 82년 11월). 쉼터에서 쉬고 쉼터 입구에서 좌측으로 간다.
내동천 보호수(느티나무 350년. 82년 11월).
아직 모내기를 안한곳도 더러있다.
09 ; 02. 동천 마을회관. 마삭줄 꽃이 활짝 핀 담장길을 가며 좌측으로 삼동초교 쪽 마을을 바라본다.
삼동초교 쪽. 호두산(앞)뒤로 남해지맥 582.4m삼각점봉.
09 : 11. 3번 국도의 동촌 정류소. 동촌마을(도림) 표지석. 도로 따라 동촌교로 화천을 건너가는데
지도는 다리가 살짝 비켜 있다. 다리 건너에서 우측으로 하천둑길을 따라간다.
3번 국도의 동촌 정류소. 동촌마을(도림) 표지석.
도로 따라 동촌교로 화천을 건너가는데
지도는 다리가 살짝 비켜 있다.
다리 건너에서 우측으로 하천둑길을 따라간다.
금천교가 보이고.
09 : 33. 금천교. 좌측은 화천. 우측 양화금에서 오는 도로로 아침에 버스 타고 지나간 곳이다.
계속 둑길을 따라간다.
금천교에서 본 좌측 화천마을.
금천교에서 뒤돌아 보고
계속 둑길을 따라간다.
화천이 바다에 드는 곳에서 우측으로 본 노루목.
09 ; 39. 꽃내 갯벌체험장. 엄청 많은 양의 장화들이 걸려있다. 좌측으로 꺾어 시멘트 제방길을 간다.
꽃내 갯벌체험장.
09 ; 44. 3번 국도. 보라. 노랑, 하얀 미국 수레국화꽃들이 만발한 국도를 따라 우측으로 간다.
미국 수레국화꽃들이 만발한 국도를 따라 우측으로 간다.
둔촌갯벌체험장.
09 : 51/10 : 09. 둔촌 정류소. 둔촌 갯벌체험장을 지나왔다. 정류소에서 쉬고 계속 국도 따라간다.
우측 바다에는 폐어구들(?)을 산처럼 실은 뗐목배(?)들이 떠있다.
폐어구들(?)을 산처럼 실은 뗐목배(?)들.
10 ; 13. 둔촌마을로 들어가는 길에 둔촌마을 표지석과 장승.
10 : 15. 갈림길. 도로가 좌측으로 휘어 고개를 올라가는 곳에서 우측 아래 길로 내려가
좌측으로 가며 남해 유스타운, 남해 청소년수련원 건물 앞을 지난다.
남해 유스타운(우), 남해 청소년수련원 (좌).
10 ; 21. 남해 청소년수련원 본건물. 건물 뒤로 나가 언덕을 올라간다.
10 ; 27. 고개. 좌측 아래에 3번 국도가 지난다. 토종 라일락 정형나무꽃이 활짝 피었다.
10 ; 31. 창선교와 창선도의 대방산과 남해읍 뒤로 망운산을 바라본다.
10 ; 47/11 ; 09. 전도 포구. 구도와 추도와 뒤로 망치산을 보며 쉬어간다.
구도와 추도와 뒤로 망치산을 보며 쉬어간다.
전도 포구.
전도 포구에서 삼동면소재지인 지족마을과 청선교.
뒤돌아 본 전도마을.
11 ; 30. 전도교, 금송교를 건너가고
전도마을과 넘어온 고개를 뒤돌아 보고
죽방렴관람대가 보이고
11 : 44. 죽방렴 관람대 입구. 우측으로 바다 위에 떠있는 데크길을 따라 들어가면
11 ; 49. 죽방렴 관람대. 한국의 자연유산 명승으로 2010 지정. 현재 지족해협엔 23개의 죽방렴이 있다.
죽방렴
잡힌 명치들.
설치모습.
생산과정.
죽방렴 조업 과정.
명치크기별 명칭.
죽방렴관람대에서 본 지족마을과 창선교.
죽방렴에서 지나온 전도포구.
12 ; 03. 지족 나루터. 죽방 명치 판매장과 멸치쌈밥. 멸치회무침 집.-삼동 보건지소를 지난다.
삼동보건지소.
창선교.
치뒤로 올라간다.
12 ; 10. 창선교 남단. 바래길 2.5.6코스 안내도. 남파랑길 39코스 안내도.
12 : 15/48. 삼동면사무소 앞. 우리 약국. 대방에서 오는 지족 발 12:53 분차가 5분 일찍 도착(\1800X2)
3 ; 20. 남해터미널 도착. 모텔에 두고 온 짐 찾고 마냥 기다린다. 소나기가 한 줄 금하고 지나간다.
16 ; 00. 남해 출발 대전경유 서울행.(\23100X 2) 진교 경유 대전 18 ; 30 도착.
대전행은 하루 두번 오전에 한번 오후에 한번 있는데 대전을 경유해서 서울로 가는데
일주일전에 예약을 해야지 겨우 차표를 구할수있다.
19 ; 00. 대전 (\5400X2) -천안 20 ; 00 도착.
'섬 둘레길. 해안길 > 남해.창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해. 창선도 13(창선도 대곡-적량-가인세심사-동대만휴게소-곤유-당항) 1 (0) | 2022.07.08 |
---|---|
남해. 창선도 12(창선교-추도공원-보현사-장포포구-대곡마을) (0) | 2022.07.07 |
남해. 창선도 10(천하마을-편백휴양림-독일마을-물건리) 2 (0) | 2022.07.07 |
남해. 창선도 10(천하마을-편백휴양림-독일마을-물건리) 1 (0) | 2022.07.07 |
남해. 창선도 9(상주해수욕장-천하-송정-설리스카이워크-미조항) 2 (0) | 2022.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