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산도 슬로길 6~11 코스(청계리-양지리-신흥 해변-항도-국화리-청산항) 1
◈ 일시 : 2022. 09.21 (수). 남해안 12차 5박 6일 중 셋째 날.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 23.6 km. 9시간 14분.
◈ 동행 : 아내.
◈ 지도
◈ 트랙.
◈ 일정 정리.
05 : 40. 도락리 흙사랑 펜션을 나와
05 : 42/06 :03. 완도항 여객선 터미널 앞에서 06시에 출발하는 버스를 타고
06 : 09. 청계리 정류소 도착. 마을길 따라 청계리 6코스 시작점으로 가서 좌측으로 6코스 구들장 길을 간다.
06 : 19. 우측으로 멀리 원동마을과 신흥 해변 쪽을 보고 좌측으로 꺾어 신풍, 부흥, 양지마을. 대봉산을 보며 간다.
06 : 29/31. 2차선 도로 신풍리 정류소. 신풍마을 표지석. 신풍마을회관. 정자. 우측엔 청산 슬로푸드 가공공장.
06 : 37. 부흥리 입구. 느티나무 2 쉼터.
06 : 42. 부흥리 표지석과 구들장 길 안내판. 좌측 숭모사로.
06 : 47. 숭모사. 귤은 김류(1814~1884) 선생을 배향하는 사당. 서당을 세우고 교육에 힘쓴 분.
돌담길을 따라 백련암 입구로 올라갔다 우측으로 산허리 길을 가며 청계리. 신풍리를 내려다보며 간다.
07 : 09. 양지리 구들장논 체험장 쉼터. 구들장논을 둘러보고. 구들장논은 양지리. 부흥리. 상서리에 있다.
07 : 22. 느림섬 여행학교 슬로시티 청산도 슬로푸드 체험관 안내판. 1층 식당. 2층 펜션. 2차로 따라 우로 가서
07 : 25. 양지마을 표지석과 양지 정류소. 2차로 버리고 좌측 시멘트 하천 둑길 따라
07 : 31. 초막 쉼터.
07 : 56. 중흥리 청산 제일교회 앞다리. 6코스 다랭이길 안내판. 우측으로 꺾어 원동마을로 들어간다.
08 : 04. 원동리 정자 쉼터. 운동기구들. 원동리 표지석. 2차로를 건너 마을을 지나 하천둑길을 간다.
08 : 16/18. 상서 돌담마을 보호수. 느티나무 310년(1982 지정) 7코스 돌담길 시작점. 스탬프 찍는 곳.
08 : 23. 돌담길을 따라 우물 2곳을 지나 오른 상서 돌담 찻집. 코로나로 임시 휴관. 더 올라간다.
08 : 28. 돌담마을 끝 포토죤. 상수도 물탱크. 돌담 찻집 210m. 상서. 원동. 양지. 중흥마을과 대봉산
신흥 해변과 생일도와 조약도 당목항쪽을 바라보고 다시 마을로 내려간다.
08 : 32. 찻집인 청산도 다련재.
08 : 35. 상서마을 2차로. 우측 동촌리 할머니 나무 450m 쪽으로 내려간다. 상서 돌담마을 포토죤 345m.
08 : 40. 2차로 버리고 우측 동촌마을로. 7코스 돌담길 할머니 나무 280m.
08 : 44. 정자와 310년(1982년) 느티나무 보호수. 이정표의 할아버지 나무. 좌측으로 내려간다. 목섬 1.7km.
08 : 48. 수령 180년(1982년 지정) 느티나무 보호수와 정자. 이정표의 할머니 나무다.
08 : 50. 동촌리 마을표지석과 정류소. 2차로를 따라 우측으로 간다. 버스 시간표.
08 : 57/09 : 26. 신흥리 해수욕장. 1박 2일 촬영지. 송림은 청산 해양 치유공원. 뒤의 스마트 치유관 앞에서 휴식.
바다 건너로 남해안의 섬들을 바라본다. 공공근로자들이 바닷가 부유물들을 치우고 있다.
09 : 36. 해변 끝 정자. 목섬 들국화길 표지석. 들국화가 심어진 해안도로를 따라간다. 목섬(항도) 870m.
09 : 48. 방파제 앞. 초막 쉼터. 항도를 보며 방파제를 건너간다.
09 : 55. 항도의 2층 원두막 쉼터. 항도를 우측으로 들어가서 좌측으로 돌아 나온다. 돌아오는데 약 1.9km.40분 소요.
10 : 05. 목섬 삼거리 안부. 목섬 끝까지는 우측 길로 외길이다. 다녀와서는 좌측 길로 나간다.새목아지 반환점 450m.
10 : 19. 목섬 끝.새목아지를 내려다보고 좌측으론 진산 포구 앞의 다랑산과 뒤로 신지도 동구리의 풍차와
생일도의 백운산과 덕우도 매물도 등을 짚어본다.
10 ; 28. 목도 삼거리. 갈 때는 우측으로 가서 나올 때는 좌측으로 나온다.
10 : 37. 다시 돌아온 목도(항도) 초입의 2층 원두막 쉼터. 방파제를 건너 다시 신흥해수욕장으로 간다.
11 : 06. 다시 돌아온 신흥 해변. 신흥리 표지석. 8코스 해맞이 길을 간다. 목도를 다녀오는데 1시간 40분 걸렸다.
11 : 16. 수문을 지나 중흥리 앞. 신흥리 풀등 해변 460m. 상산포 380m. 지나온 길을 돌아보고
11 ; 24. 신흥항 입구. 좌측 2차로 따라 고개를 넘어가며 항도와 생일도, 평일도. 덕우도를 바라본다.
11 : 36. 고개를 넘어간다. 대봉산에서 116.5m로 가는 능선의 고개다. 대봉산 1.7km.
11 : 47. 폐기물 종합처리장.
11 : 51. 노적도 일출전망대 안내판. 덕우도. 황제도. 인매도조망.코앞은 노적도.
12 : 08/30. 진산마을회관 앞 진산 해변 솔밭 쉼터 점심. 슬로길 안내도. 진산리 갯돌해변. 8코스 해맞이길 안내도.
12 : 41. 2차선 도로. 도로 따라간다.
12 : 58. 청산 정수장 입구. 단풍길 시작점. 국화리 입구 750m. 진산리 해변 1.57km. 양쪽으로 단풍나무터널이 이어진다.
13 : 06. 고개 넘어 쉼터. 메밀밭이다. 신지도의 상산과 완도의 상황산 줄기를 바라본다.
13 : 18. 국화리 정류소. 청산도 최북단이다. 국화리 포구 뒤로 신지도의 상산과 동고리의 풍차를 바라본다.
13 ; 30. 74m 밑.
13 : 38. 단풍나무 터널을 지난다.
13 : 56. 지리 고개.ㅡ지리 경로당.
14 : 00. 지리 정류소. 도청-진산(하루 5번). 도청-권덕 (하루 두 번) 버스 시간표.
14 : 09. 지리마을 표지석. 10코스 노을길 시작점. 2차로 버리고 우측으로 내려가 지리 해변으로 간다.
14 : 17. 지리 해수욕장. 지리해수욕장 안내판. 10코스 안내판. 해수욕장을 가로질러 간다. 앞은 장도.
14 : 25. 좌측 해안도로로 올라 도로 따라간다.
14 : 29. 지리 포구 뒤 산길 초입. 시멘트길을 따라 산언덕을 올라간다.
14 : 38. 고래 지미. 뒤로 장도를 바라본다.
14 : 43. 원두막 쉼터를 지나 전망 쉼터. 노을길 안내판. 계속 시멘트길 따라 산 모랭 이를 돌아 내려간다.
14 : 52. 2차로에 올라서 따라간다. 고래 지미 740m. 11코스 미로길 시작점. 130m.
14 : 55. 11코스 미로길 시작점. 2차로와 작별하고 좌측 청산중학교쪽으로 도청리 뒷등 길 고개를 올라간다.
15 : 01. 청산중학교 입구에서 우측으로 내려온 느티나무(330년. 1982) 보호수와 쉼터.
15 : 11. 미로길 파시 문화거리.-향토 역사문화 전시관(느림 카페) 입구.
15 : 15. 청산항 1코스 미항 길 시작점이며 11코스 종점. 배 타려는 사람들이 줄지어 있다.
어제저녁에 펜션 사장님이 내일 출항할 땐 전화 주면 짐을 갖다 주겠다고 하셔서
급하게 전화를 걸고 15 : 40분 배표를 끊고 잠시 후에 펜션 사장님이 오셔서 바로 승선.
15 : 40. 청산항 출항(\6400*2. 들어갈 땐 \7100). 매점에서 음료수와 아이스크림 \13000
16 : 30. 완도 여객선 터미널 하선. 걸어서 하나로마트에 가서 장보고(\31000)
XYM모텔에 가서 가방 두고 슬슬 걸어가서 청솔 가든에서 연잎밥정식으로 저녁(\18000*2) 먹고
XYM모텔에서 3박
05 : 40. 도락리 흙사랑 펜션을 나와
05 : 42/06 :03. 완도항 여객선 터미널 앞에서 06시에 출발하는 버스를 타고
버스를 기다리며 본 도락리해변.
한옥펜션 입구. 별도의 정류소는 안보이나 손을들면 버스가 선단다.
06 : 09. 청계리 정류소 도착. 마을길 따라 청계리 6코스 시작점으로 가서 좌측으로 6코스 구들장 길을 간다.
청계리 정류소 도착. 보이는 동네가 청계리. 당리 서편제입구와 읍리마을을 지나 산을 넘어가면 바로 청계리다.
청계마을의 6코스 시작점.
저아래 보이는 동네가 신풍마을.
06 : 19. 우측으로 멀리 원동마을과 신흥 해변 쪽을 보고 좌측으로 꺾어 신풍, 부흥, 양지마을. 대봉산을 보며 간다.
원동마을과 신흥해변. 해가 뜨려나 보다.
좌측으로 꺾어 신풍, 부흥, 양지마을. 대봉산을 보며 간다.
버스가 넘어온 고개. 계단식 놈에 벼들이 누렇게 익어간다.
06 : 29/31. 2차선 도로 신풍리 정류소. 신풍마을 표지석. 신풍마을회관. 정자. 우측엔 청산 슬로푸드 가공공장.
우측에 보이는 건물이 마을회관과 정류소.
우측 정자는 가로가 4칸이라 넓어서 동네 회의를해도 되겠다.
우측엔 청산 슬로푸드 가공공장.
마을회관과 경로당(우).
하늘이 높고 푸른게 가을을 알린다.
06 : 37. 부흥리 입구. 느티나무 2 쉼터.
낮은 돌담엔 호박이 매달리고
06 : 42. 부흥리 표지석과 구들장 길 안내판. 좌측 숭모사로.
06 : 47. 숭모사. 귤은 김류(1814~1884) 선생을 배향하는 사당. 서당을 세우고 교육에 힘쓴 분.
돌담길을 따라 백련암 입구로 올라갔다 우측으로 산허리 길을 가며 청계리. 신풍리를 내려다보며 간다.
숭모사. 문은 닫혀있어 대문틈으로 들여다 보고.
여기서 우측으로 . 백련사 500m.
우측 아래로 신풍리와 청계리가 내려다 보이고. 좌측산이 청산도에서 제일높은 매봉산(387.7m). 우측산이 보적산(334.7m).
양지리로 들어서고
07 : 09. 양지리 구들장논 체험장 쉼터. 구들장논을 둘러보고. 구들장논은 양지리. 부흥리. 상서리에 있다.
양지리 구들장논 체험장 쉼터.
구들장논. 우측 유리바스는 모형도.
구들장논 수문.
07 : 22. 느림섬 여행학교 슬로시티 청산도 슬로푸드 체험관 안내판. 1층 식당. 2층 펜션. 2차로 따라 우로 가서
07 : 25. 양지마을 표지석과 양지 정류소. 2차로 버리고 좌측 시멘트 하천 둑길 따라
07 : 31. 초막 쉼터.
07 : 56. 중흥리 청산 제일교회 앞다리. 6코스 다랭이길 안내판. 우측으로 꺾어 원동마을로 들어간다.
우측길로 내려와서 좌측길로
동촌마을-상서마을-원동마을.
08 : 04. 원동리 정자 쉼터. 운동기구들. 원동리 표지석. 2차로를 건너 마을을 지나 하천둑길을 간다.
08 : 16/18. 상서 돌담마을 보호수. 느티나무 310년(1982 지정) 7코스 돌담길 시작점. 스탬프 찍는 곳.
스탬프 찍는곳.
돌담길.
돌담길.
우물.
08 : 23. 돌담길을 따라 우물 2곳을 지나 오른 상서 돌담 찻집. 코로나로 임시 휴관. 더 올라간다.
08 : 28. 돌담마을 끝 포토죤. 상수도 물탱크. 돌담 찻집 210m. 상서. 원동. 양지. 부흥마을과 대봉산
신흥 해변과 생일도와 조약도 당목항쪽을 바라보고 다시 마을로 내려간다.
돌담마을 끝 포토죤.
상서(좌). 원동(가운데 앞). 양지(가운데 뒤). 중흥마을(우)과 대봉산(가운데 우측 뾰족봉)
돌담마을 끝 포토죤에서 본 신흥해변과 뒤로 생일도(우). 그 맞은편에 약산면의 당목항.
08 : 32. 찻집인 청산도 다련재.
찻집인 청산도 다련재.
찻집인 청산도 다련재.
다련재앞에서 수수밭 넘어로 본 신흥해변과 바다 건너 생일도(높은산이 백운산).
08 : 35. 상서마을 2차로. 우측 동촌리 할머니 나무 450m 쪽으로 내려간다. 상서 돌담마을 포토죤 345m.
08 : 40. 2차로 버리고 우측 동촌마을로. 7코스 돌담길 할머니 나무 280m.
08 : 44. 정자와 310년(1982년) 느티나무 보호수. 이정표의 할아버지 나무. 좌측으로 내려간다. 목섬 1.7km.
할아버지 나무.
소라 민박집앞에 높게 걸려있는 생선들. 고양이들 때문에 남아 나는게 없겠다.
08 : 48. 수령 180년(1982년 지정) 느티나무 보호수와 정자. 이정표의 할머니 나무다.
할머니 나무.
08 : 50. 동촌리 마을표지석과 정류소. 2차로를 따라 우측으로 간다. 버스 시간표.
동촌리 마을표지석과 정류소.
버스정류소에 그려진 청산도 역사.
도청항(청산항)에서 하루 9번 버스가 신흥해변까지 왔다 간다.
08 : 57/09 : 26. 신흥리 해수욕장. 1박 2일 촬영지. 송림은 청산 해양 치유공원. 뒤의 스마트 치유관 앞에서 휴식.
바다 건너로 남해안의 섬들을 바라본다. 공공 근로자들이 바닷가 부유물들을 치우고 있다.
신흥리 해수욕장.
7코스 돌담길, 들국화길 안내도.
치유공원 뒤의 스마트 치유관.
1. 스마트 치유관. 2. 족욕 치유장. 3. 소리 치유관. 4. 향기 치유관. 5. 해조류 치유관 6. 허브 맥반석 치유관. 7. 해수미스트 치유관.
족욕 치유장.
소리 치유관.
완도 해양 치유공원.
신흥 해수욕장에서 본 남해안의 섬들.
공공 근로자들이 바닷가 부유물들을 치우고 있다.
신흥해변을 뒤돌아 보고
저앞에 정자가 보이고 모래사장 뒤로 생일도가 보인다.
오후에 넘어갈 고개와 신흥항(우).
09 : 36. 해변 끝 정자. 목섬 들국화길 표지석. 들국화가 심어진 해안도로를 따라간다. 목섬(항도) 870m.
뒤 돌아 본 싱흥해변. 모래가 안쪽까지 들어와있어 배가 드나들긴 어렵겠다.
좀전에 꼬마하고 엄마가 차에서 내려 모래밭으로 가서 호미로 뭔가를 캐보고 있다.
한쪽에 들국화를 심었다.
오후에 넘어갈 고개와 다량산(우측끝).
다량산끝자락(좌)과 조약도(좌), 생일도(우)
09 : 48. 방파제 앞. 초막 쉼터. 항도를 보며 방파제를 건너간다.
항도(項島). 목덜미 항자를 써서 목아지 또는 목도라고 한다.
09 : 55. 항도의 2층 원두막 쉼터. 항도를 우측으로 들어가서 좌측으로 돌아 나온다. 돌아오는데 약 1.9km.40분 소요
목섬을 우측으로 들어가서 좌측 이길로 나온다.
뒤돌아 본 풍경 1. 방파제
뒤돌아 본 풍경 2. 신흥해변-대봉산-신흥항.
뒤돌아 본 풍경 3. 진산포구(중)-다량산(194.5m)-노적도(맨 우측).
새목아지가는 길 초입. 지팡이 두는곳을 동행자 계실곳이라 적었다.
10 : 05. 목섬 삼거리 안부. 목섬 끝까지는 우측 길로 외길이다. 다녀와서는 좌측 길로 나간다.새목아지 반환점 450m.
목섬 삼거리.
10 : 19. 목섬 끝.새목아지를 내려다보고 좌측으론 진산 포구 앞의 다랑산과 뒤로 신지도 동구리의 풍차와
생일도의 백운산과 덕우도 매물도 등을 짚어본다.
목섬의 끝자락 새목아지.
목섬의 끝자락 새목아지에서 본 좌측 생일도.
다량산과 노적도
신지도의 끝 동고리 뒤의 풍력발전소.
2부로
'섬 둘레길. 해안길 > 완도군의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완도 생일도(완도군 생일면 서성항-금곡리-용출항-서성항) 1 (0) | 2022.10.10 |
---|---|
청산도 슬로길 6~11 코스(청계리-양지리-신흥 해변-항도-국화리-청산항) 2 (1) | 2022.10.05 |
청산도 슬로길 1~5 코스(청산항-서편제 촬영지-범바위-청계리) 2 (1) | 2022.10.05 |
청산도 슬로길 1~5 코스(청산항-서편제 촬영지-범바위-청계리) 1 (1) | 2022.10.05 |
완도 해안길 4 (완도읍 대창 2구-청해진 유적지-신지대교-완도항) 2 (1) | 2022.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