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남해안길

남해안길 60. 남파랑 79( 장흥용산원등-정남진전망대-회진대리) 2

부산 오륙도 해맞이 공원에서 해남 땅끝탑까지 131일 차.

 

남해안길 60. 남파랑 79(  장흥용산원등-정남진전망대-회진대리) 2

                                

◈ 일시 : 2023.  03. 08 (수). 남해 해안. 섬 26차(남해안 15차)  8박 9일 중 여섯째 날. 

               장흥 회진. 미세먼지 나쁨.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 25.6 km. 8시간 26분.


◈ 동행 : 아내는 무릎 보호차 쉬고 혼자


◈ 지도.

 

 

 

 

 

 

 

 

 

 

 

 

 

 


◈ 트랙.


다운로드
남해안60(장흥용산원등 ㅡ회진대리)2023-03-08 0857.gpx
0.13MB

 

 

카카오 맵으로 트랙 보기.



◈ 일정 정리.

 

엊그제 몸살이 나서  보성에서 약을 먹고 땀을 내야 하는데 난방이 시원찮아 전기장판으로 겨우 잠이 들었는데

어제 종일 몸이 시원찮더니  저녁에 약 먹고 땀을 내고 잤다. 

아내가 고생하지 말고 올라오라고 해서 밤에 차편을 열어보니 한 시간에 두 번꼴로 광주 가는 차가 있어
오늘은 늦이감치 일어나 터미널로 가서 차시간을 보니 서울. 구례 쪽 시간표만 있고 광주 가는 차 시간표가 없다.
밤에 본 시간은 장흥이 아니라 고흥에서 광주가는 차시간을 본 것이다.

포기하고 원등가는 차시간을 보니 1시간 이상을 기다려야겠다. 택시를 타고 원등으로 가서 일정을 시작한다.

 

08 : 22. 모텔에서 미숫가루와 과일로 요기를 하고 장흥의 리버스 모텔을 나와

08 : 38/40. 장흥 터미널.

08 : 57. 택시 타고 원등마을 도착.(₩13900). 원 등 정류소. 원등마을 표지석. 원등마을회관. 도로 따라간다.

09 : 03. 덕암교를 건너 남파랑길은 좌측으로 돌아가나 그냥 도로 따라가서

09 ; 18. 돌아온 남파랑길을 만나고 이어 농어두마을 표지석.-농어두마을 정류소.

09 : 36. 풍길 삼거리.풍산길지 풍길마을 표지석. 풍길정류소.우측은 용산면(蓉山). 좌측 관산. 남포로 간다.

09 ; 43. 두암마을 표지석과 두암정류소. 지방하천 두암천 표지판.-우측 위로 두암제둑과 노승산을 바라본다.

09 ; 50. 좌측으로 어제 지나간 해창제방과 해창마을을 바라본다.

09 : 52. 신풍마을 표지석과 신풍 정류소.

09 : 58. 남파랑길 트랙은 우측으로 올라가 고개를 넘어가는데 표지기는 계속 도로 따라  솔개재를 넘어간다.

10 ; 01. 솔개재. 남포수산 입간판. 넘어가며 멀리 장재도에서 남포로 가는 정남진대교와
               사촌마을에서 장재도로 들어가는 사촌제방의 장재교가 보인다.

10 : 15. 남파랑길은 도로 따라 직진해 산정 삼거리로 가고 나는 소등섬을 보기 위해 좌측 묵은 수렛길로 내려간다. 

10 : 28. 대밭을 빠져나가 시멘트길. 좌측에 집 하나.

10 : 33. 시멘트길을 잠시 가다 시멘트길 끝에서 전봇대 뒤로 논두렁을 건너고

10 : 36. 논두렁 끝에서 우측으로 물도랑을 건너 좌측 묘지 가는 산길로 올라간다.

10 : 38. 둘레석을 두른 묘 2기에서 잡목을 헤치고 건너편 고개 위로 올라간다.

10 : 43. 매봉산(87.6m)에서 88m로 가는 고개를 넘어간다. 다행히 흐릿한 묘지길 따라 소등섬을 보며 내려간다.

10 : 51. 남포해안. 좌측 장재도에서 정남진 대교를 건너온 819번 지방도를 따라 우측으로 간다.

10 : 54/11. 소등섬 앞 정자. 소등섬 안내판. 잠시 쉬어 앞 전망대로 올라간다.

11 : 12. "소등섬의 빛" 조형물. 소등섬과 득량도를 바라본다.
            오늘 만조시간이 10 : 47.이라 소등도 들어가는 길은 물속에 잠겼다. 멀리 장관도를 보고 도로 따라간다.

11 : 21. 정남진 비."축제" 촬영장소 비. 남포 정류소. 소등섬을 뒤돌아 보고 우측으로 도로 따라간다.

11 : 29. 소등섬권역 종합문화 복지센터. 상발보건진료소.

11 : 30. 산정 삼거리. 남파랑길을 다시 만나  좌측으로 도로 따라간다. 산정정류소. 소등섬 0.5km 표지판.

11 : 34. 삼거리. 직진은 관산. 천관산. 좌측 장흥 노력항. 정남진. 죽청리 방향으로 간다.

11 : 42. 고개를 넘어간다.

11 : 51. 상발 선착장 입구. 높은 전망타워. 상발 선착장 뒤로 자라섬과 장관도를 보고
                  우측에 까막재 고개를 넘어온 남파랑 구 길을 만나 도로 따라 같이 간다.

11 : 59. 상발 선착장. 자라섬. 득량도. 소록도. 장관도를 바라본다

12 : 18. 장관도 당겨보고.

12 : 26. 천관산과 소산봉 당겨보고

12 : 27. 고마 2 방조제와 소산봉. 장관도를 바라본다.

12 : 34/43. 신월 선착장 정자. 앞쪽엔 죽청 정류소. 잠시 쉬어간다.

12 : 44. 좌측으로 죽청외 제방을 건너가며 동촌마을과 승주봉을 바라보며 간다.

12 ; 52. 제방 끝 죽청 배수장 앞 죽청포 삼거리. 우측은 관산. 천관산. 좌측 정남진. 회진으로 간다.
             남파랑길 시점(원등마을) 10km. 종점 회진 16km. 득량도와 신월선착장. 장관도를 보며 간다.

13 ; 00. 좌측으로 고마 2호 방조제를 건너가며 우측으로 천관산과 소산봉을 보며 간다.

13 ; 05. 방조제 끝. 승주봉, 노승봉을 뒤돌아 보고 우측으로 간다.

13 ; 08. 포두마을 조형물과 포두 정류소. 고마 3구 경로당.-남파랑길 시점 12km 종점 15km.

13 : 10. 장환도 입구에서 우측으로 간다.

13 : 18. 관산제방길은  잡풀이 무성해  관산제방 아래  819 지방도를 따라  우측으로 건너간다.

13 ; 31. 제방 끝 고마 1교에서 좌측으로 산아래 지방도를 따라가며 장관도를 바라본다.

13 ; 40. 지정 선착장. 멀리 사금 선착장 쪽을 바라본다.

13 : 44/53. 신동 2구 선착장.. 정남진 표지석과 쉼터 장관도를 바라본다. 건너편 사금 선착장을 바라본다.

14 : 05. 사금마을. 길쭉한 정남진 사금마을 표지석. 사금마을 유래. 사금권 어촌체험마을 안내도.

14 : 11. 사금 선착장. 정자. 지나온길과  장환도  멀리 호남정맥의 일림산과 득량도. 고흥의 녹동항. 소로도. 거금도를 바라본다.

14 ; 25. 2차로와 나란히 가는 얕은 제방길인  삼산 방조제를 건너간다. 입구에 정자와 소설가 이승우 문학지도 안내판.
        우측 삼산호 뒤로 천관산과 삼산방조제 끝의 육지가 된 우산도의 정남진 전망대를 바라본다.

14 : 38. 준공기념비. 2002.08~2009. 12 준공. 총 사업비 542억 8600만 원. 간척지 개발면적 294(농지 204) ha.

14 : 57. 고흥 녹동항과 소록대교. 소록도. 거금도를 바라본다.

15 ; 10. 삼산 방조제 끝. 10층 높이의 정남진 전망대를 보며 삼산 배수갑문을 건너 우측으로  조금 가면

15 ; 13. 정남진 전망대 입구. 정남진 전망대 안내판. 우산도 관광 안내도. 긴 데크 계단을 올라간다. 전망대 0.2km.

15 ; 29.  정남진 전망대. 입장료 일반 2000. 경로 무료. 관람시간 3~10월. 09.00 ~20.00. 11~2월. 09 00~19.00.

15 ; 39. 정남진 전망대 10층. 한 바퀴 돌며 사방을 둘러본다.

16 ; 04. 안중근의사 동상.

16 ; 13. 정자 앞 삼거리. 우측으로 내려간다.

16 ; 16. 분수공원.

16 ; 18.  정남진 테마 숲공원 입간판. 2차로를 따라간다.

16 : 23. 좌측으로  제방 아래길을 따라 돌의도(突衣島)로 간다.

16 ; 26. 제방 끝에서  정남진 전망대와 바다 건너편의  고흥의 녹동항과 소록도. 거금대교와 거금도 금당도를 바라고 마을길로

16 ; 28.   돌의도의 우도 경로당.

16 ; 33. 좌측으로 완도의 금당도를 보며 관덕 방조제 밑의 길을 따라 방조제를 건너간다.

16 ; 49. 관덕방조제 건너편. 남파랑길 이정표(회진면사무소 3.8km. 신상마을 0.7km) 시점까지 21km. 종점까지 5.3km.
             정남진 전망대. 거금대교를 보며 좌측으로  819 지방도를 따라간다.

17 ; 00. 신상마을 입구 삼거리. 좌측은 신상리 선착장 가는 길. 우측으로 간다.

17 : 09. 언덕 위. 신상 정류소. 250년(1982 지정) 은행나무 보호수. 신상마을 안내판. 들돌의 전설. 신상경로당.

 17 : 11. 신상 1구 출신 전물 호국용사 현충비.

17 ; 12. 2.3 오정과 독립자금헌정 기념비.

17 ; 14. 신상정류소. 이 마을 출신 소설가 한승원 안내판.

17 ; 18. 대신 보건 진료소.

17 : 19. 우측으로 한승원 생가 0.47km. 직진 노력항 6.4km. 뒤로 우산도 전망대  4.2km 이정표.
            남파랑길 79트랙은 여기서 우측으로 들어가서 214,1m봉밑 한재고개를 넘어 회진항으로 간다.

17 : 22. 안녕히 가십시오 신덕마을 표지석. 어서 오십시오. 대리마을 표지석.

17 : 23/27. 명덕교회 앞 대리 정류소. 방금 신상리로 버스가 들어갔으니 빨리 정리하고 돌아오는 버스를 탔다(950).

17 : 33. 회진면 회진항 앞에 있는 하나로 마트 앞에서 내려 마트에서 장보고

17 : 44. 휘게텔 모텔.

17 : 47. 회진 시외버스 터미널과 바로 앞에 있는  회령진성의  남파랑길 80코스 시점 안내판과 이청준. 한승원. 회룡포 안내판.

17 : 55. 다시 휘게텔로 돌아가서 숙소에 짐풀고 옆 영시식당에서 김치찌게(8000)로 저넉먹고 휘게텔 모텔에서 1박(35000)

 

 

1부에 이어

 

13 : 18. 관산제방길은  잡풀이 무성해  관산제방 아래  819 지방도를 따라  우측으로 건너간다.

 관산제방 아래  819 지방도를 따라  우측으로 건너간다.

 

 

도로에서 수다떨고있는 두 할망구. 차가와도 꿈쩍도 않고 ...

 

 

13 ; 31. 제방 끝 고마 1교에서 좌측으로 산아래 지방도를 따라가며 장관도를 바라본다.

 

관산제방끝에서 뒤 돌아 본 관산제방과  장관도 들어가는길.

 

장관도.

 

진행방향.

 

 

13 ; 40. 지정 선착장. 멀리 사금 선착장 쪽을 바라본다.

지정 선착장.

 

 

13 : 44/53. 신동 2구 선착장.. 정남진 표지석과 쉼터 장관도를 바라본다. 건너편 사금 선착장을 바라본다.

 

건너편 사금 선착장.

 

 

14 : 05. 사금마을. 길쭉한 정남진 사금마을 표지석. 사금마을 유래. 사금권 어촌체험마을 안내도.

 

 

 

14 : 11. 사금 선착장. 정자. 지나온길과  장환도  멀리 호남정맥의 일림산과 득량도. 고흥의 녹동항. 소로도. 거금도를 바라본다.

사금 선착장. 정자.

 

사금 선착장. 정자앞에서 본 장환도.

 

사금 선착장. 정자앞 돌.

 

사금 선착장에서 고흥의 녹동항과 소록도쪽

 

사금 선착장 정자

사금 선착장에서 득량도와 장관도끝.

 

사금 선착장에서 소록도와 거금도.

사금 선착장에서 완도 금당도.

 

 

14 ; 25. 2차로와 나란히 가는 얕은 제방길인  삼산 방조제를 건너간다. 입구에 정자와 소설가 이승우 문학지도 안내판.
        우측 삼산호 뒤로 천관산과 삼산방조제 끝의 육지가 된 우산도의 정남진 전망대를 바라본다.

삼산 방조제.

 

 

소설가 이승우 문학지도 안내판.

 

 우측 삼산호 뒤로 천관산.

 

삼산방조제 끝의 육지가 된 우산도의 정남진 전망대.

14 : 38. 준공기념비. 2002.08~2009. 12 준공. 총 사업비 542억 8600만 원. 간척지 개발면적 294(농지 204) ha.

 

 

14 : 57. 고흥 녹동항과 소록대교. 소록도. 거금도를 바라본다.

10층 높이의 정남진 전망대.

 

 

뒤돌아 보고

 

쭈~욱 당겨본  고흥 녹동항과 소록대교.

 

매생이를 띁고있는 주민돠 뒤로 득량도

 

 

금당도.

 

 정남진 전망대.

 

 

15 ; 10. 삼산 방조제 끝. 10층 높이의 정남진 전망대를 보며 삼산 배수갑문을 건너 우측으로  조금 가면

 

 

15 ; 13. 정남진 전망대 입구. 정남진 전망대 안내판. 우산도 관광 안내도. 긴 데크 계단을 올라간다. 전망대 0.2km.

 

 

 

 

15 ; 29.  정남진 전망대. 입장료 일반 2000. 경로 무료. 관람시간 3~10월. 09.00 ~20.00. 11~2월. 09 00~19.00.

정남진 전망대.

 

 

 

 

15 ; 39. 정남진 전망대 10층. 한 바퀴 돌며 사방을 둘러본다.

10층 전망대.

 

 

 

 

정남진 전망대 10층 전망대에서 본 천관산.

 

정남진 전망대 10층 전망대에서 본 갈 방향의 돌의도(우).  관덕방조제와 소회도(중). 신상리(좌)

 

정남진 전망대 10층 전망대에서 본 발밑의 분수대공원.

 

정남진 전망대 10층 전망대에서 본 발밑의 삼산 선착장.

 

 

거금도와 연홍도(우앞).

 

녹동항(좌)과 소록도.

 

당겨본 녹동항과 소록대교.

 

1층 안내소.

 

정남진 전망대앞.

 

정남진 전망대 앞. 안중근의사동상(우)

16 ; 04. 안중근의사 동상.

 

 

 

 

16 ; 13. 정자 앞 삼거리. 우측으로 내려간다.

 

 

16 ; 16. 분수공원.

 

 

16 ; 18.  정남진 테마 숲공원 입간판. 2차로를 따라간다.

 

 

16 : 23. 좌측으로  제방 아래길을 따라 돌의도(突衣島)로 간다.

제방끝

돌의도의 46.1m봉.

 

16 ; 26. 제방 끝에서  정남진 전망대와 바다 건너편의  고흥의 녹동항과 소록도. 거금대교와 거금도 금당도를 바라고 마을길로

제방끝에서 본 금당도(우)와 고금도(좌)

 

 

제방끝에서 뒤 돌아 본 정남진전망대.

녹동항. 소록대교(좌)와 소록도 -고금대교(우).

 

 

16 ; 28.   돌의도의 우도 경로당.

우도 경로당.

 

 

16 ; 33. 좌측으로 완도의 금당도를 보며 관덕 방조제 밑의 길을 따라 방조제를 건너간다.

관덕방조제

 

 

16 ; 49. 관덕방조제 건너편. 남파랑길 이정표(회진면사무소 3.8km. 신상마을 0.7km) 시점까지 21km. 종점까지 5.3km.
             정남진 전망대. 거금대교를 보며 좌측으로  819 지방도를 따라간다.

 

 

17 ; 00. 신상마을 입구 삼거리. 좌측은 신상리 선착장 가는 길. 우측으로 간다.

좌측 신상리 선착장과 뒤로 거금도. 금당도(우)

 

우측으로

 

 

17 : 09. 언덕 위. 신상 정류소. 250년(1982 지정) 은행나무 보호수. 신상마을 안내판. 들돌의 전설. 신상경로당.

 

250년(1982 지정) 은행나무 보호수

 

 

 

 

 17 : 11. 신상 1구 출신 전물 호국용사 현충비.

 

 

17 ; 12. 2.3 오정과 독립자금헌정 기념비.

 

 

17 ; 14. 신상정류소. 이 마을 출신 소설가 한승원 안내판.

 

 

17 ; 18. 대신 보건 진료소.

 

 

17 : 19. 우측으로 한승원 생가 0.47km. 직진 노력항 6.4km. 뒤로 우산도 전망대  4.2km 이정표.
            남파랑길 79트랙은 여기서 우측으로 들어가서 214,1m봉밑 한재고개를 넘어 회진항으로 간다.

 

 

17 : 22. 안녕히 가십시오 신덕마을 표지석. 어서 오십시오. 대리마을 표지석.

 

 

17 : 23/27. 명덕교회 앞 대리 정류소. 방금 신상리로 버스가 들어갔으니 빨리 정리하고 돌아오는 버스를 탔다(950).

 

대리 정류소.

 

 

17 : 33. 회진면 회진항 앞에 있는 하나로 마트 앞에서 내려 마트에서 장보고

17 : 44. 휘게텔 모텔.

 

 

 

17 : 47. 회진 시외버스 터미널과 바로 앞에 있는  회령진성의  남파랑길 80코스 시점 안내판과 이청준. 한승원. 회룡포 안내판.

 

 

 

 

 

남파랑길 79코스가 넘어온 한재고개.

 

17 : 55. 다시 휘게텔로 돌아가서 숙소에 짐풀고 옆 영시식당에서 김치찌게(8000)로 저넉먹고 휘게텔 모텔에서 1박(35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