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슬지맥 4구간[팔조령(30번국지도)-삼성산-통점령-헐티재(902번도로)].
802m봉 헬기장에서 본 최정산(最頂山.905m)과 887.9m,889m봉.
지맥은 최정산쪽으로 안가고 좌측 언덕에서 좌측능선으로 내려간다.
802m봉 헬기장에서 본비슬산으로 이어지는 지맥모습.
우측 언덕이 최정산 분기점이고 좌측뒤로 보이는 산은 비슬산에서 청룡산으로 가는 청룡지맥의 880m봉이고
가운데 줄기가 비슬지맥으로 좌측 가운데 나무뒤가 590..5m,그앞봉이 688.6m,676.4m이고
좌측상단쪽에 헐티재,비슬산이 있는데 안보인다.
◈ 산행코소와 거리 및 소요시간. 도상거리 17.8km . 6시간 20분.(휴식 포함).
팔조령(30번국지도)-0.8km(13분)-봉화산(473.5m)-1.4km(24분)-584.6m-2.3km(50분)-삼성산(668.4m)-1.5km(25분)-우록재-
1.9km(26분)-밤태재(방치재)-1.6km(30분)-698.2m-1.4km(29분)-802m봉-1km(15분)-최정산 분기점(730m)-2.2km(31분)-590.5m-
1.2km(23분)-688.6m-0.7km(19분)-윙계재(원계재)-1km(23분)-676.4m-0.8km(16분)ㅡ헐티재(902번도로).
◈ 일시 :2009. 8. 16(일).
◈ 개요.
팔조령(30번국지도) 고갯마루의 산장휴게소뒤 수렛길을 따라 시작되는 4구간은 전반적으로 길이 양호하고
잔봉들을 우회하는 우회길이 잘나있고 엎다운이 심하지 않아 거리에 비해 시간이 덜 걸린다.
584.6m,802m 헬기장,통점령,최정산분기점등에선 조망이 트여 갈길은 물론 주변산들을 둘러볼 수 있다.
오늘구간중 길조심할곳을 몇군데 든다면 제일 잘못들기쉬운곳은 실질적인 통점령안부에서
살짝 올라선 최정산갈림길에서 직진해 넘어가야하는데 우측 수렛길을 따라최정산쪽으로 가기쉽다.
다음으론 삼성산 오름길에 좌측으로있는 갈림길이 우회길인가 싶지만 하산길이다.
최정산분기점을 지나서 590.5m봉 넘어까진 방화선길만 따라가면되고
마지막으로 윙계재(원계재)지나서 676.4m오름길직전 안부에서 좌측으로 있는 길도
676.4m봉을 우회하는길 같지만 이길은 송이채취하러 다니는길이다.
◈ 인원 : 요맥회원 11명.
강형태회장님.최평칠님.심용보님.문정남님.최덕조님.정한규님.현주환님.홍완섭님.정송자님.이수일님 그리고 나.
◈ 날씨 : 복중이나 날씨는잔뜩 흐렷으나 바람기가 있어 산행하긴 괜찮음.
◈ 지도 :영진 5만지도P 410대구 달성. P 411 청도 경산. 국토 지리원 확대본.

비슬지맥 4구간[팔조령(30번국지도)-삼성산-통점령-헐티재(902번도로)].지도.
클릭하면 원본이 뜹니다.
◈ 일정정리.10 :38~17 : 00. 6시간 22분.
06 : 40.사당출발.
07 : 35. 천안통과.
10 : 30/38. 팔조령 고개위 산장휴게소뒤로 수렛길따라 오름.
10 :42. 첫봉.418.3m 표찰과 산불초소.넘어쪽에 북봉대 안내판 있음.
10 : 51. 봉화산(473.5m).준희님 표찰.우로 꺽임.
11 : 15/6. 584.6m.우측 바위위에 삼각점(청도 310)과 표찰있음.우측계곡 마을풍경 좋음.
11 : 18/20. 건너편 조망바위.우미산,802m,우록마을조망.
11 : 55/12 :00. 삼성산전봉.좌측 하산길.길주의.
12 : 13/15. 삼성산(668.4m).예쁜 정상표석과 삼각점(청도 415).
12 : 40/13 :02. 우록재임도 삼거리. 모과나무 큰것있음. 점심.
13 : 28. 밤티재(방치재).좌우로 하산길있고 어둑컴컴함.
13 : 40. 밤티재 바로 위에서부터 우미산 분기봉을 좌측 사면으로 건너간 안부.
13 : 58/9. 698.2m.삼각점(청도 410)이 좌측 10여m 잡목속에 있어 지나치기 쉽다.
14 : 05/7. 안부의 NO 27번 송전탑과 백록마을 1시간,억새풀단지 40분 팻말.
14 : 30/2. 802m봉 세멘트 헬기장.최정산,비슬산등 갈길조망.
14 : 34. 통점령 안내판 안부.팔조령 12. 5km,헐티재 6.6km안내판.철주가 서있는 바로 앞봉이 지도상의 통점령.
14 : 45. 실제적인 통점령안부.
14 : 47. 최정산쪽 임도 갈림길.지맥은 직진해 넘어가고 우측 큰길은 최정산 가는 임도길.길주의.
14 : 50/52. 조망바위.온길을 돌아보고 비슬산,조화봉,천왕산등 갈길과 최정상쪽조망.
15 : 10. 방화선따라 올라가 좌로 꺽인봉.
15 : 22/30. 590.5m봉.삼각점과 표찰이 있고 우측으로 꺽어진다.방화선길은 잠시후 끝이난다.
15 : 53. 우측으로 좀 떨어져서 688.6m 삼각점과 표찰있고 되돌아나와 좌측으로 내려간다.길주의.
16 : 12. 윙계재(원계재).큰 나무있고 좌우로 하산길.
16 : 25. 686m봉 오름길전 안부.좌측 사면길은 송이밭 가는길.
16 : 35/44. 676.4m봉.삼각점(청도 304)과 표찰.좌측으로 꺽어 내려감.
16 : 49. 송전탑.헐티재 건너편으로 677m,778.1m,867m봉과 좌측으로 천왕산쪽보임.
16 : 57. 쭉~ 내려오면 마지막 둔덕에 이동통신탑있고 바로 밑이 헐티재다.
17 : 00. 헐티재.대구 달성 가창며과 경북 청도 긱북면 경계.헐티재표석(535m)과 이동식가게.902번도로.
18 : 30. 청도쪽으로 내려가 각북면 지촌마을입구의 냇가에서 씻고 저녁먹고 출발.
19 : 45. 구미IC근처 고속도로에서 내림.
20 : 15. 구미역으로 택시타고 가서 모텔에 투숙.(택시 6200원.모텔 30000원).
◈ 산행그림.
팔조령(30번국지도)은 옛날 영남대로로 지금은 발밑으로 팔조령터널이 뚫려 고개 윗길은 한적한 드라이브길이 됐다.
좌로부터 홍완섭님.이수일님.최덕조님.나.문정남님.심용보님.최평칠님.현주환님.정한규님.정송자님.요맥 강형태회장님.
팔조령산장뒤로 이어지는 수렛길은 봉화산 넘어 안부까지 이어진다.
첫봉을 올라가면 산불초소가 연이어 두 개 나오고 뒤로 팔조령산장과 그뒤로 지난구간의 산줄기가 보인다.
418.3m 표찰과 두 번째 산불초소.
418.3m 첫봉을 넘어서면 바로 좌측 풀더미속에 북봉대 안내판이 있다.
봉화산(473.5m ).
418.3m를 내려간 안부부터는우측에 대원개발 채석장에서 세운 "발파중"경고판이 있고 계속 라일론줄에 경고리본이 걸려있다.
봉화산은 이름값엔 안맞게 조망도 없는 둔덕봉이라 표찰이 없다면 모르고 지나칠곳이다.길은 좋다.
584.6m 삼각점봉.
길가 우측 바위위에 올라가야 있어 신경안쓰면 지나칠수 있는곳이다.
바위위에 올라가면 우측 아래 계곳의우록리(友鹿里) 마을풍경이 예쁘고
날이 좋으면 삼성산에서 삥~돌아가는 우미산(牛尾山.747m),802m봉,최정산(最頂山.905m)이 보일텐데 오늘은 박무로 안보인다.
건너편에 여기보다 더 좋은 전망대가 있다.
584.6m 삼각점봉 건너편 전망대에서 본 우측 계곡풍경.
삼산지와 팔조령오르는 도로가 보인다.
삼성산전봉 오름길에 좌측으로 잠깐 잠깐하고 왔단다.
울창한 참나무숲.
삼성산(668.4m).
청도산악회에서 2002년에 창립20주년으로 세운 정상표석이 아주 소박하고 기품이 있다.
심용보님과 문정남님은 근처 홍두깨산,노인산으로 봉 따먹기 가시고 강형태회장님은 사진찍고.
삼성산(668.4m).
청도 415 삼각점. 겨울엔 몰라도 녹음기엔 전망무.배낭을 내릴곳이 못된다.
삼성산(668.4m) 내림길에 본 우미산(牛尾山.747m).
지맥이 우미산은 지나지 않고 어깨로 지나가는데 어깨까지도 오르지 않고 밤티재에서 건너편 안부로 건너간다.
우록재(友鹿).
우측계곡의 마을이름이 우록리이니 우록재라 표기한다.
좌측에서 올라온 임도가 우측아래로 돌아 내려가고 일행들이 앉아있는 직직하는 임도는 건너편 안부에서 끝이난다.
지맥은 보이는 모과나무(모과가 많이 달려있다)앞산으로 올라가서 좌측으로 홍두깨산을 떨구고 우측으로 꺽어 내려온다.
우록재(友鹿)에서 점심.
우록재(友鹿)에서 임도따라 쉽게 가기로 의견일치.
임도따라건너편 안부로 가니홍두깨산 분기봉을 통째로 거져 먹었다.
임도는 여기서 끝이나고 소로길이 되는데 송이채취를하러 다니는 임도길인 모양이다.
이후로도 작은봉들은 오르지 않고 사면길이 나 있다.
밤티재(일부지도는 방치재).
좌우로 하산길이 있고 날씨도 흐렸지만 숲이 욱어져 어둠컴컴하다.
밤티재를 지나서 우미산 갈림길이 한참 올라가서 있을줄 알았는데 밤티재를 지나서 바로
좌측으로 건너가는길이 있고 정작 주능선엔 족적이 안보인다.대다수가 건너간 모양이다.
건너편안부.
건너가는 사면길을 한참을간다. 큰지능선 하나에 작은 지능선을 몇 개 건너다.표고차가없이 건너가서 또 한봉을 거져 먹는다.
우측 우미산 분기점쪽으로 족적이 있고 표지기도 달려있다.바로 아래가 안부다.
698.2m봉.
작은 하나를 넘어 길게 올라간 봉인데 좌측으로 10여m떨어진 잡목속에 삼각점(청도 410)과 표찰이 걸려있다.
모르면 지나칠 곳이다.1,2분나가서 우로 꺽어져 뚝 떨어져 내려간다.
안부에 있는 27번 철탑.
철탑밑에 우측 백록마을회관 1시간 억새풀단지 40분 팻말이 있다.
억새풀단지는 어디를 말할까? 802m 헬기장이나 통점령안부를 말하나?
앞봉오름길에 우측능선에도 백록마을회관 백록그집 1시간 20분 팻말이 하나 더 있다.
시원하게 얼려온 막걸리가 한잔씩 돌아간다.
802m봉 헬기장에서 본비슬산으로 이어지는 지맥모습.1
우측 언덕이 최정산 분기점이고 좌측뒤로 보이는 산은 비슬산에서 청룡산으로 가는 청룡지맥의 880m봉이고
가운데 줄기가 비슬지맥으로 좌측 가운데 나무뒤가 590..5m,그앞봉이 688.6m,676.4m이고
좌측상단쪽에 헐티재,비슬산이 있는데 안보인다.
802m봉 헬기장에서 본 최정산(最頂山.905m)과 887.9m,889m봉.2.
지맥은 최정산쪽으로 안가고 좌측 언덕에서 좌측능선으로 내려간다.
산세만 보고가면 최정산쪽으로 빠질수 있으니 좌측중앙에 있는 빨간 지붕을 눈여겨 볼 일이다.
802m봉 헬기장에서 본 지도상의 통점령(긴 철주선봉)과 최정산.3.
802m 세멘트 헬기장 바닥엔 붉은 페인트로 방향표시와 팔조령,백록마을 1시간 40분.남지장사 1시간 40분 써놨다.
통점령안부.
헐티재 6.6km.팔조령 12.5km.남지장사 1.4km 란다.
지도상의 통점령은 앞 긴철주가 세워진 봉이고 실질적인 통점령고개는 좀더 내려간 최정산분기점 아래로 봐야 할 것 같다.
통점령안부로 내려서며 본 최정산쪽 농장과 887.9m,889m두봉.
좌측 평평한곳이 분기점으로 저기서 좌측으로 내려간다.
통점령안부로 내려서며 본 최정산쪽 농장과 887.9m,889m두봉과 최정산(우.905m) 공군부대.
뒤 돌아 본 통점령.
시경계종주하시는 3분이 함께 내려오고 있다.
팔조령에서 우리보다 2시간 먼저 출발한 팀이다.
이제야 비슬산과 헐티재가 보인다.
비슬산같이 행세하던 880m봉이 슬그머니 자리를 내놓고 제자리로 돌아갔다.
앞에 보이는 저 빨간지붕을 눈여겨보고 거기서 수렛길은 우측으로 올려 보내고 지맥은 직진해 올라가 좌측으로 내려가야한다.
최정산 갈림길.
시경계종주하는 저분들이 가고 있는길은 최정산 가는 길이고 사진 좌측의 도랑 같은곳을 건너서 올라가야한다.
최정산 갈림길에서 뒤 돌아 본 통점령(좌)과 802m 헬기장(우).
갈림길 밑에 있던 그 문제의 빨간지붕은 개집이었다.
최정산 분기점에서 좌측 아래에 있는 조망바위.
조망바위에서 뒤 돌아 본 지맥모습.
맨좌측 소나무뒤가 802m봉.가운데 뾰족봉이 우미산,철탑있는 우측이 698.2m봉이고 그사이로 더 멀리 보이는 산이 삼성산.
조망바위에서 본 최정산쪽 887.9m,889m봉.
조망바위에서 내려오다가 본 비슬산(좌)과 헐티재(가운데).
방화선길.
방화선길은 713 X지점을 지나서부터 시작하여 590.5m를 넘어간 안부까지 계속된다.
590.5m봉 근처에서 뒤 돌아 본 지맥모습.
590.5m봉
방화선길 풀속에 묻혀 있다.
길은 삼각점에서 직각으로 꺽어 내려간다.
590.5m봉
방화선길은 이쯤에서 끝이난다.
688.6m 봉.
두어번 급하게 오름짓을하고 빨딱 올라서면 686m봉이고 바로 건너편에 688.6m 삼각점봉이 있는데
삼각점(청도403(?))과 표찰은 길에서 우측으로 5m쯤 떨어진잡목숲에 있고
삼가점앞으로 실한 능선이 있어 직진해가기쉽다.
삼각점 찍고 다시 돌아나와 좌측으로 내려가야한다.
윙계재(일부지도는 원계재).
이런 큰 나무가 있고 좌우로 뚜렷한 하산길이 있다.
내려오면서 보면 앞에 높디높은 산이 턱 버티고 있어 설마 저 산은 넘지 않겠지 하지만
676.4m짜리 산 하나를 통째로 넘어야한다.
676.4m 봉.
오름길에 좌측으로 있는길이 676.4m봉을 좌측으로 우회하는길인가 생각이 들지만
이길은 좌측능선의 송이막으로 가는길이다.
마지막봉이지만 오늘 오른 봉중 가장 경사가 급하고 힘들게 올라서다시한번 건너편 봉우리를 올라야 676.4m봉이다.
삼각점 찍고 좌측으로 내려간다.이제부터 헐티재까진 내려가는일만 남았다.
송전탑.
676.4m 봉에서 5분쯤 내려오면 있는 송전탑에서 본 비슬산방향.
좌측 철탑밑이 헐티쟁이고 앞봉은 677m,778.1m,867m이 차례로 보이고 비슬산은 구름속에 묻혀있다.
송전탑에서 좌측으로 본 천왕산쪽모습.
헐티재전경.
헐티재(535m).대구방면.
헐티재. 비슬산쪽. 청도군 각북면쪽.
달성 가창면. 뒤로 676.4m봉과 송전탑,이동통신탑이 보인다.
헐티재.
현주환님이 얼음에 채워온 맥주통.
청도 각북면 지촌교밑에서 시원하게
지촌교에서 올려다본 헐티재(좌)와 윙계재(원계재).
지촌교에서 올려다 본 비슬산.
지촌교.우측이 비녀를 꼿은걸보니 지하 여장군이다.
사진 우측 아래의 슬라이드 쑈를 눌러 크게하여
좌측의 ▶ 버튼을 눌러 슬라이드 쇼로 보십시오.
지난 4월19일에 비슬지맥을 시작할 때 첫 구간인 사룡산이 산불경계령으로 출입이 금지되어
5구간인 헐티재-비슬산-비티재부터 시작하여 4번에 걸쳐 남진하여 오우진나루에서 끝을맺고
다시 사룡산 첫 구간부터 시작하여 4회에 걸쳐 남진하여 오늘 헐티재에서 비슬지맥을 마친다.
귀경길에 구미에서 하차하여 남은 팔공지맥 2구간을 마치고 올라갔다.
그러다보니 이번주에 비슬지맥,팔공지맥,도솔지맥등 커다란 지맥 3개가 동시에 끝이났다.
(終)
'ㅂ 기맥,지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슬지맥 6구간(비티재-묘봉산-천왕산-화악산-봉천고개). (0) | 2011.09.07 |
---|---|
비슬지맥 5구간[헐티재(902번도로)-비슬산-수봉산-비티재(20번도로)]. (0) | 2011.09.07 |
비슬지맥 3구간[잉어재-선의산(仙義山.756m)-남성현재-팔조령(30번국지도)] (0) | 2011.09.07 |
비슬지맥 2구간[비오재-대천고개-대왕산(606m)-잉어재(925도로)]. (0) | 2011.09.07 |
비슬지맥 1구간(분기점-사룡산-구룡산-발백산-비오재). (0) | 2011.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