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약지맥(芍藥枝脈)은 ?
작약지맥(芍藥枝脈)은 백두 대간 속리산군 형제봉 남동쪽 0.6km지점의 721m봉에서 동쪽으로 가지를 쳐
갈령(49번국지도),두루봉(대궐터산. 873m),동네실재,국사봉(703.3m),황령고개,칠봉산(598m),갈티재,성재산(356m),작약산(774m),
은점재,수정봉(488m), 태봉산(106m) 을 거처 상주시 함창읍 태봉리에서 낙동강에 맥을 다하는
도상거리 47.9m되는산줄기로 이안천의 우측, 영강의 남쪽 분수령을 작약지맥(芍藥枝脈) 이라 칭한다.
필요한 지도는 1/25000: 화북,농암,점촌. 1/50000 영진지도 : 277,278,279,280쪽.
작약지맥(芍藥枝脈)개념도.
작약지맥 1구간(백두대간분기봉(721m)-갈령-두루봉(대궐터산.873m)-동네실재).
◈ 산행코소와 거리 및 소요시간.도상거리 약 10.5km+ 1.2km .6시간 30분.
갈령(49번 국지도로) - 작약지맥 분기점( x721봉) -갈령(49번 국지도로) - 두루봉( 873m) -서재고개(임도) -
삼면봉( x798봉) - x606봉- x671봉 - △660 봉 - 672.7봉 - x673봉 -x666봉 - x517봉 - x501봉- 동네실재(997번 도로).
◈ 일시: 2011. 05. 22(일).
◈날씨: 비온긑이라하늘이맑고 청명해서 산행하기 좋음.
◈ 인원:21명. 김형식회장님.오세춘님. 최평칠님.고광의님.정영옥님.곽병태님.이선우님.강형태님.김권봉님.정한규님.이정아님.
윤익상님과 2분.강동범님.안수영님. 이정세님.청산은님.미도리산님 .나.
◈ 지도.
작약지맥 1구간(백두 대간상의분기봉(721m)-갈령-두루봉(873m)-동네실재)지도.
◈ 일정정리.
07 : 55. 천안에서 합류.
09 ; 36. 경부,청원-상주고속도로 화서 IC로 나가 갈령(葛嶺)에 도착하여 바로 산행시작.
09 ; 40. 헬기장.뒤로 두루봉(873m.대궐터산)조망.
10 ; 00. 조망암봉.형제봉과 작약지맥 분기봉,속리산,청화산조망.
10 : 10/2. 작약지맥 분기봉(721m). 쉼터와 이정표(속리산 천왕봉 6.6km,형제봉 0.7km,갈령 1.3km,비재 3.6km)
10 : 32. 다시 돌아온 갈령(葛嶺).갈령표석(443m).이정표(도장산 7.9km.갈림길 0.8km.청계사 1.9km.극락정사 5.1km.형제봉 2km.천왕봉 8.6km)뒤로 오름.
10 : 41. 헬기장.속리산조망.
10 ; 54/6. 오름길 중턱의 조망바위.형제봉과 분기봉,속리산군조망.
11 : 05. 도장산(828m)갈림봉. 우측으로 감. 이정표(도장산7.1km, 서재 3.7km, 청계사1.1km,극락정사 4.3km.갈령 0.8km).
11 ; 11. 산불초소.조망좋아 봉황산, 속리산,청화산조망.
11 : 42/52. 두루봉(대궐터산. 873m). 영진지도는 대궐터산으로 표기.원 대궐터산은 남쪽 2km에 있음.조망좋음.뒤로 빽하여 우측으로 내려감.
12 : 17. 큰 바위를 우측밑으로 돌아감.
12 : 27/50. 서재고개임도.좌측엔 임도차단기.점심.
13 ; 05. 조망바위.형제봉,속리산,청화산조망.
13 ; 15. 798m봉. 삼면경계봉(상주시 화북,화서,외서면)우측으로 내려감.
13 ; 24. 허름한 묘2기. 좌로 꺽어감.
13 ; 36/40. 안테나있는 암봉(693m).조망좋음.발밑에 갈골마을이 보임.
13 ; 50. 좌측능선으로 갈골마을 하산길.
13 ; 58. 606m. 묘1기.
14 ; 04/15. 좌측으로 갈골마을하산길. 잣나무조림지.바람이 시원해 휴식.
14 ; 26. 671m.좌측으로 꺽어짐.건너편봉 부터는 간벌목이 나옴.
14 ; 41. 660m.삼각점봉(속리 315).문경시와 상주시 경계봉.우측으로 내려감.좌측능선길 있음.
14 ; 45. 안부. 전신주가 좌우로 넘고있음.
14 ; 51. 672.7m 군경계봉.삼각점은 없고 우측으로철조망따라 감.
15 ; 10/15. 666m.바위에서 온길,갈길조망.
15 ; 35. 활처럼 휘어 우측으로 내려간 안부.좌측밑에 집터인듯한 돌담.
15 ; 44. 517m.큰바위.정점을 넘어서며 직진이아닌우측으로 내려가 활처럼 휘어감.
15 : 52. 501m.잡목봉.
16 ; 06. 동네실재. 2차선 997번도로.상주시 은척면과 외서면경계.
16 ; 25. 동네실재출발.청원-상주 화서 IC 로 들어감.
18 ; 00. 경부 청원 IC근처 청주본가 왕갈비탕지에서 저녁먹고출발.
18 ; 30. 천안도착.도로는 막히지 않고 원활함.
◈ 산행후기.
※ 갈령-백두 작약지맥 분기봉(721m)-갈령(49번국지도). 2.3km. 54분.
07 : 55. 천안에서 합류.
09 ; 36. 경부,청원-상주고속도로 화서 IC로 나가 갈령(葛嶺)에 도착하여 바로 산행시작.
09 ; 40. 헬기장.뒤로 두루봉(873m.대궐터산)조망.
10 ; 00. 조망암봉위.형제봉과 작약지맥 분기봉,속리산,청화산조망.
10 : 10/2. 작약지맥 분기봉(721m). 쉼터와 이정표(속리산 천왕봉 6.6km,형제봉 0.7km,갈령 1.3km,비재 3.6km)
10 : 32. 다시 돌아온 갈령(葛嶺).갈령표석(443m).이정표(도장산 7.9km.갈림길 0.8km.청계사 1.9km.극락정사 5.1km.형제봉 2km.천왕봉 8.6km)뒤로 오름.
지난주에 중국 요녕성의봉황산을 다녀와 겨우 산행기 정리해 올리고 밭일좀하니 후딱 한주일이 지났다.
청원-상주 고속도로를 타고 가다 화북 IC에서 빠져나가 백두 대간을 넘어 좌측으로 이안천을따라길게 올라 갈령에 올랐다.
90년대초엔 뻔찔나게 드나들던 속리산 뒷길이라 낯설지 않은데 터널공사를 하는 것 빼곤 변한게 없다.
09 ; 36. 갈령(葛嶺)
배낭은 차에두고 갈령 표석뒤로 들어서면 작은 입산금지 현수막이 걸려있는데 기간이 없어 지난번 경방기간에 걸었던건지
아니면 지금도 유효한 입산금지구역인진 모르겠고초소엔 근무자가 없으니 눈치볼일은 없다.
고갯마루엔 우복고을 관광화북이란 글자판들이 있는데 우복동(牛腹洞)은 동네가 마치 소의 뱃속에 들어온 것처럼 아늑하여 사람이 숨거나 살기에 더없이 좋은 터로
정감록엔 이런곳이 전국에10군데 있는데 그 십승지 중 세 번째가 보은 속리산 4증항(四甑項) 근처라고 적고 있고
남사고의 <남격암산수십승보길지지> 에선 '보은(報恩)의 속리산(俗離山)아래 증항(蒸項)근처로써 난리를 당했을 때, 이곳에 몸을 숨기면 만에 하나라도 다치지 않을 것이다.'
라 하여 두 비결 모두 난시(亂時)에 몸을 숨길 수 있는 피병지(避兵地)로, 증항(甑項, 蒸項)근처라 하여 '시루봉' 부근에 승지(勝地)가 숨겨져 있음을 피력(披瀝)하였다.
우복동 추정지역은 모두 3개 마을로 알려지고 있는데 칠층석탑(보물 제683호)이 소재한 상오리 장각동 일대와, 견훤산성이 있는 장암리 일대의 두 곳이고,
한 곳은 청화산과 시루봉 자락이 일군 42번 지방도로에 연접된 용유리(龍遊里)의 화산과 광정마을인데
이중환(1690~1756.호는 청담(淸潭), 청화산인(靑華山人)이1751년(62세때)년에쓴 택리지 복거총론 山水 청화산과 용유동에기술한 내용과
정감록에 "시루봉(甑)" 을 적시하면서, 그냥 증봉(甑峰, 蒸峰), 또는 증산(甑山)으로 표기해도 될 것을, 굳이 목 항자(項字)를 합성(合成)시켜 '시루 목' 이라고
강조하는 이유등으로 볼때 (타시루봉은 시루를 엎어놓은 형태가 보통이나 청화산 동남쪽 시루봉(876m)만은 시루 뚜껑에 목(손잡이)이 있는 형태다)
지금의 청화산 남쪽 , 시루봉 서쪽,도장산 북쪽인 상주시 화북면 용유리 광정,화산마을 일대를 우복동으로 보는 견해가 대세다.
참고로 ※사증항(四甑項)과 관련한 속리산 주변 시루봉
속리산 동쪽 청화산 우복동 시루봉(문경시 용암면, 876m)- 속리산 주변의 시루봉중 규모가 제일크고 높다(여기가 우복동)
속리산 동증(東甑) 시루봉(보은군 마로면 적암리 구병산 자락, 417m),
속리산 서증(西甑) 피난봉(보은군 수한면 장선리, 393m),
속리산 남증(南甑) 시루봉(보은군 마로면 소여리, 505m),
속리산 북증(北甑) 시루봉(보은군 내북면 적음리 452m)
속리산 시루봉(괴산군 청천면),
속리산 시루봉(괴산군 연풍면 희양산 위쪽)
09 ; 36. 갈령(葛嶺).
표석뒤로 오르며 산행시작.
09 ; 36. 갈령(葛嶺).<요맥님 사진>
우복동(牛腹洞)은 동네가 마치 소의 뱃속에 들어온 것처럼 아늑하여 사람이 숨거나 살기에 더없이 좋은 터로
정감록엔 이런곳이 전국에10군데 있는데 그 십승지 중 세 번째가 보은 속리산 4증항(四甑項) 근처라고 적고 있고
남사고의 <남격암산수십승보길지지> 에선 '보은(報恩)의 속리산(俗離山)아래 증항(蒸項)근처로써 난리를 당했을 때, 이곳에 몸을 숨기면 만에 하나라도 다치지 않을 것이다.'
라 하여 두 비결 모두 난시(亂時)에 몸을 숨길 수 있는 피병지(避兵地)로, 증항(甑項, 蒸項)근처라 하여 '시루봉' 부근에 승지(勝地)가 숨겨져 있음을 피력(披瀝)하였다.
우복동 추정지역은 모두 3개 마을로 알려지고 있는데 칠층석탑(보물 제683호)이 소재한 상오리 장각동 일대와, 견훤산성이 있는 장암리 일대의 두 곳이고,
한 곳은 청화산과 시루봉 자락이 일군 42번 지방도로에 연접된 용유리(龍遊里)의 화산과 광정마을인데
이중환(1690~1756.호는 청담(淸潭), 청화산인(靑華山人)이1751년(62세때)년에쓴 택리지 복거총론 山水 청화산과 용유동에기술한 내용과
정감록에 "시루봉(甑)" 을 적시하면서, 그냥 증봉(甑峰, 蒸峰), 또는 증산(甑山)으로 표기해도 될 것을, 굳이 목 항자(項字)를 합성(合成)시켜 '시루 목' 이라고
강조하는 이유등으로 볼때 (타시루봉은 시루를 엎어놓은 형태가 보통이나 청화산 동남쪽 시루봉(876m)만은 시루 뚜껑에 목(손잡이)이 있는 형태다)
지금의 청화산 남쪽 , 시루봉 서쪽,도장산 북쪽인 상주시 화북면 용유리 광정,화산마을 일대를 우복동으로 보는 견해가 대세다.
09 ; 36. 갈령(葛嶺).<요맥님 사진>.
10 ; 00. 조망 암봉.
갈령에서 몇분 올라가면 헬기장이 있고 뒤돌아 보면 잠시후에올라야할 두루봉과 그 우측에 원 대궐터산이 보이고 큼직한 방굿돌들이 연이어 나오고
한오름 올려채면 조망좋은 암봉인데 우측으론 속리산 동릉과 도장산, 청화산 시루봉이 보이고
코앞엔 작약지맥 분기봉인 721m봉과 형제봉이 보이고 그 우측으로 속리산 천왕봉부터 문장대에 이르는 속리 주능선이 펼쳐진다.
좌측으론 팔음지맥분봉인 봉황산과 구병산과 멀리 천택산, 팔음산,포성봉을 짚어보고 바윗길을 내려섰다 살짝 오르면 분기봉이다.
조망암봉길의 기암들.
10 ; 00. 조망 암봉에서 뒤 돌아 본 두루봉(873m.대궐터산).
10 ; 00. 조망 암봉에서 본 형제봉(829m.우)과ㅣ 작약지맥분기봉(721m.좌).
10 ; 00. 조망 암봉에서 본 속리산 천왕봉(좌)과 속리 주능선과 속리산 동릉(우측 소나무뒤).
10 ; 00. 조망 암봉에서 본 속리산 동능(왼쪽암릉)과 청화산(가운데 큰산),시루봉(청화산에서 뻗은 우측끝봉),도장산(우)
10 : 10/2. 작약지맥 분기봉(721m).
작약지맥 분기봉인 721m봉엔 작은 쉼터와 이정표(천왕봉 6.6km,형제봉 0.7km,갈령 1.3km,비재 3.6km)가 있다.
선두는 벌써 내려갔고 후미 그룹이 내가 오길 기다렸다 증명사진 한 장 남기고 바로 돌아섰다.
10 : 10/2. 작약지맥 분기봉(721m).좌측 봉황산쪽.
10 : 10/2. 작약지맥 분기봉(721m).우측 형제봉쪽.
대간을 졸업한지 15년이 흘렀으니 여길 지나간 기억도가물가물하다.
그날은 엄청 더운 복중이었는데 아침엔 비가 주룩주룩내려 모두 우비를 업고 출발했는데 낮엔 날이 쨍하고 들어 모두 우비를 벗었는데
유독 대구에서 올라온 某씨만 낮에도 종일 우비를 입고 그 뜨거운 땡볕길을 가고 있었다.
왜 우비를 벗지 않느냐고 물으면 그냥 "없어!! 없어!! 만 한다. 산을 내려와 모두들 옷 입은채로 만수동 계곡물에 뛰어 들었는데 그때보니
某씨는 팬티에 우의만 입고 있었다.우의를 벗으면 팬티바람이니 우의를 벗지 못하고 종일 그뜨거운 땡볕을 걸엇으니 ...
그후 某씨는 별명이 없어!! 없어 !! 가 됐다.
갈령(49번국지도)-두루봉(대궐터산.873m)-서재고개임도. 3km. 1시간 45분.
10 : 32. 다시 돌아온 갈령(葛嶺).갈령표석(443m).이정표(도장산 7.9km.갈림길 0.8km.청계사 1.9km.극락정사 5.1km.형제봉 2km.천왕봉 8.6km)뒤로 오름.
10 : 41. 헬기장.속리산조망.
10 ; 54/6. 오름길 중턱의 조망바위.형제봉과 분기봉,속리산군조망.
11 : 05. 도장산(828m)갈림봉. 우측으로 감. 이정표(도장산7.1km, 서재 3.7km, 청계사1.1km,극락정사 4.3km.갈령 0.8km).
11 ; 11. 산불초소.조망좋아 봉황산, 속리산,청화산조망.
11 : 42/52. 두루봉(대궐터산. 873m). 영진지도는 대궐터산으로 표기.원 대궐터산은 남쪽 2km에 있음.조망좋음.뒤로 빽하여 우측으로 내려감.
12 : 17. 큰 바위를 우측밑으로 돌아감.
12 : 27/50. 서재고개임도.좌측엔 임도차단기.점심.
10 : 32. 다시 돌아온 갈령(葛嶺).갈령표석(443m).
다시 갈령으로 내려와 차에서 배낭 내려 길 건너편 계단길로 들어서면 길은 일반등산로 잘 나 있다.
입구의 이정표(도장산 7.9km.갈림길 0.8km.청계사 1.9km.극락정사 5.1km.형제봉 2km.천왕봉 8.6km)는 청계산에서 ㄴ자가 지워진 것 같진않고
청계사로 고쳐쓴 것 같은데 지도에 보면 청계사는 두루봉 동남쪽 골짝안에 있는데 거리가 1.9km면 두루봉(대궐터산)쯤되는데 어디를 말하는겨?
10 : 32. 다시 돌아온 갈령(葛嶺)의 두루봉 들머리.표고 443m.<청산은님 사진>
이정표의청계사1.9km는 청계산에서 ㄴ자가 지워진 것 같진않고
청계사로 고쳐쓴 것 같은데 지도에 보면 청계사는 두루봉 동남쪽 골짝안에 있는데 거리가 1.9km면 두루봉(대궐터산)쯤되는데 어디를 말하는겨?
10 : 41. 헬기장.
갈령에서 10여부 올라가면 너른 헬기장이 있고 두루봉 정상부와 갈 능선이 올려다 보이고 뒤로는 형제봉과 분기봉이 올려다 보이고
그 우측으로 속리산 천왕봉과 동릉이 보이고 그 우측 으로 청화산,도장산이 건너다 보인다.
10 ; 54/6. 오름길 중턱의 조망바위.
헬기장에서 도장산갈림봉까진 된 오르막인데 13분쯤 올라가면 좌측에 조망좋은 바위가 있어 조망을 즐기는데 똑딱이가 또 말썽을 부린다.
똑딱이가 고물이돼서얼마전에 렌즈가 안나오고 드르륵 거려 기어를 한번 갈았는데 또 그러고 렌즈 덮게도 안덮히고
LCD화면도 뿌옇게 나오고 작동 자체가 안돼 먹통이 되곤한다.
작동 자체가 안되면 바테리 뺏다 다시 끼워 날자 쎗팅을 다시해서 몇 장 찍곤 했는데 더는 견딜 수 없으니 당장 똑딱이부터 갈아야겠다.
10 ; 54/6. 오름길 중턱의 조망바위에서 뒤 돌아 본 형제봉(제일높은봉)과 작약지맥 분기봉(형제봉 좌측아래).
10 ; 54/6. 오름길 중턱의 조망바위에서 좌측 비재뒤로본멀리 팔음지맥의 천택산(684m)과 팔음산(771m), 포성봉.
11 : 05. 도장산(828m)갈림봉.
조망바위에서 10여분을 더 올라가면 도장산(828m)갈림봉인데 이정표(도장산7.1km, 서재 3.7km, 청계산 1.1km,극락정사 4.3km.갈령 0.8km)가 있고
좌측능선은 도장산으로 가는능선이고 맥은 우측으로 꺽어 조금 나가면 조망좋은 산불초소가 나온다.
11 : 05. 도장산(828m)갈림봉. <청산은님사진>.
11 ; 11. 산불초소.조망좋아 봉황산, 속리산,청화산조망.
산불초소에서 다시한번 백두 대간과 팔음지맥,숭덕지맥을 짚어보고 여기서버터 두루봉정상까진 바윗길로 좌측,우측으로 우회하느라고
거리에 비해 시간이 다소 걸린다.마지막 큰 암벽을 우측으로 돌아 올라 능선에서 우측으로 몇발짝가면 두루봉정상이다.
11 ; 11. 산불초소.
11 ; 11. 산불초소에서 뒤 돌아 본 형제봉-분기봉-삼형제봉으로 이어가는 백두대간과 뒤로 구병산(876.5m)1.
11 ; 11. 산불초소에서 우측으로 본 앞줄 삼형제봉(우)-비재-봉황산(741m.좌측끝봉).2
뒷줄 포성봉(좌 흐릿),팔음산(둥근봉),천택산(가운데 뾰족봉).구병산능선(우)
11 ; 11. 산불초소에서 뒤 돌아 본 속리 주능선.형제봉(좌측나무뒤,안보임)-천황봉(가운데)-비로봉-동릉.3.
11 ; 11. 산불초소에서 뒤 돌아 본 속리산동릉(좌측소나무뒤)-눌재-청화산(가운데멀리)-도장산(우).
11 : 42/52. 두루봉(대궐터산 873m).
두루봉(대궐터산 873m). 영진지도는 대궐터산으로 표기된봉으로 정점엔 대궐터산이라쓴 정상목이 반쯤 쓰러져있는데
남쪽 2km에 있는 극락정사뒷봉을 대궐터산으로 봐아겠고 이봉은 지리원 지도대로 두루봉으로 통일시켜야 할듯싶다.
남쪽, 북쪽으로 몇발짝씩 나가면 조망 트여 멀리백두 대간의 희양산, 백화산부터 대야산, 청화산,속리산군을 둘러 보고
갈길 넘어로 남산과 작약산과 속리산 남쪽의 봉황산,구병산, 팔음산,천택산과 숭덕지맥의산들을짚어본다.
11 : 42/52. 두루봉(대궐터산 873m).
지리원지도는 두루봉(대궐터산 873m)으로 영진지도는 대궐터산으로 표기돼 있다.
11 : 42/52. 두루봉(대궐터산 873m).
11 : 42/52. 두루봉(대궐터산 873m)정상 넘어로 본 가야할 맥모습.1
서재고개임도(맨앞 안부)-798m삼면봉(앞의 높은봉)-남산(웉측 제일 높은봉,칠봉산(좌측 저멀리봉).
11 : 42/52. 두루봉(대궐터산 873m)정상 넘어로 본 숭덕지맥과 노음산(가운데 멀리 높은산)2.
11 : 42/52. 두루봉(대궐터산 873m)에서 본 봉황산(좌측높은 m봉),천택산(우측 나무밑),팔음산 (우측멀리 한일자능선),포성봉과 주행봉(가운데 멘뒤).3
11 : 42/52. 두루봉(대궐터산 873m)에서 본 형제봉(우측), 작약지맥분기봉(우측 형제봉 아래),구병산(가운데 뒷줄).4.
11 : 42/52. 두루봉(대궐터산 873m)에서 본 형제봉(좌측),갈령(가운데안부),속리산 천황봉(우측뒤)5.
11 : 42/52. 두루봉(대궐터산 873m)에서 본 속리산 천황봉(좌측뒤),동릉,백악산(우측 멀리 암봉),늘재(우측 멀리)6.
11 : 42/52. 두루봉(대궐터산 873m)에서 본 속리산동릉(좌),백악산(좌측 멀리 암봉),늘재(가운데멀리), 청화산(우),조항산(우측멀리).도장산(우측앞산)6.
11 : 42/52. 두루봉(대궐터산 873m)에서 본 청화산(좌),조항산(좌측 멀리).대야산(가운데뒤), 희양산 (우측 멀리 허연 암봉)도장산(가운데앞산)7.
11 : 42/52. 두루봉(대궐터산 873m)에서 본 가야할 지맥모습.)8.
맨앞족 안부가 서재고개,798m 삼면봉(앞 높은본).남산(우),칠봉산 (가운데뒤).
증명사진 한 장 남기고맥은 정상에서 바로 좌측밑으로 내려가야하나 큰 바위 절벽이라 뒤로 빽하여 몇 발짝 내려가선 우측으로 내려가는데
급경사로 뚝 떨어져내려가는데 낙엽이 수북히 쌓여있다.
12 : 17. 큰 바위를 우측밑으로 돌아감.
뚝 떨어져 내려가다 우측으로 지 능선을 건너가 주능선에 붙으니 낡은 하얀 나일론끈이 능선따라 내려가고 있고
바위하나는 좌측으로 또 큰 바위는 우측으로 돌아올라 10여분 쭈욱 내려가면 서재고개임도다.
12 : 27/50. 서재고개임도.좌측엔 임도차단기.점심.
12 : 17. 큰 바위를 우측밑으로 돌아간다.
12 : 27/50. 서재고개임도.좌측엔 임도차단기.점심.
서재고개임도-798m봉-660m 삼각점봉. 3.6km. 1시간 40분.
12 : 27/50. 서재고개임도.좌측엔 임도차단기.점심.
13 ; 05. 조망바위.형제봉,속리산,청화산조망.
13 ; 15. 798m봉. 삼면경계봉(상주시 화북,화서,외서면)우측으로 내려감.
13 ; 24. 허름한 묘2기. 좌로 꺽어감.
13 ; 36/40. 안테나있는 암봉(693m).조망좋음.발밑에 갈골마을이 보임.
13 ; 50. 좌측능선으로 갈골마을 하산길.
13 ; 58. 606m. 묘1기.
14 ; 04/15. 좌측으로 갈골마을하산길. 잣나무조림지.바람이 시원해 휴식.
14 ; 26. 671m.좌측으로 꺽어짐.건너편봉 부터는 간벌목이 나옴.
14 ; 41. 660m.삼각점봉(속리 315).문경시와 상주시 경계봉.우측으로 내려감.좌측능선길 있음.
12 : 27/50. 서재고개임도.좌측엔 임도차단기.점심.
좌측은 서재마을 우측은 하송리로 넘는 고개로 차도 다닐수있는 상태좋은 임도인데 좌측에 차단기가 내려있다.
갈령에서 분기봉이 가지않고 바로 오른 후미조를 만나 점심을 먹고 798m봉을 오르는데 표고 몇백을 단번에 올려채야한다.
15분쯤 올라가면 조망좋은 조망바위가 있어 속리산군과 청화산군을 둘러 보고 몇분 더 올라가면 삼면봉인 798m봉이다.
13 ; 05. 조망바위에서 뒤 돌아 본 두루봉남릉의 극락정사뒷봉과 뒤로 봉황산,포성봉,팔음산, 천택산.
13 ; 15. 798m봉. 삼면경계봉(상주시 화북,화서,외서면)우측으로 감.
화북,화서외서면 경계봉으로 잡목봉으로 조망은 없고 우측으로 내려가 허름한 묘 2기가 있는 738m에서 좌측으로 꺽어간다.
13 ; 15. 798m봉.
삼면경계봉(상주시 화북,화서,외서면)우측으로 간다.
13 ; 36/40. 안테나있는 암봉(693m).조망좋음.발밑에 갈골마을이 보임.
암봉이라 조망이 좋아 갈길방향으로 남산과 멀리 작약산도 보이고 뒤론 방금지나온 맥과 멀리 백두 대간의 연봉들이 보인다.
바로 좌측 발밑으로 갈골마을이 내려다 보이는데 깨끗하고 제법 큰 동넨데 예사롭질 않다.
무슨 종교집단마을이라고도 하는데 교회건물에 큰 운동장도 있고 사방이 온통 산으로 둘러쌓여있는 하늘만 빼꼼한데 뒤로 희양산이 하얗게 보인다.
13 ; 36/40. 안테나있는 암봉(693m).1
13 ; 36/40. 안테나있는 암봉(693m) 좌측 발밑의 갈골마을.2
무슨 종교집단마을이라고도 하는데 교회건물에 큰 운동장도 있고 사방이 온통 산으로 둘러쌓여있는 하늘만 빼꼼한데 뒤로 희양산이 하얗게 보인다.
13 ; 36/40. 안테나있는 암봉(693m)에서 본 가야할 671m봉(우측 앞봉),660m삼각점봉(좌측)과 뒤로 남산.3
13 ; 36/40. 안테나있는 암봉(693m)에서 본 가야할 671m봉(좌측 앞봉),남산(좌측뒷산)과 노음산(우측뒷산).4
13 ; 36/40. 안테나있는 암봉(693m)에서 우측으로 본 봉황산(우),윤지미산(좌)과 포성봉,주행봉(가운데멀리).5
13 ; 36/40. 안테나있는 암봉(693m)에서 좌측으로 본 시루봉(좌측 뾰족봉)과 희양산(가운데 멀리 하얀암봉),백화산(우).6
13 ; 50. 좌측능선으로 갈골마을 하산길.
암봉을 내려서면 낙엽송 조림지가 시원하고 길도 순해져서 산책로같은길로 좀 가다 좌측으로 갈골마을 하산길을 지나고
묘가 하나 있는 606m봉을 넘어서 좀 내려가면 울창한 잣나무조림지가 나오고 좌측으로 갈골마을 하산길 안부가 나온다.
13 ; 50. 좌측능선으로 갈골마을 하산길.
14 ; 04/15. 좌측으로 갈골마을하산길. 잣나무조림지.바람이 시원해 휴식.
갈골마을하산길 안부에서 골바람이 시원하게 불어 배낭내려 배낭털이하고 느긋하게 쉬어간다.
14 ; 04/15. 좌측으로 갈골마을하산길. 잣나무조림지.바람이 시원해 휴식.
14 ; 41. 660m.삼각점봉(속리 315).문경시와 상주시 경계봉.우측으로 내려감.좌측능선길 있음.
잠깐 올라가우측으로근능선이분기하는 671m봉에서 좌측으로 꺽어 건너편봉에 가니 간벌목들이 널려있고 내려서면
좌측이 틔여 갈골마을이 가까이 내려다 보이고 뒤론 속리연봉들이 겹겹이 장막을 치고 있다.
14 ; 41. 660m.삼각점봉(속리 315).문경시와 상주시 경계봉.우측으로 내려감.좌측능선길 있음.
지리원지도나 영진지도는 건너편 672.7m봉에 삼각점이 있는데 지도가 잘못된건지 아니면 삼각점을 지고가다 무거워서 여기다 묻은건지
여기 660m봉에 삼각점(속리 315)에 삼각점이 있고 건너편 672.7m봉엔 삼각점이 없다.
문경시와 상주군 경계봉으로 잡목속이라 조망은 없고 좌측능선으로도 길있어 허리 구부러 빠져 나가다 잘못하면 그쪽으로 가기 쉽겠다.
671m봉에서 좌측으로 꺽어 간벌목들이 널려있는봉을 내려서며 좌측으로 본 갈골마을과 속리산 천왕봉(좌측뒤)과 도장산(우측 나뭇가지 뒤).
14 ; 41. 660m.삼각점봉(속리 315).
지리원지도나 영진지도는 건너편 672.7m봉에 삼각점이 있는데 지도가 잘못된건지 아니면 삼각점을 지고가다 무거워서 여기다 묻은건지
여기 660m봉에 삼각점(속리 315)에 삼각점이 있고 건너편 672.7m봉엔 삼각점이 없다.
문경시와 상주군 경계봉으로 잡목속이라 조망은 없고 좌측능선으로도 길있어 허리 구부러 빠져 나가다 잘못하면 그쪽으로 가기 쉽겠다.
660m 삼각점봉-666m봉-동네실재. 2.8km. 1시간 20분.
14 ; 41. 660m.삼각점봉(속리 315).문경시와 상주시 경계봉.우측으로 내려감.좌측능선길 있음.
14 ; 45. 안부. 전신주가 좌우로 넘고있음.
14 ; 51. 672.7m 군경계봉.삼각점은 없고 우측으로철조망따라 감.
15 ; 10/15. 666m.바위에서 온길,갈길조망.
15 ; 35. 활처럼 휘어 우측으로 내려간 안부.좌측밑에 집터인듯한 돌담.
15 ; 44. 517m.큰바위.정점을 넘어서며 직진이아닌우측으로 내려가 활처럼 휘어감.
15 : 52. 501m.잡목봉.
16 ; 06. 동네실재. 2차선 997번도로.상주시 은척면과 외서면경계.
14 ; 51. 672.7m 군경계봉.
전신주가 좌우로 넘고 있고 안부를 지나 땀빼며 몇분 오르면 672.7m 군경계봉인데 삼각점은 없고 우측으로철조망따라 간다.
평지능선으로 좀가면 지도상의 673m이고 좌측으로 휘어 건너가면 666m봉이다.
14 ; 51. 672.7m 군경계봉.
전신주가 좌우로 넘고 있고 안부를 지나 땀빼며 몇분 오르면 672.7m 군경계봉인데 삼각점은 없고 우측으로철조망따라 간다.
15 ; 10/15. 666m봉.
정점을 내려서며 큰 바위위에서 지나온길과 다음구간쪽으 남산과 국사봉,황령고개와 멀리 작약산을 짚어보고
15 ; 10/15. 666m봉.1
15 ; 10/15. 666m봉에서 뒤 돌아 본 673m(가운데앞봉)과 672.7m 군경계봉(우).2
뒤로 두루봉(우)에서 남동으로 뻗은 능선과 그뒤로 봉황산줄기가 겹쳐보인다.
15 ; 10/15. 666m봉에서 뒤 돌아 본 시루봉(좌측 뒤 뾰족봉)과 그뒤로 대야산,희양산(우)3
15 ; 10/15. 666m봉에서 본 오늘의 종착지인 동네실재(우측 가운데안부)와 남산(우측 뾰족봉)<요맥님사진>4
맥은 남산 못미쳐 국사봉에서 좌측으로 내려가 황령고개(좌측 하얀 고개안부)를 건너 칠봉산(597.5m.좌측 뒤 M자봉)으로 이어진다.
15 ; 10/15. 666m봉에서 땡겨본 국사봉(우)-황령고개-칠봉산과 멀리 작약산.
15 ; 44. 517m.큰바위가 있는 정점을 넘어서며 바로 직진능선이실해 보이나 우측으로 내려가 활처럼 휘어가면 501m봉이고
직진해 쭈욱 가다 마지막에 살짝 좌틀해 내려서면 동네실재다.
16 ; 06. 동네실재.
2차선 997번도로.상주시 은척면과 외서면경계로 2008년도에 개통한 한가한 도로다.
16 ; 06. 동네실재 북쪽모습.
16 ; 06. 동네실재 남쪽모습.
'ㅈ 기맥,지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약지맥3구간(32도로-갈티재-작약산-수정봉) (0) | 2011.06.22 |
---|---|
작약지맥 2구간(동네실재-남산(821.6m)-황령-칠봉산(七峰산598m)-32번도로). (0) | 2011.06.20 |
전월지맥 2구간[돌고개-국사봉-연기고개(1번국도)-전월산(260m)-월산교앞](終). (0) | 2011.02.23 |
전월지맥 (轉月枝脈)1구간 (0) | 2011.02.03 |
주왕지맥9(길골-분덕재-발산-합수점)(終) (0) | 2010.01.27 |